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성씨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a495,#2d2f34><colcolor=#fff> ㄱ | 가 · 간 · 갈 · 감 · 강 · 강전 · 개 · 견 · 경 · 계 · 고 · 곡 · 공 · 곽 · 관 · 교 · 구 · 국 · 군 · 궁 · 궉 · 권 · 근 · 금 · 기 · 길 · 김 |
ㄴ | 나 · 난 · 남 · 남궁 · 낭 · 내 · 노 · 뇌 · 누 | |
ㄷ | 다 · 단 · 담 · 당 · 대 · 도 · 독 · 독고 · 돈 · 동 · 동방 · 두 · 등 · 등정 | |
ㄹ | 라 · 란 · 랑 · 려 · 로 · 뢰 · 류 · 리 · 림 | |
ㅁ | 마 · 만 · 망절 · 매 · 맹 · 명 · 모 · 목 · 묘 · 무 · 무본 · 묵 · 문 · 미 · 민 | |
ㅂ | 박 · 반 · 방 · 배 · 백 · 번 · 범 · 변 · 보 · 복 · 봉 · 부 · 비 · 빈 · 빙 | |
ㅅ | 사 · 사공 · 산 · 삼 · 상 · 서 · 서문 · 석 · 선 · 선우 · 설 · 섭 · 성 · 소 · 소봉 · 손 · 송 · 수 · 순 · 승 · 시 · 신 · 심 · 십 | |
ㅇ | 아 · 안 · 애 · 야 · 양 · 어 · 어금 · 엄 · 여 · 연 · 염 · 엽 · 영 · 예 · 오 · 옥 · 온 · 옹 · 완 · 왕 · 요 · 용 · 우 · 운 · 원 · 위 · 유 · 육 · 윤 · 은 · 음 · 이 · 인 · 임 | |
ㅈ | 자 · 잠 · 장 · 장곡 · 저 · 전 · 점 · 정 · 제 · 제갈 · 조 · 종 · 좌 · 주 · 준 · 즙 · 증 · 지 · 진 | |
ㅊ | 차 · 창 · 채 · 천 · 초 · 총 · 최 · 추 | |
ㅋ | 쾌 | |
ㅌ | 탁 · 탄 · 탕 · 태 | |
ㅍ | 판 · 팽 · 편 · 평 · 포 · 표 · 풍 · 피 · 필 | |
ㅎ | 하 · 학 · 한 · 함 · 해 · 허 · 혁 · 현 · 형 · 호 · 홍 · 화 · 환 · 황 · 황목 · 황보 · 후 · 흥 | |
초록색: 2015년 기준으로 총 인구 100명 미만인 성씨 한자 표기가 다르더라도 한글 표기가 같으면 합산됨 |
}}}}}}}}} |
안동 권씨(安東 權氏) 관련 항목 |
<colbgcolor=#90001f><colcolor=#FFFFFF> 고려 삼한벽상공신 가문{{{#!wiki style="margin: -15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 |
安東 權氏 안동 권씨 |
}}} | |
관향 | 경상북도 안동시 | |||
비조 | 김알지(金閼智)[1] | |||
시조/ 득성조 |
권행(權幸) / 김행(金幸)[2] | |||
아시조 | 권인행(權仁幸)[3] | |||
파조 | 권수평(權守平) / 추밀공파(樞密公派) | |||
권수홍(權守洪) / 복사공파(僕射公派)[복야공파] | ||||
권영정(權英正) / 별장공파(別將公派) | ||||
권수중(權守中) / 수중공파(守中公派)[직계종파] | ||||
권시중(權時中) / 부호장공파(副戶長公派) | ||||
권체달(權採達) / 동정공파(同正公派) | ||||
권지정(權至正) / 좌윤공파(佐尹公派) | ||||
권통의(權通義) / 부정공파(副正公派) | ||||
권인가(權仁可) / 시중공파(侍中公派) | ||||
권형윤(權衡允) / 급사중공파(給事中公派) | ||||
권숙원(權叔元) / 중윤공파(中允公派) | ||||
권사발(權思拔) / 군기감공파(軍器監公派) | ||||
권대의(權大宜) / 정조공파(正朝公派)[광석공파] | ||||
권추(權樞) / 호장공파(戶長公派) | ||||
권척(權倜) / 검교공파(檢校公派) | ||||
집성촌 |
서울특별시
강서구 대구광역시 달서구· 동구 대전광역시 서구· 중구 울산광역시 울주군 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 경기도 연천군· 용인시· 이천시 경기도 파주시· 포천시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삼척시 충청북도 괴산군· 음성군· 충주시 충청남도 금산군· 서천군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김제시 전북특별자치도 무주군· 순창군 전북특별자치도 부안군· 익산시 전북특별자치도 장수군· 정읍시 전라남도 곡성군· 광양시· 나주시 전라남도 순천시· 영암군 경상북도 경주시· 고령군 경상북도 구미시· 군위군 경상북도 김천시· 문경시 경상북도 봉화군· 상주시 경상북도 성주군· 경산시· 안동시 경상북도 영덕군· 영양군 경상북도 영주시· 영천시· 예천군 경상북도 울진군· 의성군 경상북도 청송군· 칠곡군· 포항시 경상남도 거제시· 밀양시 경상남도 산청군· 의령군 경상남도 진주시· 창녕군 경상남도 창원시· 함양군· 합천군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
|||
강원도
고성군·
평강군 황해도 봉산군· 서흥군· 신천군· 연백군· 평산군 평안북도 영변군 함경남도 덕원군· 문천군 |
||||
인구 | 696,319명( 2015년) | 국내 15위 | |||
안동 권씨 대종회 |
[clearfix]
1. 개요
安東 權氏(안동 권씨)권씨 문중의 역사
안동 권씨는 한국의 성씨이다. 먼저 권씨(權氏)는 본래 김씨(金氏)로 신라 말에, 김씨 왕실에서 분관하여 고려 태조에게 권씨(權氏)를 최초로 사성받아 김씨(金氏)에서 권씨(權氏)로 환성한 성씨이다. 시조는 당시 고창(古昌)[8]에서 별장을 지낸 태사공(太師公) 권행이다. 근원은 신라의 왕성(王姓)인 경주 김씨이므로, 시조의 본명은 신라 종실의 김행이다. 신라 추존 국왕인 대보공(大輔公) 김알지(金閼智)의 후손이고, 김알지 계열 성씨이다.
안동 권씨는 한국의 성씨이다. 먼저 권씨(權氏)는 본래 김씨(金氏)로 신라 말에, 김씨 왕실에서 분관하여 고려 태조에게 권씨(權氏)를 최초로 사성받아 김씨(金氏)에서 권씨(權氏)로 환성한 성씨이다. 시조는 당시 고창(古昌)[8]에서 별장을 지낸 태사공(太師公) 권행이다. 근원은 신라의 왕성(王姓)인 경주 김씨이므로, 시조의 본명은 신라 종실의 김행이다. 신라 추존 국왕인 대보공(大輔公) 김알지(金閼智)의 후손이고, 김알지 계열 성씨이다.
시조 김행(金幸)의 생몰연도는 미상이다. 신라 김씨의 동족[9]으로 태어나 안동 지방의 토족을 역임한 기록이 있다. 이후에 경순왕 원년 ( 927년 11월) 후백제의 군주인 견훤(甄萱)이 포석정에 처들어가 경애왕을 우롱(愚弄)[10]하여 왕비를 능욕했으며, 후에 경애왕을 주살하게 하자, 이에 격분한 삼태사(三太師) 김행(金幸), 김선평(金宣平), 장정필(張貞弼)과 같은 무관 인물들이 고창 전투에 참전해 크게 승리를 거두자, 고려 태조가 "동쪽을( 東) 편히( 安) 했다."라는 뜻으로 당시 고창군(古昌郡)이였던 지역을 안동부(安東府)로 승격하고 고려 창업에 공(功)을 세워 고려 태조(太祖) 세력에게 삼한벽상공신 삼중대광태사(三韓壁上功臣三重大匡太師)라는 작위를 받고, '능병기달권(能炳幾達權)'하다는 뜻으로 권씨 성을 사성(賜姓)받았다. 이것이 안동 권씨의 시초(始初)이다.
고려• 조선 당시에 양반가하면 손에 꼽히는 가문이다. 고려때엔 고려 삼한공신(三韓功臣)에 속해있는 권문세가 무관가문이였고, 조선에선 과거 제도(科擧 制度) 시험에 문과 368명, 무과 261명을 배출했다. #1 #2 문과 급제자 배출 순위 전체 2위[11]인 기록이다.
한국사(韓國史)에서는 나름의 비중을 차지하는 성씨(姓氏)인데, 국내에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족보(族譜)가 이 안동 권씨(安東 權氏)의 <성화보>이기 때문이다.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에는 문화 류씨(文化 柳氏)의 <가정보>가 제일 오래된 족보(族譜)라고 적고 있지만, 과거 하버드 대학교(Harvard University) 동양학과의 에드워드 윌렛 와그너(Edward Willett Wagner) 교수에 따르면, 대한민국에서 가장 오래된 족보(族譜)는 안동 권씨(安東 權氏) <성화보>라고 한다.
안동 권씨(安東 權氏) <성화보>가 문화 류씨(文化 柳氏) <가정보>보다 연대가 조금 더 빠르다고 하는데, 다만, 족보의 체계나 구성 등에 있어서는 <성화보>보다 <가정보>가 훨씬 수록 범위가 보다 더 넓고, 발전된 형태를 띠고 있다.
어쨌든 이 <성화보>는 1476년( 성종 7) 목판으로 간행했고, 서거정이 족보의 서문을 썼다. 와그너 교수는 이 책을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된 마이크로필름에서 찾아냈다고 한다.
2. 분적과 분파
경상북도 북서동부에 위치한 지명으로, 지금의 안동 지역에 있던 부족국가 창녕국(昌寧國)을 비롯한 구령국(驅令國)·소라국(召羅國) 등은 초기 신라의 속국으로 되어 있다가, 그 후 신라의 고타야군(古陀耶郡)으로 고쳐졌다.757년( 경덕왕 16)에 고창군(古昌郡)으로 고쳐졌고, 930년( 태조 13)에는 안동부(安東府)로 개칭 승격되었다. 시대에 따라 지명이 바뀌고, 승격과 강등을 거듭하다가, 1895년( 고종 32)에 23관찰부제에 따라 경상도 동북부 17개군을 관할하는 관찰부(觀察府)가 설치되었으며, 이듬해에 13도제(道制)에 따라 경상북도의 안동군(郡)으로 개편되었다.
분적한 성씨로는 강릉 권씨(江陵 權氏)[12]가 있다.
안동 권씨에는 15개의 대파가 있다.
<rowcolor=white> 시조 | 2세 | 3세 | 4세 | ... | 10세 | 파명 |
행 幸 |
인행 仁幸 |
책 冊 |
균한 均漢 |
수중 守中 |
수중공파 守中公派 |
|
시중 時中 |
부호장공파 副戶長公派 |
|||||
수평 守平 |
추밀공파 樞密公派 |
|||||
수홍 守洪 |
복야공파 僕射公派 |
|||||
채달 棌達 |
동정공파 同正公派 |
|||||
지정 至正 |
좌윤공파 佐尹公派 |
|||||
영정 英正 |
별장공파 別將公派 |
|||||
통의 通義 |
부정공파 副正公派 |
|||||
인가 仁可 |
시중공파 侍中公派 |
|||||
형윤 衡允 |
급사중공파 給事中公派 |
|||||
광한 光漢 |
숙원 叔元 |
중윤공파 中允公派 |
||||
사발 思拔 |
군기감공파 軍器監公派 |
|||||
겸한 謙漢 |
대의 大宜 |
정조공파 正朝公派 |
||||
추 樞 |
호장공파 戶長公派 |
|||||
륜 綸 |
응화 應和 |
척 倜 |
검교공파 檢校公派 |
3. 안동 권씨 종기
4. 신 안동 김씨 분적설에 대한 오해와 그 진실
종 종 신 안동 김씨(新 安東 金氏)에서 분가(分家)된 문중이라 알고 있는 사람이 꽤 있는데, 결론부터 말하자면 억측이다. 보학을 열심히 배워본 사람이면 알다시피 신 안동 김씨(新 安東 金氏)와 안동 권씨(安東 權氏), 안동 장씨(安東 張氏)는 동시대 가문이다. 한마디로 동시대 가문(家門)끼리 분적(分籍)되는 것은 실질적으로 불가능에 가깝다. 시조 권행은 신라 종실(宗室), 즉 종친(宗親)의 인물이기에 경주 김씨(慶州 金氏) 본관의 인물이 맞다.시조 권행이 안동김씨 인물이라는 자료는 어디에도 없다.
권행이 신라 왕손이라는 근거는 다음과 같다.
1. 안동권씨태사공실기(安東權氏太師公實記)의 한 구절에 따르면,
김행(金幸)이란 사람은 나라의 종성(宗姓)[13]인데… (중략) 고려왕은 "행(幸)은 능히 기미(幾微)에 밝고 권도(權道)에 통달하였다." 하고 권(權)씨로 성을 하사하였다. |
2. 경주 김씨(慶州 金氏) 연합대종원에 있는
신라계 김씨 동원분관분성록 |
3. 대전 뿌리공원 <안동 권씨 조형물> 중
시조 태사공太師公 권행權幸은 신라 왕실의 후예로 본명은 신라의 종성 김행金幸이었다. |
4. 시조 권행 태사묘
安東權氏家譜序(成化丙申譜)權本新羅宗姓金氏也 羅季有金幸者守古昌郡 時甄萱入新羅弑王辱妃高麗太祖赴救與萱相持 幸謨於衆曰萱義不共戴天 ?歸王公以雪痛憤 遂迎降 麗祖曰 幸能炳幾達權乃賜姓權 授太師以郡爲食邑陞爲安東府(중략) 권본신라종성김씨야 라계유김행자수고창군 시견훤입신라시왕욕비 고려태조부구여훤상지 행모어중왈훤의불공대천 합귀왕공이설통분 수영항 려조왈 행능병기달권내사성권 수태사이군위식읍승위안동부 해석: 권씨는 본래 신라 왕성인 김씨이다. 신라 말 김행이란 분이 계시어 고창군을 지킬 때 견훤이 신라를 침입하여 왕을 시해하고 왕비를 능욕하니 고려태조가 구원코자 와서 훤과 서로 대치하니 행이 좌중과 모의하여 말하기를 「훤은 의로 하늘아래 같이 할 수 없는 원수이니 왕공에게 귀순하여 통분을 씻지 않으리오.」하고 드디어 영접하여 항복하니 고려태조는 「행은 능히 기미에 밝고 권도에 통달하였다.」하면서 권씨로 성을 주고 태사의 작위를 내렸으며 군을 식읍으로 하고 안동부로 승격키켰다. -중략- |
5. 다른 가문(왕실)과의 관계
5.1. 안동 권씨와 양천 허씨의 관계
서로 사돈 관계이다.안동 권씨의 시조모(始祖母)가 양천 허씨(陽川 許氏)의 시조 허선문(許宣文)의 딸이기 때문이다. 정확히는 안동 권씨의 시조 권행(權幸)의 독자 아시조(亞始祖) 권인행(權仁幸)의 처이다. 양천 허씨의 시조 허선문은 가야 왕실의 후손으로 수로왕과 그의 왕비 허황옥의 혈손이다.[14] 또 한 허가바위에 출생하여, 공암촌장이라 불렸는데, 훗날 고려 태조 왕건이 후백제를 정벌할 때, 많은 군량미 등을 제공하여 고려개국 삼한벽상공신으로 기록되어 있다.
이외에도 본 문중 서로 각 각 김씨[15]에서 나왔다는 점, 시조 모두 고려 삼한벽상공신으로 채택 된 점[16]으로 공통점이 있다.
* 위 문중에선 공식적으로 시조모를 모시거나 제를 올리진 않는다.
* 여담으로 시조 권행의 아내는 박씨라 나와있지만, 본관은 전해 내려오지 않는다.
5.2. 안동 권씨와 금나라의 관계 오해
본 문단은 편집자들의 개인적 견해를 바탕으로 저술 되었음. 어느 정도 역사적 사실을 기반으로 하고있으나, 엄연히 검증되지 않는 자료들이기에 신뢰를 금함.
|
권행이 성씨를 하사 받기전 본명이 김행(金幸)이긴 했지만 고려사에서 기록된 이름은 흔행[17]이었으므로 금나라와는 아무 상관이 없다.
따질 것도 없이 권행이 활동하던 지역은 당시의 고창군인 현재의 안동이고, 고려사에 기록되어 있는 김행은 당시 평주의 승려 금준(今俊)이었다 평주는 현재의 황해북도 평산군이다.
결론적으로 고려사에서 언급되는 김행과 안동 권씨의 시조인 김행은 다른 사람이다. 자세한건 여진족 신라인설 문서를 참조
5.3. 안동 권씨와 원나라의 관계
원 소종 아유르시리다르의 권황후(權皇后)는 고려 출신 여성으로 권겸의 딸이고, 원 소종의 황후이다.그러므로, 소종과 인척 관계다.
6. 항렬표
근현대에 존재하는 안동 권씨들은 주로 33~39세손 사이에 위치하며[18], 이 가문 역시 항렬을 철저히 지키는 것으로 유명하다. 본래 항렬자는 여자에게는 붙이지 않는 것이 일반적인 상식인데, 이 가문은 여성도 예외없이 항렬자를 적용하는 것으로도 유명하다.다만, 항렬자 규칙이 워낙 단순해서[19] 항렬표에 나와 있지 않은 한자를 항렬자로 쓰는 경우도 드물지 않다. 그래서 그런지 안동 권씨 대종원에서도 본항렬과 예비항렬을 모두 기재하고 있다.
그러나 현대에 들어서는 '정해진 항렬자로 무난한 이름을 짓기 힘들다'는 이유로 항렬자를 쓰지 않는 경우가 늘어났다. 아니면 여전히 각 문중의 항렬자를 쓰기도 한다.[20] 이건 다른 성씨 본관들도 마찬가지. 세대 분포가 넓은 가문으로 평가받는다. 동시대에 9세대 차이나는 사람들이 있을 정도면...
대수 | 본항렬 | 예비항렬 |
31세~40세 : 항렬자가 이름의 가운데에 옴 | ||
31세 | 병(丙)◯ | 대(大), 만(萬), 우(友) |
32세 | 중(重)◯ | 종(宗), 인(仁), 무(武) |
33세 | 태( 泰)◯ | 춘( 春), 용( 龍), 정( 正) |
34세 | 영( 寧)◯ | 헌( 憲), 탁( 鐸), 작( 爵) |
35세 | 오( 五)◯ | 오( 悟), 숙( 肅), 오( 梧) |
36세 | 혁( 赫)◯ | 기( 奇), 경( 景), 영( 英) |
37세 | 순( 純)◯ | 택( 宅), 처( 處), 우( 虞) |
38세 | 용( 容)◯ | 준( 俊), 열( 說), 익( 益) |
39세 | 구( 九)◯ | 숙( 熟), 궤( 軌), 예( 藝) |
40세 | 승(升)◯ | 사(士), 두(斗), 협(協) |
41세~50세 : 항렬자가 이름의 뒤에 옴 | ||
41세 | ◯일(一) | ◯백(百) |
42세 | ◯원(元) | ◯완(完) |
43세 | ◯전(全) | ◯장(長) |
44세 | ◯택(澤) | ◯서(署) |
45세 | ◯서(書) | ◯오(梧) |
46세 | ◯명(溟) | ◯연(兗) |
47세 | ◯칠(七) | ◯건(虔) |
48세 | ◯준(駿) | ◯태(兌) |
49세 | ◯욱(旭) | ◯구(究) |
50세 | ◯갑(甲) | ◯남(南) |
51세~60세 : 항렬자가 이름의 가운데에 옴 | ||
51세 | 의(懿)◯ | 승(丞)◯ |
52세 | 항(恒)◯ | 천(天)◯ |
53세 | 옥(玉)◯ | 삼(三)◯ |
54세 | 덕(德)◯ | 환(寰)◯ |
55세 | 조(肇)◯ | 아(衙)◯ |
56세 | 경(京)◯ | 기(琦)◯ |
57세 | 세(世)◯ | 호(毫)◯ |
58세 | 팔(八)◯ | 일(佾)◯ |
59세 | 집(執)◯ | 환(紈)◯ |
60세 | 구(求)◯ | 년(年)◯ |
화천군파의 경우는 상기된 수교법 항렬을 쓰지 않고, 대다수 문중에서 쓰는 오행상생법을 쓴다. #
7. 집성촌
7.1. 서울·경기·강원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용두동, 제기동
- 서울특별시 강서구 방화동
- 경기도 가평군 읍내5리 [21]
- 경기도 연천군 중면 중사리·횡산리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 모현읍 왕산리, 남사읍 아곡리
- 경기도 이천시 - 모가면 산내리·서경리[22]·송곡리·양평리, 설성면 상봉리·장천리
- 경기도 파주시 적성면 가월리
- 경기도 포천시 소흘읍 고모리
- 경기도 화성시 봉담읍 덕리
- 경기도 양평군 지평면 수곡리(수곡서원)
-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 죽헌동[23], 사천면 노동리, 왕산면 대기리[24], 성산면 보광리 [25]
-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하장면 어리
7.2. 대전·세종·충청
- 대전광역시 서구 탄방동
- 대전광역시 중구 목달동[26]·무수동[27]·정생동
- 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 노장리·청송리[28]
- 충청북도 괴산군 괴산읍 정용리
- 충청북도 음성군 - 삼성면 용성리, 소이면 갑산리[29]
- 충청북도 충주시 소태면 복탄리·야동리
- 충청남도 금산군 복수면 다복리
- 충청남도 서천군 화양면 남성리
- 충청남도 홍성군 홍북읍 내법리
7.3. 전북·전남
-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성송면 학천리
-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 죽산면 신흥리[30]
- 전북특별자치도 무주군 무주읍 내도리[31]
- 전북특별자치도 순창군 - 순창읍 가남리·신남리, 구림면 성곡리, 적성면 고원리·대산리·운림리
- 전북특별자치도 부안군 행안면 신기리
-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 임상동, 망성면 화산리
- 전북특별자치도 장수군 산서면 오산리[32]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 영원면 은선리, 옹동면 산성리, 정우면 장순리, 태인면 매계리
- 전라남도 곡성군 고달면 고달리
- 전라남도 광양시 옥룡면 죽천리[33]
- 전라남도 나주시 봉황면 욱곡리[34]·황룡리
- 전라남도 순천시 승주읍 봉덕리
- 전라남도 영암군 시종면 신학리
7.4. 대구·경북
- 대구광역시 군위군 효령면 노행리
- 대구광역시 달서구 대곡동[35]
- 대구광역시 동구 덕곡동
- 경상북도 경산시 정평동
- 경상북도 경주시 - 안강읍 두류리, 강동면 국당리, 내남면 망성리·율동리·화곡리·안심리, 문무대왕면 구길리
- 경상북도 고령군 성산면 기족리
- 경상북도 구미시 - 도개면 궁기리·신림리, 옥성면 농소리
- 경상북도 김천시 조마면 장암리
- 경상북도 문경시 - 산양면 일원, 영순면 사근리
- 경상북도 봉화군
- 경상북도 상주시 - 공검면 양정리, 모서면 대포리
- 경상북도 성주군 용암면 본리리
- 경상북도 안동시[38]
- 노하동·동부동·법상동[39]·서부동[40]·신세동·안막동·용상동[41]·율세동
- 풍산읍 노리·막곡리, 남선면 신석리[42]·원림리[43], 북후면 도촌리·연곡리[44], 서후면 명리[45]·이개리[46]
- 와룡면 가야리·서지리·이상리·이하리[47]·주하리·중가구리, 일직면 광연리[48]·국곡리, 임동면 사월리[49]
- 임하면 임하리, 풍천면 가곡리[50]·갈전리[51]·구호리
- 경상북도 영덕군 - 영덕읍 괴시리[52], 병곡면 송천리[53], 창수면 인량리
- 경상북도 영양군 - 영양읍 상원리, 수비면 계리, 입암면 신사리
- 경상북도 영주시 - 부석면 감곡리, 이산면 두월리·원리
- 경상북도 영천시 - 화남면 금호리·선천리[54], 화산면 가상리[55]
- 경상북도 예천군 - 예천읍 상동리[56]·왕신리·통명리, 용궁면 향석리[57], 지보면 매창리·수월리·마전리
- 경상북도 울진군 근남면 행곡리
- 경상북도 의성군 - 구천면 소호리, 다인면 삼분리, 옥산면 구성리·입암리[58], 점곡면 서변리[59]
- 경상북도 청송군 - 안덕면 장전리[60], 진보면 광덕리[61]·신촌리·이촌리·진안리·후평리
- 경상북도 칠곡군 - 석적읍 도개리, 가산면 학산리
-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죽장면 입암리[62]
7.5. 울산·경남
- 울산광역시 울주군 언양읍 반곡리·평리[63]
- 경상남도 거제시 하청면 유계리
- 경상남도 밀양시 부북면 위량리
- 경상남도 산청군 단성면 강누리·사월리·입암리[64], 신등면 단계리[65]·양전리
- 경상남도 의령군 부림면 신반리
- 경상남도 진주시 수정동[66]
- 경상남도 창녕군 계성면 사리
-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전면 오서리[67]
- 경상남도 함양군 수동면 도북리
- 경상남도 합천군 - 대병면 상천리·성리·장단리, 쌍책면 다라리
- 경상남도 사천시 용강동
7.6. 제주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하효동
7.7. 이북
- 강원도 고성군 서면 송탄리[68]
- 강원도 평강군 - 목전면 기산리, 서면 문봉리, 평강면 간리[69]
- 황해도 봉산군 기천면 묵천하리
- 황해도 서흥군 매양면 양사리
- 황해도 신천군 - 궁흥면 성암리, 문무면 유령리, 용진면 삼봉리
- 황해도 연백군 호동면 용산리
- 황해도 평산군 용산면 노동리·광암리
- 평안북도 영변군 북신현면 가좌동
- 함경남도 문천군 구산면 수치리·장발리
8. 실존 인물
8.1. 근대 이전
- 권행 - 안동 권씨의 시조. 삼태사
- 권부 - 고려 말의 성리학자
- 권겸 - 권부의 아들
- 권준 - 고려 말의 문신.
- 권한공 - 고려 말의 정승.
- 권황후 - 원 소종의 황후
- 공헌현비 권씨 - 명나라 영락제의 후궁.[70]
- 권근 -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 조선 건국 주도 세력 신진사대부 중 하나. 권람의 조부.
- 권중화 - 조선 태종 때의 영의정부사.[71]
- 현덕왕후 - 조선 5대 왕 문종 의 정비
- 권람 - 조선시대의 문신. 수양대군의 측근.
- 권벌 - 조선시대의 문신.
- 권철 - 조선의 영의정. 권율의 아버지.
- 권율 - 조선시대의 장군( 행주 대첩)
- 권종 - 조선시대의 군수
- 권응수 - 조선시대의 장군( 임진왜란)
- 권세춘 - 조선시대의 의병장( 임진왜란). 창녕에서 500여 명을 모아 의병을 일으켰다. #
- 권대운 - 조선 후기의 문신. 영의정을 지냈으며 탁남의 지도자였다.
- 권재호
8.2. 현대 인물
32세(重) | |||
권중현(權重顯) | 1854 ~ 1934 | 추밀공파 혁계 | 문신, 친일파( 을사오적) |
권중희(權重熙) | 1890 ~ 1946 | 복야공파 분선계 | 독립운동가 |
권덕규(權悳奎) | 1891 ~ 1950 | 추밀공파 덕창2계 | 독립운동가 |
권중환(權重煥) | 1895 ~ 1959 | 검교공파 수경계 | 독립운동가 |
권중휘(權重輝) | 1905 ~ 2003 | 동정공파 조균계 | 교육인 |
권중혁(權重爀) | 1921 ~ 2023 | 복야공파 우전계 | 독립운동가 |
권중각(權重珏) | 1921 ~ 1961 | 추밀공파 덕로계 | 정치깡패 |
권중동(權重東) | 1932 ~ 2021 | 부호장공파 억환계 | 정치인, 공무원 |
33세(泰) | |||
권동진(權東鎭) | 1861 ~ 1947 | 추밀공파 수2계 | 독립운동가 |
권태호(權泰浩) | 1903 ~ 1972 | 동정공파 복대계 | 음악인 |
권태희(權泰羲) | 1907 ~ 1983 | 동정공파 복대계 | 정치인 |
권태욱(權泰郁) | 1907 ~ 1981 | 복야공파 분립계 | 정치인 |
권태규(權泰圭) | 1910 ~ 1957 | 복야공파 침계 | 독립운동가 |
권중돈(權仲敦) | 1912 ~ 1985 | 복야공파 산보계 | 군인, 정치인 |
권노갑(權魯甲) | 1930 ~ | 급사중공파 성행계 | 정치인 |
권정달(權正達) | 1936 ~ | 부호장공파 봉득계 | 군인, 정치인 |
권태신(權泰信) | 1949 ~ | 복야공파 대전계 | 공무원 |
34세(寧) | |||
권승렬(權承烈) | 1895 ~ 1980 | 추밀공파 수2계 | 공무원 |
권용두(權容斗) | 1914 ~ 1992 | 추밀공파 유2계 | 독립운동가 |
권이혁(權彛赫) | 1923 ~ 2020 | 추밀공파 덕창계 | 교육인, 공무원 |
권효섭(權孝燮) | 1925 ~ 2017 | 복야공파 두인2계 | 정치인 |
권영해(權寧海) | 1937 ~ | 추밀공파 세득계 | 군인, 공무원 |
권영우(權寧禹) | 1942 ~ 2006 | 검교공파 이전계 | 기업인, 정치인 |
권영세(權寧世) | 1953 ~ | 복야공파 분형계 | 정치인 |
권인하(權仁夏) | 1959 ~ | 추밀공파 대경1계 | 음악인 |
권영진(權泳臻) | 1962 ~ | 동정공파 조균계 | 정치인 |
35세(五) | |||
권숙린(權肅獜) | 1877 ~ 1939 | 복야공파 두망1계 | 독립운동가, 족보명 숙린(肅麟) |
권오설(權五卨) | 1897 ~ 1930 | 복야공파 박계 | 독립운동가 |
권오종(權五鍾) | 1900 ~ 1960 | 동정공파 조균계 | 정치인 |
권오직(權五稷) | 1927 ~ 1981 | 복야공파 양득계 | 독립운동가 |
권오직(權五稷) | 1906 ~ ? | 복야공파 박계 | 독립운동가 |
권성기(權聖基) | 1908 ~ 1997 | 복야공파 두인2계 | 정치인 |
권오훈(權五勳) | 1911 ~ 1951 | 복야공파 득중계 | 정치인 |
권오병(權五柄) | 1918 ~ 1975 | 복야공파 두길계 | 법조인, 공무원 |
권오석(權五石) | 1921 ~ 1975 | 복야공파 응경계 | 노무현 가문, 족보명 오석(五晳) |
권오석(權五石) | 1923 ~ 2002 | 추밀공파 눌계 | 정치인 |
권오태(權五台) | 1927 ~ 2010 | 부정공파 태시계 | 정치인 |
권오기(權五琦) | 1932 ~ 2011 | 동정공파 조균계 | 언론인, 공무원 |
권기술(權琪述) | 1938 ~ 2011 | 좌윤공파 극겸계 | 정치인 |
권오길(權伍吉) | 1940 ~ | 복야공파 두양계 | 생물학자 |
권경석(權炅錫) | 1946 ~ | 복야공파 상2계 | 정치인 |
권철현(權喆鉉) | 1948 ~ | 복야공파 건계 | 정치인 |
권오갑(權五甲) | 1951 ~ | 추밀공파 규2계 | 체육인 |
권오규(權五奎) | 1952 ~ | 추밀공파 시현계 | 공무원 |
권재진(權在珍) | 1953 ~ 2020 | 복야공파 섬계공계 | 법조인, 공무원 |
권오성(權五晟) | 1955 ~ | 추밀공파 시태계 | 군인 |
권오을(權五乙) | 1957 ~ | 검교공파 영세계 | 정치인 |
권영현(權瑛鉉) | 1966 ~ | 복야공파 순계 | 군인 |
권용기(權用基) | 1969 ~ | 추밀공파 수경계 | 학원인 |
권락용(權樂容) | 1982 ~ | 검교공파 림계 | 정치인 |
36세(赫) | |||
권기일(權奇鎰) | 1886 ~ 1920 | 부정공파 태시계 | 독립운동가, 족보명 혁린(赫麟) |
권일(權逸) | 1911 ~ 2001 | 좌윤공파 미윤계 | 정치인 |
권복인(權福仁) | 1912 ~ 1978 | 정조공파 상평계 | 체육인 |
권혁조(權赫朝) | 1923 ~ 2002 | 좌윤공파 미윤계 | 독립운동가 |
권혁수(權赫壽) | 1926 ~ 1953 | 복야공파 박계 | 독립운동가, 족보명 재탁(在倬) |
권갑주(權甲周) | 1929 ~ 2020 | 추밀공파 흡계 | 정치인 |
권영길(權永吉) | 1941 ~ | 복야공파 상2계 | 정치인 |
권영기(權泳基) | 1947 ~ | 복야공파 빈계 | 군인 |
권양숙(權良淑) | 1948 ~ | 복야공파 응경계 | 영부인 |
권혁준(權赫準) | 1952 ~ | 추밀공파 절계 | 만화가 |
권선택(權善宅) | 1956 ~ | 추밀공파 유2계 | 정치인 |
권기균(權奇鈞) | 1957 ~ 2020 | 부정공파 덕여계 | 공학자, 정치인 |
권헌성(權憲成) | 1958 ~ | 복야공파 두장1계 | 정치인 |
권영택(權英澤) | 1962 ~ | 부정공파 태시계 | 정치인 |
권기창(權奇菖) | 1962 ~ | 정조공파 명일계 | 정치인 |
권기선(權奇宣) | 1963 ~ | 복야공파 승의랑계 | 공무원 |
권익환(權益煥) | 1967 ~ | 급사중공파 성시계 | 법조인 |
권상우(權相佑) | 1976 ~ | 추밀공파 유2계 | 배우, 족보명 상우(祥佑) |
권혁주(權赫周) | 1978 ~ | 부정공파 우정계 | 만화가 |
권창훈(權昶勳) | 1994 ~ | 별장공파 득립계 | 체육인 |
37세(純) | |||
권구원(權九瑗) | 1924 ~ 2017 | 시중공파 유경계 | 독립운동가, 족보명 희원(熙瑗) |
권희필(權熙弼) | 1935 ~ | 시중공파 성원계 | 정치인 |
권철현(權哲賢) | 1947 ~ | 복야공파 유경1계 | 정치인 |
권희태(權熙泰) | 1954 ~ | 시중공파 성원계 | 정치인 |
권유관(權有官) | 1957 ~ | 추밀공파 허진계 | 정치인 |
권순일(權純一) | 1959 ~ | 추밀공파 두기계 | 법조인 |
권성동(權性東) | 1960 ~ | 복야공파 흥문계 | 법조인, 정치인 |
권문상(權文相) | 1964 ~ | 복야공파 흠계 | 법조인, 족보명 문상(汶相) |
권삼(權參) | 1964 ~ | 추밀공파 득평1계 | 군인, 족보명 순삼(純參) |
권택기(權宅起) | 1965 ~ | 별장공파 해계 | 정치인 |
권칠승(權七勝) | 1965 ~ | 복야공파 상률계 | 정치인 |
권광택(權光澤) | 1968 ~ | 복야공파 양득계 | 정치인 |
권세호(權世昊) | 1968 ~ | 부정공파 구계 | 정치인 |
권순욱(權純旭) | 1968 ~ | 부정공파 복형계 | 언론인 |
권용순(權龍純) | 1975 ~ | 복야공파 박계 | 기업인 |
권학봉(權學峰) | 1979 ~ | 부정공파 오계 | 사진가 |
권희동(權熙東) | 1990 ~ | 시중공파 이량계 | 체육인 |
권순영(權順榮) | 1996 ~ | 추밀공파 탁1계 | 아이돌 |
권순우(權純雨) | 1997 ~ | 추밀공파 우1계 | 체육인 |
38세(容) | |||
권문용(權文勇) | 1943 ~ | 추밀공파 기계 | 정치인 |
권용현(權容賢) | 1960 ~ | 추밀공파 엽계 | 공무원 |
권성중(權成重) | 1969 ~ | 시중공파 성원계 | 법조인, 정치인 |
권용일(權容日) | 1971 ~ | 별장공파 준계 | 공무원 |
권민중(權旼重) | 1975 ~ | 시중공파 성원계 | 배우 |
권용관(權容寬) | 1976 ~ | 추밀공파 종성계 | 체육인 |
권성주(權聖主) | 1979 ~ | 복야공파 유경1계 | 정치인 |
39세(九) | |||
권재관(權載寬) | 1977 ~ | 추밀공파 수영계 | 희극인, 족보명 구복(九福) |
8.3. 계보 불명
- 권기동[72] - 핫도그 미디어의 ceo이자 유튜버
- 권가야 - 만화가, 본명 권기만
- 권교정
- 권나라 - 헬로비너스의 멤버
- 권도형
- 권리세 - 레이디스 코드의 멤버
- 권민석
- 권민아 - AOA의 전 멤버, 현재는 배우.
- 권병노
- 권병식
- 권상국
- 권상윤 - 대한민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Sangyoon'
- 권성덕
- 권소현 - 포미닛의 멤버.
- 권소현(배우)
- 권수현 - 대한민국의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
- 권은비 - 걸그룹 예아, IZ*ONE 출신의 가수.
- 권은빈
- 권은희
- 권이슬 - OGN의 아나운서
- 권진아 - 안테나 소속 가수
- 권채원 - 걸그룹 DIA 출신.
- 권평 - 대한민국의 프로게이머.
- 권해봄 - 마이 리틀 텔레비전 모르모트 PD
- 권해효 - 대한민국의 배우
- 나나 - 걸그룹 WOOAH의 리더, 본명은 권나연
- 진격캐넌 - 메이플스토리 유튜버이자 방송인
- G-DRAGON - 빅뱅의 멤버, 본명은 권지용
- Sik-K - 하이어뮤직 소속 래퍼, 본명은 권민식.
- 권태순 - 6.25 전쟁 참전용사
8.4. 여담
안동시에서는 지역 정치를 안동 김씨(安東 金氏)와 안동 권씨가 세력이 강하고, 이 지역에는 권씨가 매우 많아 상위 3개 성씨가 '김, 이, 박'(金, 李, 朴)이 아니라 '김, 이, 권'(金, 李, 權)일 정도이다.[73]강릉시에서도 세력이 강해서, 여기는 아예 지역구 국회의원부터 안동 권씨다.[74]
안동 권씨 집성촌 중에 한 곳인, 경상북도 봉화군에 위치한 닭실마을에 사는 권씨들을 마을 사람들 끼리 "닭실 권씨"라고도 부른다.
[1]
신라 김씨 왕조의 선조이다. 시조의 선대가 범 경주 김씨계 이기에, 대종회에서도 선조로 여긴다.
비고
[2]
고려 삼한공신(三韓功臣)의 인물이자, 무관.
고창전투의 야전사령관이였다. 고려 태조(太祖)로부터 권씨 성을 사성받기 전의 이름은 김행(金幸)이었다.
[3]
시조 2세이면서 독자이므로, 안동 권씨에서 모시는 아시조(亞始祖)이다. 그러므로 안동 권씨 후손들이 해당 인물의 후손이기도 하다.
[복야공파]
[직계종파]
[광석공파]
[7]
이 링크로 들어가서 인터넷족보-한글판대동보열람을 클릭하면 인터넷족보를 열람할 수 있다.
[8]
현재의
안동시
[9]
그런데 권행(權幸)이 신라 김(金)씨의 후예임에는 틀림없으나 그의 상계(上系)는 확실치 않다. 그래서 ‘성화보(成化譜)’ 서문이나 안동권씨전고(安東權氏典考)편에도 시조 태사공(太師公)이 신라 종족(宗族)에는 분명하나 어느 왕의 후손이라고는 밝히지 않았다. 아마 신라 종실의 인물들과 서로 다른 사회 계급에 해당 하였다고 추정된다.
[10]
사람을 어리석게 보고 함부로 대하거나 웃음거리로 만듦.
[11]
1위
전주 이씨, 3위
파평 윤씨
[12]
현재 25명이 있고,
대한민국 건국 이후로
안동 권씨로 합본되었다. (
안동 권씨 시중공파에서 갈라졌다.)
[13]
여기서 나라란,
신라를 뜻하고 종성(宗姓)이란 신라의 국성이니 신라의 왕족이란 뜻이다.
[14]
수로왕의 32대손이라 한다.
[15]
경주 김씨 -> 안동 권씨, 김해 김씨 -> 양천 허씨
[16]
작위명이 언뜻 비슷해 보이나 김행은 삼한벽상공신 ‘삼중대광태사’라는 무관 직명까지 포함됐다는 것에서 차이가 있다.
[17]
당연히 이 기록은 단순 모순된 착오로 빚어진 것으로, 예천 권씨의 시조 흔섬과 성이 혼동 된 것으로 추정된다. 시조 권행의 본성은 당연히 김(金)씨가 맞다.
[18]
32세손은 현재 대부분 고인이 되었고, 33세손도 현재 노년층에서 주로 보이며, 34세손도 젊은 층에서는 많지않다. 또한
권재관의 자녀처럼 40세손도 존재한다.
[19]
항렬자 안에
숫자에 해당하는
한자가 있다.
수교법 문서를 참조하면 이해가 쉬울 것이다.
반남 박씨도 역시 이 방법을 쓴다.
[20]
특히, 37대손인 순자는 오늘날 보기엔 다소 촌스럽기도 하고,
남자 이름에 어울리지 않는다는 이유로 안 쓰는 사람이 꽤 많고, 대신 동(
東), 우(
虞)자 를 항렬자로 많이 쓰는 편이다.(예: 권성동)
[21]
이곳은 구 경기도 가평군 군내면 엽광촌으로, 가평에서 대표적인 안동 권씨 집성촌이다.
[22]
독립유공자
권중효가 이 마을 출신이다.
[23]
권오규 전 부총리 겸 재정경제부 장관이 이 마을 출신이다.
[24]
추밀공파 집성촌이다.
[25]
특히
강원특별자치도 지역 중 가장 많은 안동 권씨 집성촌으로 알려져 있다.
강릉원주대학교(구 강릉대학교) 장정룡 교수에 따르면 강릉시 인구 중에서도 안동 권씨가 상당한 비율을 차지한다고 한다.
[26]
권선택 전 대전광역시장이 이 마을 출신이다.
[27]
독립유공자
권용두가 이 마을 출신이다.
[28]
독립유공자
권혁기와
권문용 전 서울특별시 강남구청장이 이 마을 출신이다.
[29]
독립유공자
권재학이 이 마을 출신이다.
[30]
독립유공자
권철수가 이 마을 출신이다.
[31]
독립유공자
권중현이 이 마을 출신이다.
[32]
독립유공자
권중원이 이 마을 출신이다.
[33]
참고문헌인 『한국근대민속·인류학자료대계 8 - 조선의 성씨』동족집단상황 부분에는 인동(仁同) 권씨 집성촌으로 기재되어 있었으나, 안동 권씨의 오기로 보인다.
[34]
독립유공자
권영회가 이 마을 출신이다.
[35]
권오훈 전 국회의원이 이 마을 출신이다.
[36]
안동 권씨의 대표적 집성촌으로
권벌과 그 후손들이 살던 곳이다. 독립유공자
권경섭·
권명섭·
권상원·
권상위·
권상익·
권세연·
권영섭·
권옥연·
권차응 등이 이 마을 출신이다.
[37]
독립유공자
권상경·
권재호·
권태규가 이 마을 출신이다.
[38]
문중의 관향인 만큼, 권씨가 매우 많이 살고있다.
[39]
독립유공자
권상학·
권예윤·
권점필·
권중석·
권중윤과
권정달·
권택기 전 국회의원 등이 이 마을 출신이다.
[40]
독립유공자
권태염이 이 마을 출신이다.
[41]
독립유공자
권정필이 이 마을 출신이다.
[42]
권중동 전 국회의원이 이 마을 출신이다.
[43]
권영진 전 대구광역시장이 이 마을 출신이다.
[44]
권오기 전 부총리 겸 통일원장관과
권중휘 전 서울대학교 총장이 이 마을 출신이다.
[45]
독립유공자
권제영이 이 마을 출신이다.
[46]
독립유공자
권두경이 이 마을 출신이다.
[47]
독립유공자
권이원이 이 마을 출신이다.
[48]
독립유공자
권구원이 이 마을 출신이다.
[49]
독립유공자
권영석·
권오규·
권중희·
권태환이 이 마을 출신이다.
[50]
독립유공자
권각·
권오돈·
권오설·
권준희·
권혁수가 이 마을 출신이다.
[51]
권영우 전 국회의원이 이 마을 출신이다.
[52]
독립유공자
권영만이 이 마을 출신이다.
[53]
독립유공자
권영조·
권유동·
권정필·
권진모·
권태응·
권헌문 등이 이 마을 출신이다.
[54]
권칠승 현 국회의원이 이 마을 출신이다.
[55]
임진왜란 때 의병장
권응수 장군이 이 마을 출신이다.
[56]
독립유공자
권혁조가 이 마을 출신이다.
[57]
독립유공자
권혁무가 이 마을 출신이다.
[58]
독립유공자
권오균과
권도엽 전 국토해양부 장관이 이 마을 출신이다.
[59]
독립유공자
권대직·
권휘연이 이 마을 출신이다.
[60]
독립유공자
권탁수가 이 마을 출신이다.
[61]
독립유공자
권영만·
권유현·
권중호가 이 마을 출신이다.
[62]
독립유공자
권대진·
권중혁이 이 마을 출신이다.
[63]
권기술 전 국회의원이 이 마을 출신이다.
[64]
권경석·
권영길 전 국회의원이 이 마을 출신이다.
[65]
독립유공자
권숙린과
권익현 전 국회의원이 이 마을 출신이다.
[66]
독립유공자 권채근, 권봉근, 권유근이 이 곳 출신이다.
[67]
독립유공자
권영대·
권영조·
권오규·
권태용과 비전향 장기수
권오석-노무현 대통령 영부인인
권양숙 부녀 등이 이 마을 출신이다.
[68]
독립유공자
권형원이 이 마을 출신이다.
[69]
독립유공자
권병식이 이 마을 출신이다.
[70]
아버지는 권집중으로 권한공의 후손
[71]
권한공의 서자
[72]
본명은 권기준이다.
[73]
박씨(朴氏)는 여기에 많지 않고, 박씨(朴氏)보다는 이 지역에 최씨(崔氏)가 많다.
[74]
지역구
국회의원은 당연직으로 그 지역의 당조직을 총괄하는 책임을 지며, 기초단체장과 광역·기초의원에 대한 공천권을 지닌다. 특히
강릉시와 같은 단독선거구인 경우, 지자체장보다 지역구 국회의원의 힘이 막강할 수밖에 없는데, 영동지방이 보수정당의 텃밭이고,
권성동이
윤석열의 최측근이라는 것을 고려한다면,
강릉시에서 안동 권씨 세력이 강한 것은 당연한 일이다. 더군다나 안동 권씨 집성촌이 강릉시에도 많이 분포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