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colcolor=#fff><colbgcolor=#0047a0> 자 | 명우 (明祐) |
출생 | 1921년 1월 30일[1][2] |
경상북도
영일군 죽남면 입암동 (현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죽장면 입암리)[3] |
|
사망 | 2023년 10월 10일 (향년 102세) |
대구광역시 달서구 도원동 대구보훈병원 | |
본관 | 안동 권씨[4] |
거주지 | 대구광역시 달서구[5] |
상훈 | 건국포장 수여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2005년 건국포장을 수여받았다.2. 생애
1921년 12월 18일 경상북도 영일군 죽남면 입암동(현 포항시 북구 죽장면 입암리)에서 아버지 권대진(權大鎭, 1894 ~ 1971. 4. 11)과 어머니 경주 이씨(1895 ~ 1981)[6] 사이에서 1남 4녀 중 외아들로 태어났다.보성전문학교에 재학 중이던 1944년 1월 20일 이른 바 학도 특별지원병 제도에 의해 일본 제국 육군에 강제 징병되어 대구 제24부대[7]에 배속되었다.
이때 대구 24부대에 징집된 학병은 총 600여 명에 달했는데, 입대한 지 10일 쯤 뒤에 3대대 3중대 소속의 27명을 제외하고 모두 중국 화북지방으로 보내져 이후 일본 제국 육군의 대륙타통작전에 이용당하였다.
한편, 27명에 잔류하게 된 그는 김이현(金而鉉)·문한우· 권혁조 등과 함께 탈출을 계획하였다. 이들은 먼저 탄약고 폭파 및 무기탈취와 독극물에 의한 일본군의 몰살, 그리고 집단 탈출 후 국외로 나가 독립투쟁의 대열에 참가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그런데 이같은 무력항쟁 및 독살계획은 실행하기에 어려운 점이 많았으므로 이들은 일단 집단 탈출을 시도하기로 하였다. 그리하여 거사일인 그해 8월 8일 동지 6명은 하수구를 통하여 탈출에 성공한 뒤 달성군 공산면 팔공산에 숨어들었다. 그러나, 이들의 탈출을 탐지한 일본 군경의 추격으로 그는 결국 영천군 신녕면 뒷산에서 일본 제국 육군 수색대에 체포되었다.
체포 후 3개월 동안 혹독한 고문을 당하다가 1944년 12월 조선군사령부 임시 군법회의에서 징역 4년형을 선고받고 일본 기타큐슈의 고쿠라(小倉)육군형무소에서 옥고를 치르던 중 1945년 8.15 광복으로 출옥하였다.
출옥 후 귀국하였으며, 2005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독립운동 공적을 인정받아 건국포장이 수여되었다.
|
|
2021년 1월 말(100세)의 모습. |
2021년 11월 24일 KBS 다큐멘터리에 출연했다.
이후 천식 및 호흡부전으로 대구광역시 달서구 도원동 대구보훈병원에 입원해 치료를 받던 중 병세가 악화되어 2023년 10월 10일 오전 5시 향년 102세 나이로 사망했다. # 이로서 살아있는 독립유공자는 8명만이 남게 되었다.
[1]
#. 음력
1920년
12월 22일.
[2]
12월 18일이라는 기록이 있다.
[3]
안동 권씨 집성촌이다. 독립유공자 권대진도 이 마을 출신이다.
[4]
복야공파 우전(遇銓)계 32세 중(重) 종(宗) 인(仁) 무(武) 항렬.
[5]
#
[6]
이종롱(李鍾巃)의 딸이다.
[7]
보병 80연대. 지금의
대구광역시
남구
이천동 캠프 헨리 부지에 위치해 있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