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5 00:59:41

공기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공기(동음이의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개요2. 특징3. 압축공기4. 매체5. 언어별 명칭6. 기타7. 은어

1. 개요

/ Air

지구를 둘러싼 대기 하층을 구성하는 무색 투명한 기체로 지구의 역사와 더불어 생성되었다. 지구상 생명체에 꼭 필요한 역할을 한다.

2. 특징

건조 공기의 성분은 약 78%가 질소(N2), 약 21%가 산소(O2), 0.93%가 아르곤(Ar), 0.04%가 이산화 탄소(CO2), 나머지는 미량의 네온· 헬륨· 크립톤· 제논· 오존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1960-70년대에는 교과서에도 공기중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0.03%(300 ppm) 정도로 나와있었는데 2013년에 처음으로 0.04%(400 ppm)을 넘어섰다.[1] 다만 주의할 점은 위의 비율이 실제 공기가 아니라 이상적인 건조 공기에 대한 비율이라는 것이다. 실제 공기는 여기에 지역이나 날씨, 기온 등에 따라 0~4% 가량 수증기가 추가로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그만큼 나머지 성분의 비율은 낮아진다.[2] 밀도는 약 1.2 kg/m3 (1.2 g/L) 정도.

공기에 포함된 산소는 폭발성과 산화력이 강한 기체로 에너지 획득에 있어서 굉장히 효율적이지만 맹독성을 띠고 있다. 이 때문에 고대 생명체는 산소를 활용하지 못하다가 미토콘드리아라는 것이 생기면서 공기라는 기체속에 포함되어 현재의 농도에 맞춰짐으로써 비로소 산소를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3]

3. 압축공기

공기압축기를 이용하여 압력을 가한 공기는 여러가지로 이용되는데, 작게는 등산객의 신발을 털거나 타이어에 바람을 넣는 등에 쓰이고, 크게는 대형 상선과 전투기의 기관을 시동하거나 조정하는 용도로 쓰이기도 한다.

파이어 피스톤이라고 공기를 빠르게 압축하면 고열이 발생하는 것을 이용해 피스톤 내부에 불씨 역할을 할 물질을 넣은 다음 피스톤을 손으로 내려쳐 안의 공기를 압축해 불을 만들어내는 기구도 있다. 구조가 단순하기에 구매하기보다는 직접 만들어 쓰는 경우도 많다.

4. 매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속성/바람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언어별 명칭

<colbgcolor=#f5f5f5,#2d2f34> 언어별 명칭
한국어 공기()
한자 (공기)
그리스어 αέρας(aéras)
ἀήρ(aḗr)( 고전 그리스어)
독일어 Luft
라틴어 aer/āḗr
러시아어 во́здух(vózdux)
몽골어 агаар(agaar)
베트남어 khí()
산스크리트어 वायु(vayu, 바유)
스페인어 aire
아랍어 هَوَاء(hawāʔ)
هوا(hawā)( 이집트 아랍어)
영어 air(에어)
lyft( 고대 영어)
aire( 중세 영어)
에스페란토 aero
이탈리아어 aria(아리아)
àire( 피에몬테어)
일본어 [ruby(空気, ruby=くうき)](kūki), [ruby(天空, ruby=てんくう)](tenkū)
중국어 空氣/空气(kōngqì)( 표준 중국어)
空氣/空气(khûng-hi)( 객가어)
空氣/空气(hung1 hei)( 광동어)
кунчи(kunči)( 둥간어)
空氣/空气(kŭng-ké)( 민동어)
空氣/空气(khong-khì)( 민남어)
空氣/空气(1khon-qi)( 오어)
튀르키예어 hava, tenek
هوا(hava)( 오스만어)
포르투갈어 ar
aire( 갈리시아어)
프랑스어 air
핀란드어 ilma
히브리어 אוויר / אֲוִיר(avír)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기타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colbgcolor=#f5f5f5,#2d2f34> 과라니어 yvytu
나바호어 níłchʼi
나와틀어 ehecatl
네덜란드어, 서프리지아어 lucht
네오 er, aer
노르웨이어, 덴마크어, 스웨덴어 luft
노비알 aere
라트갈레어, 라트비아어 gaiss
레즈긴어 гьава(hava)
루마니아어 aer, văzduh
리투아니아어 oras
마오리어 hau, hau takiwā
마인어 udara, hawa
udara( 브루나이 말레이어)
마케도니아어 воздух(vozduh)
말라얄람어 വായു(vāyu)
바시키르어 һауа(hawa)
벨라루스어 паве́тра(pavjétra)
볼라퓌크 lut
부랴트어 агаар(agaar)
불가리아어 въ́здух(vǎ́zduh)
사모아어 'ea
사하어 салгын(salgın)
세르보크로아트어 ва̀здӯх/vàzdūh, зра̑к/zrȃk
스와힐리어 hewa
스반어 ჰაჲერ(hayer)
슬로바키아어 vzduch
슬로베니아어 zrak
아디게어 жьы(źə)
아바르어 гьава(hawa)
아삼어 বায়ু(bayu)
아이마라어 thaya
아이슬란드어 loft
알라바마어 hifóosilka
알바니아어 gaft, ajër
암하라어 አየር(ʾäyär)
에스토니아어 õhk
오로모어 qilleensa
오리야어 ବାୟୁ(bayu)
우크라이나어 пові́тря(povítrja)
이누이트어 ᐊᓂᖅᓴᑕᖅᐹ(aniqsataqpaa)
인구시어 фо(fo)
인도유럽조어 h₂weh₁yús
자자어 ayam, hewa
체로키어 ᎤᏃᎴ(unole)
체첸어 хӏаваъ(havaʔ)
체코어 vzduch
카바르다어 хьэуа(ḥɛwa)
카탈루냐어 aire
케추아어 waira
켈트어파
adhar, àile, gaoth( 스코틀랜드 게일어)
키르기스어 аба(aba)
타히티어 mataʻi
텔루구어 గాలి(gāli)
페르시아어 باد(bâd), وای(vây), وایو(vâyô), هوا(havâ)
폴란드어 powietrze
하와이어 ea
힌디어 हवा(havā)
ہوا(havā)( 우르두어) }}}}}}}}}

6. 기타

7. 은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공기(은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비중이 현저하게 낮은 캐릭터들을 한국에서 병풍이라 한다면 일본에선 공기라 칭한다.


[1] 이는 지면 1제곱미터를 누르는 공기의 양 중 이산화탄소의 양이 약 1.8kg 증가한 비율이다. [2] 이렇게 따로 분리한 것은 다른 성분들이 대체로 지역이나 계절 등에 따라 비율에 별 차이가 없는데 비해(사실은 CO2도 지역별 편차가 꽤 있기는 하지만, 어차피 전체 비율 자체가 워낙 작아서 그냥 0.04%라고 말해도 크게 문제가 안된다) 수증기는 유의미한 수준으로 존재함에도 상황에 따른 편차가 심해서 하나로 묶어 이야기할 수 없기 때문이다. [3] 산소를 사용하면서 생기는 활성 산소로 인해 생명체의 DNA가 파괴되는데, 신체에서 어느정도 중화시키긴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누적되는 피해는 막을 수 없다. 신체 노화의 원인이라고 주장하는 학자들도 있다. [4] 특히 일본어는 공기라는 말이 눈치 사회성 관련 은어로서 정말 많이 쓰이는데, ' 공기를 읽다'가 '처세술을 발휘하다'와 동일한 의미로 쓰인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