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06 20:33:11

합천군

{{{#!wiki style="margin:-12px -0px" <tablebordercolor=#f15a38>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BB00; font-size: .8em"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자치시
파일:창원시 CI.svg
[[경상남도청|
도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f15a38 21%, #00ac6d 21%, #00ac6d); font-size: 1em"
]]
창원시
파일:거제시 CI.svg
거제시
파일:김해시 CI.svg
김해시
파일:밀양시 CI.svg
밀양시
파일:사천시 CI.svg
사천시
파일:양산시 CI.svg
양산시
파일:진주시 CI.svg
[[경상남도청|
도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f15a38 21%, #005baa 21%, #005baa); font-size: 1em"
]] 진주시
파일:통영시 CI.svg
통영시
}}} 자치군
파일:거창군 CI.svg
거창군
파일:고성군(경상남도) CI.svg
고성군
파일:남해군 CI.svg
남해군
파일:산청군 CI.svg
산청군
파일:의령군 CI.svg
의령군
파일:창녕군 CI.svg
창녕군
파일:하동군 CI.svg
하동군
파일:함안군 CI.svg
함안군
파일:함양군 CI.svg
함양군
파일:합천군 CI.svg
합천군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tablebordercolor=#d22730><tablealign=center><table width=310>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군청
합천읍
가야면 가회면 대병면 대양면
덕곡면 묘산면 봉산면 쌍백면
쌍책면 야로면 용주면 율곡면
적중면 청덕면 초계면 삼가면
}}}}}}}}} ||
경상남도 자치군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fff,#1c1d1f><tablebgcolor=#fff,#1c1d1f>
파일:합천군 CI.svg
합천군
陜川郡
Hapcheon County
}}}
<colbgcolor=#ed3333><colcolor=#fff> 군청
소재지
<colcolor=#fff> 제1청사 합천읍 동서로 119 (합천리)
제2청사 합천읍 중앙로 63 (합천리)
광역자치단체 경상남도
하위 행정구역 1 16
면적 983.51㎢
인구 40,225명[1]
인구밀도 41.05명/㎢[2]
군수
김윤철 (초선)
군의회
9석[3]

1석[4]

1석[5]
도의원
1석[6]
국회의원
신성범
홈페이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SNS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1. 개요
1.1. 상징
2. 역사3. 지리4. 인구5. 교통6. 금융7. 관광
7.1. 체험여행
8. 교육9. 정치10. 하위 행정구역11. 기타12. 출신 인물
12.1. 관련 인물

[clearfix]

1. 개요

파일:해인사2.jpg
파일:가야산국립공원.jpg
파일:합천 황매산 야경.jpg
파일:함벽루.jpg
함벽루

경상남도 서북부에 있는 . 해인사로 유명한 지역이다.

한자로 땅이름 합(陜)은 좁을 협(狹)과 같은 글자지만 지명으로 읽을 때는 합이라고 읽는데 합천군은 표준국어대사전에 수록된 유일한 사례다.

1.1. 상징

파일:합천군청 전경.jpg
합천군청
파일:external/ccf9f59ae4179631029e85b91d81459a1824d61cbd36ec5f80f9230f9099ae25.jpg
합천군 도시 브랜드[8]

2. 역사

신생대 제4기 플라이스토세 말기 지름 200m의 운석 충돌 초계분지가 형성되었으며 낙동강 지류인 황강 일대에 너른 평야가 형성되어 오래 전부터 사람이 살기 시작하였다.

합천읍 교동, 대양면 대목리 석기 유물과 합천댐 건설 도중 발굴된 석기 시대 유적으로 말미암아 많은 씨족이 자리잡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삼한 시대에는 변한에 속하였으며 부족 국가로는 대량국(합천지방), 초팔국(초계지방)[9], 사이기국(삼가지방)이 있었다. 현재까지도 합천지방, 삼가지방, 초계지방이 크게 발달한 지역으로 유지되고 있다.

가야제국 시대에는 크게 보면 대가야의 영향권으로 분류되지만 세부적으로는 가야연맹의 소국인 다라국(多羅)국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신라가 가야연맹을 병합한 이후에는 대야성이라는 군사요충지가 되었다. 대야성은 삼국시대를 통틀어 기록에서 여러 번 등장해 백제의 공격을 방어한 난공불락의 요새였는데, 대야성이 왜 수비에 적합한지는 대야성 문서 참조. 결국 백제 의자왕 대에 백제의 장군 윤충이 공략하여 함락시킴으로서 신라 수도 코앞까지 육박하는 사태가 벌어졌다. 대야성 전투에서 김춘추의 사위 김품석이 막료인 검일의 아내를 겁탈하였고 그에 분한 검일이 백제군과 내통하여 창고에 불을 지르게 된다. 이에 김품석은 항복하면 안전을 보장하겠다는 백제 측의 제의에 항복하려 나가는 아찬 서천(西川)의 권유를 받고 성문을 열고 신라군을 내보냈으나, 백제군이 약속을 깨고 신라 군사를 모조리 죽이는 것을 보고 속았음을 한탄하며 그의 가족과 함께 자결하였다.

그 밑에 있던 화랑 죽죽이 다시 성문을 닫고 끝까지 싸웠다(백제에 항복했던 검일은 18년 후 백제가 멸망하자 붙잡혀 처형된다). 합천에서는 군가에 죽죽을 집어 넣는데, 밑의 공원 명칭에 쓰일 만한 위치였다. 후삼국시대에도 이곳에서 후백제군과 신라군이, 그리고 후삼국시대 후반부에는 고려군까지 격전을 벌임으로써 군사 요충지로서의 입지를 재확인하였다. 정유재란 당시 조선 육군 사령부가 있었으며, 백의종군 신분으로 충무공 이순신도 100일간 머물렀던 적이 있다. 명량대첩 당시에도 조선군은 초계[11]에서 병사를 모아 광양 쪽으로 후퇴했다. 다만 합천 대야성은 서쪽에서 동진하는 적을 막기에 좋은 지형이라서 그 반대 구도였던 임진왜란 때는 삼국시대나 후삼국시대처럼 격전지가 되지는 않았다.

3. 지리

낙동강의 지류인 황강 유역에 형성된 지역이다. 전반적으로 산악지형이기 때문에 낙동강 또는 황강의 지천 주변으로 형성된 좁은 평지로 마을들이 들어서 있으며, 고개가 산재해 있다. 황강 상류에는 합천댐이 들어서면서 얼마 안되는 평지까지 수몰되었다.

초계면과 적중면 일대는 분지가 형성되어 있다. 강원특별자치도 양구군 해안분지와 더불어 굉장히 독특한 분지인데, 자연침식에 의해 형성된 해안분지와는 달리 초계분지 운석 충돌로 형성된 분지이다. 실제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연구팀은 합천 적중-초계분지에 5만 년 전 지름 200m에 이르는 운석이 떨어진 흔적을 확인했다. 지질연은 2020년 1월부터 이 분지 한가운데를 142m 깊이로 시추해 얻은 암석 기둥(시추 코어)을 분석한 결과 소행성 또는 혜성이 지상에 충돌할 때 생기는 독특한 암석 구조와 광물의 변형을 확인했으며, 과학저널 ‘곤드와나 연구’ 최근호에 실린 논문에서 연구자들은 “한반도에서 처음으로 운석충돌의 직접 증거를 제시한다”고 밝혔다. 보도자료 연구논문 기사 지질 정보

4. 인구

경상남도 합천군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89,454명
1970년 167,986명
1975년 156,827명
1980년 115,685명
1985년 98,634명
1990년 72,657명
1995년 61,709명
2000년 54,344명
2005년 47,804명
2010년 51,092명
2015년 49,145명
2020년 44,006명
2024년 10월 40,225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0만 명
읍면별 인구 통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합천읍 10,823명
가야면 3,956명
삼가면 2,999명
야로면 2,271명
초계면 2,241명
용주면 2,102명
율곡면 2,076명
대병면 1,867명
대양면 1,728명
가회면 1,702명
쌍백면 1,648명
청덕면 1,530명
묘산면 1,464명
봉산면 1,393명
적중면 1,302명
쌍책면 1,194명
덕곡면 800명
2024년 1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그래프 최대 값은 1만 명
}}}}}}}}} ||

총 증감 인구수-148,358명/총 증감률 -78.31%/연평균 증감률 -2.69%

이촌향도의 영향으로 인구는 꾸준히 감소 중이며, 특히 합천군의 인구감소 추세는 다른 군 지역들보다 심각하다. 2024년 현재 1966년 대비 1/5 가까이로 줄어들었다.
===# 읍면별 인구 #===
파일:합천군 CI.svg 합천읍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6,549명
1970년 16,026명
1975년 15,688명
1979년 5월 1일 합천군 합천면 → 합천읍 승격[12]
1980년 12,340명
1985년 13,608명
1990년 12,958명
1995년 12,631명
2000년 12,046명
2005년 11,571명
2010년 11,944명
2015년 12,263명
2020년 11,339명
2024년 1월 10,823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75만 명
파일:합천군 CI.svg 봉산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4,461명
1970년 12,714명
1975년 11,930명
1980년 8,173명
1985년 6,600명
1987년 1월 1일 합천댐 건설로 수몰지구민 이주
봉산면 죽죽리 → 용주면 편입
1990년 2,566명
1995년 2,140명
2000년 1,766명
2005년 1,481명
2010년 1,693명
2015년 1,663명
2020년 1,444명
2024년 1월 1,393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5만 명
파일:합천군 CI.svg 묘산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8,586명
1970년 7,466명
1975년 7,139명
1980년 5,135명
1985년 4,061명
1990년 3,027명
1995년 2,496명
2000년 2,169명
2005년 1,781명
2010년 1,693명
2015년 1,796명
2020년 1,597명
2024년 1월 1,464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9천 명
파일:합천군 CI.svg 가야면 인구 추이
(1925년~현재)
1925년 8,673명
1930년 8,783명
1935년 8,379명
1949년 10,974명
1955년 10,668명
1966년 14,893명
1970년 13,468명
1975년 12,849명
1980년 10,555명
1985년 9,635명
1990년 7,413명
1995년 6,463명
2000년 5,902명
2005년 5,066명
2010년 5,234명
2015년 4,837명
2020년 4,272명
2023년 7월 4,039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5만 명
파일:합천군 CI.svg 야로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0,261명
1970년 8,766명
1975년 8,248명
1980년 6,140명
1985년 5,466명
1990년 4,430명
1995년 3,637명
2000년 3,149명
2005년 2,659명
2010년 2,861명
2015년 2,850명
2020년 2,428명
2024년 1월 2,271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만 명
파일:합천군 CI.svg 율곡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2,122명
1970년 10,712명
1975년 9,706명
1980년 6,981명
1985년 5,693명
1990년 4,285명
1995년 3,494명
2000년 2,943명
2005년 2,700명
2010년 2,936명
2015년 2,625명
2020년 2,250명
2024년 1월 2,076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25만 명
파일:합천군 CI.svg 초계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0,297명
1970년 9,220명
1975년 8,807명
1980년 7,117명
1985년 6,012명
1990년 4,574명
1995년 3,878명
2000년 3,537명
2005년 2,944명
2010년 3,157명
2015년 2,843명
2020년 2,478명
2024년 1월 2,241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만 명
파일:합천군 CI.svg 쌍책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7,140명
1970년 6,324명
1975년 5,938명
1980년 4,500명
1985년 3,565명
1990년 2,533명
1995년 2,093명
2000년 1,676명
2005년 1,453명
2010년 1,559명
2015년 1,463명
2020년 1,282명
2024년 1월 1,194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7천 명
파일:합천군 CI.svg 덕곡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5,207명
1970년 4,655명
1975년 4,314명
1980년 2,923명
1985년 2,370명
1990년 1,657명
1995년 1,286명
2000년 1,074명
2005년 912명
2010년 1,001명
2015년 1,004명
2020년 866명
2024년 1월 800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5천 명
파일:합천군 CI.svg 청덕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9,949명
1970년 9,096명
1975년 8,510명
1980년 6,085명
1985년 4,576명
1990년 3,189명
1995년 2,930명
2000년 2,118명
2005년 1,779명
2010년 2,015명
2015년 1,864명
2020년 1,655명
2024년 1월 1,530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만 명
파일:합천군 CI.svg 적중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9,525명
1970년 8,048명
1975년 7,282명
1980년 5,276명
1983년 2월 15일 합천군 적중면 권혜리·묵방리 → 의령군 부림면 편입
1985년 3,739명
1990년 2,727명
1995년 2,152명
2000년 1,982명
2005년 1,789명
2010년 1,822명
2015년 1,703명
2020년 1,429명
2024년 1월 1,302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만 명
파일:합천군 CI.svg 대양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0,111명
1970년 8,732명
1975년 7,883명
1980년 5,448명
1985년 4,156명
1990년 2,889명
1995년 2,292명
2000년 2,263명
2005년 1,876명
2010년 1,813명
2015년 1,706명
2020년 1,844명
2024년 1월 1,728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만 명
파일:합천군 CI.svg 쌍백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1,901명
1970년 10,299명
1975년 9,489명
1980년 6,758명
1985년 5,651명
1990년 3,990명
1995년 2,958명
2000년 2,502명
2005년 2,035명
2010년 2,058명
2015년 1,944명
2020년 1,771명
2024년 1월 1,648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25만 명
파일:합천군 CI.svg 삼가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5,914명
1970년 14,441명
1975년 13,357명
1980년 9,973명
1985년 8,331명
1990년 6,229명
1995년 5,352명
2000년 4,419명
2005년 3,791명
2010년 4,104명
2015년 3,713명
2020년 3,280명
2024년 1월 2,999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5만 명
파일:합천군 CI.svg 가회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0,363명
1970년 8,924명
1975년 7,919명
1980년 5,710명
1985년 4,290명
1990년 2,949명
1995년 2,281명
2000년 1,878명
2005년 1,723명
2010년 2,005명
2015년 1,974명
2020년 1,787명
2024년 1월 1,702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만 명
파일:합천군 CI.svg 대병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1,121명
1970년 9,467명
1975년 8,641명
1980년 6,143명
1985년 5,138명
1987년 1월 1일 합천댐 건설로 수몰지구민 이주
1990년 3,108명
1995년 2,486명
2000년 2,244명
2005년 1,978명
2010년 2,272명
2015년 2,258명
2020년 2,064명
2024년 1월 1,867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25만 명
파일:합천군 CI.svg 용주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1,042명
1970년 9,628명
1975년 9,095명
1980년 6,428명
1985년 5,743명
1987년 1월 1일 봉산면 죽죽리 → 용주면 편입
1990년 4,133명
1995년 3,140명
2000년 2,676명
2005년 2,266명
2010년 2,609명
2015년 2,639명
2020년 2,220명
2024년 1월 2,102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0만 명

5. 교통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합천군/교통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tablebordercolor=#d22730><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d22730> }}}
{{{#!wiki style="color: #000;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colbgcolor=#d22730> <colbgcolor=#ffffff,#191919> 가야산로 · 가야시장로 · 가조가야로 · 강변로 · 강북로 · 구미가천로 · 국사봉로 · 권빈계산로
남명로
대병3산로 · 대야로 · 대한로 · 덕진로 · 동부로 · 동서로 · 두상로
마령로 · 매화산로 · 모의로 · 묘산로 · 문화로 · 미숭산로
비계산로
삼가1로 · 삼가로 · 서부로 · 성산우회로 · 신등가회로 · 쌍백중앙로 · 쌍쌍로
아막재로 · 야로덕곡로 · 야천로 · 양동로 · 영상로 · 영서로 · 오광대로 · 오도산휴양로 · 옥산로 · 우회로 · 월행로 · 율평로 · 인덕로
장수로 · 적중로 · 제내로 · 중앙로
차황대병로 · 청정로 · 초계중앙로 · 초계향교로 · 충효로
하판로 · 합천호반로 · 합천호수로 · 핫들1로 · 핫들2로 · 핫들3로 · 핫들4로 · 핫들5로 · 황강옥전로 · 황강체육공원로 · 황계폭포로 · 황매산로
경상남도의 도로 틀 둘러보기 }}}}}}}}}



전북특별자치도 진안군과 함께 군으로만 둘러싸인 군이다.[13]

경상남도 지역이지만 거창, 창녕과 함께 대구광역시 생활권이다. 합천읍 북쪽( 가야면, 야로면, 묘산면, 봉산면)[14]과 동쪽( 덕곡면, 청덕면, 쌍책면, 초계면, 적중면, 율곡면)은 그러한 경향이 더욱 강하다. 특히 합천군 북부(가야면, 야로면)는 합천읍보다 고령군 대가야읍이 더 가깝다. 반면 합천읍 남쪽( 가회면, 삼가면, 쌍백면, 대병면)은 진주시 생활권도 공유한다. 2019년 대구-합천 간 새 국도가 건설되면서 용주면 대양면 대구광역시 생활권에 더 가까워 졌다.

6. 금융

합천군에 위치한 금융기관 [괄호]
제1금융권 [괄호]
국가기관
합천우체국 (18)
특수은행
농협은행(중앙회) (2)
지방은행
경남은행 (1)
제2금융권(상호금융) [괄호]
농업협동조합
합천농협 (5) 합천축협 (4) 합천호농협 (2) 율곡농협 (2)
합천새남부농협 (2) 합천동부농협 (5) 가야농협 (4)
새마을금고
강양새마을금고 (1)
신용협동조합
합천신용협동조합 (1)
산림조합
합천군산림조합 (1)

7. 관광

주요 관광지는 다음과 같다.

7.1. 체험여행

1일차
모산재식당 → 돛대바위 → 무지개터 → 모산재 → 순결바위 → 국사당 → 영암사지 → 황매산 → 대기녹색 농촌체험마을 체험 및 숙박
2일차
대기녹색 농촌체험마을 → 영상테마파크 → 정양늪생태공원 → 남명조식선비길 → 남명생가터 → 뇌룡정 → 외토리쌍비 → 연꽃인연효소체험

추천대상:
힐링 여행 코스는 바쁜 일상에 지친 도시인들에게 농촌에서의 휴식과 더불어 기(氣)충전을 하는 시간을 제공한다. 영험한 기운 을 가진 합천의 명소들이 주는 편안함 속에서 머리를 식히고 힘을 얻어가는곳이라고 한다.
1일차
대장경천년관 → 해인사소리길걷기 → 농산정 → 대장경밥상 → 해인사 탬플스테이 or 각사뽈똥마을 (숙박)
2일차
해인사 탬플스테이 or 각사뽈똥마을 (숙박) → 가야산(남산제일봉) → 도자기체험 → 합천박물관 → 합천창녕보

추천대상 :
천년고찰 해인사 주 변에서는 다양한 명상적 체험이 가능하며, 대장경의 역사를 배울 수 있는 대장경천년 관도 만나볼 수 있다. 마음 여행을 통해 마음의 소리에 귀기울이고, 들여다보는 시간을 가져보시기를 권한다.

8. 교육

파일:합천군 CI_White.svg 경상남도 합천군 초등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가회초등학교 남정초등학교 대병초등학교 대양초등학교 묘산초등학교
봉산초등학교 삼가초등학교 쌍백초등학교 쌍책초등학교 야로초등학교
영전초등학교 용주초등학교 적중초등학교 청덕초등학교 초계초등학교
초계초등학교덕곡분교장 합천가야초등학교 합천초등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파일:합천군 CI_White.svg 경상남도 합천군 중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남자중학교
,
여자중학교
,
이외 남녀공학
가회중학교 대병중학교 묘산중학교 삼가중학교 야로중학교
초계중학교 합천여자중학교 합천중학교 해인중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파일:합천군 CI_White.svg 경상남도 합천군 고등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남자고등학교
,
여자고등학교
,
이외 남녀공학

※: 자사고, ⊙: 자공고, ▣: 특목고, ◈: 특성화고, 이외 일반계고
삼가고등학교 야로고등학교 초계고등학교
합천고등학교 합천여자고등학교 합천평화고등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각종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9. 정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합천군/정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 하위 행정구역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합천군/행정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 기타

12. 출신 인물

12.1. 관련 인물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2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2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1] 2024년 12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2] 2024년 10월 기준. [3] 합천군 가선거구 (합천읍, 율곡면, 대병면, 용주면): 박안나, 이한신
합천군 나선거구 (봉산면, 묘산면, 가야면, 야로면): 신명기, 조삼술
합천군 다선거구 (초계면, 쌍책면, 덕곡면, 청덕면, 적중면): 이종철, 정봉훈
합천군 라선거구 (대양면, 쌍백면, 삼가면, 가회면): 성종태
합천군 비례대표: 김문숙, 이태련
[4] 합천군 라선거구 (대양면, 쌍백면, 삼가면, 가회면): 신경자 [5] 합천군 가선거구 (합천읍, 율곡면, 대병면, 용주면): 권영식 [6] 합천군 선거구: 장진영 (초선) [7] 사진 속에서 해인사 장경판전을 둘러보고 있는 여성은 배우 김민하이다. 국가유산청으로부터 2022년 문화유산 방문 캠페인의 홍보대사로 발탁되었다. [8] 도시 브랜드인 '수려한 합천'을 팀 이름으로 바둑팀을 만들어서 한국바둑리그에 참가 중이다. 2021-22시즌에 바둑리그 우승을 차지했다. [9] 초계가 초팔국에서 왔기 때문에 초계 지방은 팔계라는 별칭이 있었고, 지금도 초계 정(鄭)씨와 팔계 정(鄭)씨는 한 집안 두 이름으로 친다. [10] 현재의 시 개념 [11] 현재의 합천군 초계면, 당시는 독립된 고을로 있었다. [12] 군청소재지의 면은 읍으로 하게되어 승격. [13] 진주시 약 3km, 김천시 약 1.8km, 대구광역시 약 0.7km 차이로 시계에 닿지 않는다. [14] 전술했듯 이 쪽은 해인사IC의 존재 때문이다. [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 [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 [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 [18] 면적이 가장 작은 곳은 통영시이다. [19] 방송인 강호동과는 동명이인이며 합천율곡농협조합장을 거쳐 중앙회장으로 당선되었다. [20] 2021년 3월 21자 런닝맨에서 밝혔다. [21] 김종국은 안양 출신으로 꽤 유명하지만, 그래도 친척들이 합천에 많이 살아서인지 합천도 제2의 고향이라 여기는거 같다. [22] 당시 지역구는 부산광역시 수영구였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