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8 03:14:47

코멧 전차

제2차 세계 대전기의 영국군 기갑차량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제2차 세계 대전
영국군 기갑차량
전차 탱켓 <colbgcolor=#fefefe,#191919> L3/35C
경전차 M2A4, 경전차 Mk.I, 경전차 Mk.II, 경전차 Mk.III, 경전차 Mk.IV, 경전차 Mk.V, 경전차 Mk.VIA, ,경전차 Mk.VIB, 빅커스 Mk. ET, 테트라크 I/CS, 해리 홉킨스, 하고C, 2호 전차 L형 '룩스'C
순항전차 순항전차 Mk. I (A9), 순항전차 Mk.II (A10), A13 Mk.I, A13 Mk.II, A13 "커버넌터", 순항전차 Mk.VIA 크루세이더 I/II/II CS/III (A15), 카발리어 (A24), 순항전차 Mk.VIII 센토어 I/II/III/IV/V/VI/VII/VIII/CS (A27L), 순항전차 Mk.VIII 크롬웰 I/II/III/IV/V (A27M), 챌린저 (A30), 코멧 I (A34)
보병전차 빅커스 미디엄 Mk.II, 보병전차 Mk. I "마틸다" I (A11), 보병전차 Mk.II "마틸다II" I/II/IIA/III/IV/IV CS (A12), 보병전차 Mk. III "밸런타인" I/II/III/IV/V/VI/VII/VIII/IX/X/XI, 보병전차 Mk.IV "처칠" I/II/III/IV/V/VI/VII(A22)
중형전차 그랜트 I/II/III/IV/V/VI/VII/VIII/IX, 셔먼 IC/ IC 하이브리드/ 셔먼 VC, Pz.Kpfw. T-34/85 747(r)C, 3호 전차C, 4호 전차 D/G형C
중전차 Mark VC, Mark VIC
렌드리스 차량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스튜어트 I/II/III/IV/V/VI, 채피, 리 I/II/III/IV/V/VI/VII/VIII/IX, , 셔먼 V, 셔먼 I, 셔먼 III, 셔먼 IV, 셔먼 I 하이브리드, 셔먼 II, 셔먼 IIA, 셔먼 IIAY, 셔먼 IB, 셔먼 IBY, M10 Mk.I, M10 Mk.II, T26, T26E3, "튤립" 파생형 전차 및 장갑차(M4 셔먼, 크롬웰 문서 참고.), 그레이하운드 파일:소련 국기.svg German Heavy Tank,Mark V
시험 차량 인디펜던트 (A1E1)), TOG I, TOG II*, A39 토터스, A33 엑셀시어, A38 발리언트, A7 전차, A41 센추리온A, A43 블랙 프린스
대전차 자주포 알렉토 I/II/III/IV, T48 GMCL, M10 Mk.IL, M10 Mk.IIL, M10 IC 아킬레스L/M, M10 IIC 아킬레스L/M, Mk.I 아처, AEC Mk.I 건 캐리어 디콘
보병지원용 조명전차 셔먼 CDLL/M, 마틸다 CDL, 그랜트 CDL
구난전차 크루세이더 ARV, 처칠 ARV, 그랜트 ARV
해변용 구난전차 셔먼 BARV, 그랜트 BARV
공병전차 처칠 AVRE
화염방사전차 처칠 크로커다일
지뢰제거전차 셔먼 III 크랩, 셔먼 V 크랩, 그랜트 스콜피온 III/IV, 밸런타인 스콜피온
가교전차 처칠 가교전차, 밸런타인 가교전차, 커버넌터 가교전차
자주포 섹스턴, 프리스트L, 비숍
장갑차 롤스로이스 장갑차, AEC Mk.I/II/III 장갑차, 스탠다드 비버레테, 카든-로이드 Mk.VI, 유니버설 캐리어 Mk.I, 유니버설 캐리어 Mk.II, 컨벤트리 장갑차, 다임러 AC 장갑차,
가이 장갑차, 험버 장갑차, 마몬-헤링턴 장갑차, 캥거루 APC, 란체스터 6x4 중장갑차, 테라핀 수륙양용 장갑차, ACV-IP 장갑차, M2 하프트랙, M3 하프트랙, M5 하프트랙, M9 하프트랙L, 화이트 스카웃 카L, 디어하운드L,
정찰 차량 다임러 딩고, 험버 LRC, 모리스-커머셜 LRC, 모리스-커머셜 CS9, T17E1 스태그하운드
차량 AEC "도체스터" ACV 4x4/6x6 장갑지휘차, 베드포드 QL 다목적 트럭, 베드포드 OX/OY 다목적 트럭,
오스틴 K2/Y 중 의무후송트럭(앰뷸런스), 오스틴 K3/YF 다목적 트럭, 오스틴 K5 다목적 트럭,
모리스-커머셜 C8 쿼드 FAT 포병 트랙터, 쉐보레 CMP FAT 전장전개형 포병 트랙터, 모리스-커머셜 CDSW 6x4 포병트랙터, 모리스-커머셜 C9/B 4x4 40mm 보포스 탑재형
AEC "마타도어" 포병용 중 트랙터/하프트랙, 레일랜드 리트리버 6x6 10톤 대형 수송트럭,
레일랜드 히포 MK.II 중형 다목적 트럭, 레일랜드 비버-얼(장갑화) 건트럭, GMC DUKWL, 윌리스 MBL, Sd.Kfz. 7C, Vauxhall B.T. Three-Quarter track Traclat, 스카멜 파이오니어
모터사이클 BSA M20, 로열 엔필드 WD/RE, 웰바이크
자주대공포 크루세이더 AA Mk.I, 크루세이더 AA Mk.II, 크루세이더 AA Mk.III, 경형 AA Mk.I, AEC AA, T17E2 스태그하운드
기술교류 파일:소련 국기.svg T-34-76, KV-1 1941년형
기타 전차 퍼니전차, A46, FV 시리즈, AT 시리즈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윗첨자A: 전후 도입
윗첨자C: 노획 차량
윗첨자M: 개조 차량
윗첨자L: 렌드리스 차량
윗첨자T: 훈련용 차량
※둘러보기 :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군의 운용장비 | 파일:tank_icon__.png 대전기 기갑차량
}}}
}}}}}}

파일:The_Tank_Museum_Comet_'Cestus'.jpg
Tank, Cruiser, Comet (A34)

1. 개요

코멧 A형 기동 영상
영국군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운용한 크롬웰 전차를 기반으로 개량한 순항전차. 2차대전 당시 영국군이 투입한 최후의[1] 순항전차로 그에 걸맞은 우수한 성능을 갖췄으나, 전쟁 말기에야 투입되었다.

2. 제원

Tank, Cruiser, A34 Comet
A34 순항전차 코멧
개발사 Birmingham Railway Carriage and Wagon Company
제조사 레일랜드 모터스
중량 33t
전장 6.55m
전폭 3.04m
전고 2.67m
승무원 5명
장갑 14mm~102mm
주무장 77mm Ordnance Quick Firing 17-pounder High Velocity
부무장 7.92mm Besa 2정
엔진 Rolls-Royce Meteor Mark III V12 (600hp)
변속기 Z5 Constant Mesh (5단 전진, 1단 후진)
출력비 18 hp/t
현가장치 크리스티 현가장치
항속거리 198km (도로), 119km (야지)
속도 52km/h (도로), 23km/h (야지)

3. 개발사

크롬웰 전차 순항전차의 본 개념에 어울리게 고속 기동이 가능했고, 장갑도 종래의 순항전차와 비교되지 않을 정도로 튼튼하게 만들어졌으며 신뢰성과 내구성도 우수한 전차였다. 그러나 크롬웰은 OQF 6파운더 대전차포를 상정하고 설계를 한 물건이라 더 큰 주포를 장착하기에 무리가 있었고, 이후 75mm 포로 강화 되었음에도 대전 후기에 사용하기에는 여전히 화력이 부족해서 더 강한 화력의 전차가 필요한 상황이었다.[2]

코멧이 구상될 당시에는 이미 강력한 17파운더를 장착한 A30 챌린저도 있었지만, 챌린저는 결함이 많은 사실상 실패작이라는 문제가 있었고 대량생산되지 않았다. 그리고 1943년 동년에 17파운더를 장착한 차세대 순항전차 A41 센추리온 전차 계획이 시작하긴 했지만 A41은 완성까지 시간이 더 필요했고 개발단계에서 여러 난관에 부딪치고 있었다. 영국군은 급한대로 A41이 나오기 전까지 빠르게 개발해서 종전의 크롬웰과 챌린저를 대체할 임시방편적인 새로운 고화력 전차를 필요로 했다.

챌린저의 실패 원인은 크기가 큰 17파운더[3]를 6파운더에 맞춘 크롬웰 기반 차체에 무리하게 장착한 것이 지목되었다. 거기에 엄청난 양의 포연 때문에 17파운더가 전차에 탑재되기 어렵다는 사실을 직시한 영국 육군은 화력이 감소하더라도 좀 더 작고 가벼운 포를 개발하기로 결정했다. 이에 따라 빅커스-암스트롱 사가 17파운더의 약화 버전[4]인 77mm 17파운더 HV포를 개발하였다. 영국군은 77mm 17파운더 HV가 탑재 가능한 확장된 신형 포탑을 개발하여 포탑링을 확장한(1,629 mm. 크롬웰은 1,524 mm였다.) 개량된 후기형 크롬웰(A27) 차체에 이 포탑을 올려서 생산하기로 결정했다. 이 전차가 바로 순항전차 A34 코멧이다.

코멧의 본격적인 개발은 1943년부터 시작했으며 생산은 1944년 9월부터 이루어졌다. 코멧은 더 작고 축소된 전차포를 A27의 차체에 장비해서 추가적인 개조가 별로 없을 것으로 예상되었지만 시험 결과 많은 개수가 이루어져서 코멧은 거의 새로이 설계된 새 전차로 탄생했다. 대표적으로 개발중에는 궤도 이탈 문제를 막기 위해 리턴 롤러도 추가되기도 했다. 코멧 전차의 생산은 독일 공군의 폭격 위협을 우려하여 영국 전국에 위치한 공장들로 분산되어 생산되었다고 하며, 1944년 12월에는 브뤼셀에 주둔하는 부대에 배치될 예정이었지만 아르덴 대공세가 터지면서 부대 배치는 1945년 1월로 연기되었다.

대전차 능력에서는 4호 전차 후기형, 셔먼 76mm 포 탑재형, T-34-85와 대등하거나 그 이상이었으며 APDS를 사용할 수 있었다. 종합성능에서도 4호 후기형을 능가하고 셔먼, T-34-85와 동급 이상이었다. 그러나 전쟁 말기에 투입이 시작되어 활약의 기회는 적었고, 좀더 빨리 투입되었더라도 티거 판터에 비해서는 화력과 방어력에서 불리했기 때문에 높은 전과를 올리기는 힘들었으리라고 추정된다. 물론 동급 최고의 성능[5]을 가진 중형급 전차였으므로 일찍 나오기만 했다면야 상당히 좋았을 것이다.

4. 형식

크게 대전기에 만든 A형과 전후 만든 B형이 존재하며, A형과 B형 모두 제작 시기에 따라 전기형/후기형으로 한번 더 구분되기도 한다.

또한 여러 공장에서 나누어져 생산되었기 때문에 T-34 전차 만큼은 아니지만 공장에 따라서 엔진 커버, 보기륜+허브(5종류), 유동륜(2종류), 지지롤러(2종류)같은 부품에 차이점도 몇개 있는걸로 알려졌다. 이외에도 대전기 생산 차량에는 테일램프가 우측에 1개만 달렸지만 종전 후 생산 차량에는 테일램프가 좌측에도 추가되었다.

4.1. A형

파일:A34_Comet_I_‘SPUD’.jpg
Comet Type A
2차 대전기에 생산된 사양은 코멧 Type A(A형)으로 분류되며 전기형 모델이다. 대전 당시에 3000대 분량이 주문되었지만 1945년에 2차 세계대전이 끝나면서 1186대만 생산되었으며, 2차 대전동안 26대가 전투에서 소실되었다고 한다.

A형 차량은 대부분 크롬웰 전차의 것과 비슷하게 위로 솟아오른 배기구가 적용되었다. 이 배기구에는 일명 노르망디 카울이라고 불린 굴뚝형 커버 부품을 장착하여 배기가스가 흡기로 도로 돌아오는걸 방지할 수 있었으며, 노르망디 카울은 크롬월에 쓰인것 같이 생긴 일체형과 중간이 나뉘어져있는 분할형으로 두가지 형태가 존재했다. 카울 부품을 사용할 경우 엔진룸 위에 보병 6명 정도가 배기가스에 질식할 위험 없이 탱크 데산트를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철도 수송시 포탑을 뒤로 돌린 상태에서는 카울이 포신과 간섭하므로 먼저 제거해야 했다.[6]

코멧 A형 배치가 막 시작되었을 1945년 초에 전면 방어력 강화 계획 제안되었는데, 코멧의 화력은 이전의 크롬웰보다 우수했지만 차체 장갑 설계는 크롬웰과 큰 차이가 없어서 차체 방어력이 취약하다는 한계가 지적되었다. 하지만 제대로 방어력을 늘리려고 차체 전면을 재설계할 수는 없는[7] 상황이라 결국 차체 전면 설계는 냅두는 대신에 25mm 강철판을 차체 전면에 비스듬하게 덧붙이기로 결정했다. 25mm 경사장갑을 추가한 "A34*"가 1대 제작되어 판터의 7,5cm KwK 42 L/70 전차포의 철갑탄을 방어하는지 테스트했는데, 추가 장갑이 무의미하게 차체 전면이 여전히 관통당해서 결국 25mm 경사장갑을 추가하는건 큰 의미 없다고 판단되어 무산되었다.

4.2. B형

파일:Comet_front-right_2017_Bovington.jpg
Comet Type B
코멧 B형은 전후에 제작된 사양으로, 배기구 설계를 변경하고[8], 진흙이 끼는걸 줄이기 위해 유동륜과 롤러들을 고무림이 없는 것으로 교체하고 포탑에 연막탄 발사장치를 장착하는 등의 개량을 거쳤다. 차체도 손봐서 용접 부위가 강화되었고, 엔진 흡기 시스템이 개선되는 것과 같은 업그레이드도 있었다. 참조

5. 파생형

5.1. 영국

5.1.1. 장비 추가 파생형

5.1.1.1. 코멧 크로커다일
파일:A34_Comet_Crocodile.jpg
Comet Crocodile
2차대전 종전 후에 처칠 크로커다일과 유사한 화염방사기 장착형 코멧 크로커다일이 개발되었다. T.336092번 코멧에 트레일러를 장착하고 거의 최고속도로 500마일(805km)중 반은 도로, 반은 야지를 주행하는 시험을 진행했다. 테스트 결과 고속에서 화염방사기용 연료탱크 트레일러 커플링이 파손되고 전차의 제동장치가 마모된걸 제외하면 생각보다 괜찮은 결과를 보였지만, 300마일정도 지나서 트레일러 연결부가 극한의 주행 환경을 버티지 못하고 부서졌다.

이후 코멧 크로커다일의 시험 데이터를 참고하여 당시 새로 나온 센추리온 전차에다 동일한 트레일러를 연결한 센추리온 크로커다일이 개발되었다. 사실 코멧 크로커다일은 코멧 전차를 새로 유용할 목적이 아니라, 센추리온 크로커다일의 개발을 위한 고속주행 시험용으로 만들어진 임시 시험용 차량에 가까우며 화염방사기 무장을 실제로 달았는지도 불명확하다.[9] 코멧 크로커다일은 테스트를 마치고 어떻게 되었는지는 불명확하나, 센추리온 크로커다일은 영국 육군이 화염방사전차가 앞으로의 전장에서 사용하기 부적합할 것으로 판단하면서 개발 중단되었다고 한다.

5.1.2. 자주포 개수형

5.1.2.1. FV4401 컨텐셔스
파일:FV4401.jpg
FV4401 "Contentious"
1950~60년대에 개발된 코멧 전차의 차체를 기반 공수 대전차자주포. CVR(T) 시리즈도 탄생시킨 Project Prodigal 계획의 일환으로 개발이 시작되었다.

제작된 프로토타입 차량은 대전기에 해리 홉킨스 전차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알렉토와 비슷하게 차체 상부를 거의 도려낸 개방형 전투실 레이아웃을 가졌고, 주무장으로는 20파운더가 채택되었고 자동 장전 장치가 적용되었다. 주포의 상하 가동이 제한되었기 때문에 Strv 103처럼 유기압 현가장치를 장착했다. 센추리온과 동일한 105 mm L7A1 전차포로 업건된 버전도 존재한다.

더 나아가 120mm BAT 무반동포와 M8C 스포팅 라이플 2정을 밀폐형 전투실 위에 있는 회전식 플랫폼에 달리는 마운트에 각각 장착하고, 각 포에 장갑 상자로 보호받은 리볼버식 7연발 탄창이 들어간 자동장전장치를 장착한 설계안과 목업도 제작되었다. 해당 설계안은 유기압 현가장치를 사용하지 않은 대신에 포 자체를 상하좌우로 조절할 수 있게 하였고, IS-3와 비슷한 쐐기형 형상 전면 장갑을 적용하고 궤도 상단부에도 사이드 스커트가 달렸다. 외형은 M50 온토스와도 비슷해졌다.

채택되지 않았고 현재 보빙턴 전차 박물관에 105mm 주포를 장착한 1대가 전시되어 있다.

5.1.3. 비무장 개조 파생형

5.1.3.1. 코멧 OP
파일:middle-east-comet-tanks.jpg
A34 Comet Observation Post
"코멧 OP" QF 95mm 곡사포와 유사한 가짜 포신을 장착한 포병관측용 차량으로서, 센토어 전차의 근접지원버전과 유사한 형태를 띄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원래 코멧에도 95mm 곡사포를 장착해 근접지원버전을 만들려는 계획이 있었으나, 이는 상술한 센토어 전차의 존재로 통과되지 않고 대신 팔레스타인 / 이집트 주둔군을 위한 관측용 차량으로 코멧 OP를 제작하게 되었다.

5.2. 핀란드

5.2.1. 무장 변경 파생형

5.2.1.1. 코멧 84mm 전차포 구축전차
파일:Comet_84_mm_tykilla.jpg
Panssarintorjuntavaunu Comet 84mm tykillä
"코멧 84mm 전차포 구축전차"는 1960년대 초반, 핀란드에서 코멧을 기반으로 하여 주포를 20파운더로 교체한 시제 프로젝트를 말한다.

당시 핀란드군은 105mm L7 전차포를 도입해, 기존의 전투차량에 장착하기로 결정하며, 기존의 77mm HV포를 장착한 코멧의 잉여화를 해결하기 위해 로코모 오이 사에서 프로젝트의 진행을 맡게 되었다.

그러나 1961년, 낙관적으로 보였던 핀란드의 L7 전차포 구입 프로젝트는 영국 측에서 해당 포의 생산이 제대로 개시되지 않아, 지금 구매는 매우 곤란하다는 의견을 보낸 탓에 코멧 개조 프로젝트는 초장부터 난관에 부딫히게 되었다.

결국 핀란드에서는 계획을 선회하여, 단순히 코멧의 대전차 능력을 올리기 위해 구축전차로 만든다는 목표로 진행하였으며, 1962년, 코멧 Ps. 252번차와, 체리오티어 Ps. 251번차에서 가져온 84mm 포를 장착하여 개수를 완료했으나, 1965년 여러 테스트 결과 해당 계획은 너무 많은 문제점이 있다고 판단되어 결국 계획은 중단되었다.

5.3. 남아프리카공화국

5.3.1. 비무장 개조 파생형

5.3.1.1. 코멧 AMV
파일:A34_comet_AMV.jpg
A34 Comet Armoured Maintenance Vehicle
1970년대에 남아프리카에서 올리판트 전차의 점검과 수리를 위해 코멧을 기반으로 만든 구난전차다.

총 4명이 탑승하며 차량 중량은 20톤이다. 롤스로이스 미티어 엔진과 Z5 변속기는 컨티넨탈 AVI-1790-8 V12 공랭 엔진과 앨리슨 CD 850 3단 자동변속기로 교체되었다. 추가 장비로 용접기, 하이드로베인, 1.5m~6m 크레인, 절단기, 200리터 물탱크, 예비용 윤활유 보관장비가 장비되었고 올리판트 전차용 예비 엔진 1개를 상부에 적재할 수 있다. 최대 60km/h의 속도를 낼 수 있고 방어용 장비로 연막탄 발사기 6개를 사용한다

6. 실전

6.1. 제2차 세계 대전

6.1.1. 서부전선

6.1.1.1. 독일 본토 진격전
파일:The_British_Army_Comet_in_Germany_1945.jpg
영국 육군 제11기갑사단의 코멧 A형, 1945년 3월 30일 독일
대표적으로 1945년 4월 독일에서 매복하고 있던 티거 F02호차에게 3대의 코멧이 공격당해 1대가 격파당하고, 나머지 2대는 후퇴했다가 다음날 우회공격으로 티거를 격파한 등의 사례가 있다.

6.2. 냉전

6.2.1. 6.25 전쟁

파일:7th_Royal_Tank_Regiment_Comet_Korean_War.jpg
한국전쟁 시기로 추정되는 영국 육군 제7왕립전차연대 소속 코멧
한국 전쟁 투입에 대한 논란이 있다. IWM에서 페이스북에 게시한 게시글에 따르면 위 사진의 코멧은 한국에서 촬영된 것으로 추정되나, 제7왕립전차연대의 코멧은 홍콩에서 한국전 투입 대기 중 휴전되어 홍콩에서 주둔했다.

7. 운용국

7.1. 유럽

7.1.1. 서유럽

7.1.1.1. 영국
파일:Duxford_Imperial_War_Museum_Comet.jpg
덕스포드 제국 전쟁 박물관 소장 코멧 A형 네임드 차량 "지네올레이터"
원조 사용국이자 개발국으로 1944년에 도입을 시작했고 2차 대전 종전 이후 1958년까지 운용했다.
7.1.1.2. 아일랜드
파일:Irish Defences Forces Training Centre Comet I.jpg
커리 아일랜드 방위군 훈련 기지 소장 코멧 A
1950년대 도합 8량의 개체를 영국으로부터 공여받아 사용하였으며, 현재 6량이 아일랜드 및 영국 등지에 잔존하고 있다.

7.1.2. 북유럽

7.1.2.1. 핀란드
파일:oYm1ZH3.jpg
파롤라 전차 박물관 소장 코멧 A형 Ps. 252-23호차
1960년 도합 41량의 코멧을 구입하여 제식화하였으며, 1970년대까지 일선 운용후 2007년까지 예비역으로 편제하고 있었다고 한다.

2007년에 소장 차량 중 4량을 타국에 경매로 부쳐 판매하였으며, 현재는 간간히 의장용으로 운용 중에 있다.
7.1.2.2. 스웨덴
파일:Arsenalen_Tank_Museum_Comet.jpg
아르세날렌 전차 박물관 소장 스웨덴 육군 소속 코멧 B형
1955년 영국으로부터 1대의 코멧을 구매해 테스트용도로 사용했다.

7.2. 아메리카

7.2.1. 북아메리카

7.2.1.1. 쿠바
파일:Cuban_army_A34_comet.jpg
보타니컬 가든 소장 쿠바 육군 소속 코멧
1958년 바티스타 정권이 영국으로부터 15대의 코멧을 구매해 운용했으며 혁명 직후 혁명군이 잠시 운용하다가 소련제와 체코슬로바키아제 T-34-85로 교체했다.

7.3. 아시아

7.3.1. 영국령 홍콩

파일:B-SuoO26hjsrii_5ouLqeagBiBrqOXXmwT-0ypFZlKo.jpg
홍콩 해안 경비대 박물관 소장 홍콩 주둔 영국군 소속 코멧 전차 A형 "니나"
1951년, 한국전쟁에 참전하기로 한 코멧이 제7후사르연대가 본국으로 가면서 애물단지가 되어 곤란하던 찰나, 당시 홍콩 주둔 영국군이 기갑전력이 부족하였기에 이를 인수하여 1959년까지 운용했다.

현재는 홍콩 해안 경비대 박물관에 1량이 소장되어 있다.

7.3.2. 미얀마

파일:Myanmar_parade_Universal_Carrier.jpg
2021년 열병식 참가 버마 육군 소속 코멧 A형
최장기 사용국으로, 1960년대 초 영국으로부터 도합 25량을 구매하였으며, 현재까지도 헌역으로 운용 중에 있다.

7.4. 아프리카

7.4.1. 동아프리카

7.4.1.1. 소말리아

7.4.2. 남아프리카

7.4.2.1. 남아프리카 연방
파일:South_African_National Museum of Military History Comet.jpg
남아프리카 국립 군사 역사 박물관 소장 코멧 B형

8. 미디어

8.1. 게임

8.1.1. 워 썬더

파일:GarageImage_Comet_I.jpg
코멧
파일:GarageImage_Comet_I__Iron_Duke_IV_.jpg
코멧 "Iron Duke"
파일:GarageImage_Comet_I_(Sweden).jpg
코멧 (핀란드)
3랭크 전차로 나온다.

8.1.2. 월드 오브 탱크

파일:external/wiki.gcdn.co/Comet_scr_2.jpg
월드 오브 탱크에 등장한 코멧
영국 전차 트리의 7티어 중형전차로 등장하며 고삐 풀린 망아지 같던 크롬웰의 속력이 어느정도 줄어든 대신 수직안정기가 달리기 때문에 준수한 기동간 사격능력을 보여주며 또한 동티어 최상급의 DPM을 자랑한다. 덕분에 높지만은 않은 관통을 가지고도 한번 측후면을 잡으면 고티어 전차도 순삭할 정도.

그리고 월드 오브 탱크 블리츠 에서도 역시나 동티어 최상급의 장전속도와 DPM으로 문제없이 우수한 능력을 과시한다

8.1.3. 컴퍼니 오브 히어로즈 시리즈

8.1.3.1. 컴퍼니 오브 히어로즈 이스턴 프론트
파일:external/media.moddb.com/Comet_Cromwell.jpg
컴퍼니 오브 히어로즈 이스턴 프론트의 코멧 전차
8.1.3.2. 컴퍼니 오브 히어로즈 2
파일:1659893096040.jpg
컴퍼니 오브 히어로즈 2에서 등장한 코멧 전차
You now have a New Comet Tank!
영국의 최종 테크 중 망치 업그레이드를 선택할 경우 생산할 수 있는 전차로 등장한다. 주포는 대보병과 대전차 양면에서 준수하며, 체력과 기동성도 높고 근접한 보병에게 해치를 열고 수류탄을 투척하거나 주포로 연막탄과 백린탄을 발사할 수도 있는 만능 전차였는데... 패치 때마다 온갖 너프를 먹고 가격과 나오는 타이밍에 비해 너무나도 약해져 버렸다. 이후에 다시 이런저런 자잘한 버프를 받았지만 다시 가격이 오르고 성능적으로도 너프를 먹었다.


9. 모형

9.1. 프라모델

10. 둘러보기

한국전쟁기 국군 및 유엔군의 기갑차량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한국전쟁 시기
파일:대한민국 국기(1949-1997).svg 대한민국 국군 / 파일:UN기.svg 유엔군 기갑차량
전차 경전차 <colbgcolor=#fff,#1c1d1f> M24 채피, M41 워커 불독
중형전차 M4A1, M4 컴포지트 헐, M4A3 (76) W VVSS, M4A3 (76) W HVSS, A27M 크롬웰, A34 코멧, M26 퍼싱, T-34-85C
돌격전차 M4 (105), M4A3 (105), M4 (105) HVSS, M4A3 (105) HVSS, M4 (105) 셔먼 도저, POA-CWS-H5, M4A3 (105) "포큐파인", M45 중형전차
주력전차 센추리온 Mk.3, M46 패튼, M47 패튼
중전차 A22 처칠 크로커다일, A22 처칠
구난전차 M32 TRV
장갑차 차륜장갑차 M8 그레이하운드, BA-64AC
반궤도 장갑차 M3A1 하프트랙
궤도 장갑차 M39 AUV, M44, M75, 유니버설 캐리어 Mk.I/II
상륙장갑차 LVT-3, LVT(A)-4
구난 및 견인차량 92식 8톤 견인차 니쿠?/IJA/R, M32B1A1, M32B1A2
대전차 자주포 M18 헬캣, M36 GMC, M36B2, M10 GMC, M10 아킬레스, SU-76MC
자주포 M7B1/B2 프리스트, M37 자주곡사포, M40 GMC, M41 고릴라
차량 차량 윌리스 MB, 닷지 M37
트럭 CCKW, 닛산 180IJA, 토요타 BM, GAZ-51C, GAZ-63C, ZIS-150C
자주대공포 M16 MGMC, M19 더스터
※ 윗첨자C: 노획 차량
※ 윗첨자?: 전시 중 사용 여부가 불확실하고 일부 자료에만 등장하는 차량이거나 사용 기록 실증이 되지 않은 차량.
※ 윗첨자IJA: 일제 패망 후 남겨진 차량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국군 운용무기 · 파일:미국 국기.svg 미군 운용무기·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군 운용무기 · 파일:캐나다 자치령 국기(1921-1957).svg 캐나다군 운용무기 ·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군 운용무기 ·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군 운용무기 | 파일:tank_icon__.png 냉전기 기갑차량 }}}
}}}}}}


파일:영국 국기.svg 현대 영국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영국군 (1707~현재)
His Majesty's Armed Forces
기타전차 <colbgcolor=#fefefe,#393b42> 빅커스 중형 순항전차E, 키메라, 마틸다 II Mk. II, 마틸다 II Mk. IIIR/P, 셔먼 IIAR, 셔먼 IIIAYR, 셔먼 VR, 셔먼 VCR, 셔먼 ICR, 셔먼 IC 하이브리드R, T-34-85C/R, T-34-85CZC/R
MBT <colbgcolor=#000066> 1세대 A41 센추리온R, 59식 전차T/R
2세대 FV4201 치프틴R, 빅커스 MBT Mk.(1, 2 , 3)E
3세대 FV4030/4 챌린저 1R, 빅커스 MBT Mk.(4E, 7), MBT-80
3.5세대 FV4034 챌린저 2, { 챌린저 3}
경전차 키메라, GSR 3301 세터, FV301, FV101 스콜피온R, 채피R
중전차 FV214 컨커러R, FV214SA
장갑차 차륜형 AT105C 색슨R, 험버 피그R, FV701 페렛R, FV721 폭스R, FV601 살라딘R, FV603 사라센R,
훅스 1 NBC, 부시마스터, 쿠거, 마스티프, 릿지백, 울프하운드, { MIV 복서}
궤도형 CVR(T), FV430 불독 / FV432 트로잔, FV510 워리어, FV107 시미터R, FV4333 스토머
{ 에이잭스, 아레스, 아테나, 아틀라스, 아폴로}, BvS-10 바이킹
차량 소형 핀츠가우어, 벡터, 울프, 핑크 팬더R, 폭스하운드,
MXT-MV / 허스키 TSV, 코요테 TSV / 재칼 2, {MRV-P} {MWMIK}, 판터 CLV, MRZR-D
트럭 MAN HX60 지원 차량, 베드포드 TM 6-6/4-4, FODEN DROPS, 오시코시 MTVR Mk.31,
오시코시 HET 1070F, 모바크 DURO-II/III, 알비스 스톨워트R
자주포 자주곡사포 L131 AS-90 · AS-90 브레이브하트, SP-70, FV215, M777 LIMAWS(G), FV433 애봇R, M107R, M109(A1/A2)R, M110(A2)R, 아처, { RCH 155}
자주박격포 FV432 81mm 자주박격포
대전차 자주포 SD-100C/R, FV4101 채리어티어R, M36C/R
대공 차량 자주대공포 V434 팔콘, 마크맨 대공 시스템
단거리 대공미사일 트랙드 레이피어R, 스토머 HVM
다연장로켓 MLRS
무인 차량 UGV 미션 마스터 SP
기타 FV 시리즈
※ 윗첨자R: 퇴역 차량
※ 윗첨자E: 수출용 차량
※ 윗첨자P: 의장용 차량
※ 윗첨자C: 노획 차량
※ 윗첨차T: 테스트용 도입 차량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취소선: 계획되었으나, 취소된 차량
}}}}}}}}}

파일:핀란드 국기.svg 현대 핀란드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핀란드 방위군 (1945~현재)
Puolustusvoimat | Försvarsmakten
<colbgcolor=#FFF,#191919><colcolor=#002F6C> 기타전차 <colbgcolor=#FFF,#191919><colcolor=#002F6C> '''[[경전차|
경전차
]]'''
PT-76BR | T-50 "삐꾸 소트카" C/R | T-38C/R | T-26 "비꾸"C/R | T-26ER
순항전차 코멧 Mk.I 모델 BR
중형전차 4호전차 J형 "넬로넨/라비스틴"R | T-34-85 "핏카풋키넨 소트카"C/R | T-34-76 "소트카"C/R | T-28 "포스티바우누/포스티유나"C/R
'''[[주력 전차|
MBT
]]'''
'''[[1세대 전차|
1세대
]]'''
T-55 → T-55MR | T-54-3R
'''[[2세대 전차|
2세대
]]'''
T-72M1R
'''[[3세대 전차|
3세대
]]'''
레오파르트 2A4
3.5세대 레오파르트 2A6
'''[[장갑차|
장갑차
]]'''
'''[[차륜형 장갑차|
차륜형
]]'''
XA-180 · XA-185 · XA-203 OWS "파시" | XA-300 | XA-360 AMV | 시수 GTP | RG-32M | BTR-60(PA/PB/PUM)R
'''[[궤도형 장갑차|
궤도형
]]'''
CV9030 FIN | BMP-2 → BMP-2MD FIN | MT-LB | MT-LBu | Bv 308 | Bv 206(S/D6N) | Bv 202R | NA-120GTR | BMP-1(TJ/TJJ)R | BTR-50(PK/PU/PUM/YVI)R | ATS-59R | GT-MSR | AT-SR | M2 하프트랙R
차량 '''
초소형
'''
이륜차
야마하 WR250R | 링스 GLX 5900
ATV
폴라리스 스포츠맨
소형 [[소형 전술차량|
IMV
]] 랜드로버 디펜더 110 | 벤츠 G300 · G270 CDI | UAZ-469R · UAZ-452R | GAZ-69R
민수용
벤츠 스프린터 | VW 트랜스포터 | 토요타 하이럭스
트럭
군용
시수 A2045 · E15TP · E13TP · E11T · SA-130 · SA-150 · SA-240 · KB-45R · A-45R | 벤츠 제트로스 · 유니목 | DAF YA-4442 · MMLS | KrAZ-255R | MAZ-537GR | ZiL-131R · ZiL-157R | GAZ-66R
상용
시수 SK-250 · SK-181 | 스카니아 4시리즈 · PRT-레인지 | 벤츠 악트로스 · 아테고 | 포드 템즈R
'''[[자주포|
자주포
]]'''
'''
자주곡사포
'''
155 PsH 17 K-9FIN "모우카리" | 122 PsH 74 | BT-42R
'''[[자주평사포|
자주평사포
]]'''
152 TelaK 91R
'''[[자주박격포|
자주박격포
]]'''
KrhPsajon XA-361 AMOS | NA-122
'''[[대전차 자주포|
대전차 자주포
]]'''
채리어티어 Mk.VII 모델 BR | 3호 돌격포 G형 "수트루미"R
다연장로켓 298 RsRakH 06 | 122 RakH 89 M1 | 122 RakH 76R
대공 차량 '''[[자주대공포|
자주대공포
]]'''
ItPsv 레오파르트2 마크스맨 | ItPsv 90 마크스맨R | ItPsv SU-57-2R
'''[[대공미사일|
단거리 SAM
]]'''
참고: 틀:현대전/핀란드 유도무기
지원 차량 구난차량 BPz 2 | 사우루스 FLC 3 견인차
공병차량 PiPz 2 닥스 | 시수 RA-140 DS 지뢰제거차
교량차량 레오파르트 2L | 시수 E-15TP-L 레구안 가교부설트럭 | BLG-60M2 | MTU-20R
건설기계 PS 940 백호로더 | 발멧 702R트랙터
※ 윗첨자R: 퇴역 차량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


파일:스웨덴 국기.svg 현대 스웨덴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5px -0px -11px;"
스웨덴군 (1945~현재)
Försvarsmakten
기타전차 <colbgcolor=#fefefe,#393b42> Strv m/41R, Strv m/42R, Strv 74(H/V)R, 셔먼 VX/R, 셔먼 VCX/R, 셔먼 IBX/R, 셔먼 IIIX/R, 처칠 Mk.IIIX/R, 코멧X/R, 1호 전차X/R, 5호 지휘전차 A형X/R, 티거IIX/R, Emil, Leo, Strv T-34-85X/R
MBT 1세대 Strv 81R | Strv 101(R)R | Strv 102(R)R
2세대 Strv 103(A/B/C)R | Strv 103DP | Strv 104R | Strv 105P | T-72X | UDES 15/16
3세대 Strv 121(A/B)S | Strv 122(A/B) | Strv 2000
3.5세대 Strv 122(C/D), { Strv 123A}
경전차 Pvstrv AMXX/R, CV90-105, UDEX XX-20X/R
장갑차 차륜장갑차 M8 그레이하운드C/R, U-SH, Tgb m/42R, Patgb 180S · 202 · 203S, Patgb 360, Tgb 16, 피라냐 IIIC, { Patgb 300}
궤도장갑차 M113X/R, Strf 90(B/C), Pbv 302R, Bv 308/309, Bv 206, BvS 10, Bv 202R, Pbv 301R, Pbv 401· 4020, Pbv 501R, Pvrbv 551R
차량 소형 Ptgb 5, Tgb 11 · 13 · 21, CUCV, 볼보 TP 21R · L3304R, 샌드캣
트럭 볼보 FMX · TL31R, 스카니아 4시리즈 · SBA111R, Pltgb 903R, Tgb m/1941R
자주포 자주곡사포 Bkan 1(A/C)R, 아처
자주박격포 Grkpbv 90 묠니르
돌격포 Sav m/43R | Spj fm/43(43, 43-44)P | Stug III Ausf.(D/G)X
자주보병포 Ikv 72R | Ikv 73R | Ikv 102R | Ikv 103R | Ikv 91S/R
대전차 자주포 Pvkv m/43R | Pvkv IIP | Pvkv IIIP | Pvkv IVP | Pz.Jg 38(t)X | 마르더 IIX
대공 차량 자주대공포 Lvkv m/42P | Lvkv fm/43R | VEAK 40P | Lvkv 9040
단거리 대공 미사일 Tgb 21, Lvrbv 701R, Lvrpbv 4016R, EldE 98
지원 차량 구난차량 Bgbv 120
전투공병차량 ingbv 120
교량차량 M3, BroBv 120
※ 윗첨자R: 퇴역 차량
※ 윗첨자S: 비축 차량
※ 윗첨자X: 테스트용으로만 도입(외제)
※ 윗첨자P: 프로토타입(자체 개발)
취소선: 계획 되었으나 취소된 차량(설계안)
※ 윗첨자C: 노획 차량.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군의 운용장비 | 파일:tank_icon__.png 현대 기갑차량 }}}
}}}}}}



기갑차량 둘러보기
대전기(1914~1945) 냉전기(1945~1991) 현대전(1991~)




[1] 모든 영국제 순항전차를 통틀어 마지막인 센추리온 전차는 2차대전 거의 막바지에 시험삼아 유럽 대륙을 밟아봤고 전쟁이 끝나고나서 채택되었다. [2] 관통력만 비교하면 75mm 포가 오히려 OQF 6파운더 대전차포보다 떨어진다는 평가도 있다. [3] 17 파운더는 높은 포구초속(장갑관통력)을 위해 장약을 과다하게 충전했고 따라서 반동이 강하여 이를 제어하기 위해 거대한 주퇴복좌기를 가져야했다. [4] 17파운더의 탄자를 QF 3-inch 20 cwt(1차 세계 대전 당시부터 쓰던 대공포. 45구경장)의 약협에 끼워 만든 포탄을 쓰는 것. [5] 티거는 5~60톤에 육박하는 대형전차고 판터 역시 40톤이 넘는 사실상 중전차급 체급이다. [6] 분할형 카울을 쓰면 분리하지 않고도 수송시 포신을 고정할 수 있다는 말도 있지만 확실하지는 않다. [7] 코멧은 어디까지나 A41이 나오기 전에 급하게 필요했던 임시방편이었기 때문에 재설계 때문에 배치가 늦어질 수 없는 상황이었다. [8] 크롬웰과 비슷한 기존의 굴뚝형태의 배기구가 제거되고 차체 후방에 설치한 물고기 꼬리같이 생긴 배기파이프 2개로 변경되었다. 사실 물고기 꼬리형 배기구는 2차 대전 말부터 계획되었지만 부품 수급 문제로 쓰지 못했다고 하며, B형 모델도 극초기 생산분은 기존의 배기구를 사용했다. [9] 처칠 전차는 저속으로만 달렸기에 별다른 문제가 없었지만, 더 빨리 달릴 수 있는 센추리온 전차에서는 어떻게 될지 몰라서 코멧 전차를 사용한 테스트가 개시된 것이다. 당시 기존의 순항전차와 보병전차를 통합할 것으로 예정된 센추리온이 처칠 크로커다일의 역할도 계승할 가능성도 있었기에 테스트가 진행되어야 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97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97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