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3-11-09 07:54:48

프로이센어

인도유럽어족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인도유럽조어
켄툼제어 게르만어파 서게르만어군
북게르만어군
동게르만어군
켈트이탈리아어파 켈트어파 도서켈트어군 게일어군
브리튼어군
대륙켈트어군
이탈리아어파 라틴팔리스크어군 로망스어군
오스크움브리아어군
헬라어파
아나톨리아어파
루비아어군
토하라어파
사템제어 발트슬라브어파 발트어파 서발트어군
동발트어군
슬라브어파 서슬라브어군
남슬라브어군
동슬라브어군
알바니아어파
아르메니아어파
트라키아어파
다키아어파
인도이란어파 이란어군
누리스탄어군
인도아리아어군
* † 표시는 사멸된 어파 혹은 어군 }}}}}}}}}

파일:Romuva_flag.svg
발트족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2px -12px"
민족
<colbgcolor=#a0a0a0,#353534> 동발트족 동갈란디아인 † | 드네프르 발트족 † | 라트비아인 ( 라트갈레족 | 세미갈리아인 † | 셀로니아인 † | 쿠로니아인) | 리투아니아인 ( 사모기티아인 | 아욱슈타이티야인 | 프로이센 리투아니아인)
서발트족 † 서갈린디아인 | 요트빙기아인 | 포메라니아 발트족 | 프루사족
국가
국가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 |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언어 및 문화
언어 발트어파
신화 발트 신화 }}}}}}}}}
프로이센어
Prūsiska
Old Prussian language
<colcolor=#fff><colbgcolor=#65a7da> 유형 굴절어
어순 주어-목적어-서술어 (SOV)
서자방향 좌횡서 (왼쪽부터 가로쓰기)
문자 로마자
주요 사용 지역
(또는 공용어 지정 국가)
없음(사멸)
사멸 18세기 초
원어민 제2언어로 구사하는 인구는 50명 정도 있다.
계통 인도유럽어족
발트슬라브어파
발트어파
서발트어군
언어
코드
<colcolor=#fff><colbgcolor=#75b5e7> ISO 639-1 -
ISO 639-2 -
ISO 639-3 prg
1. 개요

[clearfix]

1. 개요

과거 프로이센 지방에서 쓰였던 인도유럽어족 발트어파에서 속한 언어.

근대 시기 프로이센 지역에서 쓰였던 독일어의 프로이센 방언과 구분하기 위해 보통 고(古)프로이센어라고 일컫는 경우가 많다.

발트어파에 속하며, 독일어와는 다른 계통이며, 이웃한 발트 3국에서 쓰이는 리투아니아어 라트비아어 등과 가까운 언어이다. 원래 프로이센 일대도 발트어파의 언어들을 쓰는 민족들(프로이센족)이 거주하는 지역이었으나, 중세 시대부터 프로이센 지역이 독일 기사단국 프로이센 공국, 프로이센 왕국 등의 지배를 받으면서 점차 독일화가 진행되었고, 결국 18세기경 프로이센어는 사멸하게 된다.

다만 프로이센어가 사멸한 이후에도 독일어 프로이센 방언으로 일부 프로이센어 단어가 유입되기도 하였고, 동프로이센 일대의 지명들 중에서는 프로이센어로 된 지명이 많은 편이었다. 가령 틸지트(Tilsit) 시의 이름은 프로이센어로 '늪이 많은'이라는 뜻의 틸세(tilse)에서 왔고, 다른 지명을 보면 필라우(Pillau)는 '요새'를 뜻하는 필스(pils), 라그니트(Ragnit)는 '튀어나온 곳'을 뜻하는 라가스(ragas)에서 온 지명이었다. 그러나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러시아가 동프로이센 지역을 차지하면서 프로이센 방언은 사용되지 않게 되었고, 이 일대의 (프로이센어의 흔적이 남은) 독일식 지명도 그냥 원 지명을 러시아식으로 고쳐쓴 게 아니라 아예 완전히 다른 러시아어 지명으로 교체되었다. 그나마 폴란드 북부에 에우크(Ełk < luka "수련")처럼 소수의 프로이센어 기원 지명이 남아 있다.

사멸한 언어지만 고유명사나 방언에 남은 단어, 기도문 등이 남아 있어 이를 토대로 언어를 복원하려는 움직임도 있다. 그리고 프로이센어 위키백과 인큐베이터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