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18 00:59:43

빅커스 Mk. E

제2차 세계 대전기의 영국군 기갑차량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제2차 세계 대전
영국군 기갑차량
전차 탱켓 <colbgcolor=#fefefe,#191919> L3/35C
경전차 M2A4, 경전차 Mk.I, 경전차 Mk.II, 경전차 Mk.III, 경전차 Mk.IV, 경전차 Mk.V, 경전차 Mk.VIA, ,경전차 Mk.VIB, 빅커스 Mk. ET, 테트라크 I/CS, 해리 홉킨스, 하고C, 2호 전차 L형 '룩스'C
순항전차 순항전차 Mk. I (A9), 순항전차 Mk.II (A10), A13 Mk.I, A13 Mk.II, A13 "커버넌터", 순항전차 Mk.VIA 크루세이더 I/II/II CS/III (A15), 카발리어 (A24), 순항전차 Mk.VIII 센토어 I/II/III/IV/V/VI/VII/VIII/CS (A27L), 순항전차 Mk.VIII 크롬웰 I/II/III/IV/V (A27M), 챌린저 (A30), 코멧 I (A34)
보병전차 빅커스 미디엄 Mk.II, 보병전차 Mk. I "마틸다" I (A11), 보병전차 Mk.II "마틸다II" I/II/IIA/III/IV/IV CS (A12), 보병전차 Mk. III "밸런타인" I/II/III/IV/V/VI/VII/VIII/IX/X/XI, 보병전차 Mk.IV "처칠" I/II/III/IV/V/VI/VII(A22)
중형전차 그랜트 I/II/III/IV/V/VI/VII/VIII/IX, 셔먼 IC/ IC 하이브리드/ 셔먼 VC, Pz.Kpfw. T-34/85 747(r)C, 3호 전차C, 4호 전차 D/G형C
중전차 Mark VC, Mark VIC
렌드리스 차량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스튜어트 I/II/III/IV/V/VI, 채피, 리 I/II/III/IV/V/VI/VII/VIII/IX, , 셔먼 V, 셔먼 I, 셔먼 III, 셔먼 IV, 셔먼 I 하이브리드, 셔먼 II, 셔먼 IIA, 셔먼 IIAY, 셔먼 IB, 셔먼 IBY, M10 Mk.I, M10 Mk.II, T26, T26E3, "튤립" 파생형 전차 및 장갑차(M4 셔먼, 크롬웰 문서 참고.), 그레이하운드 파일:소련 국기.svg German Heavy Tank,Mark V
시험 차량 인디펜던트 (A1E1)), TOG I, TOG II*, A39 토터스, A33 엑셀시어, A38 발리언트, A7 전차, A41 센추리온A, A43 블랙 프린스
대전차 자주포 알렉토 I/II/III/IV, T48 GMCL, M10 Mk.IL, M10 Mk.IIL, M10 IC 아킬레스L/M, M10 IIC 아킬레스L/M, Mk.I 아처, AEC Mk.I 건 캐리어 디콘
보병지원용 조명전차 셔먼 CDLL/M, 마틸다 CDL, 그랜트 CDL
구난전차 크루세이더 ARV, 처칠 ARV, 그랜트 ARV
해변용 구난전차 셔먼 BARV, 그랜트 BARV
공병전차 처칠 AVRE
화염방사전차 처칠 크로커다일
지뢰제거전차 셔먼 III 크랩, 셔먼 V 크랩, 그랜트 스콜피온 III/IV, 밸런타인 스콜피온
가교전차 처칠 가교전차, 밸런타인 가교전차, 커버넌터 가교전차
자주포 섹스턴, 프리스트L, 비숍
장갑차 롤스로이스 장갑차, AEC Mk.I/II/III 장갑차, 스탠다드 비버레테, 카든-로이드 Mk.VI, 유니버설 캐리어 Mk.I, 유니버설 캐리어 Mk.II, 컨벤트리 장갑차, 다임러 AC 장갑차,
가이 장갑차, 험버 장갑차, 마몬-헤링턴 장갑차, 캥거루 APC, 란체스터 6x4 중장갑차, 테라핀 수륙양용 장갑차, ACV-IP 장갑차, M2 하프트랙, M3 하프트랙, M5 하프트랙, M9 하프트랙L, 화이트 스카웃 카L, 디어하운드L,
정찰 차량 다임러 딩고, 험버 LRC, 모리스-커머셜 LRC, 모리스-커머셜 CS9, T17E1 스태그하운드
차량 AEC "도체스터" ACV 4x4/6x6 장갑지휘차, 베드포드 QL 다목적 트럭, 베드포드 OX/OY 다목적 트럭,
오스틴 K2/Y 중 의무후송트럭(앰뷸런스), 오스틴 K3/YF 다목적 트럭, 오스틴 K5 다목적 트럭,
모리스-커머셜 C8 쿼드 FAT 포병 트랙터, 쉐보레 CMP FAT 전장전개형 포병 트랙터, 모리스-커머셜 CDSW 6x4 포병트랙터, 모리스-커머셜 C9/B 4x4 40mm 보포스 탑재형
AEC "마타도어" 포병용 중 트랙터/하프트랙, 레일랜드 리트리버 6x6 10톤 대형 수송트럭,
레일랜드 히포 MK.II 중형 다목적 트럭, 레일랜드 비버-얼(장갑화) 건트럭, GMC DUKWL, 윌리스 MBL, Sd.Kfz. 7C, Vauxhall B.T. Three-Quarter track Traclat, 스카멜 파이오니어
자주대공포 크루세이더 AA Mk.I, 크루세이더 AA Mk.II, 크루세이더 AA Mk.III, 경형 AA Mk.I, AEC AA, T17E2 스태그하운드
기술교류 파일:소련 국기.svg T-34-76, KV-1 1941년형
기타 전차 퍼니전차, A46, FV 시리즈, AT 시리즈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윗첨자A: 전후 도입
윗첨자C: 노획 차량
윗첨자M: 개조 차량
윗첨자L: 렌드리스 차량
윗첨자T: 훈련용 차량
※둘러보기 :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군의 운용장비 | 파일:tank_icon__.png 대전기 기갑차량
}}}
}}}}}}


<colbgcolor=#000066> 빅커스 Mk. E 계보도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시작
Mk. E A형 / Mk. E B형
타국 계열 영국 계열
개량 기술 바탕 개수형
소련 폴란드 제2공화국 핀란드 이탈리아 왕국 일본 제국 현대화 무장 교체 비무장
T-26A, T-26B, T-26S 7TP Mk. E (Psv.K/18), Mk. E (Psv.K/36), T-26ES M11/39S, M13/40 하고 빅커스 Mk. F 드래곤 자주대공포 드래곤 미디엄 Mk. IV
※ 윗첨자S: 노획한 차량을 전차 개발에 참고함
}}} ||
파일:The_Tank_Museum_Vickers_Mark_E.jpg
VIckers Mark E
1. 개요2. 제원3. 특징4. 형식
4.1. 빅커스 Mk. E A형4.2. 빅커스 Mk. E B형
5. 파생형
5.1. 영국
5.1.1. 현대화 개수형
5.1.1.1. 빅커스 Mk. F
5.1.2. 무장 교체 파생형
5.1.2.1. 드래곤 자주대공포
5.1.3. 비무장 파생형
5.1.3.1. 드래곤 미디엄 Mk. IV
5.2. 소련
5.2.1. 현대화 개수형
5.3. 폴란드 제2공화국
5.3.1. 현대화 개수형
5.4. 핀란드
5.4.1. 무장 교체 파생형
5.4.1.1. Mk. E (Psv.K/18)5.4.1.2. Mk. E (Psv.K/36)5.4.1.3. T-26E
5.5. 중화민국 국민정부
5.5.1. 장비 추가 파생형
5.5.1.1. 빅커스 6톤 전차 F형
6. 실전7. 운용국8. 미디어9. 모형
9.1. 프라모델
10. 참고 문헌11. 둘러보기

1. 개요

1928년에 영국 비커스 사에서 설계한 경전차. 빅커스 6톤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정작 영국군에서는 훈련용으로 4대만 운용했을 뿐, 거의 채택되지 않았는데 해외에서 더 많이 채용된 전차다. 양차대전 사이의 전간기에 가난한 나라의 희망이었을 정도로 성능이 강력했지만, 제2차 세계 대전 발발과 함께 구식이 되었다.

2. 제원

<colbgcolor=#000066> Vickers Mk. E 6 ton Tank
제원
개발기관 빅커스-암스트롱
설계자 존 발렌타인 카든, 비비안 로이드
개발연도 1928년
생산연도 1931년 ~ 1939년
생산기관 빅커스-암스트롱
생산 댓수 137대
운용 연도 1931년 ~ 1972년[1]
운용 국가 영국 포합 도합 12개국 사용
전장 4.88m
전폭 2.41m
전고 2.16m
전비 중량 7.3t
탑승 인원 A형: 3명 (조종수, 전차장, 포수)
B형: 3명 (조종수, 전차장, 탄약수)
엔진 암스트롱 시들리식 4기통 공랭식 가솔린 엔진
최고 출력 98hp
출력비 13hp/t
최고 속도 35km/h
항속 거리 160km
주무장 A형: 7.7mm 빅커스 기관총 2정
B형: 47mm OQF 3파운더 전차포 1문 (50발)
부무장 B형: 빅커스 기관총 1정

3. 특징

파일:Vickers_cutaway.jpg
빅커스 Mk. E B형 내부 구조도
빅커스 Mk. E는 영국에서 만들어진 전차이다.

수출 실적이 상당했는데, 이는 1차대전 직후의 기술력으로 생산된 전차들이 고장투성이였던 것에 반해서 엄청난 기계적 신뢰성을 가지고 드디어 제대로 작동하는 전차가 등장하였기 때문이었다.

장갑과 화력이 빈약했지만 속도가 35km/h에 달해 당시 기준으론 꽤 빠른 전차였다. 다만 현가장치가 조악해서 비포장도로나 야지로 나가게 되면 속도가 매우 떨어졌다.

4. 형식

4.1. 빅커스 Mk. E A형

파일:Vickers_Bolivia2_G-Tamano.jpg
Vickers Mk. E Type A
초기버전인 A형은 쌍포탑에 2정의 빅커스 기관총을 탑재하고 있었으나 대물화력의 부재라는 문제점 때문에 B형으로 개수되었다.

4.2. 빅커스 Mk. E B형

파일:vickers_Mk_E.jpg
Vickers Mark E Type B
후기형인 B형은 47mm 3파운더 전차포가 장착되었다. 이 전차포 자체는 유탄발사기 박격포에 가깝기 때문에 장갑관통력은 크게 떨어졌지만 대물 파괴력은 확실하였기에 단종 시까지 사용되었다.

5. 파생형

5.1. 영국

5.1.1. 현대화 개수형

5.1.1.1. 빅커스 Mk. F
파일:Vickers Mk F.jpg
Vickers Mark F
"빅커스 Mk. F"는 빅커스 Mk. E B형의 엔진을 롤스로이스 팬텀 II와 동일한 엔진으로 교체한 현대화 개수형이다.

5.1.2. 무장 교체 파생형

5.1.2.1. 드래곤 자주대공포
파일:Type-76-spaa.jpg
Dragon SPAA
"드래곤 자주대공포"는 하술할 비무장 파생형인 드래곤 미디엄 Mk IV에다 측면 장갑 및 출입구를 증설하고, 폼폼 포를 장착한 자주대공포 파생형이다.

전량 태국이 수입 및 사용하였으며, 동남아시아 전역 중 프랑스-타이 전쟁 당시에 실전을 치뤘다.

5.1.3. 비무장 파생형

5.1.3.1. 드래곤 미디엄 Mk. IV
파일:Dragon,_Medium__Mark_IV.jpg
Dragon, Medium Mk.IV
"드래곤 미디엄 Mk. IV"는 빅커스 Mk. E를 베이스로 하여 무장 및 상부 장갑과 측면 장갑을 제거하고 좌석을 증설한 일종의 병력수송장갑차다.

5.2. 소련

5.2.1. 현대화 개수형

5.2.1.1. T-26
파일:T-26_Thumbnail.jpg
T-26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T-26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3. 폴란드 제2공화국

5.3.1. 현대화 개수형

5.3.1.1. 7TP
파일:Polish_7-TP_tank_(24241980492).jpg
7TP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7TP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4. 핀란드

5.4.1. 무장 교체 파생형

5.4.1.1. Mk. E (Psv.K/18)
파일:Mk. E (SA18).jpg
Mk. E (Psv.K/18)
"Mk. E (Psv.K/18)"은 빅커스 Mk. E B형을 도입한 핀란드 방위군 측에서 수입 직후 비무장이던 빅커스의 차체에 기존에 운용하던 코이라스 37mm Psv.K/18 전차포를 임시로 장착한 형식이다. 핀란드에서 운용한 빅커스의 차체는 일반적인 빅커스 전차와 다르게 M/09-31 전차기관총을 증설하고, 조종수 옆에 전차장 좌석을 증설한 형태였다.

겨울전쟁 직전의 훈련에서 잠시 운용되었으나 Psv.K/18 포의 성능 한계가 명확했기에 그 이상의 용도로는 쓰이지 않았으며 무장도 이후 탈거되었다. 이후 겨울전쟁에서 실전 투입된 빅커스 전차들은 모두 현지 라이센스 생산 전차포인 Psv.K/36을 부착하였다.
5.4.1.2. Mk. E (Psv.K/36)
파일:Parola_Tank_Museum_027_-_Vickers_Armstrong_6_Ton_(38513873606).jpg
Mk. E (Psv.K/36)
"Mk. E (Psv.K/36)"는 핀란드가 영국에서 수입한 비무장 상태의 빅커스 Mk. E에 37mm Psv.K/36 전차포를 장착한 파생형이다.

겨울전쟁 중 혼카니에미 전투 당시 투입된 전력을 지니고 있으며, 현재는 파롤라 전차 박물관에 한 량이 보존중이다.
5.4.1.3. T-26E
파일:vickers-armstronge-6ton-finnish-army-tank-ww2.jpg
T-26E
"T-26E"는 핀란드에서 기존에 소유하고 있던 빅커스 Mk. E를 T-26B 수준의 성능으로 개조한 파생형이다.

T-26은 분명 도태장비였지만, 겨울전쟁 전 핀란드군이 운용하던 어떠한 기갑장비보다도 성능이 우수했기에, 핀란드군은 노획한 T-26B를 베이스로 하여 일전에 운용하던 빅커스 Mk. E B형을 T-26B 수준으로 전투력을 끌어올렸다.

T-26E의"E"는 "잉글란틸라이넨(Englantilainen)"으로, 영국산을 뜻한다. 소련에서 생산한 T-26의 증가장갑형 "T-26E"과는 관련이 없다.

이 T-26E는 기존에 핀란드가 운용하던 보포스의 37 Psv.K/36 전차포를 철거한 후, 소련제 45 Psv.K/32 전차포[2]로 스왑하였으며, 역시 마찬가지로 접이식 라이트를 부착하여 T-26B형과 최대한 유사한 성능을 낼 수 있도록 했는데, BT-42와 더불어 2차 대전기에 핀란드가 자체개발한 단 둘 뿐인 전차로 기록되어 있다.

핀란드 자체개발 전차 중 공격력이 낮고 노획전차를 베이스로 사용해야 한다는 한계점으로 제한된 수량만을 제작 가능하다는 문제점을 떠안고 있어서 사장된 BT-42와 다르게, T-26E는 베이스가 되는 무장, 구동계, 차체 모두가 핀란드 내에서 공수가 가능했다는 것과, 목표로 삼았던 T-26B의 스펙과 근사치에 가까울 정도로 높은 퀄리티로 제작되면서 핀란드에서 성공적으로 제작된 첫번째 전차로 평가받고 있다.

T-26과 같이 계속전쟁, 라플란드 전쟁에 참전하였고, 전후에는 훈련용으로 사용되다 역시 1972년 전량 퇴역하였으며, 그 역사적 가치를 인정받아 박물관에 다수의 차량이 전시되어 있다.

5.5. 중화민국 국민정부

5.5.1. 장비 추가 파생형

5.5.1.1. 빅커스 6톤 전차 F형
파일:chinese Vickers6tonb.jpg
維克斯六噸戰車 F形
"빅커스 6톤 전차 F형"은 중화민국 국민정부에서 기존 구입했던 16량의 빅커스 B형 중, 4량을 개수해 포탑 버슬을 만들어 마르코니 G2A 무전기를 장비한 개량형을 말하는데, 명칭인 Mk.F은 상술한 영국의 개량형인 Mk.F형과 유사한 형태 탓에 차용한 것으로 추정되나 여러 개량점과 엔진 개수 등 현대화가 이루어진 F형과 달리 해당 파생형은 버슬만이 개수되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1937년 상하이 사변 당시 타 빅커스 전차들과 함께 투입되었으나 고전을 면치 못하였고 결국 전량 파괴된 것으로 추정된다.

6. 실전

6.1. 전간기

6.1.1. 차코 전쟁

파일:Captured Bolivian Tank Chaco War 1933.jpg
파라과이 육군 노획 볼리비아 육군 소속 빅커스 Mk. E B형
차코 전쟁 당시 볼리비아 육군이 A형 2대, B형 1대 총 3량을 투입하였으나, 이 중 A형 1대는 완전 격파당했으며, 나머지 2대는 파라과이 육군에게 노획당했다.

별로 활약은 하지 못했지만, 빅커스 Mk. E는 아메리카 대륙 최초로 전투에 투입된 전차라는 의의를 남겼다.

파라과이 육군이 노획한 2량의 빅커스 Mk. E들 중 B형은 스크랩되어 포탑만 남게 되었으며, 나머지 A형은 아순시온에 전시되어 "이나"라는 별명을 얻었으나 1994년에 파라과이 측에서 관계 개선을 위해 B형의 포탑과 A형을 반환하여 본국으로 돌아오게 되었다.

6.1.2. 시암 혁명

파일:Siamese Vickers Mk.E (first batch) in Bangkok, during the Bovaradet rebellion, 1933..jpg
시암 혁명 당시의 시암 쿠데타군 소속 빅커스 Mk. E B형[3]
시암 혁명 당시 쿠데타군 소속으로 빅커스 Mk. E B형이 사용되었다.

6.1.3. 자올지에 작전

파일:Czechoslovakia_Poland_Mk.E.jpg
자올지에 작전 당시의 폴란드 육군 소속 빅커스 Mk. E B형
파일:Zaolzie_operation_7TP_&_Vickers_Mk_E_Type_A.jpg
자올지에 작전 당시 테셴에 진입한 폴란드 육군 소속 7TP & 빅커스 Mk. E A형[4]
폴란드군이 체코슬로바키아를 침공한 자올지에 작전 당시에도 폴란드군 소속으로 7TP와 더불어 B형과 A형이 모두 사용되었다.

6.2. 대전기

6.2.1. 중일전쟁

6.2.1.1. 상하이 전투
파일:Vickers-with-Japanese.jpg
상하이 전투 당시의 일본 제국 해군 육전대에게 노획된 국민혁명군 소속 빅커스 6톤 전차 F형[5]
상하이 전투 당시 국민혁명군 소속의 빅커스 Mk. E B형은 8월에서 9월까지 약 1달간 도합 총 36량[6]이 사용되었으나, 큰 활약은 하지 못하고 일본군의 신예 전차인 치로에게 격파당하거나, 노획당하거나, 혹은 고장으로 유기되는 등 총 14량이 손실되는 피해를 입은 후, 더 이상의 작전 진행은 무의미하다고 판단한 상부의 명령에 따라 10월 11일 작전 중지를 결정하고 잔여 병력은 난징으로 철수하였다.

6.2.2. 겨울전쟁

파일:external/www.warlordgames.com/VickersT-26E.jpg
카렐리야 지협에서 진격중인 핀란드 방위군 제3전차중대 소속 T-26E[7]
겨울전쟁 중 다수의 차량이 핀란드 방위군 소속으로 사용되었다.
6.2.2.1. 혼카니에미 전투
파일:honkaniemi_Vickers.png
혼카니에미 전투 중 유기된 핀란드 방위군 제4전차중대 소속 Mk. E (Psv.K/36)
혼카니에미 전투 당시 핀란드 방위군 소속으로 Mk. E (Psv.K/36)이 투입되었으나 T-26과의 전투에서 화력, 수량의 차이로 패퇴하였다.

6.2.3. 제2차 세계 대전

6.2.3.1. 폴란드 침공
파일:Vickers_Mark_E_abondoned_during_invasion_of_Poland.jpg
폴란드 침공 당시 유기된 폴란드 육군 소속 빅커스 Mk. E B형
폴란드 침공 당시 폴란드 육군 소속으로 빅커스 Mk. E A형과 B형이 투입되었으나 크게 활약하지 못하고 다수의 차량이 격파되거나 독일군에게 노획되었다.
6.2.3.2. 태평양 전쟁
6.2.3.2.1. 동남아시아 전역
파일:siam-franco war tanks 1941.jpg
프랑스-태국 전쟁 당시의 타이 왕립 육군 소속 빅커스 Mk. E
타이 왕립 육군이 프랑스-태국 전쟁 당시 사용하였다.

6.2.4. 계속전쟁

파일:1944_finnish_T-26E.jpg
계속전쟁 당시 비푸리의 핀란드 방위군 소속 T-26E "52번차"
계속전쟁 당시 핀란드 방위군 소속으로 T-26E가 사용되었는데, 이는 현재까지 빅커스 Mk. E 시리즈가 동원된 마지막 실전으로 알려져 있다.

7. 운용국

7.1. 유럽

7.1.1. 서유럽

7.1.1.1. 영국
파일:Vickers_Mark_E.jpg
보빙턴 전차 박물관 소장 영국 육군 소속 빅커스 Mk. E B형[8]
원조 개발국이나 육군에 정식 채택되진 않았다. 대신 4대 분량의 전차가 훈련용으로 사용되었다.

드래곤 미디엄 Mk IV의 경우, 프랑스 원정군에 배치되어 프랑스 침공에 참전하였다.

7.1.2. 중부유럽

7.1.2.1. 나치 독일
파일:Vickers_Mark_E_captured_by_Jerrys.jpg
독일 국방군 노획 폴란드 육군 소속 빅커스 Mk. E B형
폴란드 침공 당시 폴란드 육군으로부터 소수의 빅커스 Mk. E B형을 노획하여 사용하였다.
7.1.2.2. 폴란드
파일:Poznan_Vickers_E.jpg
포즈난 군사 박물관 소장 폴란드 육군 소속 빅커스 Mk. E B형
전쟁 직전, 폴란드에서도 다수의 빅커스 Mk. E를 소유하고 있었으나, 전쟁 중 다수의 차량을 망실하였으며 현재는 포즈난 군사 박물관에 1량을 동태보존 중에 있다.

7.1.3. 동유럽

7.1.3.1. 소련
파일:v-26_test.jpg
소련 육군 소속 V-26
1930년대, 소련은 기존에 소유하고 있던 기갑장비들의 노후화로 인해, 빅커스 사에 접촉하여 총 2량의 빅커스 Mk. E A형을 구매한 뒤, "V-26"이라는 제식명으로 테스트하였으며, 이후 소련은 빅커스 사로부터 라이센스 생산권을 얻고 " T-26"이라는 명칭으로 제식화하였다.
파일:Trophies of the Red Army at the exhibition 'The defeat of the White Finns': tank 'Vickers 6-ton.' Leningrad in March 1940..jpg
"백색 핀란드 섬멸" 전시회에서의 소련 육군 노획 핀란드 방위군 소속 Mk. E (Psv.K/36)
이 밖에도 겨울전쟁 당시 핀란드 방위군 소속 Mk. E (Psv.K/36)를 노획하여 쿠빙카 NIBT에서 테스트를 진행한 후, 레닌그라드 군관구 문화회간에서 개최된 "백색 핀란드 섬멸" 전시회에 전시하기도 하였다.

7.1.4. 북유럽

7.1.4.1. 핀란드
파일:800px-Vickers6ton_front.jpg
헬싱키 전쟁 박물관 소장 핀란드 방위군 소속 T-26E "Ps.161-6번차"
겨울전쟁 이전에 33대의 빅커스 Mk.E를 비무장 상태로 수입한 후 37mm Psv.K 전차포와 특수제작된 KP/-31 기관단총, 맥심 M/09-31 기관총을 현지에서 장착해 사용하였다.

그러나, 겨울전쟁 중 혼카니에미 전투 당시 소련군이 새롭게 개량한 T-26B를 투입시켰는데, 이 전투에서 패배하며 기갑전력의 격차를 뼈저리게 느낀 핀란드군은 잔존한 빅커스 Mk. E를 전량 "T-26E"로 개수하였다.

이후 1972년까지 훈련용으로 사용되다가 현재는 핀란드 각지의 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다.

7.1.5. 남유럽

7.1.5.1. 그리스 왕국
파일:greek_Vickers_Mk_E_Type_B.jpg
그리스 왕립 육군 소속 빅커스 Mk. E B형
1931년에 B형과 A형을 1대씩 수입하여 훈련용으로 사용했다.
7.1.5.2. 불가리아 왕국
파일:Bulgaria_Mk.E.jpg
불가리아 왕립 육군 소속 빅커스 Mk. F
1936년 9월 16일에 불가리아 왕립 육군은 빅커스 Mk. E B형과 빅커스 Mk F형을 총 8량을 구입했다.

빅커스 전차들은 2개의 기갑 중대에 편제되어 1941년까지 사용되었으며, 이후 1943년 9월, 이 차량은 새로 도입된 독일제 전차들과 함께 새로 만들어진 전차여단에 편제되었으나 실전을 겪지 않았다고 한다.
7.1.5.3. 포르투갈 제2공화국
파일:portugal_vickers_1.jpg
포르투갈 육군 소속 빅커스 Mk. E A형 네임드 차량 "포르투갈"
파일:portugal_vickers_2.jpg
포르투갈 육군 소속 빅커스 Mk. E B형 네임드 차량 "공화국"
각각 1량의 A형과 B형을 구매하여 사용했는데, 각 차량마다 이름을 붙여주었다고 한다.[9]

7.2. 아시아

7.2.1. 동아시아

7.2.1.1. 중화민국 국민정부
파일:Chinese_Army_VIckers_Mk.E.jpg
중화민국 국민정부 국민혁명군 소속 빅커스 Mk. E B형
중일전쟁 중 빅커스 Mk.E A형 4량, Mk.B B형 16량, 도합 20량을 수입하였으며, "빅커스 6톤 전차 (維克斯六噸戰車)"[10]라는 명칭을 부여해 제식화하였다.

그러나 워낙 전차 승무원들의 자질이 떨어지고, 제공권이 장악당하는 등의 악수가 더해져서 상하이 사변[11] 난징 전투에서 전량 격파당하거나 노획되었다고 한다.
7.2.1.2. 일본 제국
파일:Captured_IJA_VIckers.jpg
일본 제국 육군 노획 국민혁명군 소속 빅커스 Mk. E B형 "58호차"[12]
1930년 빅커스 Mk E A형 1대를 수입해 하고의 개발에 참고했으며, 중일전쟁 당시 난징 전투와 상하이 전투 당시 국민혁명군의 전차를 노획하여 사용했다.

7.2.2. 동남아시아

7.2.2.1. 태국
파일:Thai_Type_83_Light_Tank.jpg
타이 왕립 특별 기갑 차량 박물관 소장 타이 육군 소속 73식 경전차
1932년에 2포탑형 전차 10대를, 1938년에 단포탑형 전차 8대를 구입한 뒤, "73식 경전차"라는 명칭을 부여한 뒤 운용했으며, 빅커스 전차의 차체에 40mm 대공포를 얹은 드래곤 자주대공포도 26문 분량을 들여와 "76식 자주대공포"라는 명칭으로 운용하였다.

태국군이 운용한 빅커스 계열 전차들은 1941년 1월 프랑스-태국 전쟁에서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73식 경전차 3대와 76식 자주대공포 8문이 전시중에 있다.

7.3. 아메리카

7.3.1. 남아메리카

7.3.1.1. 볼리비아
파일:VIckers_Mk.E_in_LA_PAZ.jpg
라파스 육군 사관 학교 야외 전시 볼리비아 육군 소속 빅커스 Mk. E A형 "VAE 532호차"
1932년 2포탑형 1대와 단포탑형 2대를 수입하여 1933년 파라과이와의 차코 전쟁에 투입했지만 전쟁 중 1대의 단포탑형 전차가 파괴되고 나머지 2대는 파라과이군에게 노획되었다가 1994년 관계 개선을 위해 파라과이 측에서 빅커스 Mk. E A형 "VAE 532호차"와 B형의 포탑을 반환하여 현재는 라파스 시에 위치한 육군 사관학교에 야외 전시중에 있다.
7.3.1.2. 파라과이
파일:paraguay_Vickers_1.png
파라과이 육군 노획 빅커스 Mk. E A형 & 빅커스 Mk. E B형
차코 전쟁 중 A형 1량과 B형 1량을 노획하였으며, 이후 1990년대에 들어서면서 파라과이-볼리비아 양 국가간의 관계 개선을 위해 노획한 차량을 반환하였다.

8. 미디어

8.1. 영화

8.1.1. 난징! 난징!

파일:nanjing-nanjing-vickers_E_B.jpg
난징! 난징!에 등장한 국민혁명군 소속 빅커스 Mk.E B형
중국 국민혁명군 소속으로 47mm 곡사포를 장착한 B형이 등장한다.

난징에 진입한 일본군이 이를 발견한 뒤 일본군 병사 하나가 수류탄으로 확실히 처리하려 했으나 상관이 이미 격파된 놈에게 뭔 수류탄을 낭비하냐며 이를 제지한 뒤 전차를 지나치는데, 놀랍게도 전차 안에는 승무원이 아직 남아있었으며, 한눈을 파는 사이 포탑을 돌려 47mm 주포와 빅커스 동축기관총으로 일본군을 쓸어버리는 대활약을 한다.

이후 전투 중에 일본군의 하고 경전차와도 전차전을 벌이나 중과부적으로 피격당해 불이 붙고, 승무원은 탈출하였으나 직후 총격을 맞고 사망한다.

8.2. 엽서

8.2.1. 그리스 기념 엽서

파일:greek_Vickers_Mk_E_post_card.jpg
그리스 기념 엽서에 등장한 빅커스 Mk. E B형
그리스의 기념 엽서에도 빅커스 Mk. E B형이 등장했다.

8.3. 게임

8.3.1. 월드 오브 탱크

파일:vickers_mk_e_47mm.jpg
월드 오브 탱크에 등장한 국민혁명군 소속 빅커스 Mk.E B형
월드 오브 탱크에서 중국 2티어 경전차로 등장한다.

개조 사항 중, 비고증인 37mm 폼폼포와 45mm 40-K 포탑 두개가 있는데, 이 중 45mm 40-K를 선택할 시 실제 국민혁명군이 소련으로부터 공여받아 운용했던 T-26RT와는 라이트를 제외하고 완전 동일하게 변한다.

8.3.2. 워 썬더

파일:800px_Vickers_Type_E_garage.jpg
빅커스 Mk. E
파일:800px_T-26E_garage.jpg
T-26E
워 썬더에서 Mk. E (Psv.K/36)이 스웨덴 하위 트리 핀란드 트리의 1랭크 경전차로 등장하며, T-26E는 스웨덴 프리미엄 트리에 등장한다.

8.3.3. 강철의 왈츠

파일:빅커스E.png
이비 빅커스
특전차 중 경전차 중 하나로 "이비 빅커스"라는 이름을 지니고 등장하며, 2016년 10월 27일부터 11월12일까지 하는 할로윈 이벤트 때 일정한 확률로 드랍하는 랜덤박스를 사용 시 획득 가능하였다.

8.3.4. Gates of Hell

개조판인 T-26E가 핀란드군의 경전차로 등장하며 T-26과 거의 성능이 같다. 그런데 차체에 기관총 대신 기관단총이 붙어있어 대보병 화력은 떨어진다.

8.3.5. 스틸 디비전 시리즈

핀란드군이 T-26E를 사용한다. 소련제 T-26과 성능은 거의 같다.

9. 모형

9.1. 프라모델

10. 참고 문헌

11. 둘러보기

스페인 내전기의 공화군 기갑차량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스페인 내전
스페인 공화군 기갑장비
전차 <colcolor=#373a3c> 경전차 <colbgcolor=#fefefe,#393b42> T-26L, BT-5-1L, 르노 FTL, 슈나이더 CA1, 빅커스 Mk.EL, 트루비아 A4, 트루비아 나발, 바르바스트로
화염방사전차
장갑차 AAC-1937, BA-6L, 에브로, 이스파노 수이사 MC-36, UNL-35, 빌바오 모델로 1932, Constructora Field
※ 윗첨자C: 노획 차량
※ 윗첨자L:구매/공여 차량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군의 운용장비 | 파일:tank_icon__.png 대전기 기갑차량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폴란드군 기갑장비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fefefe,#c0392b> 제2차 세계 대전
폴란드군 기갑차량
전간기 차량 피우수트스키 장갑차, 포드 Tf-c, 오스틴-푸틸로프O, 제프리-포플라프코O, 가포드-푸틸로프O, 에르하르트 E-V/4O, 피어리스O, 피아트-이조르스키O, 푸조O, 카든 로이드 Mk.VIO, 르노 FTO, 르노 M26/27O, 르노 NC-27O, 피아트 3000O
전차 <colbgcolor=#fefefe,#c0392b> 탱켓 TK-3, TKF, TKS
경전차 7TP, 빅커스 Mk. EO, 르노 FTO, 르노 R35O, 호치키스 H35O
프로토타입 TK-1, TK-2, TKW, TKS-B, PZInż.160, 4TP, 9TP, 10TP, PZInż.130
페이퍼플랜 13TP, 14TP, 53TP
장갑차 경장갑차 Wz.28, Wz.34
중장갑차 Wz.29 우르수스
대전차 자주포 TKS-D
자주포 TKD
군용차량 모터사이클 MOJ 130, 소쿠우 200, 소쿠우 600, 소쿠우 1000, 포드코바 98
차량 CWS T1, PF-508 와지크, PF-518 마주르, PF-508/518, 라플리 V15RO, 르노 AGKO, PF-618 그롬, Wz.34 하프트랙, 라틸 FB6O
군용트럭 PF-621L, PF-621R, 우르수스 A, 프라가 RVO, 베를리에 CBAO, 쉐보레 157
견인차 PZInż.302, C2P, C4P, C7P, 시트로엥-케그레스 B2 10CVO, 시트로엥-케그레스 C6 P14/17/19O
자유 폴란드군 장비 르노 FT, 르노 R35, 르노 R40, A13 Mk.III, 마틸다 I, 크롬웰, 크루세이더, 처칠, M3A3 스튜어트, 셔먼 I, 셔먼 IIA, 셔먼 IB, 셔먼 III, 셔먼 V, 셔먼 VC, 셔먼 IC, Mk.I 아처, 유니버설 캐리어, M3 하프트랙, 험버 장갑차, M6 스태그하운드, 모리스-커머셜 LRC, AEC 도체스터 ACV, M10 GMC, 3호 전차G형O, 4호 전차O
폴란드 인민군 장비 T-34-76 / T-34-85, T-70, IS-2, BA-20, 윌리스 MBO, BA-64, M4A2 (76)O, BA-64, SU-76M, SU-85, ISU-122, ISU-152, 유니버설 캐리어O, M17 MGMCO
폴란드 국내군 장비 쿠부시, Sd.Kfz. 251 D형O, BA-20MO, BA-202(r)O, M14/41O, 헤처O, 4호 전차H형O, 5호 전차 판터O, 6호 전차 티거O
※ 윗첨자O: 타국에서 구매, 공여 및 노획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핀란드군 기갑장비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겨울전쟁 제2차 세계 대전
핀란드 방위군(Suomen Puolustusvoimat) 기갑차량
전차 경전차 <colbgcolor=#fff,#393b42> 르노 FT 코이라스/나라스 | Mk. E (Psv.K/18)F | MK. E (Psv.K/36)F | T-26EF | BT-5S | BT-7S | T-26A/B/C 비꾸S | KhT-130/45S/F | KhT-133/45S/F | T-50 삐꾸 솟까S | T-37S | T-38S
중(重)전차 T-28(A) 포스티바우누/포스티유나S | T-34B 솟까S | T-34/85 핏케풋끼넨 솟까S | Pz.Kpfw IV Ausf.J 넬로넨/라비스틴 | KV-1A/B 클리미S
화염방사전차 KhT-130S | KhT-133S
장갑차 L-182 | BAB AS | BAB B FAI-M/ BA-20(A)S | BAF AS | BAF BS | BAF CS | BT-43S/F | Pula-ajan panssariautoF | Sisu 장갑차F/P
돌격포 Stug III Ausf.G 수트루미 | BT-42 크리스티S/F | JSU-152S
자주대공포 ItPsv 41
화포견인차 T-20 콤소몰레츠S | T-26VS/F
구난차량 ISU-152VS/F | BA-10NS/F
훈련용 차량 카든 로이드 Mk.VI | 카든 로이드 M1933 | T-38-KVS/F | T-38-34S/F | KhT-26S | T-26TS | T-26KS/F | D-8S
※ 윗첨자S: 소련군에게서 노획
※ 윗첨자F: 자체 개발 및 개조 차량
※ 윗첨자P: 경찰용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군의 운용장비 | 파일:tank_icon__.png 대전기 기갑차량 }}}
}}}}}}

제2차 세계 대전의 불가리아군 기갑장비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colcolor=#2e8b57,#74d09d> 제2차 세계 대전
불가리아군 기갑차량
장갑차 <colbgcolor=#fefefe,#393b42> Sdkfz221, Хорх M.222 и M.223, Sd.Kfz. 232, Sd.Kfz. 250, Sd.Kfz. 251G/S, AB 41S, Sd.Kfz. 260/261S
전차 <colcolor=#2e8b57,#74d09d> 탱켓 "Ансалдо-Фиат"/"Ансалдо"
경전차 Рено, 호치키스 H35, Викерс, , T-11 Шкода, Прага, 1호 전차
중(中)형전차 소뮤아 S35, Майбах T-IV GG, Майбах T-IV HS/G, 5호 전차 판터S, T-34-85S, ВенгерS, T-34-85S
구축전차 헤처S, 4호 구축전차S, 4호 구축전차 70구경장S
돌격포 Майбах T-III, StuH 42, stormovo orvdie Maybach T-IVS,
자주포 세모벤테 L40 47/32S, 훔멜 자주포S, 베스페S
자주대공포 40M 님로드S
차량 퀴벨바겐, R-75, 오펠 블리츠
노획차량 SU-76M, T-34-76, M.28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윗첨자S: 소련군으로부터 구입한/공여받은 차량
윗첨자G: 나치 독일으로부터 구입한/공여받은 차량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소련군 기갑장비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556b2f> 겨울전쟁 소련-일본 국경분쟁 제2차 세계 대전
소련 육·해군 ·NKVD 기갑차량
전차
MS-1, V-26S, T-26A (1931년형, 1932년형), T-26B (1933년형, 1935년형, 1936년형), T-26S (1937년형, 1939년형), T-27, T-37, T-38, T-40, BT-2, BT-5, BT-7, BT-7M, T-50, T-60, T-70, T-80, T-46X, NI 전차

T-24, T-28, T-34-76 (1940년형, 1941년형, 1942년형, 1943년형), T-34E, T-34-57X, T-34-85 (D-5T) (1943년형, 1944년형), T-34-85 (S-53), T-34-85 (ZiS-S-53) (1944년형, 1945년형, 1946년형), T-44

T-35, KV-1, KV-85, KV-2, KV-220X, IS-1, IS-2, IS-3

KV-T, T-34-T, SU-85T, ISU-T

TU-26, TT-26, TT-BT-5, TT-BT-7
장갑차 D-8/12, BA-3, BA-6, BA-10, BA-11, BA-20, BA-27, BAL/BAL-M, FAI/FAI-M, BA-64, 이조르스크 장갑차
자주포 BT-7A, ZiS-30, SU-122, SU-76, SU-76M, SU-152, SU-85, SU-85M, ISU-152, ISU-122, ISU-122S, SU-100, SU-26X, SU-100YX, SU-14X
자주대공포 T-60-Z, T-90, ZUT-37, ZSU-37C, GAZ-AAA (4M), GAZ-AAA (DShK), GAZ-AA (72-K), GAZ-MM-V (72-K), ZiS-11/12(94-KM), ZiS-43
다연장로켓 BM-13, 카츄샤 다연장로켓
차량 T-20, GAZ-64, GAZ-AA, GAZ-AAA, GAZ-MM, GAZ-MM-V, UAZ-AA, GAZ-M1, GAZ-03-30, ZiS-5, ZiS-6, YAS-6, GAZ-51C, GAZ-63C, 코민테른 포병용 트랙터, 보로실로베츠 중 포병 트랙터, AT-P, GAZ-67
모터사이클 M-72
렌드리스 및 개조 차량 M3/M5 경형, M3 중형, M4A2 (75) «엠차», M4A2 (76)W «엠차», M4A2E8 «엠차», T26E3S, SU-M10X, MK-III «바랴-타냐», MK-IIIM, MK-III (F-95)X, 처칠 전차 (Mk.II, Mk.III, Mk.IV) , MK-II 마틸다, MK-II (ZiS-5), СУ-57, 스카웃 장갑차,, 브렌건 캐리어, MK-VII 테트라크X, CCKW, 윌리스 MB, DUKW, 포드 GPA, M24 채피S, M4A4S, 스튜드베이커 US6, T70 GMCX, M2 하프트랙, M3 하프트랙X, M5 하프트랙, M9 하프트랙, ЗСУ M15A1 CGMC, ЗСУ M17 MGMC, M29 위즐X, LVTX, A27M 크롬웰S
노획 및 개조차량 파일:폴란드 국기(1928–1980).svg TKS, 7TPS 파일:슬로바키아 제1공화국 국기.svg LT-40,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Т-38 프라하, Т-I, 지휘전차 КI, Т-II, Т-III, StuG SU-75, SU-76I, SG-122, Т-IV, Т-V 판터, Т-VI 티거 1X, Т-VI 티거 2S, 마우스S, 베스페 SU-105, 훔멜 SU-150, 나스호른 SU-88, 페르디난트S, 야크트티거S, M4 748(a)S, 35-R 731(f), 35-R 731(f) 20mm ShVAK 기관포 장착형, T-35 751(r), T-34 747(r), M4 748(a), 소뮤아 S35, 호치키스 H35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Т-2597 치하, 47mm 신호토 치하, Т-2595 하고, 3식 경전차 케루S 파일:헝가리 왕국 국기(1915-1918, 1919-1946).svg 35M 안살도, 40/43M 즈리니IIX, 38M 톨디 IX, 42M 톨디 IIAX, 41M 투란 IIX, 40M 님로드X, M3 중형, T-28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르노 R35, R-1, 마레샬 구축전차S, TACAM T-60S 파일:핀란드 국기.svg BT-42S, ISU-152, 코이라스, Mk. E (Psv.K/36)S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L6/40S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르노 FTX 파일:러시아 해군기.svg 헤처
프로토타입 S-51, KV-3, KV-13, A-20, A-32, A-34, A-40, A-43, A-44, T-22 그로테, T-29, T-43, T-100, T-111, T-150, SMK, IT-45, IT-76, SU-122-44, T-54C, IS-4C, IS-6, KSP-76, ZiS-41, T-34-57 1943년형
페이퍼 플랜 KV-4, KV-5, 소련의 기갑병기 설계안 중 일부, LTP, MT-25, LTG, LTTB, 오비옉트 212, ST-1
그 외 보로실로프 전차, 스탈린 전차, 소련군/차량, KhTz-16 트랙터 전차
※ 윗첨자S: 노획 혹은 공여받거나 구매했으나, 테스트 용도로만 사용하거나 운용하지 않음
※ 윗첨자C: 프로토타입 상태로 종전 후 양산 됨
※ 윗첨자X: 실전에 참여했거나 노획 혹은 공여받았으나 100대 미만의 극소량만 운용
}}}}}}}}}

제2차 세계대전기의 그리스 왕국군 기갑 차량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colbgcolor=#fefefe> 2차 세계대전
그리스 왕국군의 기갑장비
전차 <colbgcolor=#fefefe> 탱켓 L3C, 브렌건 캐리어
경전차 빅커스 Mk.E Type A, 빅커스 Mk.E Type B
중형전차 M.13/40C
장갑차 험버 Mk.II
※ 윗첨자C: 노획 차량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군의 운용장비 | 파일:tank_icon__.png 대전기 기갑차량 }}}
}}}}}}


제2차 세계 대전의 일본군 기갑장비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colbgcolor=#ffffff> 중일전쟁 제2차 세계 대전
일본 제국 육·해군·해군 육전대 기갑차량
장갑차 <colbgcolor=#fefefe,#191919> 차륜 장갑차 스미다 장갑차, 92식 장갑차, 93식 장갑차
궤도 장갑차 98식 장갑운반차 소다, 1식 장갑병차 호키
탱켓 카식 기총차, 92식 중장갑차, 94식 경장갑차 TK, 97식 경장갑차 테케
반궤도차량 1식 양장궤장갑병차 호하
철도 수송 차량 95식 장갑궤도차 소키
전차 경전차 갑식 전차, 을식 전차, 95식 경전차 하고/케고/규고, 98식 경전차 케니, 2식 경전차 케토, 3식 경전차 케루
중형전차 89식 중전차 이고/치로, 97식 중전차 치하, 97식 중전차 치하 改, 1식 중전차 치헤,
3식 중전차 치누, 4식 중전차 치토, 5호 중전차G, 3호 전차 J형G, 3호 전차 N형G
중전차 95식 중전차, 6호 중전차G
노획전차 파일:영국 국기.svg M3 스튜어트, 유니버설 캐리어 파일:호주 국기.svg 유니버설 캐리어 파일:대만 국기.svg 1호 전차, 4식 중전차 치루, 르노 FT, 빅커스 Mk.E B형 파일:소련 국기.svg BT-7, T-34B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M3 스튜어트, M4A3 (75) WB, M3 GMC
지휘전차 하고 지휘차형, 치하 지휘차형, 97식 시키
전파방출 전차 97식 카하
구난전차 특 97식 세리
지뢰제거전차 97식 치유, 97식 GS
공병전차 장갑작업기
수륙양용 특 2식 내화정 카미, 특 3식 내화정 카치, 특 4식 내화정 카츠
자주포 1식 포전차 호니 I, 1식 포전차 호니 II, 2식 포전차 호이, 3식 포전차 호니 III,
4식 포전차 호로, 12리 자주포, 5식 포전차 나토
차량 95식 4륜 자동차, 94식 6륜 트럭, 닛산 180
견인 차량 95식 13톤 견인차, 이스즈 98식 6톤 견인차 로케, 92식 8톤 견인차 니쿠, 치하 견인차, 98식 견인차 시케
오토바이 93식 측차결합 자동이륜차, 97식 측차결합 자동이륜차
프로토타입 /
페이퍼 플랜
특 1식 내화정 미샤, 특 4식 내화정 카샤, 5식 경전차 케호, 특 3호 전차 쿠로, 97식 중전차 치니, 98식 중전차 치호, 특 5식 내화정 토쿠,
시제 4식 중박격포 하토, 4식 자주포 호토, 5식 구축전차 호루, 치세, 5식 중전차 치리, 5식 포전차 호리, 100식 초중전차 오이, 5식 포전차 호치, 시제 대전차 자주포 카토
그 외 쿠겔판처G, 나가야마 전차, 98식 소형 공병전차 야이고, 이시카와지마 수륙양용 전차
윗첨자 B : 탈취한 그 전투서 바로 소모됨.
윗첨자 G : 독일에서 구매한 품목. 쿠겔판처를 제외하면 본토에서 사용되지는 않음.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군의 운용장비 | 파일:tank_icon__.png 대전기 기갑차량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포르투갈군 기갑장비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제2차 세계 대전
포르투갈군의 기갑장비
<colbgcolor=#006600> 전차 <colbgcolor=#006600> 탱켓 카든-로이드 탱켓
경전차 빅커스 Mk. E
중형전차 M4 셔먼
보병전차 밸런타인 II
장갑차 다임러 딩고, 험버, M8 그레이하운드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군의 운용장비 | 파일:tank_icon__.png 대전기 기갑장비 }}}
}}}}}}


제2차 세계 대전의 중화민국 기갑장비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중일전쟁 제2차 세계 대전
국민혁명군 기갑장비
전차 경전차 <colbgcolor=#fefefe,#393b42> 르노 FT, NC-31, 카든 로이드 Mk.VI, 빅커스 6톤 전차, 빅커스 6톤 전차 F형, 카든 로이드 M1931, 1호 전차, CV-33, CV-35, 97식 전차 치하
렌드리스 전차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M3A3, M5A1 스튜어트, M4A3, M4A4, M8 그레이하운드, LVT(A)(4) 파일:소련 국기.svg 아식 구돈반전차, BT-5 파일:호주 국기.svg 유니버설 캐리어
장갑차 차륜 장갑차 Sdkfz221, Sdkfz222, BA-10, BA-3/6, FAI, ADGZ
정찰 및 수송, 견인차량 M3 하프트랙, CCKW, M3A1 스카웃 카, 르노 UE (Chine)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대만 국기.svg 중화민국의 운용장비 | 파일:tank_icon__.png 대전기 기갑차량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태국군 기갑장비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제2차 세계 대전
태국군 기갑차량
탱켓 <colbgcolor=#fefefe,#393b42> 카든-로이드 Mk. VI, 카든 로이드 Mk. VI Modified, 포드 3t 전차
경전차 73식 경전차, 카든 로이드 A4E12, 83식 경전차, Strv L-60
자주대공포 76식 자주대공포
노획차량 르노 UE 슈니예트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군의 운용장비 | 파일:tank_icon__.png 대전기 기갑차량 }}}
}}}}}}

차코 전쟁 및 제2차 세계 대전기의 볼리비아군 기갑차량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볼리비아군 기갑차량
전차 <colcolor=#373a3c> 탱켓 <colbgcolor=#fefefe,#393b42> 카든-로이드 Mk.VI, CV.33
경전차 르노 FT, Mk. E A형, Mk. E B형, M3A1 스튜어트L
장갑차 M3 하프트랙L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윗첨자L: 랜드리스
윗첨자C:
}}}
}}}}}}

기갑차량 둘러보기
대전기(1914~1945) 냉전기(1945~1991) 현대전(1991~)




[1] 핀란드 한정. [2] 45mm 20-K 1932년형 전차포의 핀란드 방위군 제식명. [3] 1932년 6월 24일에 촬영된 사진이다. [4] 1938년 10월 1일에 촬영된 사진이다. [5] 1937년 8월 22일 촬영된 사진이다. [6] 다만, 중국 측 자료에 따라 상이한데, AB형을 합쳐 20대를 수입했다는 기록과 32대를 도입했다고 되어 있다. 장갑병단 전차대대 산하 1중대와 교도전차대에 소속. [7] 1941년 12월 5일에 "킴 뵈르크" 소위가 촬영한 사진이다. [8] 해당 단차에 달려있는 줄은 빅커스 Mk. E의 수출 성공을 나타낸다. [9] A형에는 측면에 "포르투갈"이라고 새겼으며, B형에는 "공화국"이라고 새겼다. [10] 한국 독음은 유극사육톤전차이다. 다만 중국어에서 빅이라는 발음을 사성음 웨이(維)로 치환해 부르기에 명칭이 이런 것. [11] 시가전이라는 환경과 경전차라는 한계 때문에 일본군의 94식 37mm 속사포 94식 산포에 속절 없이 격파당했다고 전해진다. [12] 상하이 전투 종결 직후 노획하였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