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07 20:55:40

임병직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외무부장관 (1948~1998)
<nopad> 이승만 정부 <nopad> 허정 내각
초대
장택상
제2대
임병직
제3대
변영태
제4대
조정환
제5대
허정
<nopad> 장면 내각 <nopad> 장도영 내각 <nopad> 송요찬 내각 <nopad> 김현철 내각
제6대
정일형
제7대
김홍일
제8대
송요찬
제9대
최덕신
제10대
김용식
<nopad> 박정희 정부
제11대
정일권
제12대
이동원
제13대
정일권
제14대
최규하
제15대
김용식
<nopad> 박정희 정부 <nopad> 전두환 정부
제16대
김동조
제17대
박동진
제18대
노신영
제19대
이범석
제20대
이원경
<nopad> 전두환 정부 <nopad> 노태우 정부 <nopad> 문민정부
제21대
최광수
제22대
최호중
제23대
이상옥
제24대
한승주
<nopad> 문민정부
제25대
공로명
제26대
유종하
외교통상부장관 (1998~2013)
<nopad> 국민의 정부
제27대
박정수
제28대
홍순영
제29대
이정빈
제30대
한승수
제31대
최성홍
<nopad> 참여정부 <nopad> 이명박 정부
제32대
윤영관
제33대
반기문
제34대
송민순
제35대
유명환
제36대
김성환
외교부장관 (2013~현재)
<nopad> 박근혜 정부 <nopad> 문재인 정부 <nopad> 윤석열 정부
제37대
윤병세
제38대
강경화
제39대
정의용
제40대
박진
제41대
조태열
조선 예조판서 · 대한제국 외부대신 · 임시정부 외무부장 }}}}}}}}}
임병직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nopad> 이승만 정부 <nopad> 장면 내각 <nopad> 송요찬 내각 <nopad> 박정희 정부
초대
임병직
제2대
임창영
제3대
이수영
제4대
김용식
제5대
한표욱
<nopad> 박정희 정부 <nopad> 전두환 정부
제6대
박동진
제7대
문덕주
제8대
윤석현
제9대
김경원
제10대
최광수
<nopad> 전두환 정부 <nopad> 노태우 정부
제11대
박근
제12대
박쌍용
제13대
현홍주
제14대
노창희
제15대
유종하
<nopad> 문민정부 <nopad> 국민의 정부 <nopad> 참여정부
제16대
박수길
제17대
이시영
제18대
선준영
제19대
김삼훈
제20대
최영진
<nopad> 참여정부 <nopad> 이명박 정부 <nopad> 박근혜 정부
제21대
김현종
제22대
박인국
제23대
김숙
제24대
오준
제25대
조태열
<nopad> 문재인 정부 <nopad> 윤석열 정부
제26대
조현
제27대
황준국
}}}}}}}}}

파일:대한민국장 약장.png
건국훈장 대한민국장 수훈자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4D4D4D, #696969 20%, #696969 80%, #4D4D4D); color: #fede58"
{{{#fede58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건국훈장 대한민국장 부장.png
1949
이승만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49
이시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53
제임스 A. 밴 플리트
파일:미국 국기.svg
1953
장제스
파일:대만 국기.svg
1955
하일레 셀라시에
파일:에티오피아 제국 국기.svg
1957
응오딘지엠
파일:베트남 공화국 국기.svg
1958
아드난 멘데레스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1962
허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2
김좌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2
오동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2
조병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2
안중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2
윤봉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2
이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2
강우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2
김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2
안창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2
신익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2
김창숙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2
손병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2
이승훈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2
한용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2
최익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2
이강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2
민영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4
더글러스 맥아더
파일:미국 국기.svg
1964
해리 S. 트루먼
파일:미국 국기.svg
1964
루트비히 에르하르트
파일:독일 국기.svg
1965
프랑수아 톰발바예
파일:차드 국기.svg
1965
다비드 다코
파일:중앙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1965
수루-미강 아피디
파일:베냉 국기.svg
1965
레오폴 세다르 상고르
파일:세네갈 국기.svg
1965
펠릭스 우푸에부아니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1965
레옹 음바
파일:가봉 국기.svg
1965
아마두 바바투라 아히조
파일:카메룬 국기.svg
1965
하마니 디오리
파일:니제르 국기.svg
1965
조모 케냐타
파일:케냐 국기.svg
1965
무테사 2세
파일:우간다 국기.svg
1965
필리베르트 치라나나
파일:마다가스카르 국기.svg
1965
툰쿠 압둘 라만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1966
타놈 키티카초른
파일:태국 국기.svg
1966
쑹메이링
파일:대만 국기.svg
1966
천궈푸
파일:대만 국기.svg
1968
쑨원
파일:중화민국 북양정부 국기.svg
1968
천치메이
파일:중화민국 북양정부 국기.svg
1969
피델 산체스 아르난데스
파일:엘살바도르 국기.svg
1970
조만식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76
임병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77
필립 제이슨
(서재필)

파일:미국 국기.svg
1979
박정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0
최규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1
시리낏 끼띠야꼰
파일:태국 국기.svg
1981
푸미폰 아둔야뎃
파일:태국 국기.svg
1983
전두환(취소)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9
김규식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9
조소앙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9
장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8
여운형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9
유관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1
홍범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 독립유공자 : 기타 공훈 및 국가원수}}}}}}}}}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width=320><tablebordercolor=#ffffff,#191919><tablebgcolor=#ffffff,#191919> 파일:한국자유총연맹 CI.svg 한국자유총연맹
역대 총재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한국아시아민족반공연맹 이사장 (1955~1965)
초대
공진항
제2대
박관수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한국반공연맹 이사장 (1966~1989)
제3대
김정렬
제4-6대
이응준
제7·8대
손원일
제9·10대
임병직
제11-13대
이형근
제14·15대
서종철
제16대
주영복
제17대
유학성
제18대
신상초
제19대
이진희
제20·21대
박원근
제22대
정일권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한국자유총연맹 총재 (1989~현재)
초대
정일권
제2·3대
노재현
제4·5대
최호중
제6대
안응모
제7대
양순직
제8-10대
권정달
제11-13대
박창달
제14대
김명환
제15대
허준영
제16대
김경재
제17·18대
박종환
제19·20대
송영무
제21대
강석호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fff, #ffffff 20%, #ffffff 80%, #ffffff); color: #0301fc;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0301fc>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서상국 김동성 임병직 서민호
<rowcolor=#0301fc>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이홍직 서민호 선우인서 전의용
<rowcolor=#0301fc> 제9대 제10대 제11대 제12대
김종락 임광정 최인철 김종락
<rowcolor=#0301fc> 제13대 제14대 제15대 제16대
최인철 이현태 정몽윤 고익동
<rowcolor=#0301fc> 제17·18대 제19대 제20대 제21대
이내흔 민경훈 강승규 이병석
<rowcolor=#0301fc> 제22대 제23대
박상희 김응용 이종훈
}}}}}}}}}
<colbgcolor=#003764><colcolor=#fff> 대한민국 제2대 외무부장관
임병직
林炳稷 | Yim Byeong-jik
파일:external/sajeok.i815.or.kr/HL05_0906_04.jpg
출생 1893년 10월 26일
충청도 부여현 초촌면 응평리
(現 충청남도 부여군 초촌면 금백로859번길 7-12)
사망 1976년 9월 21일 (향년 82세)
서울특별시 종로구 평동 84번지 자택
묘소 국립서울현충원 제2유공자 묘역-6호
본관 나주 임씨[1]
소죽(小竹)
재임기간 제2대 외무부장관
1949년 1월 31일 ~ 1951년 4월 15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3764><colcolor=#fff> 부모 아버지 임연상, 어머니 대구 서씨
형제자매 2남 1녀 중 첫째
남동생 임병설[2]
배우자 창원 황씨[3]
이봉선[4]
자녀 슬하 3남 1녀
학력 보성고등보통학교 (중퇴)
관립한성외국어학교 (영어과 / 졸업)
오하이오 주립대학교 (법학 / 학사)
약력 한국학생평론 편집장
필라델피아 재미한인교포 대회 서기장
구미외교위원부 위원
임시정부 초대 대통령 비서관
구미위원부 무관
UN창립총회 옵서버
제2대 외무부장관
제5차 유엔총회 한국대표단장
국토통일원 고문
제9·10대 한국반공연맹 이사장
서훈 건국훈장 대한민국장 추서 }}}}}}}}}
1. 개요2. 생애
2.1. 해방 이전2.2. 해방 이후
3. 여담4.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 독립유공자, 정치인, 외교관. 1976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을 추서받았다.

2. 생애

2.1. 해방 이전

파일:임병직_사진.png
1893년 10월 26일 충청도 부여현[5] 초촌면 응평리에서 일제강점기 초 영동·평택·홍성 등지에서 군수를 지낸 아버지 임연상[6]과 어머니 대구 서씨[7] 사이의 2남 1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1902년 4월 1일 아버지 임연상이 대한제국 외부 주사(主事)에 임용되면서 가족 전체가 한성부으로 이주한다. 이후 보성고등보통학교에 입학했으나 곧 자퇴하고 관립한성외국어학교 영어과에 입학한다. 이때 귀국해 YMCA에서 만국공법을 강의하던 이승만을 만난다.

1913년 이승만의 도움으로 미국으로 유학한다. 1918년 오하이오 주립대학교 농학과에 입학한다. 재학 중 독립운동 자금을 모금하고 '한국학생평론'을 발행하여 일제 식민통치의 진상을 알린다. 1919년 이승만, 서재필 등과 함께 필라델피아에서 한인자유대회를 개최하고 대회의 서기장을 맡는다. 이후 이승만의 비서로 활동한다. 이승만이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대통령이 됐을 때는 그와 함께 상하이로 가기도 했다. 이 때 이승만과 임병직은 일제의 눈을 피하기 위해 하와이에서 상하이로 중국인들의 시신을 싣고 가는 배를 타고 밀항을 하여 상하이로 갔다.

2.2. 해방 이후

파일:Korean_Delegation.jpg
앞줄 왼쪽부터 송헌주, 이승만, 이살음. 뒷줄 왼쪽부터 윤병구, 정한경, 유경상, 임병직.
1945년 해방 이후 이승만이 환국하자 그가 맡고 있던 임시정부 구미위원회 의장직을 계승하여 활동한다. 임시정부의 직함을 사용하긴 했지만 사실상 이승만의 미국 연락책 역할이었다. 1947년 임영신 등과 유엔한국임시위원단 구성과 총선거 실시를 위해 UN에서 로비 활동을 벌이기도 했다. 1948년 11월 21일 임병직은 이승만의 지시를 받고 귀국하여, 국회의원 보궐선거에 출마하기 위해 사퇴한 장택상의 후임으로 외무장관이 된다.

그는 외무장관이 된 후 국제무대에서 대한민국 정부의 정통성을 확립하기 위해 노력했으며, 주한미군 철수를 막기위해 노력했다. 하지만 결국 주한미군은 1950년 철수했다.

몇달 후 6.25 전쟁이 발발하자 외무장관 겸 UN 한국대표단 단장으로 다자외교를 이끌며, 유엔 총회에서 여러차례 대한민국의 입장을 전하는 발언을 했다. # #

이후 1951년 주 UN 대한민국대표부 대사에 임명되어 1960년까지 재임했다. 주유엔대사로 재임 중 제네바 회담에 참여했으며 국교 정상화를 위한 제4차 한일회담의 수석 대표를 겸직하기도 했다. 제2공화국이 수립된 이후에도 UN 대사 고문으로 뉴욕에 머물렀다. 1963년 민주공화당 고문 직을 맡으며 귀국했다. 1964년부터 1967년까지 주 뉴델리 대한민국 총영사를 지냈다. 1974년 한국반공연맹 이사장을 지냈으며 세계반공연맹 의장을 맡기도 했다.
파일:임병직 말년.png
말년에 모습
1976년 9월 14일 저녁 육영수 3주기 연주회에 참석하던 중 졸도하여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남동 순천향대학교 중앙의료원으로 옮겨져 입원 치료를 받아왔으나, 차도가 없어 1주일 만인 9월 21일 새벽 자택으로 옮겨졌다. 그리고 그날 새벽 5시 40분 서울특별시 종로구 평동 84번지 자택에서 숙환 고혈압으로 끝내 사망했다. 이튿날인 9월 22일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에 추서되었다. 그의 유해는 9월 25일 국립서울현충원 제2유공자 묘역에 안장되었다.

3. 여담

4. 둘러보기

{{{#!wiki style="border-top: 0px none; border-left: 10px solid #254170; border-right: 10px solid #254170; text-align: center; margin: -0px -11px; margin-top: -12.5px; margin-bottom: -6px"
{{{#!wiki style="margin-left:10px; margin-right:-17px; margin-top: -2px; margin-bottom: -8px; display:inline-table"
<tablebordercolor=#fff,#1f2024><tablebgcolor=#fff,#1f2024> 파일:정부상징(1949-2016).svg }}}{{{#!wiki style="padding: 0px; display: inline-table; margin-top: -2px; margin-bottom: -8px" <tablebordercolor=#fff,#1f2024><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f2024> }}}}}}
{{{#!wiki style="border-top: 0px none; border-left: 10px solid #254170; border-right: 10px solid #254170; text-align: center; margin: -6px -11px; padding: 7px; min-height: 34px"
{{{#!wiki style="margin: 0 -16px -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word-break: keep-all"
{{{#181818,#e5e5e5
직위 명단
외무부장관 <colbgcolor=#fff,#1f2024><colcolor=#254170> 장택상 임병직 변영태 조정환 허 정
내무부장관 윤치영 신성모 김효석 백성욱 조병옥 이순용 장석윤 이범석 김태선 진헌식 황호현 백한성 김형근 이익흥 장경근 이근직 민병기 김일환 최인규 홍진기 이호
재무부장관 김도연 최순주 백두진 박희현 이중재 김현철 인태식 김현철 송인상 윤호병
법무부장관 이 인 권승렬 이우익 김준연 조진만 서상환 조용순 이 호 홍진기 권승렬
국방부장관 이범석 신성모 이기붕 신태영 손원일 김용우 김정렬 이종찬
문교부장관 안호상 백낙준 김법린 이선근 최규남 최재유 이병도
부흥부장관 유완창 김현철 송인상 신현확 전예용
농림부장관 조봉암 이종현 윤영선 공진항 임문환 함인섭 신중목 정재설(서리) 양성봉 윤건중 최규옥 임철호 정낙훈 정운갑 정재설 이근직 이해익
상공부장관 임영신 윤보선 김 훈 이교선 이재형 안동혁 박희현 강성태 김일환 구용서 김영찬 전택보 오정수
사회부장관 / 보건부장관 보건사회부장관 전진한 이윤영 허 정 최창순 박술음 / 구영숙 오한영 최재유
최재유 정준모 손창환 김성진
교통부장관 민희식 허 정 김석관 윤성순 이종림 문봉제 최인규 김일환 석상옥
체신부장관 윤석구 장기영 이순용 조주영 강인택 이 광 이응준 곽의영 오정수 최용덕 }}}}}}
}}}}}}}}}




[1] 절도공파 27세 병(炳) 묵(默) 항렬. [2] 林炳卨. 1902. 7. 7 ~ 1970. 8. 3. [3] 1893. 1. 27 ~ 1974. 6. 3. 황우덕(黃祐悳)의 딸이다. [4] 李鳳仙. 1976년 9월 21일 부고기사에는 李鳳으로 기재되어 있다. 1930년 5월 21일생. 전주 이씨이다. [5] 충청남도 부여군 [6] 林淵相, 1870. 8. 14 ~ 1938. 3. 21 [7] 충청남도 관찰사를 지낸 서만보(徐晩輔)의 딸이다. (1868. 2. 23 ~ 1938. 2. 19) [8] 황우덕(黃祐悳)의 딸이다. (1893. 1. 27 ~ 1974. 6. 3) [9] 李鳳仙, (1930. 5. 21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