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 차량의 보기륜에 대한 내용은 대차 문서 참고하십시오.
무한궤도의 구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기동륜( 유동륜) | 지지륜 | 유동륜( 기동륜) | |||||||||
보기륜 | ||||||||||||
무한궤도 ( 무한궤도/목록) · 전차 · 궤도형 장갑차 · 자주포 | }}}}}}}}} |
Bogie wheel / Roadwheel[1] |
1. 개요
Bogie wheel무한궤도에서 궤도를 통해 지면에 접촉하는 바퀴들. 차량의 중량을 분산하여 지지하고, 궤도와 함께 회전하면서 차량이 주행할 수 있도록 한다. 차량을 주행할 때 노면으로부터 발생하는 수직 운동을 서스펜션의 로드암을 통하여 회전 운동으로 바꿔서 스프링이나 쇼크 업소버 감쇠기에 전달한다.
영어로는 주로 로드휠이라는 명칭으로 부른다.
2. 특징
M1 에이브람스 전차. 바닥에 닿은 7개 바퀴들이 보기륜이다. |
M4 셔먼 전차의 보기륜 |
보기륜에는 서스펜션의 로드 암이 장착되어 있어 지면의 충격을 서스펜션이 흡수하도록 전달하며, 차량의 무게를 지면으로 골고루 배분한다. 보기륜의 개수가 많을수록 무게를 더 잘 분산시킬 수 있지만, 그만큼 정비와 관리가 불편해지기도 한다.
기동륜과 달리 보기륜에는 엔진 동력이 이어지지 않는 경우가 많아 대다수의 궤도차량은 궤도가 벗겨지면 주행이 불가능해진다. 가변축이 달린 사우러 RR-7이나 초기 크리스티 현가장치를 사용한 BT 전차같은 특수한 경우에는 후륜에 기동륜과 이어진 동력 전달 기어박스가 있어서 궤도를 벗기고도 주행이 가능하나, 이 기능은 유의미한 장점보다는 단점이 더 많다고 판단되어 금방 사장되었다.
차량 무게를 효과적으로 견디기 위해 대부분의 무거운 궤도차량들의 보기륜은 복륜 구조로 만들어진다. 이때 무한궤도의 이탈을 막기 위한 센터 가이드 혼은 궤도 중앙에 설치되어 보기륜의 안과 밖 림 사이를 통과하는 구조다. 다만 가벼운 장갑차들이나 2차 대전 초에 나온 일부 전차들의 경우 보기륜을 단륜으로 만들기도 했다. 보기륜이 단륜일 경우 궤도 이탈 방지를 위한 가이드 혼 역시 레일처럼 2줄로 설치되어 바퀴의 안쪽과 바깥에서 이탈을 막는다. 이 외에도 아래의 티거같이 단륜과 복륜 둘 다 사용하는 구조도 있다.[4]
파일:056rax6tqz611.jpg |
6호 전차 티거의 샤흐텔라우프베르크식 현가장치 |
슬랙 트랙(Slack Track)의 대표적인 예시인 소련제 T-54A 전차 |
M48 패튼 전차의 예시. 보기륜 위의 작은 바퀴들이 지지륜이다. |
STZ 공장제 1941년형 T-34-76의 철제 보기륜 |
미국 애버딘 시험장에서의 T-34-76의 고무가 장착된 보기륜 |
그렇다고 금속으로만 외부 림을 만든 경우에도 고무를 전혀 안 쓴 경우는 드물고, 휠의 허브 사이에 고무를 넣어서 충격을 흡수하게 하는 설계를 도입했다. 이런 방식으로는 접촉과 마찰에 의한 고무의 직접적인 마모를 막고 보기륜 제조에 사용되는 고무의 양을 줄이는 동시에 일단 고무의 충격 흡수 효과를 받을 수 있게 타협할 수 있었다. 그렇지만 고무가 내부에만 들어가는 구조에서는 결국 궤도와 직접 닿는 보기륜의 림 부분은 금속이기 때문에 고무 타이어를 림에 두른 보기륜보다는 주행 소음이 심할 수밖에 없다.
3. 관련 문서
[1]
그림은
헤처
[2]
기차처럼 현가장치 하나에 바퀴가 2개 장착된 경우(ex.
M4 셔먼,
센추리온 전차).
[3]
일반적인 자동차들처럼 현가장치 하나에 바퀴 하나가 장착된 경우(ex.
M24 채피, 또는
K-2 흑표).
[4]
티거 1 중기형까지는 가운데 두 줄의 보기륜들은 복륜, 최외측과 최내측 보기륜은 단륜으로 구성되었다.
티거 2는 복륜만 사용하며 보기륜도 2겹으로만 배치되며, 티거 2와 보기륜을 공유하는 티거 1 후기형은 로드암 배치 자체는 기존과 동일하지만 4번째 겹에 해당하는 최외측 보기륜들을 제거하였고, 로드암 축을 공유하는 안쪽과 밖쪽 보기륜은 단륜, 한 암에 하나만 들어가는 중간 보기륜은 복륜인 구성이다.
[5]
다만 경량화를 위해
M60 전차나
T-72처럼
알루미늄같은 다른 금속을 활용하기도 한다.
[6]
T-80부터는 다시 고무 타이어가 사용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