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3-03-18 10:44:24

VK 시리즈

제2차 세계 대전의 독일 국방군 기갑 장비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letter-spacing: -0.75px"
<colbgcolor=#484848> 제2차 세계 대전
독일 국방군 무장친위대 기갑차량
장갑차 Sd.Kfz. 3 | Sd.Kfz. 4 | Sd.Kfz. 6 | Sd.Kfz. 7 | Sd.Kfz. 8 | Sd.Kfz. 9 | Sd.Kfz. 10 | Sd.Kfz. 11 | Sd.Kfz. 250 | Sd.Kfz. 251 | sWS
Kfz. 13 | Sd.Kfz.221 | Sd.Kfz.222 | Sd.Kfz.223 | Sd.Kfz.231 | Sd.Kfz.232 | Sd.Kfz.233 | Sd.Kfz. 234/1 | Sd.Kfz. 234/2 푸마 | Sd.Kfz. 234/3 슈툼멜 | Sd.Kfz. 234/4 | Sd.Kfz. 247 | Sd.Kfz. 263
전차 Pz.Kpfw. I (Ausf.A/B/C/D/F) | Pz.Kpfw. II (Ausf.a/b/c/A/B/C/D/E/F/G/H/J/L/M)
Pz.Kpfw. III (Ausf.A/B/C/D/E/F/G/H/J/L/M/N) | Pz.Kpfw. IV (Ausf.A/B/C/D/E/F1/F2/G/H/J) | Pz.Kpfw. V 판터 (Ausf.D/A/G/F)
Pz.Kpfw. VI (Ausf.H/H1/E) | Pz.Kpfw. 티거 Ausf.B
구축전차 헤처 | 야크트판처 IV | 야크트판터 | 야크트티거
대전차 자주포 Sd.kfz. 6/3Diana | 판처예거 I | 마르더 I | 마르더 II | 마르더 III | 마르더 III (Ausf.H/M) | 판처예거 나스호른/호르니세 | 판처예거 티거 (P) 페르디난트/엘레판트 | 5cm PaK 38 auf 브루큰리거 IVc
구난전차 베르게판처 III | 베르게판처 IV | 베르게판터 (Ausf.D/A/G) | 베르게티거 | 베르게티거 (P) | 베르게헤처 38
돌격포 StuG III (Ausf.A/B/C/D/E/F/G) | StuG IV | 슈투름판처 IV | 38cm 슈투름뫼르저 | StuH 42 | StuIG 33B
자주포 슈투름판처 I | 슈투름판처 II | 슈투름판처 III | 베스페 | 그릴레 (Ausf.H/K) | 훔멜 | 뫼르저 칼 | 105mm leFH18(Sf) LrS | 150mm sFH13/1(Sf) LrS | Sd.Kfz. 4/1 | 15cm 판처베르퍼 42 auf sWS | Sd.Kfz 251/1-II
자주대공포 Sd.Kfz. 6/2 | Sd.kfz. 7/1 | Sd.kfz. 7/2 | Sd.kfz 10/4 | Sd.Kfz. 10/5 | 플락판처 IV (뫼벨바겐/비르벨빈트/오스트빈트/오스트빈트 II/쿠겔블리츠) | 플락판처 38(t) 게파트 | 플락판처 III (비르벨빈트/오스트빈트) | 플락판처 I
노획차량 및 개조품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체코 국기.svg Pz.Kpfw. 35(t) | 아틸러리 슐레퍼 35(t) | Pz.Kpfw. 38(t) | 판처예거 스코다 SIDt32(t)
파일:유고슬라비아 왕국 국기.svg Pz.Kpfw. 32 (j) | 르노 FT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M35 미틀레레 판처바겐 | Sd.Kfz. 254 | ADMK Mulus
파일:폴란드 국기(1928–1980).svg le.Pz.Kpfw. TK(p) | le.Pz.Kpfw. TKS(p) | Pz.Kpfw. 7TP 731(p) | 아틸러리 슐레퍼 C7P(p) | 아틸러리 슐레퍼 C2P(p) | 르노 FT
파일:덴마크 국기.svg Pz.Sp.Wg. L202(d) | Pz.Sp.Wg. Pansarbil m/39(d)
파일:벨기에 국기.svg 아틸러리 슐레퍼 VA 601 (b) | Pz.Sp.Wg. VCL 701(b) | Pz.Kpfw. AMC 738(b) | 판처예거 Sfl. CL 801(b) | 판처예거 VA 802(b) | 르노 FT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Pz.Sp.Wg. DAF 201(h) | Pz.Sp.Wg.L202(h) | Pz.kpfw. FT 731(h)
파일:프랑스 국기.svg Pz.Sp.Wg. Wh 201(f) | Pz.Sp.Wg. Laf 202(f) | Pz.Sp.Wg. 203(f) | Pz.Sp.Wg. P204(f) | 5cm KwK38 L/42 아우프 Pz.Sp.Wg. P204(f) | Pz.Sp.Wg. 178 P204(f) 쉬넨판처 | 라이히터 슈츤판처바겐 U304(f) | 2 cm Flak 38 leSPW U304(f) | 3,7 cm PaK 36 아우프 leSPW U304 (f) | Le.Zgkw. S307(f) | 미틀레러 게판처터 주크카프트바겐 S307/303(f) | 미틀레러 슈츤판처바겐 S307/303(f) | SPW S307/303(f) mit 라이헨베르퍼 | 7.5 cm Pak 40 아우프 m SPW S307/303(f) | 8 cm R-비파흐베르퍼 아우프 m.gep.Zgkw. S307/303(f) | 판처예거 mit 7,5 cm Pak40 아우프 파크슈텔 S307(f) | 15 cm 판처베르버 42 아우프 m.gep Zgkw. S307/303(f) 네벨베르퍼 41 | 로렌 슐레퍼(f) | 판처예거 로렌 슐레퍼 mit 47 mm Pak 181(f) | 베오바흐퉁스바겐 아우프 로렌 슐레퍼 | 판처 I turm 아우프 로렌 슐레퍼(f) | 12.2 cm FK (r) 아우프 게슈츠바겐 로렌 슐레퍼(f) | 19.4 cm 카노네 485 (f) 아우프 젤브스트파라페트 | 19,4 cm 카노네 485/585 (f) | 28 cm 뫼르저 602(f) 아우프 젤브스트파라페트 | 인판터리 슐레퍼 UE 630(f) | 3.7 cm Pak 36(Sf) 아우프 인판터리 슐레퍼 UE 630(f) | 28/32 cm 부르프라멘(Sf) 아우프 인판터리 슐레퍼 UE 630(f) | 무니티온-슐레퍼 아우프 인판터리 슐레퍼 UE 630(f) | 지히훙스파초이크 UE(f) | Pz.Sp.Wg. VM 701(f) | Pz.Sp.Wg. ZT 702(f) | 8cm 슈위허 그라나트베르퍼 34 아우프 Pz.Sp.Wg. AMR35(f) | Pz.kpfw. 17R 730c(f) | Pz.Kpfw.17R 730m(f) | Pz.Kpfw. 18R 730(f) | Pz.Kpfw. 35R 731(f) | Pz.Kpfw 35R 731(f) mit MG34 | Pz.Kpfw. 35R 731(f) mit T-26 Turm | 4.7 cm PaK(t) (Sfl.) 아우프 Fgst.Pz.Kpfw. 35R 731(f) | Pz.Kpfw 40R 736(f) | Pz.Kpfw. D-1 732(f) | Pz.Kpfw. D-2 733(f) | Pz.Kpfw. 35H 734(f) | Pz.Kpfw. 38H 735(f) | 무니티온-슐레퍼 38H 735(f) | 아틸러리-판처-베오바흐퉁 38H 735(f) | 운 그호서 풍크 운트 베페츠바겐 38H 735(f) | 무니티온-슐레퍼 39H 735(f) | 10.5cm leFH18(Sf) 아우프 게슈츠바겐 38H(f) | 부르프라멘 35H (f) | Pz.Kpfw. FCM 737(f) | 7.5 cm Pak 40 아우프 게슈츠바겐 FCM 36(f) | 7.5 cm Pak 40/1 아우프 Lorraine 슐레퍼(f) | Pz.Kpfw. 35-S 739(f) | Pz.Kpfw. B-2 740(f) | 105mm leFH 18/3 아우프 Gw B-1/B-2 740(f) | Pz.Kpfw B-1 Flamm | Pz.Kpfw. 770(f) | Pz.Kpfw. 612
파일:소련 국기(1936-1955).svg Pz.Sp.Wg. BA 202(r) | Pz.Sp.Wg. BA 203(r) | 게판처트 아틸러리 슐레퍼 630(r) | 3,7 cm PaK 35-36 아우프 게판처터 아틸러리 슐레퍼 630(r) | 슈윔 Pz.Kpfw. T-37 731(r) | 슈윔 Pz.Kpfw. T-38 732(r) | 슈윔 Pz.Kpfw. T-40 733(r) | Pz.Kpfw. T-26A 737(r) | Pz.Kpfw T-26A 737(r) mit 75 mm Pak 97/38(f) | Pz.Kpfw. T-26B 738(r) | Pz.Kpfw. T-26B 738(r) mit 75 mm Pak 97/38(f) | Pz.Kpfw. T-26C 740(r) | 7,5 cm Pak 97/38(f) 아우프 740(r) | 플라멘베르퍼 Pz.Kpfw. T-26S 739(r) | Brücke Pz.Kpfw. T-26 741(r) | T-26T | 플라멘베르퍼 Pz.Kpfw. T-26B 739(r) | Pz.Kpfw.BT 742(r) | Pz.Kpfw. T-60 743(r) | Pz.Kpfw. T-70 743(r) | Pz.Kpfw. T-34/85 747(r) | Pz.Kpfw. T-28 746(r) | Pz.Kpfw. T-34/76 Ausf.A 747(r) | Pz.Kpfw. T-34/76 Ausf.B 747(r) | Pz.Kpfw. T-34/76 Ausf.C 747(r) | Pz.Kpfw. T-34/76 Ausf.D 747(r) | 플락판처 T-34 747(r) | 베르게판처 T-34 | Pz.Kpfw. T-28V(T-28B) 748(r) | Pz.Kpfw. T-35A 751(r) | Pz.Kpfw. T-35C 752(r) | Pz.Kpfw. KV-IA 753(r) | Pz.Kpfw. KV-IB 755(r) | Pz.Kpfw. KV-IB 755(r) mit 7.5cm KwK 40 L/43 | Pz.Kpfw. KV-IC 756(r) | 베르게판처 KV-I | (슈투름)Pz.Kpfw. KV-II 754(r) | 야크트판처 SU-76(r) | 야크트판처 SU-76M(r) | 야크트판처 SU-85(r) | 야크트판처 SU-100(r) | 슈투름게쉬츠 SU-122(r) | 슈투름 Pz.Kpfw. SU-152(r) | 슈투름 Pz.Kpfw. ISU-152(r) «도젠외프너» | 야크트판처 SU-76I(r) | Mk.V | Pz.Kpfw. 처칠 | Pz.Kpfw. M3 747(a) | Pz.Kpfw. M4A2 748(a) | Pz.Kpfw. IS-2(r)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캐나다 자치령 국기(1921-1957).svg Panzerspähwagen Marmon-Herrington(e) gep.M.Trsp.Wg Bedford(e) | "Mammuth" | Pz.Sp.Wg. Mk l 202(e) | Pz.Sp.Wg. Mk.I bis III 202(e) | gep.M.Trsp.Wg Bedford(e) | Gepanzerter Maschinengewehrträger Bren 731(e) | 판처예거 Bren 731(e) | Gep. MG-Träger Br 731(e) mit 3,7cm Pak35/36 | 4.7cm PaK 188(h) auf Sfl. Bren 731(e) | 25mm Pak 112/113 auf Sfl. Bren 731(e) | 2.8cm sPzB.41 auf Sfl. Bren 731(e) | 라이히터 Pz.Kpfw Mk.II 733(e) | 라이히터 Pz.Kpfw Mk.II 734(e), 라이히터 Pz.Kpfw Mk.II 735(e) | 라이히터 Pz.Kpfw Mk.II 736(e) | 라이히터 Pz.Kpfw Mk.II 737(e) | 크로이처 Pz.Kpfw Mk.I 741(e) | 크로이처 Pz.Kpfw Mk.II 742(e) | 크로이처 Pz.Kpfw Mk.II 743(e) | 크로이처 Pz.Kpfw. Mk IV 744 (e) | Kruizer Pz.Kpfw Mk.V 745(e) | 크로이처 Pz.Kpfw Mk.VI 746(e) | 인판터리 Pz.Kpfw Mk.I 747(e) | 인판터리 Pz.Kpfw. Mk.II 748(e) | 인판터리 Pz.Kpfw. Mk.II 748(e) mit 5cm KwK 38 L/42 Oswald | Pz.Kpfw. Mk.III 749(e) | 인판터리 Pz.Kpfw. Mk.IV(e) Churchill | 셔먼 VC | 판처예거 M10 (e) Achilles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Pz.Sp.Wg. Ford M8/M20 (a), 게판처터 만샤프트트란스포트바겐 M3 401(a), Gep.M.Trsp.Wg. M3 401(a) mit 부르프라멘40, Pz.kpfw. M3 740(a), Pz.Kpfw. M5A1 (a), Pz.Kpfw. M3 747(a), Pz.Kpfw. M4 748(a), BPz 748(a), Pz.Kpfw. M4 748(a), BPz 748(a), 판처예거 M10 (a)
파일:헝가리 왕국 국기(1915-1918, 1919-1946).svg 38M 톨디I(u), 42M 톨디II(u), 40/43M 즈리니 II (u), 40M 님로드 (u), 40M 투란I (u), 40M 투란II(u), 39M 차바 (u)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Pz.Sp.Wg. AB41 202(i), Pz.Sp.Wg. AB43 203(i), Pz.Sp.Wg. 란치아 1ZM (i), Pz.Sp.Wg. Lince 202(i), 게판처터 만샤프트트란스포트바겐 S 37 250(i), Pz.Kpfw L3/33(Flamm), Pz.Kpfw CV 35 731(i)/ Pz.Kpfw L3/35 731(i), Pz.Kpfw L3/33(Flamm) / L3/35 (Flamm) 732(i), Pz.kpfw. L6/40 733(i), Pz.kpfw. M11/39 734(i), Pz.kpfw. M13/40 735(i), Pz.kpfw M14/41 736(i), Pz.Kpfw. P40 737(i), Pz.Kpfw. M15/42 738(i), 슈투름게쉬츠 L6 mit 47/32 770(i), 판처베펠츠바겐 M41 771(i), 게판처트 젤브스트파라페트 90/53 831(i), 슈투름게쉬츠 M40 mit 75/18(i), 슈투름게쉬츠 M42 mit 75/18 (i)/Pz.bef.Wg M42 850(i), 슈투름게쉬츠 M42M mit 75/34 852(i), 슈투름게쉬츠 M42L mit 105/25 853(i), 슈투름게쉬츠 M42T mit 75/46 (i), 슈투름게쉬츠 M43 mit 75/34 851(i) , 슈투름게쉬츠 M43 mit 75/46 852(i), 슈투름게쉬츠 M43 mit 105/25 853(i), Gepanzerte 젤브스트파라페트 M43 149/40 854(i) }}}}}}}}}
프로토타입 T-25, 경 트랙터, 대형 트랙터, Pz.Kpfw. Nb.Fz, 호이슈레케 10, D.W.1/2, 5/4호 전차, VK 시리즈, 기갑 자주포, VK 30.01 / 02, VK 36.01, VK 45.01(P), VK 45.02(P), VK 65.01, 판터 2, 8호 전차 마우스, E-100, 게쉬츠바겐 티거, 로이머 S, Kätzchen 병력수송장갑차, 8,8cm 바펜트레거
페이퍼 플랜 3/4호 전차, VK 16.02 레오파르트, 7호 전차 뢰베, 9 / 10호 전차, E 시리즈, 1인용 경전차 시안 "마우스", 슈투름판처 Bär, 슈투름판터, P.1000 라테, P.1500 몬스터, 마레샬 구축전차
차량 독일 국방군/차량, 퀴벨바겐, 슈빔바겐, 슈타이어 1500A, Büssing-NAG T500, Büssing-NAG G31, Büssing-NAG L4500, 오펠 블리츠, 포드 B3000S, V3000S, V3000A, 보르크바르트 B3000, 메르세데스-벤츠 G5, 메르세데스-벤츠 L1500, 메르세데스-벤츠 L3000, 메르세데스-벤츠 LG3000, 메르세데스-벤츠 L4500, 메르세데스-벤츠 L6500, 크루프 프로체, 타트라 T111
모터사이클 DB / DBK, KS 750, 케텐크라프트라트, R-75
그 외 동부용 궤도형 트랙터, 동부용 차륜형 트랙터, 수륙양용 트랙터, 골리아트 지뢰, 보르크바르트 4호, 스프링거 무인자폭차량, VsKfz 617, 쿠겔판처
기타 독일 기갑 병기의 역사와 루머
※ 당시 독일은 고질적인 무기부족, 점령국가의 치안을 이유로 기존의 노획 전차 및 차량(Beutepanzer)에 새로운 제식명을 붙여 사용했다.
}}}}}}}}}

1. 개요2. 전차 목록
2.1. VK 6.022.2. VK 9.012.3. VK 9.03 / 13.032.4. VK 16.012.5. VK 16.022.6. VK 18.012.7. VK 20.01/02
2.7.1. VK 20.01(D)2.7.2. VK 20.01(K)2.7.3. VK 20.01(M)2.7.4. VK 20.02(M)2.7.5. VK 20.01(R)2.7.6. 제원
2.8. VK 24.01(M)2.9. VK 28.01
2.9.1. 제원
2.10. VK 30.01/022.11. VK 36.01 (H)2.12. VK 45.012.13. VK 45.02/032.14. VK 65.012.15. VK 70.012.16. VK 72.012.17. VK 100.01
3. 미디어4. 둘러보기

1. 개요

VK 시리즈에서 Vk는 Versuchskonstruktion(Experimental design 즉 실험용 설계/디자인), Vollkettenfahrzeug(Full-tracked motor vehicle 즉 궤도로 움직이는 차량)을 의미하며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독일 육군 병기국(Waffenamt)에서 개발중인 프로토타입 전차에 지정한 코드번호와 그 코드번호가 붙은 일련의 전차 시리즈를 의미한다.

타국에는 미국 기갑병기 설계안, 소련 기갑병기 설계안, 영국 기갑병기 설계안, 중국의 WZ번호 등이 있지만 하나같이 사용방식이 다르다.

VK라는 이니셜은 Versuchskonstruktion, 즉 시험제작형을 뜻하고, 바로 뒤에 오는 숫자 2자리는 중량 급수를 나타내며, 뒤의 번호는 X번째 차량이라는 의미. 괄호에 붙은 알파벳은 그 시제차량을 설계한 회사의 이니셜이다.

이러한 명명법에 따라 VK 45.01(H)이라는 코드를 풀어서 해석하면 헨셸(H)에서 설계한 45톤급(45) 차량 중 1번째(01)로 설계된 차량이라는 뜻이 된다.

다만, 코드네임의 숫자는 오직 중량과 제작사, 동일 계열의 차량만을 알려주는 것이기 때문에 코드네임의 순서가 개발 순서를 뜻하는게 아님을 유의할 필요가 있다.

일단 전후의 계획으로 갈수록 전차의 중량이 점점 증가했기에 전차 중량을 뜻하는 숫자가 큰 프로젝트가 대개 나중에 시작된 프로젝트이기는 하나, VK 65.01의 경우처럼 대전 초에 시작된 프로젝트도 있어 절대적이라고는 볼 수 없다. 게다가 판터와 티거 2의 경우에 이르면, 성능 향상을 위해 초기의 프로젝트보다 중량을 10톤 이상 증가시켰음에도 이전의 프로젝트에서 이어진 후속 프로젝트라는 이유로 중량 코드를 그대로 유지하였기 때문에 실제 차량의 중량과 코드네임의 중량이 맞지 않는 현상이 발생하기도 했다. 단적인 예로는 개발과정에서 코드네임의 중량(VK 100)보다 100톤 이상 무거워진 마우스를 들 수 있다.

VK 20시리즈, VK 30시리즈

2. 전차 목록

2.1. VK 6.02

파일:external/www.panzerkaput.ru/52755490.jpg
VK 6.02
1호 전차 D형의 프로토타입이다.

2.2. VK 9.01

1938년 M.A.N.사에 의해 설계된 2호 전차의 개념안. 속도를 중시하였다. Maybach HL 45엔진을 탑재하여 150마력을 기록했다.

2.3. VK 9.03 / 13.03

파일:external/www.panzerkaput.ru/08320307.jpg
VK 9.03 / 13.03
1940년 VK 9.01의 생산버전인 VK 9.03이 만들어진다. VK 9.03은 Maybach HL 66엔진을 탑재하여 3000rpm에서 180마력을 기록했으며 최대속도는 도로에서 60km/h를 기록했다. 3명의 승무원이 탑승하는 Pz.Kpfw.Ⅱ Ausf.H와 4명이 탑승하는 Pz.Kpfw.Ⅱ.Ausf M의 두 가지 형태가 만들어졌다.

M.A.N.사는 1941년 1월 8일 500대의 VK 9.03을 생산하라는 명령을 받았으나, 1941년 8월 1일 250대의 VK 9.03과 250대의 VK 13.03으로 변경되었다.

1942년 시험 도중 여러 문제가 발생하여 VK 9.03설계는 폐기되었으며, VK 13.03을 생산하게 된다.

2.4. VK 16.01

파일:external/1.bp.blogspot.com/Vk+1601+j.jpg
VK 16.01
파일:external/i1197.photobucket.com/3038317777_2_7_E8aWqz43_zpsd911b6ff.jpg
1호 전차 F형과 같이 찍은 사진
2호 전차 J형의 프로토타입이다. 장갑을 개량한[1] 정찰전차이고 2호 전차의 개량형이다.

2.5. VK 16.02

파일:external/wiki.gcdn.co/283px-VK_1602_Leopard_pic3.jpg
VK 16.02 Leopard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VK 16.02 레오파르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6. VK 18.01

파일:external/c7.staticflickr.com/5023551830_44ca8e935a.jpg
VK 18.01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1호 전차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7. VK 20.01/02

3호, 4호 전차에 이은 차기 주력전차 프로젝트. 만 사, 크루프 사, 다임러 벤츠 사가 참여하였다.

3/4호 전차와 큰 차이가 없는 규격의 전차에 조금 더 강한 출력의 엔진과 조금 더 두꺼운 장갑을 적용하는 것이 목표였다. 그러나 독소전쟁을 기점으로 전차들의 성능이 상향평준화되기 시작해 3/4호 전차의 업그레이드 정도로는 전장 상황을 따라잡기 벅차게 되자 이들 설계안은 주력전차로써 사용할 수 없게 되었고, 결국 프로젝트는 폐기되고 주력전차 계획은 VK 30.01(1941) 계획으로 이어진다.

2.7.1. VK 20.01(D)

파일:external/wiki.gcdn.co/311px-VK_20.01_(D)_2.jpg
VK 20.01(D)
다임러-벤츠사에서 1939년에서 1941년까지 개발된 중형 전차 시제품이자 VK 20 시리즈 중에서 유일하게 실제 시제품이 제작된 전차이다. 본래 2차 대전 중 육군의 표준 중형 전차로 채택될 예정이었다. 생산된 시제 전차는 동부 전선에 배치되었으나, 실전 테스트 동안 수많은 문제점이 발견되었으며 결국 1941년 부적합 판정을 받고 기획안이 취소되었다. 이후 시제 전차는 베를린 공방전에서 격파되었다고 한다.[2]

2.7.2. VK 20.01(K)

파일:external/pp.vk.me/0GdZAz9XOFw.jpg
VK 20.01(K)
1940년 5월 경 5cm KwK L/42 전차포와 Maybach HL 116혹은 HL 115엔진을 탑재하도록 Krupp사에 의해 설계되었다. 전면장갑은 50mm, 측면과 후면은 30mm였으며 나무로 된 목업이 만들어졌다.

2.7.3. VK 20.01(M)

파일:external/pp.vk.me/_nxRVgE4m2Y.jpg
VK 20.01(M)
MAN 사에서 개발한 시제 차량.

2.7.4. VK 20.02(M)

파일:external/pp.vk.me/CJMO70ZaVRE.jpg
파일:external/pp.vk.me/904HrAsUAYo.jpg
VK 20.02(M)
만사에서 내놓은 VK 20.01을 잇는 계획안.

VK 20.02(M)의 설계를 나중에 만사가 5호 전차 판터를 설계할 때 참조했다고 한다.

2.7.5. VK 20.01(R)

파일:external/www-d0.fnal.gov/pz4_rh.jpg
VK 20.02(R)
1935~36년 사이에 라인메탈에 의해 개발된 4호전차의 멀고 먼 조상 쯤 된다. 노이바우파초이크의 현가장치 구조를 사용했다.

2.7.6. 제원

성능: VK 20.01 (D)
무게 22.2톤
길이 5.13m (차체)
3.02m
높이 2.70m
승무원 5명
장갑 20 ~ 50mm
주포 42구경 50mm 전차포 KwK38×1 (100발)
또는 60구경 50mm 전차포 KwK39×1 (90발)
또는 24구경 75mm 전차포 KwK37×1 (50발)
부무장 7.92mm 경기관총 MG34×1 (?,???발)
엔진 다임러-벤츠사 MB809 V형 ? 기통 디젤 (400마력)
톤당 마력 17.9 hp/t
항속거리 150 km
최대속도 50 km/h
성능: VK 20.01 (K)
무게 21.5톤
길이 5.20m (차체)
2.95m
높이 2.50m
승무원 5명
장갑 20 ~ 50mm
주포 42구경 50mm 전차포 KwK38×1 (??발)
또는 60구경 50mm 전차포 KwK39×1 (??발)
또는 24구경 75mm 전차포 KwK37×1 (??발)
부무장 7.92mm 경기관총 MG34 ×1 (?,???발)
엔진 마이바흐사 HL116 V형 6 기통 가솔린 (300마력)
톤당 마력 20.0 hp/t
항속거리 150 km
최대속도 56 km/h
성능: VK 20.01 / 02 (M)
무게 23.0톤 / 24.0톤
길이 5.31m (차체) / 5.58m (차체)
3.00m
높이 2.57m / 2.69m
승무원 5명
장갑 20 ~ 50mm
주포 42구경 50mm 전차포 KwK38×1 (??발)
또는 60구경 50mm 전차포 KwK39×1 (??발)
또는 24구경 75mm 전차포 KwK37×1 (??발)
부무장 7.92mm 경기관총 MG34×1 (?,???발)
엔진 마이바흐사 HL90 V형 6 기통 가솔린 (360마력)
톤당 마력 14.0 hp/t
항속거리 150 km
최대속도 55 km/h
성능: VK 20.01 (R)
무게 30.0톤
길이 7.40m (차체)
2.00m
높이 3.00m
승무원 4명
장갑 20 ~ 50mm
주포 42구경 50mm 전차포 KwK38×1 (??발)
또는 60구경 50mm 전차포 KwK39×1 (??발)
또는 24구경 75mm 전차포 KwK37×1 (??발)
부무장 7.92mm 경기관총 MG34 ×1 (?,???발)
엔진 마이바흐사 HL116 V형 6 기통 가솔린 (300마력)
톤당 마력 1?.? hp/t
항속거리 150 km
최대속도 35 km/h

2.8. VK 24.01(M)

파일:external/pp.vk.me/p7bdzvAe1Hg.jpg
VK 24.01(M)
전후에 판터의 설계에 영향을 미친 전차로서 MAN사에 의해 언급되었다는 듯하나, 상세한 자료는 발견되지 않았다.

2.9. VK 28.01

파일:external/lh5.googleusercontent.com/mzpanzertn1.jpg
VK 28.01
기갑 부대의 표준 정찰용 경전차로 계획되어 차체는 여러 용도로 대공 차량등의 플랫폼으로 사용되거나 철로에서 이동 가능할 예정이었으나 독일이 패망한 탓에 정식 양산은 되지 않았다.

2.9.1. 제원

분류 경전차
개발 Daimler & Benz
생산연도 생산 개체 없음
총 생산량 0기
성능
무게 28.8톤
길이 6.44m
3.27m
높이 2.80m
승무원 5명
장갑 20 ~ 70mm
주포 43구경 75mm 전차포 KwK40×1 (87발)
부무장 7.92mm 경기관총 MG42 (?,???발)
엔진 마이바흐사 HL210 P30 V형 12 기통 가솔린 (650마력)
톤당 마력 24.7 hp/t
항속거리 300 km
최대속도 68 km/h

2.10. VK 30.01/02

파일:external/ost-front.ru/vk3001h_1.jpg
VK 30.01 (H)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VK 30.01 / 02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11. VK 36.01 (H)

파일:external/moderndrawings.jexiste.be/VK3601(H)_1.ppvr.jpg
VK 36.01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VK 36.01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12. VK 45.01

파일:q49e86jefl861.jpg
VK 45.01(H)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VK4501_Tiger%28P%29.jpg
VK 45.01(P)
45톤급 중(重)전차 개발 프로젝트. 채택된 VK 45.01(H)는 6호 전차라는 제식명칭을 받고 양산되어 6호 전차 티거가 된다. 일단 두 전차 모두 포르쉐 박사가 설계한 포탑을 장착하였다. VK 45.01 (P)의 경우 3대가 개발용 프로토타입 포탑을 사용하였으며 5대의 프로토타입형 VK 45.01(P)중 크머스도르프의 1대는 티거2의 주포를 시험 장착하였다. 포탑은 당연히 프로토타입 포탑이다.

2.13. VK 45.02/03

파일:external/thearmoredpatrol.files.wordpress.com/twghxyo33ji.jpg
VK 45.03(H)
파일:attachment/VK_4502_P/typ_180_1.gif
VK 45.02 (P) Ausf. A
파일:attachment/VK_4502_P/typ_180_2.gif
VK 45.02 (P) Ausf. B
45톤급[3] 중(重)전차 개발 프로젝트 2. 티거 2의 개발 프로젝트이다.

1943년, 히틀러는 헨셸 사와 포르셰 사에 장포신 8.8cm 주포를 탑재하고 전면 150mm, 측면 80mm의 경사장갑을 갖춘 새로운 중(重)전차의 설계를 명령한다. 티거 때와 마찬가지로 헨셸 사와 포르쉐 사가 경합에 참여하였으며, 물론 티거 때와 같이, 포르셰 사의 설계안은 헨셸의 설계안(VK 4503(H)-현재의 티거 2)에 밀려 미채용되었고, 헨셸의 차체에 4502(P)용으로 개발된 곡면형 포탑을 탑재해 양산된 것이 티거 2이다.

2.14. VK 65.01

해당 문서 참조

2.15. VK 70.01

파일:external/orig03.deviantart.net/pz_kpfe_vii_lowe_by_nicksikh-d3ihagy.jpg
VK 70.01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7호 전차 뢰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16. VK 72.01


2.17. VK 100.01

파일:external/2.bp.blogspot.com/image_516f868eea57b.jpg
VK 100.01
100톤급 초중전차 프로젝트. 마우스 전차의 프로젝트이다.

사실 마우스는 고작 시제기가 두대 생산된 차량이고 양산이 안 된 차량이니만큼 시제차량을 뜻하는 VK 넘버링을 그대로 달고 있어야 했겠지만, 8호 전차라는 제식명칭을 부여받아 양산될 예정이기 때문에 VK 넘버링이 붙지 않은 것이다.

3. 미디어

3.1. 게임

3.1.1. 월드 오브 탱크

파일:external/wiki.gcdn.co/VK_28.01_scr_3.jpg
VK 28.01
독일 트리의 대부분을 VK 시리즈가 차지하고 있다. 타국의 실험 전차들은 고유의 이름이 존재하는 경우가 있지만,[4]독일의 경우 실험용 전차에 붙이는 VK 네이밍을 그대로 사용한 것이다. 소련도 비슷한 것이 있는데, Object[5] 시리즈가 그것이다.

4. 둘러보기

기갑차량 둘러보기
대전기(1914~1945) 냉전기(1945~1991) 현대전(1991~)





[1] 전면장갑이 무려 80mm였기에 베이비티거 라고도 불렸다. [2] 소련군이 크게 관심을 가지지는 않은 탓인지, 안타깝게도 현재 격파된 VK 20.01(D) 사진은 남아 있지 않다. [3] 45라는 중량 구분은 판터와 마찬가지로 티거 2가 티거 프로젝트에서 이어진 후속 차량이었기 때문이지 시제 차량의 무게가 45톤이었다는 이야기가 아니다. 티거 2의 중량은 70톤에 육박했다. [4] 없는 경우에는 워게이밍의 창작력으로 만들어 낸다. [5] 인게임 약칭 Obj.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