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21 10:11:15

장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장면(동음이의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467F, #005BA6 20%, #005BA6 80%, #00467F); color: #ffc224;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c224>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이시영 김성수 함태영 장면
}}}}}}}}}
장면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224f 0%, #003478 20%, #003478 80%, #00224f); color:#C39335"
{{{#!wiki style="margin: 0 -10px -5px;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003478,#C39335>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제5대
이범석 장면 장택상 백두진 변영태
제6대 제7대 제8대 제9대 제10대
허정 장면 최두선 정일권 백두진
제11대 제12대 제13대 제14대 제15대
김종필 최규하 신현확 남덕우 유창순
제16대 제17대 제18대 제19대 제20대
김상협 진의종 노신영 김정렬 이현재
제21대 제22대 제23대 제24대 제25대
강영훈 노재봉 정원식 현승종 황인성
제26대 제27대 제28대 제29대 제30대
이회창 이영덕 이홍구 이수성 고건
제31대 제32대 제33대 제34대 제35대
김종필 박태준 이한동 김석수 고건
제36대 제37대 제38대 제39대 제40대
이해찬 한명숙 한덕수 한승수 정운찬
제41대 제42대 제43대 제44대 제45대
김황식 정홍원 이완구 황교안 이낙연
제46대 제47대 제48대
정세균 김부겸 한덕수
}}}}}}}}}}}} ||

파일:민주당(1955년) 상징.png 파일:민주당(1955년) 선거벽보 글씨(흰색).png 대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000080,#7ffeff> 임시
곽상훈
초대
신익희
권한대행
곽상훈
제2-5대
조병옥
제6대
장면
}}}}}}}}}}}}

[[주미대사|{{{#fff 주미합중국
{{{+1
대한민국 특명전권대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nopad> 이승만 정부 <nopad> 허정 내각 <nopad> 장면 내각 <nopad> 장도영 내각
초대
장면
제2대
양유찬
제3대
정일권
제4대
장이욱
제5대
정일권
<nopad> 김현철 내각 <nopad> 박정희 정부
제6대
김정렬
제7대
김현철
제8대
김동조
제9대
함병춘
제10대
김용식
<nopad> 전두환 정부 <nopad> 노태우 정부 <nopad> 문민정부
제11대
류병현
제12대
김경원
제13대
박동진
제14대
현홍주
제15대
한승수
<nopad> 문민정부 <nopad> 국민의 정부 <nopad> 참여정부
제16대
박건우
제17대
이홍구
제18대
양성철
제19대
한승주
제20대
홍석현
<nopad> 참여정부 <nopad> 이명박 정부 <nopad> 박근혜 정부 <nopad> 문재인 정부
제21대
이태식
제22대
한덕수
제23대
최영진
제24대
안호영
제25대
조윤제
<nopad> 문재인 정부 <nopad> 윤석열 정부
제26대
이수혁
제27대
조태용
제28대
조현동
}}}}}}}}}

파일:국회휘장(제헌-5대).svg 대한민국 국회의원 ( 서울특별시 종로구 을)
대한민국 국회 출범 초대
장면[1]
초대
이인[2]

파일:국회휘장(제헌-5대).svg 대한민국 국회의원 ( 서울특별시 용산구 갑)
제4대
엄상섭
제5대 민의원
장면
제6대
서민호[3]

파일:대한민국장 약장.png
건국훈장 대한민국장 수훈자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4D4D4D, #696969 20%, #696969 80%, #4D4D4D); color: #fede58"
{{{#fede58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건국훈장 대한민국장 부장.png
1949
이승만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49
이시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53
제임스 A. 밴 플리트
파일:미국 국기.svg
1953
장제스
파일:대만 국기.svg
1955
하일레 셀라시에
파일:에티오피아 제국 국기.svg
1957
응오딘지엠
파일:베트남 공화국 국기.svg
1958
아드난 멘데레스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1962
허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2
김좌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2
오동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2
조병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2
안중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2
윤봉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2
이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2
강우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2
김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2
안창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2
신익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2
김창숙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2
손병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2
이승훈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2
한용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2
최익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2
이강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2
민영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4
더글러스 맥아더
파일:미국 국기.svg
1964
해리 S. 트루먼
파일:미국 국기.svg
1964
루트비히 에르하르트
파일:독일 국기.svg
1965
프랑수아 톰발바예
파일:차드 국기.svg
1965
다비드 다코
파일:중앙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1965
수루-미강 아피디
파일:베냉 국기.svg
1965
레오폴 세다르 상고르
파일:세네갈 국기.svg
1965
펠릭스 우푸에부아니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1965
레옹 음바
파일:가봉 국기.svg
1965
아마두 바바투라 아히조
파일:카메룬 국기.svg
1965
하마니 디오리
파일:니제르 국기.svg
1965
조모 케냐타
파일:케냐 국기.svg
1965
무테사 2세
파일:우간다 국기.svg
1965
필리베르트 치라나나
파일:마다가스카르 국기.svg
1965
툰쿠 압둘 라만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1966
타놈 키티카초른
파일:태국 국기.svg
1966
쑹메이링
파일:대만 국기.svg
1966
천궈푸
파일:대만 국기.svg
1968
쑨원
파일:중화민국 북양정부 국기.svg
1968
천치메이
파일:중화민국 북양정부 국기.svg
1969
피델 산체스 아르난데스
파일:엘살바도르 국기.svg
1970
조만식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76
임병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77
필립 제이슨
(서재필)

파일:미국 국기.svg
1979
박정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0
최규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1
시리낏 끼띠야꼰
파일:태국 국기.svg
1981
푸미폰 아둔야뎃
파일:태국 국기.svg
1983
전두환(취소)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9
김규식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9
조소앙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9
장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8
여운형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9
유관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1
홍범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 독립유공자 : 기타 공훈 및 국가원수}}}}}}}}}

}}} ||
<colbgcolor=#005ba6><colcolor=#ffc224>
대한민국 제4대 부통령
장면
張勉 | Chang Myon
파일:장면 전 국무총리.jpg
출생 1899년 8월 28일
한성부 서서 적선방 사온동계 사온동
(現 서울특별시 종로구 적선동)[4]
사망 1966년 6월 4일 (향년 66세)
서울특별시 종로구 명륜동1가 36-5
(現 서울특별시 종로구 혜화로5길 49)
묘소 경기도 포천시 소흘읍 이동교리 산14-1 일대
( 혜화동성당 포천묘원)
재임기간 제4대 부통령
1956년 8월 15일 ~ 1960년 4월 23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5ba6><colcolor=#ffc224> 본관 인동 장씨 상장군계[5]
부모 아버지 장기빈, 어머니 황루시아
형제자매 남동생 장발, 장극
여동생 장정혜, 장정온, 장정량, 장정순
배우자 김옥윤
자녀 아들 장영, 장진, 장건, 장익, 장순, 장흥
딸 장명숙, 장의숙, 장명자
학력 인천 박문학교 (수료)
인천심상소학교 (졸업)
수원농림전문학교 (졸업)
맨해튼 칼리지 (영문학·교육학 / 학사)
맨해튼 칼리지 (교육학 / 석사)
맨해튼 칼리지 (법학 / 박사)
포덤 대학교 (법학 / 명예박사)
시튼홀 대학교 (법학 / 명예박사)
종교 천주교 ( 세례명: 세례자 요한)[6]
의원 선수 2
의원 대수 1, 5(민)
지태(志兌)
운석(雲石) }}}}}}}}}

1. 개요2. 약력3. 생애4. 평가5. 기타6. 대중매체7. 선거 이력8. 소속 정당9.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제4대 부통령.

2. 약력

3. 생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장면/일생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 장면 내각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장면 내각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평가

1960년 4.19 혁명 이후 한국 헌정 사상 최초로 실시된 의원내각제하의 2번째 행정수반 국무총리로 제2공화국 내각의 실권을 가진 집권자였다. 그 이전에도 초대 주미대사, 제2대 및 제7대 대한민국 국무총리, 제4대 대한민국 부통령을 지내는 등 요직을 지냈다.

신생 대한민국의 초대 주미대사로서 북한보다 앞서서 유럽과 미주 제국들로부터 발빠르게 국가승인을 받아낸 것과, 6.25 전쟁이 발발하자 단 며칠만에 신속하게 유엔군 참전을 이끌어낸 것은 누구도 부인하지 않는 그의 최대 업적으로 꼽힌다.

의원내각제 총리 재임 시절 성실성을 바탕으로 당시로써는 자유주의적인 사회정책과 정부주도적인 경제개발 계획을 입안하고 시행했지만, 윤보선과 갈등하면서 민주당 구파가 아예 탈당하여 신민당이라는 별개의 정당을 차리는 등 집권층 내부의 분열로 인해 리더십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며 급속한 지지기반의 상실로 이어지고, 결과적으로 사회가 어수선해지면서 집권한지 1년도 안 되어 5.16 군사정변으로 실각하고 만다. 전반적으로 외교관과 정책가로서는 훌륭한 인물이었지만 혼란을 수습할 만한 정치력은 부족했다는 것이 중론이다.

5. 기타

6. 대중매체

7. 선거 이력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5ba6><tablebgcolor=#fff,#1c1d1f><tablewidth=100%><rowcolor=#ffc224><rowbgcolor=#005ba6> 연도 || 선거 종류 || 선거구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당선 여부 || 비고 ||
1948 제헌 국회의원 선거 서울 제3선거구[14]

[[무소속(정치)|
무소속
]]
23,188 (57.05%) 당선 (1위) 초선[15]
1956 제4대 부통령 선거 대한민국

4,012,654 (46.42%) 초선
1960 제5대 부통령 선거 1,843,758 (17.51%) 낙선 (2위) [16]
1960 제5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제13선거구[17] 29,098 (69.59%) 당선 (1위) 재선[18][19]
역대 선거 벽보·공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장면 5대 대선.jpg 파일:장면 4대 대선.jpg
제4대 부통령 선거 (대한민국) 제5대 부통령 선거 (대한민국)
파일:장면 5대 총선.jpg
제5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용산 갑) }}}}}}}}}

8. 소속 정당

소속 기간 비고


[[무소속(정치)|
무소속
]]
1945 - 1951 정계 입문


[[자유당(1951년)|]]
1951 - 1952 입당


[[무소속(정치)|
무소속
]]
1952 - 1955 탈당


1955 - 1961 창당


[[무소속(정치)|
무소속
]]
1961 - 1963 5.16 군사정변으로 인해 해산


1963 - 1965 창당


[[민중당(1965년)|
파일:민중당(1965년) 흰색 로고타입.svg
]]
1965 합당[20]


[[무소속(정치)|
무소속
]]
1965 - 1966 탈당
사망

9.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10px" <tablebordercolor=#000080><tablebgcolor=#000080> 파일:장면-투명.svg 장면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000080,#ddd> 일생 일생
가족 아버지 장기빈 · 어머니 황루시아 · 동생 장발 · 장극 · 여동생 장정혜 · 장정은 · 장정량
아내 김옥윤 · 아들 장영 · 장진 · 장건 · 장익 · 장순 · 장흥 · 딸 장명숙 · 장의숙 · 장명자
역대 선거 제헌 국회의원 선거 · 제4대 부통령 선거 · 제5대 부통령 선거
사건사고 장면 부통령 저격사건 · 3.15 부정선거 · 4.19 혁명 · 5.16 군사정변
기타 장면 내각
별도 문서가 없는 평가 및 논란은 해당 주제 관련 문서 참고
장면 내각와 관련된 문서는 틀:장면 내각 참고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order-left: 10px solid #000080; border-right: 10px solid #000080"
{{{#!wiki style="margin: 0 -2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000080,#fff><colbgcolor=#f5f5f5,#2d2f34> 구성 인사
여당 민주당
정책 및 방향 의원내각제 · 양원제 · 지방자치제도 · 경제제일주의 · 제1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 시안 · 반공임시특별법 ( 데모규제법) · 특정외래품판매금지법
평가 평가
타임라인
1960년 제5대 국회의원 선거 · 장면 내각 출범 · 민주당 구파 분당 후 신민당 결성 · 1960년 지방선거 · 4차 개헌 · 경무대, 청와대 개칭
1961년 반공임시특별법 통과 시도 ( 데모규제법) · 2대 악법 반대운동 · 특정외래품판매금지법 제정 · 제1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 시안 국무회의 의결 · 민족자유통일연맹 통일촉진 궐기대회 개최 · 5.16 군사정변 · 군사혁명위원회 출범 ( 국가재건최고회의) }}}}}}}}}}}}



파일:미군정청 문장.svg 남조선과도입법의원 관선의원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민중동맹 조선인민당 한국독립당
김규식 여운형 원세훈 최동오 안재홍
신진당 조선인민당 서북대표
김봉준 홍명희 박건웅 황진남 문무술
조선인민당 조선인민당 근로대중당
염정권 강순 조창혁 신기연 김학배
변호사 애국부인회 여자국민당
이봉구 신의경 황신덕 박승호 박현숙
사회민주당 언론계
여운홍 장자일 김지간 장연송 하경덕
서북대표 신진당 서북대표
허간룡 김호 허규 고창일 김돈
기독교청년회 가톨릭 사회노동당
변성옥 정광조 김법린 장면 장건상
한국독립당 한국독립당 서북대표
조완구 윤기섭 오화영 엄항섭 정이형
민중동맹 한국독립당 한국민주당
김약수 이응진 이순탁 엄우룡 유진희 }}}
}}}}}}

파일:구 서울특별시 휘장(백색).svg 서울특별시 제헌 국회의원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동대문 갑 동대문 을
윤치영 이윤영 이인 홍성하 이영준
성동 서대문 영등포
지청천 김도연 김상돈 김동원 윤재욱
* 동대문 갑 이승만 사퇴 (1948.7.20.)
* 종로 을 장면 사퇴 (1948.12.20.)
}}}
}}}}}}

파일:구 서울특별시 휘장(백색).svg 서울특별시 제5대 민의원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전진한 한근조 주요한 정일형 장면
용산 을 성동 갑 성동 을 동대문 을
김원만 유성권 홍용준 민관식 이영준
성북 서대문 갑 영등포 갑
서범석 김도연 김산 신상초 윤명운
영등포 을
김석원
* 종로 갑 윤보선 사퇴 (1960.8.12.)
* 마포 김상돈 사퇴 (1960.12.3.)
}}}
}}}}}}

{{{#!wiki style="margin: -7px -10px -10px;"
{{{#!wiki style="margin: -6px 0px -1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000080><tablebgcolor=#000080>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000080><tablebgcolor=#000080>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한근조 주요한 정일형 유성권 홍용준
서범석 김산 신상초 장면 김원만
윤명운 김재곤 곽상훈 김훈 조윤형
허혁 김영구 홍익표 천세기 박주운
김윤식 이병헌 허길 계광순 박충모
김명윤 양덕인 태완선 신기복 김준섭
김대중 함종빈 최경식 김광준 김기철
신정호 김창수 박기종 민장식 이충환
김사만 이태용 유진영 성태경 엄대섭
김학준 이석기 우희창 김영선 이상철
성원경 장경순 안만복 이규영 성기선
류청 이철승 김판술 이춘기 이정원
배성기 신현돈 송영선 한상준 윤정구
홍영기 나용균 송을상 조한백 조규완
윤택중 정성태 김용환 이필선 김문옥
정재완 고몽우 김동호 고기봉 김석주
김우평 조연하 박형근 박민기 고영완
양병일 김채용 김옥형 유옥우 주도윤
정문채 이경 김의택 김선태 박희수
서동진 임문석 조재천 조일환 오정국
우홍구 박해충 최태능 최해용 황한수
조헌수 박해정 김준태 주병환 홍정표
이병하 현석호 황호영 김응주 김동욱
최성욱 이만우 박순천 이종린 이종남
박찬현 김명수 정남규 김용진 김병진
강봉용 한종건 박기정 백남훈 최영근
조일재 최원호 이양호 서정귀 윤병한
정헌주 김종길 조명환 정준현 신중하
정길영 홍문중 }}}
}}}}}}

민주당계 진영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000,#e5e5e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민주당계 정당
파일:더불어민주당 로고 화이트.svg 파일:조국혁신당 흰색 로고타입.svg
이재명 김선민(대행)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집권 정부 장면 내각(윤보선 정부) · 국민의 정부 · 참여정부 · 문재인 정부
정치인 대통령 윤보선 · 김대중 · 노무현 · 문재인
부통령 김성수 · 장면
대통령 후보 신익희 · 조병옥 · 김창숙 · 송요찬 · 유치송 · 김영삼 · 정동영 · 이재명
국무총리(내각제) 장면
국무총리 김석수 · 고건 · 이해찬 · 한명숙 · 한덕수 · 이낙연 · 정세균 · 김부겸
국무위원 장면 내각 · 국민의 정부 · 참여정부 · 문재인 정부
소속 정치인 국회의원 · 광역자치단체장 · 기초자치단체장 당대표
정파 친노/ 친문 친문 ( 비문) · 친노 ( 비노) · 친낙 · 정세균계 · 안희정계 · 양승조계 · 조국계
친명 친명 ( 비명) · 박주민계 · 정동영계
동교동계 동교동계 · 박지원계 · 호남계
보수파 김한길계 · 친안 · 손학규계
진보파 민평련 · 박원순계
정당연대 더불어시민당 · 더불어민주연합 · 중도민주 인터내셔널 · 진보동맹(진보) · DJP연합(보수) · 평화와 정의의 의원 모임(진보)
역사 제1공-제4공 · 제5공-문민 · 국민-참여 · 이명박 · 박근혜 · 문재인-윤석열 · 계파 역사
관련 정당 기후민생당 · K정치혁신연합당 · 소나무당 · 열린민주당 · 새미래민주당
다른 진영 관련 문서 ( 진보 · 보수)
}}}}}}}}}}}} ||



[1] 주미대사 임명으로 사퇴. [2] 보궐선거 당선 [3] 한일기본조약에 반대하며 의원직 사퇴 [4] 단, 어릴 때 인천으로 이주해서 살았기에, 실질적 고향은 경기도 인천부(現 인천광역시)였다. [5] 황상(凰顙)파 14세. 인동 장씨 31세. 족보 [6] 장면의 대자가 바로 김대중이다. [7] 동성중학교, 동성고등학교 [8] 전임 부통령 이시영의 사임으로 부통령 권한대행 수행. [9] 당시의 총리직은 현재와 차이가 있다. 제2공화국은 영국식 의회 제도를 가져온 의원내각제였기 때문에 국무총리가 실권을 갖춘 정부수반이었고 윤보선 대통령은 상징적 국가원수가 된다. [10] <대한민국의 대통령> 강준식 100p [11] 호가 태암(太巖)이었던 아버지 장기빈은 아들들에게 운석, 우석(雨石), 하석(霞石)이라고 호를 지어줬다 한다. 큰 바위의 아이들이니 돌 석 자를 붙인 것이다. [12] 1950년대 후반 부통령의 신분이었음에도 불구하고 김대중의 세례 대부를 서주었다. [13] 1923년생. 본명은 정동민. [14] 종로을구 [15] 1948.12.20: 의원직 사퇴 (주미대사 임명) [16] 재선거 결정 [17] 용산갑구 [18] 의원내각제 수반 [19] 1961.5.16: 자격정지( 5.16 군사정변) [20] 민정당과 신설 합당.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