地 땅 지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土, 3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6획
|
||||
중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チ, ジ
|
||||||
일본어 훈독
|
つち, ところ
|
||||||
-
|
|||||||
표준 중국어
|
de, dì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地의 필순
⿰土也
[clearfix]
1. 개요
地자는 '땅 지'라는 한자로, 땅, 대지(大地)를 뜻한다.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땅 |
음 | 지 | |
중국어 | 표준어 | dì |
광동어 | dei6 | |
객가어 | thi | |
민북어 | dī | |
민동어 | dê[文] / diê[白] | |
민남어 | tē[文] / tī, tōe[白] | |
오어 | di3 | |
일본어 | 음독 | チ, ジ |
훈독 | つち, ところ | |
베트남어 | địa |
유니코드에는 U+5730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GPD(土心木)로 입력한다. 주음부호로는 ㄉˊ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土(흙 토)와 소리를 나타내는 也(어조사 야)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중국어에서는 단어 뒤에 的(과녁 적)이 붙어 부사적 용법으로 쓰이는 경우와 동일한 용법으로 쓰이기도 한다. (예: 모순적으로→矛盾地) 이때는 발음도 的과 동일하게 de(더)로 변한다.
서예에 있어서 나름 중요한 글자 취급받는데, 왜냐하면 地의 4번째 획이 극소수의 한자에만 사용되는 필획[5]이기 때문이다. 이 필획을 사용하는 한자는 也(어조사 야)와 그것이 구성요소인 한자(地를 포함한 他(다를 타), 池(연못 지), 馳(달릴 치), 弛(늦출 이), 拖(끌 타), 施(베풀 시) 등) 및 乜(사팔뜨기 먀)가 전부이다.[6]
경기도 광주시, 여주시, 이천시에서 개최된 2001 세계도자기엑스포의 공식 마스코트는 '토야'라는 캐릭터인데, 이 토야의 이름은 地를 土(흙 토)와 也(어조사 야)로 나누어 붙인 것이다.
천자문에서는 '따 지'라고도 읽는다.
일본어에서는 じ, ち 2가지 음독이 존재하는데, じ로 읽는 경우는 地面(じめん, 지면), 地震(じしん, 지진) 등이 있고, ち로 읽는 경우는 地図(ちず, 지도), 地球(ちきゅう, 지구), 地下鉄(ちかてつ, 지하철), 地方(ちほう, 지방) 등이 있다.
3. 용례
3.1. 단어
- 간석지(干潟地)
- 관광지(觀光地)
- 궁지(窮地)
- 기지(基地)
- 농경지(農耕地)
- 단지(團地)
- 대지(垈地/大地)
- 도읍지(都邑地)
- 도회지(都會地)
- 등지(等地)
- 매립지(埋立地)
- 명승지(名勝地)
- 묘지(墓地)
- 번지(番地)
- 부지(敷地)
- 분지(盆地)
- 사지( 死地)
- 산지(山地)
- 소재지(所在地)
- 소지(素地)
- 습지(濕地)
- 식민지(植民地)
- 양지(陽地)
- 여지(餘地)
- 오지(奧地)
- 온상지( 溫 床地)
- 외지(外地)
- 유원지(遊園地)
- 육지(陸地)
- 입지(立地)
- 주둔지(駐屯地)
- 지각(地殼)
- 지경(地境)
- 지구(地球)
- 지대(地帶)
- 지도(地圖)
- 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
- 지리(地理)
- 지리학(地理學)
- 지명(地名)
- 지반(地盤)
- 지방(地方)
- 지상(地上)
- 지역(地域)
- 지역구(地域區)
- 지옥(地獄)
- 지위(地位)
- 지자체(地自體)
- 지지(地支)
- 지진(地震)
- 지하(地下)
- 지하철(地下鐵)
- 지형(地形)
- 진지(陣地)
- 처지(處地)
- 천지(天地)
- 축지법( 縮地 法)
- 타지(他地)
- 택지(宅地)
- 토지(土地)
- 토지 공개념(土地公槪念)
- 험지( 險地)
- 현지(現地)
- 황무지(荒蕪地)
- 후보지(候補地)
-
운지( 隕 地)[7]
3.2. 고사성어/ 숙어
3.3. 인명
한국 작명소에서는 地를 쓰는 것을 권하지 않기 때문에 한국에서는 인명용으로는 잘 쓰이지 않는 한자이다. 대자연의 기에 눌려 험난한 인생을 살게 되기 때문이라고 한다.- 곤치인 스덴( 金地 院 崇 伝)
- 김지수( 金地 粹) - 조선의 문신
- 다이치 아키타로( 大地 丙 太 郎)
- 무카이치 미온( 向 井地 美 音)
- 바지 케이스케( 場地 圭 介)
- 아마치 시로( 天地 志 狼)
- 아마치 히츠기( 天地 ひつぎ)
- 와타나베 다이치( 渡 辺 大地)
- 이지용( 李地 鎔) - 흥인군의 양자손
- 정은지( 鄭 恩地)
- 정지( 鄭地)
- 지장보살(地 藏 菩 薩)
- 카마다 다이치( 鎌 田 大地)
- 칸바라 다이치( 神 原 大地)
- 토치 히로키( 東地 宏 樹)
3.4. 지명
- '지구(地區)', 단지(團地)', '택지(宅地)' 등의 접미사를 사용하는 지역들
- 지곡동(地 谷 洞)
- 양지동( 陽地 洞)
- 지정면(地 正 面)
- 삼각지역
- 뚝섬유원지역
- 지식정보단지역
- 가산디지털단지역
- 구로디지털단지역
- 국제업무지구역
3.5. 창작물
- 동국여지승람( 東 國 輿地 勝 覽)
- 育成スキルはもういらないと勇者パーティを解雇されたので、退職金がわりにもらった【領地】を強くしてみる( 육성 스킬은 이제 필요 없다고 용사 파티에서 해고당했기 때문에, 퇴직금 대신 받은 [영지]를 강하게 만들어본다)
- 地球の裏( 지구의 뒷면)
3.6. 기타
- 긴급지진속보(緊急地震速報): 일본의 방송
- 문천지( 文 天地)
- 물화생지( 物 化 生地)
- 세지( 世地)
- 지거국(地 據 國)
- 지방충(地 方 蟲)
- 지잡대(地 雜 大)
- 한지( 韓地)
- 向井地美音ソロコンサート ~大声でいま伝えたいことがある~: 무카이치 미온의 솔로 콘서트명
- -真天地開闢集団-ジグザグ: 일본의 록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