종 | |
유니코드 | C885 |
완성형 수록 여부 | O |
구성 | ㅈ+ㅗ+ㅇ |
두벌식– QWERTY | whd |
세벌식 최종–QWERTY | l/a , lva |
1. 순우리말
1.1. 종, 하인
미국 출신 국어학자 및 일본어학자인 Samuel E. Martin 교수는 순우리말이 아니라 한자어 從(심부름꾼 종)에서 유래했다고 주장했다. 실제로도 이 단어의 중세국어 발음은 從 자의 발음과 완벽히 일치한다. 從 자가 '따를 종' 자의 뜻으로 사용될 경우 중고한어에서의 성조가 평성이며 중세국어에서도 평성으로 반영되지만, 명사화된 '심부름꾼 종' 자의 뜻으로 사용될 경우 중고한어 성조가 거성이라 중세국어에서 상성으로 나타난다. 중세국어에서 '하인'을 뜻하는 '죵'은 상성이었는데, '심부름꾼 종'자 역시 당대 한자음이 '죵'이고 성조가 상성이었다.
2. 1자 한자어
2.1. 종(種), 생물 분류 단계
유명한 종의 기원도 이 종이다.
2.2. 종(鐘), 타악기
무언가가 완전히 끝장난 상황을 종쳤다고 하는데 타악기인 종에서 유래했다. 사람이 죽으면 조종(弔鐘)을 울렸던 관습에서 유래한 것이다. 간혹 終쳤다라고 잘못 알고 있는 사람이 있다.
3. 한자
|
[1~10위] 사32 수27 기25 구 도 상20 경 유 장 정19 [11~106위] 부18 주17 계 조 지16 소 우15 고 비 위 제14 호13 서 연 자 적 전12 공 단 모 시 원 재11 가 방 선 성 신 오 의 진 화10 간 관 리 반 양 영 인 천9 강 개 거 교 대 동 무 미 배 복 순 역 이 초 한8 각 견 량 련 망 매 보 분 석 아 여 증 창 축 파 포 현7 감 과 근 금 명 박 봉 세 속 숙 식 안 종 청 취 치 침 편 폐 하 항 해 형 환6
|
[1~10위]
[11~106위]
[107~308위]
[309~407위] * 위 숫자는 해당 음절에 배당된 교육용 한자 수이다. |
교육용 한자 중 '종'으로 읽는 글자는 다음 6자이다.
- 宗: 묘호에 붙이는 한자. 일반적인 군주들 대부분이 받는 묘호. 그럭저럭 자리보전을 했을 경우 붙는다고 한다. 祖보다 낮으나, 조는 평범한 인물을 추존하여 높인 경우가 많아 반대로 알고 있는 사람들이 많다.
그밖에 '종합(綜合)'의 綜,[1] 종용(慫慂)하다'의 慫, ' 종기(腫氣)'의 腫이 있다.
4. 외국어
4.1. 종(dzong), 부탄과 티베트의 건축물
4.2. 종(jong), 인도네시아 정크선
문명 6 인도네시아 특수유닛으로도 등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