洞 마을 동, 밝을 통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水, 6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9획
|
||||
중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ドウ, トウ
|
||||||
일본어 훈독
|
ほら, うつろ, うろ, つらぬ-く, ふか-い
|
||||||
-
|
|||||||
표준 중국어
|
dòng, tóng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洞은 마을 동/밝을 통이라는 한자로, 골짜기, 마을, 밝다, 비다, 꿰뚫다 등을 뜻한다.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마을 | <colbgcolor=#fff,#1f2023>밝다 |
음 | 동 | 통 | |
중국어 | 표준어 | dòng | tóng |
광동어 | dung6 | ||
객가어 | thung | ||
민북어 | dō̤ng | ||
민동어 | dâe̤ng | ||
민남어 | tōng | ||
오어 | don (T3) | ||
일본어 | 음독 | ドウ, トウ | |
훈독 | ほら, うつろ, うろ, ふか-い | つらぬ-く | |
베트남어 | động |
뜻을 나타내는 水(물 수)와 소리를 나타내는 同(한가지 동)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3. 용례
3.1. 단어
3.1.1. 마을 동
- 한국의 행정구역 동(洞)
- 동각류(洞 角 類)
- 동견(洞 見)
- 동결절(洞 結 節)
- 동계(洞 契)
- 동공(洞 空)
- 동구(洞 口)
- 동군(洞 軍/洞 君)
- 동굴(洞 窟)
- 동내(洞 內)
- 동답(洞 畓)
- 동두민(洞 頭 民)
- 동량(洞 糧)
- 동리(洞 里)
- 동명(洞 名)
- 동문(洞 門)
- 동민(洞 民)
- 동반장(洞 班 長)
- 동방(洞 房)
- 동보(洞 報)
- 동사무소(洞 事 務 所)
- 동선기(洞 仙 記)
- 동소(洞 訴)
- 동소임(洞 所 任)
- 동신(洞 神)
- 동연(洞 煙)
- 동월(洞 越)
- 동유수(洞 油 樹)
- 동유지(洞 油 紙)
- 동유칠(洞 油 漆)
- 동임(洞 任)
- 동장(洞 長)
- 동적(洞 籍)
- 동정귤(洞 庭 橘)
- 동정호(洞 庭 湖/洞 定 湖)
- 동제(洞 祭)
- 동중(洞 中)
- 동징(洞 徵)
- 동천(洞 天)
- 동천경색사(洞 天 景 色 詞)
- 동편사(洞 便 射)
- 동폐(洞 弊)
- 동포(洞 布)
- 동학(洞 壑)
- 동혈(洞 穴)
- 동환(洞 還)
- 동회(洞 會)
3.1.2. 밝을 통
3.2. 고사성어/ 숙어
3.3. 인명
3.4. 지명
- 인천광역시 남동구(南洞區)[1]
- 동정호(洞 庭 湖)
- 명동( 明洞)
- 명동역
- 목동역
- 학동역
- 길동역
- 둔촌동역
- 중동역
- 신중동역
- 상동역
- 창동역
- 묵동
- 능동(광진구)
- 제기동역
- 신설동역
- 신목동역
- 오류동역
3.5. 창작물
- 동방홍룡동 ~ Unconnected Marketeers.( 東 方 虹 龍洞)
- 洞窟王からはじめる楽園ライフ~万能の採掘スキルで最強に!?~( 동굴왕으로 시작하는 낙원 라이프 ~만능 채굴 스킬로 최강으로!?~)
4. 유의자
- 마을
- 밝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