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2-28 17:47:44

PL-01

파일:폴란드 국기.svg 현대 폴란드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fff> 폴란드군 (1990~현재)
Wojsko Polskie
기타전차 셔먼 VCR, T-34-85M1/M2R, IS-2R, IS-3R
MBT <colbgcolor=#fff> 1세대 T-55(A/L/AM1 · M2) MéridaM/R
2세대 T-72A
3세대 T-72(M/M1 · 1D) Jaguar, PT-91(MA/MA1) 트바르데M,
레오파르트 2(A4/A5), M1A1SA
3.5세대 레오파르트 2PL, M1A2 SEP v3, K2GP, { K2PL}
경전차 PT-76BR, PL-01, WPB 안데르스
장갑차 차륜장갑차 쿠부시R, KTO 로소막, BRDM-2, SKOT-(1A/2A · 2AP), BTR-40R
궤도장갑차 TOPASR, BWP-1(C/D), BWP-2(D)R, MT-LB, { BWP 보르숙}, {CBWP 사업 K-9 차대기반}, BWP-2000, WPB 안데르스
차량 소형 { K-151 레그완}, 타르판 혼커 2000 · 스콜피온 · 스콜피온-3, 투막, 온실라, 디펜더, 벤츠 GD 290/250, WD-43, 샌드캣
트럭 벤츠1017A · 유니목 1300L, ZiL-131, ZiL-157,
이베코 스트라리스 · 트래커 · 유로카고 · MP720 시리즈 · M40.12WM,
Star 200 · 244 · 266(M) · 660(M) · 944K ·1466ML · 1444,
Jelcz P/S662D · P662D · P642D · C642D · C662D · P/S862D · P/S842D
타트라 T-815, KrAZ-255, 우랄-375D, 우랄-4320, GAZ-66, FMTV
자주포 자주곡사포 2S7 PiwoniaR, 2S1(M/T) Goździk, wz. 1977 DANA-T, AHS 크라프, AHS 크릴, K-9A1, { K9PL}
자주박격포 TOPAS-2APR, { 로소막-Rak}
대전차 자주포 SU-57R, M10 아킬레스R, ASU-57R, ASU-85MR, SU-100R, ISU-152R, M36B1C/R
대공 차량 자주대공포 ZSU-23-4MP BiałaM, LSPZRA Sopel, PZA 루아르-(A/NG)
단거리 대공미사일 9K31 Strzała-1R 9K35 Strzała-10MR, ZRK-SD RombR · 9K33BM3 ŻądłoM, Mała NAREW
다연장로켓 BM-24R, BM-21R, WR-40 랑구스타M, RM-70/85, M142 HIMARS, { 호마르-K}, { 호마르-A}
지원 차량 구난차량 BPz 2, { M88A2 허큘리스}
교량차량 { M1110 JAB}
※ 윗첨자R: 퇴역 및 의장용 차량
※ 윗첨자M: 개조 차량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취소선: 계획되었으나, 취소된 차량
}}}}}}}}}

파일:PL_01.jpg
PL-01

1. 개요2. 제원3. 공개된 성능4. 향후 전망5. 기타6. 미디어7. 모형8. 둘러보기

1. 개요


폴란드 PT-91를 대체하기 위하여 개발하려고 했던 경전차. 2013년에 열렸던 국제무기박람회에서 처음 등장했으며, 2016년에 실전배치를 목표로 개발을 했었다. 그러나 2022년 3월 이후론 더이상 개발이나 실전배치에 대한 정보가 공개되지 않고 있다.

애초에 스웨덴 CV90을 기반으로 개발을 했던 것에다가 러시아군 중형전차 T-14개발을 완수하고 실전배치를 시작함으로서 구형 보병전투차를 기반으로 한 경전차는 필요가 없어졌기에 개발을 지속할지 의문이다. 하지만 본래 PL-01의 개발취지는 스텔스 전차를 개발하기 위한 기술실증용 전차였다. 실제로 전투가능한 전차를 제조하기 보다는 새로운 개념의 전차를 만드는데 필요한 기술을 개발하는 프로젝트라고 봐도 무방하다. 그리고 이 프로젝트를 시행하면서 얻은 기술적 결과물은 상당할 것으로 보여진다.

사실상 완제품이 나올것 같지는 않지만, 미래적인 모습으로 국내외의 밀덕들의 눈길을 사로잡고 있다. 2022년 현재까지 세계에 존재하지 않는 스텔스 전차개발을 목표로 했던 전차인지라 특이한 설계로 인하여 기존 전차의 모습과 상당히 다른 모습이기 때문인데,이러한 전차설계가 밀덕들의 마음을 사로잡을지언정 정말로 방호에 유리할 지는 의문이다.

2. 제원

개발사 OBRUM/ BAE Systems
중량 35.0t
전장 7m(포신 길이 포함)
전폭 3.8m
전고 2.8m
운용 인원 2명
장갑 모듈형 세라믹 코팅 장갑
주포 105mm/ 120mm 구경 무인 포탑
부무장 7.62mm Protector RWS(대공 기관총)[1], CALIBER 7.62mm(동축 기관총)
엔진 940 마력 디젤 엔진
항속 거리 500km
최대 속도 70km/h

3. 공개된 성능

940마력의 자동변속기가 장비된 디젤엔진으로 최대 70km/h, 50km/h로 달리면 500km까지 주행이 가능한 수준의 기동력을 보여준다.멕라렌 스노클링 없이는 1.5m, 스노클링 상태에선 15m 이상 도하가 가능하다고 한다.감히 전차 주제에...

L.O 테크놀로지라는 기술을 사용하여 적외선 조준경에 보이지 않고 STANAG 4569 Annex A NATO 표준 장갑판과 동일한 성능을 갖춘 장갑판을 채택, 25m 높이에서 폭발한 155mm 고폭탄과 500m 거리에서 발사한 25mm APDS-T M791탄을 막을 정도의 방어력을 갖추고 있다.

또한 ECM을 통해 대전차 유도탄을 교란시킬 수 있고 레이저 감지 경보기도 달리며 포탑에 장비된 360도 연막탄을 이용해서 은폐가 가능하다.

4. 향후 전망

적어도 2018년에는 실전배치하겠다는 계획이 있었지만 2022년 3월인 현재까지도 아무런 소식이 없는 것으로 보아, 사실상 개발이 취소되었거나 다른 개발계획으로 바꾸게 될것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왜냐하면, 폴란드군의 작계상 친러국가인 벨라루스 러시아의 군대를 막아야하는데 경전차인 PL-01으로 러시아의 전차웨이브를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는지도 의문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대평원에서 대규모 기갑전이 예상되는 폴란드의 전장에서 PL-01같이 장갑도 화력도 충분하지 못한 경전차는 주전으로 내세우는 건 불리하다. 경전차는 평원보다는 산악 지대에서나 유리하다. PL-01이 도입된다고 해도 정찰과 치안활동같은 제한적인 임무수행밖에 할 수 없으며, 실제로 개발 컨셉도 PT-91 같은 MBT를 보조하는 역할이었다.

폴란드군조차도 그렇게 생각하는지, 구형 전차인 PT-91을 대체할 차세대 전차로 레오파르트 2 K-2 흑표로 대체하는 것을 고려했으며, 독일 프랑스의 차기전차 개발계획인 MGCS 등에도 참가할 수 있다고 공식적으로 언급하기도 했었다.[2] 미국에서는 폴란드군에 M1 에이브람스 수출 의사를 타진했다. 결과적으로 미국 에이브람스를 소수 도입하고, 차기전차는 K-2 흑표 총 980대[3]를 수입하기로 결정하였다.

5. 기타

대한민국 차세대 MBT K-3 전차 공개된 모형이 해당 전차와 상당히 유사하다. 이것이 2022년 7월 22일 폴란드의 K-3 차세대 전차를 공동개발 희망 소식과 관련 있는지는 불명.

6. 미디어

아머드 워페어에서 10티어 경전차로 등장한다. 큰 덩치를 가지고 있으나 스텔스 보정을 받아 정지시 위장 수치는 뛰어나며 준수한 기동성을 갖추고 괜찮은 탄간 연사력을 지닌 클립식 매거진 120mm 포를 갖추고 있다. 이 주포는 날탄과 성작탄, 포발사 미사일의 사용이 가능하다. 방어력은 HEAT 계열에는 강하나 AP 계열에는 약한 편이며 차체 전면에 엔진이 있어서 뚫리면 높은 확률로 화재가 발생한다. 하단이 털릴 때에 운이 없다면 탄약고가 출타하는 것은 덤. 괜찮은 속도와 정지 위장력, 적은 피해를 입는 무인포탑, HEAT에 강한 복합장갑을 갖추고 있어 동티어 경전차인 K-21 120과 비교시 더 좋은 방어력을 보이지만 후달리는 사통능력과 DPM, 기동위장력을 때문에 K21 120보다는 조금 더 전면전에 어울리는 편이다. 패치로 HEAT 면역수준이던 장갑이 AP기관포 대응으로 바뀌면서 HEAT에 뚫리게 되었다.
파일:TM-02 Khanjal(N).png
Grand Theft Auto Online에서 심판의 날 습격 업데이트로 TM-02 칸잘리(Khanjali)라는 이름으로 등장. 기본적으로 주포를 장착하고 있으며 이 주포를 레일건으로 교체할 수 있다.[4] 부무장은 원본과 동일한 머신건이며 360° 연막탄이 그레네이드 런쳐로 교체되었다. 원본의 특성을 물려받아 게임 내에서도 경전차로 취급받지만[5] 내구도는 상위권에 속해 RPG 8발, 탱크 주포 8발을 견뎌낼 수 있다. 다만 대공 능력은 중기관총으로 깔작거리는것밖에없기에 공격 헬기와 전투기에게 취약한 면모를 보인다.

콜 오브 듀티: 모바일의 배틀로얄 모드 고립지대 맵에서 경기 후반부에 일정확률로 보급 대신 떨어진다. 인게임에선 PL-01이라는 말은 없지만, 외형이 거의 같다.

방산산업 전시회에서 K-3 전차 목업이 공개된 이후 여러 국뽕 유튜버들이 이 PL-01의 사진에 조잡하게 덧붙인 K-3나 태극기를 달아 낚시를 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터닝메카드 W의 데스퍼의 모티브가 이 전차이다.

7. 모형

타콤에서 모형화하였다.

8. 둘러보기

현대의 기갑차량 둘러보기
<colbgcolor=#3d3137> 북미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파일:엘살바도르 국기.svg 엘살바도르 | 파일:온두라스 국기.svg 온두라스 | 파일:파나마 국기.svg 파나마 | 파일:쿠바 국기.svg 쿠바 |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도미니카 공화국 | 파일:자메이카 국기.svg 자메이카
남미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우루과이 |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 | 파일:칠레 국기.svg 칠레 | 파일:볼리비아 국기.svg 볼리비아 |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파라과이 | 파일:페루 국기.svg 페루 |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에콰도르 |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콜롬비아 |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베네수엘라 | 파일:수리남 국기.svg 수리남
서유럽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룩셈부르크 |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
중부유럽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슬로바키아 |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남유럽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 |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크로아티아 |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 |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파일:몬테네그로 국기.svg 몬테네그로 | 파일:북마케도니아 국기.svg 북마케도니아 | 파일:코소보 국기.svg 코소보 |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알바니아 |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키프로스 |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파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국기.svg 신유고 연방→세르비아 몬테네그로(~'06)
북유럽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 |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동유럽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 | 파일:몰도바 국기.svg 몰도바 | 파일:조지아 국기.svg 조지아 |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아르메니아 |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동아시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 파일:몽골 국기.svg 몽골
'''[[동남아시아|
동남아시아
]]'''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 파일:브루나이 국기.svg 브루나이 | 파일:라오스 국기.svg 라오스 |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캄보디아 | 파일:미얀마 국기.svg 미얀마
남아시아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 파일:스리랑카 국기.svg 스리랑카 | 파일:부탄 국기.svg 부탄 |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아프가니스탄
파일: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국기.svg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21)
'''[[중앙아시아|
중앙아시아
]]'''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 |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키르기스스탄 |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 투르크메니스탄
서아시아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 아라비아 |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 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 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 |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 파일:오만 국기.svg 오만
'''[[오세아니아|
오세아니아
]]'''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 파일:파푸아뉴기니 국기.svg 파푸아뉴기니
'''[[북아프리카|
북아프리카
]]'''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 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 | 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 |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
'''[[동아프리카|
동아프리카
]]'''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에티오피아 | 파일:우간다 국기.svg 우간다 | 파일:케냐 국기.svg 케냐 | 파일:모잠비크 국기.svg 모잠비크
'''[[서아프리카|
서아프리카
]]'''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 | 파일:말리 국기.svg 말리 | 파일:가나 국기.svg 가나
'''[[중앙아프리카|
중아프리카
]]'''
파일:차드 국기.svg 차드 | 파일:콩고 공화국 국기.svg 콩고 공화국 |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 콩고민주공화국 | 파일:앙골라 국기.svg 앙골라
'''[[남아프리카|
남아프리카
]]'''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 | 파일:나미비아 국기.svg 나미비아 | 파일:짐바브웨 국기.svg 짐바브웨
'''[[미승인국가|
미승인국가
]]'''
파일:세르비아 크라이나 공화국 국기.svg 세르비아 크라이나(~'95) | 파일:스릅스카 공화국 국기.svg 스릅스카(~'06) | 파일:헤르체그보스니아 크로아티아 공화국 국기.svg 헤르체그 보스니아 크로아티아(~'96) | 파일:북키프로스 국기.svg 북키프로스 | 파일:트란스니스트리아 국기.svg 트란스니스트리아 | 파일:도네츠크 인민공화국 국기.svg 도네츠크 | 파일:루간스크 인민공화국 국기.svg 루간스크
파일:압하지야 국기.svg 압하지야 | 파일:남오세티야 국기.svg 남오세티야 | 파일:아르차흐 공화국 국기.svg 아르차흐(~'23) | 파일:이치케리야 체첸 공화국 국기.svg 이치케리야 체첸(~'00)
파일: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국기.svg 사하라위 아랍 민주 공화국
무장단체 파일: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 국기.svg ISIL | 파일:알누스라 전선 깃발(2016-2017).svg 알누스라 전선 | 파일:시리아 민주군기.svg 시리아 민주군 | 파일:지하드 깃발.svg 알카에다 | 파일:알샤바브 깃발 2.svg 알샤바브 | 파일:후티 상징.svg 후티 | 파일:헤즈볼라 당기.svg 헤즈볼라 | 파일:카타이브 헤즈볼라 깃발.svg 카타이브 헤즈볼라 | 파일:레바논 전선 깃발.svg 레바논의 힘 | 파일:Flag_of_the_South_Lebanon_Army.png 남레바논군 | 파일:바그너 그룹 깃발.svg 바그너 그룹 | 파일:자유 러시아 군단기.svg 자유 러시아 군단 | 파일:러시아 의용군단기.svg 러시아 의용군단 | 파일:말로로시야 해방군기.png 말로로시야 해방군 | 파일:리비아 국기.svg 자유 리비아 민족해방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대전기(1914~1945) 냉전기(1945~1991) 현대전(1991~)




[1] 12.7mm로 교체가 가능하다고 한다. [2] 다만 전차개발에 대한 노하우가 부족하여 MGCS 참가는 무산되었다. 폴란드는 러시아에 대한 위협이 높아지는 안보 환경상 신형 전차 확보에 심열을 기울이고 있는 상황이다. 한국의 K2전차도 수입이 아닌 K2전차를 기반으로한 신규 폴란드전차 계발계획을 원하기도 했다. # [3] 수입(K-2 흑표) 180대, 현지 조립(K-2PL) 800대 [4] 파일:Khanjali-GTAO-front-upgraded.png [5] 화물 수송용 헬리콥터인 카고밥으로 수송 가능하다. 카고밥의 모델이 된 CH-47 치누크의 최대 수송량은 고작 10톤 내외인 점을 보아 엄청 가볍게 취급받는 듯 하지만 현실에 비교했을 때 그 모양새가 나오는 것일 뿐, 게임 내 스토리 모드에서 팔레토 은행 작업에서 카고밥이 레오파르트2를 기반으로 한 라이노 전차를 달고 등장하는 것을 봐서 더 가벼워 보이는 경전차인 칸잘리를 얼마든지 들어올릴 수 있을 것이다. 무엇보다도 GTA5 세계관의 카고밥이 현실의 치누크보다 성능이 뛰어난 것뿐으로 게임적 허용이라고 인정을 해줘야 할 것이다. 그리고 사실 설정 오류라 카더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