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21 16:04:22

Tu-95

Tu95에서 넘어옴
파일:로고 투폴레프.png
{{{#!wiki style="margin: 0 -10px;"
{{{#29387d,#8091d8 {{{#!folding [ 투폴레프 항공기 목록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000,#e5e5e5
민항기
터보제트 터보팬 터보프롭
<colbgcolor=#ffffff,#191919> 쌍발기 Tu-104 Tu-124 Tu-134 Tu-204 Tu-334 -
3발기 - Tu-154 -
4발기 Tu-144 Tu-244 Tu-114
전투기
프로펠러기 I-15, I-15bis, I-153
제트기 Tu-128
폭격기
프로펠러기 TB-6 SB TB-3 Tu-2 Pe-8 Tu-4 Tu-95
제트기 Tu-16
초음속기 Tu-22 Tu-22M Tu-160
대잠초계기
프로펠러기 Tu-142
※ 제조사별 항공기 둘러보기 }}}}}}}}}}}}}}}

파일:external/cache.gizmodo.com/Tupolev_Tu-95_Marina.jpg
Туполев Ту-95
Tupolev Tu-95 | NATO 코드명: Bear( )

1. 개요2. 제원3. 특징
3.1. 엔진3.2. 소음
4. 운용
4.1. 실전 투입
5. 형식
5.1. Tu-95/15.2. Tu-95/25.3. Tu-95/Tu-95M5.4. Tu-95K5.5. Tu-95K225.6. Tu-95K/Tu-95KD5.7. Tu-95KM5.8. Tu-95M-555.9. Tu-95MS/Tu-95MSM5.10. Tu-95MR5.11. Tu-95V5.12. Tu-1195.13. Tu-142
6. 기타7. 대중매체에서8. 모형9. 관련 문서10. 둘러보기11. 참고 링크

1. 개요

소련 투폴레프 항공기 설계국에서 개발한 장거리 전략폭격기이다. 냉전 시기 미국 B-36 B-52에 비견되는 폭격기였다.[1][2]

두 기종 모두 설계 자체가 워낙 우수하기 때문에, 미국, 러시아에서 모두 B-1, B-2 Tu-160, Tu-22M 같은 최신형 폭격기가 개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이 배다른 형제는 퇴역하지 않고, 태어난 지 환갑이 다 된 현재에도 현역이며 미국, 러시아 양국 모두 적어도 2040년까지 이 두 군용기를 사용할 것으로 계획하고 있다.

2. 제원

Tupolev Tu-95 Bear
Туполев Ту-95
분류 전략 폭격기
개발사 Tupolev[3]
제조사 Myasishchev
첫 비행 1952년 11월 12일
생산 기간 1952년 ~ 1993년
배치 기간 1956년 ~ 1990년대 말
생산대수 총 500기 +
(현재는 러시아 항공우주군에서 60기 배치)[4]
승무원 Tu-95KM까지 9명[5]
Tu-95MR/Tu-142 9명[6]
Tu-95MS 7명[7]
전장 46.2 m
전폭 50.10 m
전고 12.12 m
익면적 310 m²
익면 하중 606 kg/m²
공허 중량 90,000 kg
적재 중량 171,000 kg
최대 이륙 중량 188,000 kg
폭장 능력 TU-95MSM 기준 최대 20,800 kg 탑재 가능[8]
엔진 Kuznetsov NK-12MP 터보프롭 엔진 x 4기
엔진 출력 엔진당 출력 14,800 SHP (11,000 kW) (x4 59,200 SHP (44,000 kW)
순항 속력 710 km/h
최대 속력 925 km/h
항속 거리 15,000 km
실용 상승 한도 13,716 m (45,000 ft)
추력 중량비 0.143
고도 상승률 10 m/s (2,000 ft/min)
무장 기관포 초기형부터 Tu-95KM까지 AM-23 23mm 기관포 x 3문[9]
이후, 현재까지 단장 혹은 연장 AM-23 23mm 기관포 x 1문[10]
순항 미사일 Kh-20/22 / Kh-55/101/102
폭탄 폭장 최대 15톤
Tu-95V 한정으로 RDS-202 수소 폭탄 1발

3. 특징

3.1. 엔진

제트기 시대임에도 특이하게 프로펠러를 사용하는 터보프롭 엔진을 사용하고 있어 등장 초반에는 여러가지 억측을 낳기도 했으나, 실제로는 효율이 우수한 동축반전식 프로펠러를 사용했으며, 해당 기체에 탑재되는 엔진인 쿠즈네초프 NK-12가 역대 터보프롭 엔진들 중 가장 강력한 엔진으로, 1기당 출력이 약 12,000~15,000 마력(8,900~11,000kW)에 달하는 덕분에 프롭 폭격기 주제에 최고 속력이 무려 925km/h 정도로 초음속에 가장 근접한 터보프롭 항공기이다.[11]

동축반전 프로펠러의 이중반전 프로펠러는 각각의 엔진마다 두 프로펠러가 서로 반대로 돌기 때문에 프롭기 특유의 고질병인 기체 쏠림 문제도 없다. 게다가 프롭기라서 연비도 상대적으로 좋은 편이다. 이러한 이중반전 프로펠러를 응용한 다른 항공기로는 An-70이 있다.

당대의 터보제트 엔진은 추력이 적어서 저속 순항에는 불리했다. 터보팬 엔진이 보급되기 시작한 1970년대 이전에 터보프롭을 채택한 소련 투폴레프 설계국의 혜안을 엿볼 수 있는 구석이다.

3.2. 소음

위의 특징 문단에서의 장점만 있는 것 같지만, 문제가 하나 있는데 엄청나게 시끄럽다! 그 어떤 전투기 소리도 저리 가라 할 정도로 시끄럽다는 C-5 TF39 엔진보다 더하다고 한다.[12] 동축반전식 프로펠러의 경우 일반 프로펠러와는 다르게 서로 반대로 도는 프로펠러간의 공기역학적 간섭으로 인해 그 소음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한다. 미군이 마하 0.9의 속도를 내는 게 목적이었던 이중반전식 프로펠러기 XF-84H를 테스트할 때도 엄청난 소음 때문에 곤란을 많이 겪었는데, 40km 밖에서도 소음이 들렸고 공항에서 이륙 허가를 거부당해 근처의 사막으로 가서 이착륙을 해야 했으며 심지어 지상 요원이 소음을 버티지 못하고 발작을 일으키기도 했다. 그런데 그건 단발기고 Tu-95는 더 큰 엔진 4개에다 동축반전식 프로펠러가 8개나 된다는 걸 감안해 보자.


촬영 중인 카메라의 동영상 프레임이 프로펠러 속도와 어긋나 다소 이상하게 보일 수 있다.[13][14]



착륙 준비 및 300 피트(약 91m) 고도에서 비행하는 TU-95. 댓글에서는 잠수함 소나로도 저 비행기는 잡겠다라는 반응을 보이고 있는데, 진짜로 잡힌다고 한다.

심지어 미국이 대서양에 설치한 수중 음향 감시 체계(SOSUS)에서도 소음이 청취된다고 한다.

그 외에도 이중반전 터보프롭 엔진은 꽤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정비요소가 상당히 많다고 한다. 하워드 휴즈가 말년에 키도 줄고 마약 중독에 걸리고 건강도 안 좋아진 것 또한 이중반전 프로펠러기를 테스트를 위해 조종하다가 추락한 것이 원인. 구조가 복잡하니 사고도 잘 났다. Tu-95는 그런 사고는 없지만 정비사들이 짜증내는 건 어쩔 수 없다.

4. 운용

러시아가 가진 폭격기 중에서 가장 멀리 날며[15], 덩치 크고 다목적에 항속거리마저 길어서 정말 다용도로 쓰인다. 원래는 전략목표 공격용이었으나, 탑재공간이 크기 때문에 소련 해군은 이 기체를 Tu-142라는 새 코드를 부여, 대잠초계기로 개수한 뒤 러시아의 길다란 해안선을 따라 장시간 초계임무를 수행시키기도 했다. 이렇게 폭격기를 대잠초계기로 개수해 운용하는 특이한 일을 한 이유는 이 기체의 항속거리가 광대한 해역을 가진 소련 해군의 입맛에 맞았기 때문이다. 미 해군의 최신예기인 P-8조차도 이 기체의 괴물같은 항속거리에는 따라오지 못한다.[16] 당장 서방제 초계기들과 비슷한 체급인 Il-38 초계기로는 그 넓은 해역을 전부 담당하기 어려웠다.

다만 상기한 소음 문제가 대잠초계기로서도 단점인데, 잠수 중인 잠수함 소나로 상당한 거리를 두고 탐지가 가능하기 때문에 추적중인 잠수함이 초계기의 접근을 알아차리고 긴급 잠항이나 잠대공 미사일 등의 대비를 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17]

또한 정찰기로도 많이 사용됐는데 냉전 시기 적대국 방공식별구역을 침범한 소련기라고 하면 거의 이 녀석이었으며, 미 해군 항모전단에는 어김없이 따라다니며 신경전을 펼쳤다. 전략 정찰기로서도 사용되어 북한의 영공 개방으로 중국 해안선을 따라 오가며 정찰임무를 수행하기도 했는데 이는 중국, 일본 모두의 신경을 곤두세우게 만들었다. 해양 정찰형은 아에 폭탄창 전부를 들어내고 그 자리에 초대형 수색 레이더를 달았는데 레이더가 워낙 커서 밖으로 크게 튀어나온 벌지를 만들어야 했고, 그래서 별명이 빅 벌지였다. 이 기체들은 미 해군 항모전단의 위치를 상시 파악했다가 만약 실제 전쟁이 벌어지면 미 항모의 위치를 데이터링크를 통해 Tu-22M 백파이어 폭격기, 오스카급 순항미사일 잠수함들에게 통보하여 미 항모에게 360도 동시 다발 대함 미사일 공격이라는 불벼락을 선사해 주게 되어 있다. 톰 클랜시의 대표작 붉은 폭풍에서 이 전술에 미 해군이 초반에 크게 당한다. 이 폭격기는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에서도 사용되었는데 안타깝게도 아프간에서는 별다른 효과를 내지 못한다.

당시 촬영된 사진 중에는 F-14A 조종사가 가운데 손가락을 올리자 Tu-95 후방기총좌 사수가 바지를 내려(!) 보이는 장면도 있다. ㅈ까라고 하니까 ㅈ을 보여주는 양국 공군의 아름다운 전우애 특히 동해의 한국 방공식별구역(대충 독도 근처까지)에 이 녀석들이 미국 해군 제7함대를 추적할 때 쓰는 정규 코스가 있었기에 한국 공군의 대구 기지에 있는 F-4E 팬텀이 스크램블에 나서기도 했다. #[18]

파일:external/tu-95.net/2705_v-da_tu-95s_in_cuba_in_1980.jpg
쿠바 비행장에 배치된 Tu-95

소련은 냉전이 끝날 때까지 미국의 턱 밑인 쿠바에 Tu-95와 Tu-160을 배치했다.

소련 붕괴 이후, 미국과 맺은 군축협정에 따라 전략 병기로 분류되어 폐기처분하기로 결정되었고, 폐기할 때마다 미국이 비용을 지불했다.

1992년에는 AN-124와 함께 미국 루이지애나주 박스데일 공군기지에 방문한 적도 있었다.[19]

그러나 블라디미르 푸틴 집권 이후 미러관계가 냉각되면서 협박용으로 다시금 부활해서 미국항모전단의 위로 저공비행을 하거나, 영국이나 일본 근해를 비행하며 무력 시위에 나서는 광경이 자주 보였으며, 한미 연합훈련 때도 나타났다.

파일:rus-tu-95.jpg

다같이 돌자 열도 한바퀴~

해당 Tu-95 편대는 무려 14시간동안 일본 열도를 돌아다녔다. 그리고 항속거리가 충분하다보니 연해주로 바로 돌아가지 않고, 중국 해안선을 따라 남하하여 베트남 깜라인만까지 간 다음, 돌아가기도 했다.

4.1. 실전 투입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중 22년도 10월 10일에 우크라이나 전역에 대규모 일제 공습이 발생되었는데, Kh-101 미사일이 날아든 점으로 인하여 실전 투입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본 폭격기 8기가 카스피 해 상공에 떴다고 한다.

2022년 12월 5일 우크라이나군의 엥겔스 비행장 공격으로 1대가 위성 사진에 포착될 정도로 손상을 입었다. #

2024년 3월 24일, 우크라이나군의 러시아 대선을 노린 대대적인 벨고로드 재침투가 완전한 실패로 끝나고 크림반도에 공습을 가하자 14대 가량의 Tu-95MS가 보복 공격을 위해 리비프에 순항미사일을 발사했으며, 10번 이상의 폭음이 보고되었다. #

5. 형식

Tu-95KM까지 상부와 하부에 원격제어 23mm 연장 기관포탑이 존재한다. 크기를 줄여 숨겼기 때문에 가까이서도 잘 안보인다.

5.1. Tu-95/1

Tu-95의 첫번째 프로토타입, 쿠즈네초프 2TV-2F 터보프롭 엔진 탑재.

5.2. Tu-95/2

Tu-95의 두번째 프로토타입, 쿠즈네초프 NK-12 터보프롭 엔진 탑재.

5.3. Tu-95/Tu-95M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Tu-95M_(10080916576).jpg

전략 폭격기, Tu-95 형식들 중 유일하게 공중급유 프로브가 없는 모델. 그리고 유일하게 기수에 레이더 대신 구식(2차대전식) 폭격수 자리가 있는 기종이다. 베어-A형으로 분류.

5.4. Tu-95K

파일:external/77rus.smugmug.com/1043326440_xQrr9-L.jpg

MiG-19 개조 실험기였던 SM-20의 공중발사 플랫폼. 아래에 작은 엔진같은 게 SM-20이다.

5.5. Tu-95K22

파일:external/static.panoramio.com/37671588.jpg
파일:external/i054.radikal.ru/eb67fd6135b6.jpg

해상 공격기, Kh-22 초음속 대함 미사일 3발을 기체 하부에 탑재했다. 베어-G형으로 분류.
원격 방어기총 회전포탑이 있다.

5.6. Tu-95K/Tu-95KD

파일:external/www.testpilot.ru/tu95kd-2.jpg

해상 공격기, Kh-20 초음속 대함 미사일 1발을 기체 하부에 탑재했다. 베어-B형으로 분류.

5.7. Tu-95KM

파일:external/www.ausairpower.net/Bear-C-DD-ST-84-07845.jpg

Tu-95K를 개량한 정찰형 모델, 이후 Tu-99K22형으로 개수된다. 베어-C형으로 분류.
여기까지 상부에 원격제어 방어기관포탑이 존재한다. 하부 방어기관포탑은 Tu-95MR까지 이어진다. 유일한 방어기총 사각지대는 정면이다.

5.8. Tu-95M-55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Tu95MSM_%22Super_Modern%22_(24912829706).jpg

순항 미사일 발사 플랫폼

5.9. Tu-95MS/Tu-95MSM

파일:external/www.airlinereporter.com/Russian_Bear_H_Aircraft_MOD_45158140.jpg

이전과는 완전히 다른 순항 미사일 발사 플랫폼. Kh-55 순항 미사일을 탑재하였다. 현재 일선에서 굴려지는 Tu-95는 대부분 이 기종이며, 베어-H형으로 분류한다.

파일:2582476[1].jpg

현재는 글래스 칵핏, 글로나스 항법장치, 신형 레이더, NK-12MPM 엔진으로 개량된 Tu-95MSM으로 개수되고 있다. 특히 NK-12MPM은 단순히 엔진 출력만 늘어난게 아니라 드디어 진동과 소음이 반으로 줄었다고 한다.[20]

5.10. Tu-95MR

파일:external/www.krasnayazvezda.com/3.jpg

해군 항공대의 Tu-95M 기반 사진 정찰기. 베어-E형으로 분류.
사진을 보면, 여기에도 상부 포탑은 제거되어 흔적만 남았지만, 하부 포탑은 여전히 존재한다. 이녀석도 초기형처럼 구식 폭격수 좌석을 유지했는데, 사진정찰 담당 승무원을 탑승시킬 자리로 보인다.(항공사진 촬영장비가 구식 폭격기 조준경처렴 운용되니까)

5.11. Tu-95V

파일:external/cdn.damninteresting.com/tsar_bomba_bomber.jpg

RDS-202 수소 폭탄 운용 플랫폼이다. 수소 폭탄이 굉장히 컸던 탓에 폭탄창 도어를 제거한 후 수소 폭탄을 케이블로 고정시켰으며, 몇몇 특수한 계측기를 싣고 특수 코팅을 칠했다.

5.12. Tu-119

핵만능주의가 도래한 시절, 소련 역시 X-6 또는 NB-36H 크루세이더처럼 핵추진 폭격기 개발을 시도했었다. 1기만 생산 후 프로젝트 폐기.

5.13. Tu-142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Tu-142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기타

2008년 초, 이 폭격기가 일본 방공식별구역에 진입했을 때 항공자위대의 많은 전력이 폭격기 한 대에 집중되는 유래 없는 일도 있었다. F-15J/DJ에 F-4EJ, F-2, 심지어 AWACS까지 총 24대가 스크램블하여 광란의 하늘을 연출했는데 전문가들의 평가에 따르면 이는 정상적인 대응은 아니며 항공자위대가 폭격기의 접근에 상당히 당황했음을 드러낸다고 한다. 아무래도 이 녀석이 전략폭격기 범주에 들어가는 항공기인지라 핵무기를 탑재했을 가능성도 크기 때문에 상당히 민감할 수밖에 없다.

또한 이는 중국군과 한국군에게는 일본의 방공시스템을 파악할 기회였다고 하는데 사실 항공기 성능을 보면 자위대가 이를 격추시키지 못할 리는 없었다. 아니, 연습기나 대지 공격기로도 쉽게 격추시킬 수는 있다. 다만 가만히 내버려두자니 이런 거 한 대 처리 못하는게 우스운 꼴이 되고, 그렇다고 격추시키면 러시아한테 선전포고 날리는 거다. 현재 거의 매년 이런 현상이 반복되고 있으며 아직도 현재 진행형이다. 간혹 전투기도 접근하기도 한다. 하지만 일본 영공에는 한번도 들어간 적이 없다. 방공식별구역에 들어갔을 뿐이다. 자세한건 방공식별구역 참조.
Tu-95를 요격 중인 미국 공군기들

이 사건 이후 한미연합 키 리졸브 훈련 중에도 이 폭격기의 정찰형인 Tu-95MR이 한국 방공식별구역(KADIZ)을 침범하고 니미츠급 항공모함 전단 상공으로 날아왔다. 한국 공군은 KADIZ를 넘기 전부터 추적하다가 KADIZ를 넘자 KF-16 1개 편대를 긴급발진시켜 요격했고, 니미츠 전단은 정찰형임을 파악하고 5해리 거리까지 다가오게 내버려 두다가 함대 상공으로 접근하자 니미츠에서 F/A-18E/F 슈퍼호넷 편대를 발진시켜 요격[21]했다고 한다.

2014년 1월 28일, 이 폭격기 2대가 한국 방공식별구역을 침입했던 것으로 확인 됐는 데, 이것으로 최근 5년 동안 60번 이상 한국 방공식별구역을 넘나들고 있는 중. 이 와중에 한국 국방부가 Tu-95 폭격기가 아니라 Tu-142 정찰기가 침입했던 것으로 밝혀 진위 논란이 뒤늦게 일어났다. 참조[22]

2015년 2월에 이번에는 브리튼 제도 영공 주변을 한바퀴 빙 도는 묘기를 보여주었다. 영국 공군의 유로파이터 전투기가 감시비행했다. 기사

가끔씩 쿠릴 열도 영토분쟁이 있는 일본에 무력시위용으로 출동하기도 한다.

세계 최강의 단일 무기인 차르 봄바를 투하할때 쓰이기도 했다.

2015년 7월 4일 미국 독립기념일에 Tu-95 편대가 미국 알래스카 방공식별구역을 비행하였다. 당연히 분노한 미 공군은 F-15E 편대를 출격시켰는데, 이 러시아 조종사들이 F-15E 편대에 송신한 내용은 독립기념일 축하 메시지였다.[23]

2015년 7월 14일 하바롭스크 인근을 비행하던 Tu-95가 추락해 조종사 2명이 숨졌다. 원인은 기체노후로 인한 엔진고장. 엔진 3개가 한꺼번에 고장났다. #

2015년 10월 27일 한국 해군과 로날드 레이건 함의 동해상 훈련 중 또 나타났다.

파일:tu-95ms(rf-94186) 0.jpg

2019년 7월 23일 중국 H-6 폭격기 2대와 러시아 Tu-95 폭격기 2대 및 A-50 조기경보통제기 1대 등 군용기 5대가 동해 한국방공식별구역(KADIZ)에 무단 진입했으며, 이 과정에서 러시아 A-50 1대는 독도 인근 한국 영공을 두 차례 침범했다.

2020년 6월 18일에는 미국 알래스카 방공식별구역(ADIZ) A-50의 조기 경보 지원과 Su-35의 호위를 받는 Tu-95MS 2기가 진입했으며, 미 공군 소속의 F-22 전투기가 근접 비행으로 대응하여 미국 영공 진입을 요격하였다. 이러한 도발은 올해만 해도 여덟 차례에 달하고 있다.

러시아 공기부양정 주브르급의 추진 프로펠러가 Tu-95와 같은 제품을 쓴다는 사실도 알려져 있다.

7. 대중매체에서

8. 모형

9. 관련 문서

10.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상징 <colcolor=#000,#fff> 국기 · 국장 · 국호 · 노동자 마르세예즈 · 인터내셔널가 · 소련 찬가 · 낫과 망치 · 붉은 별
정치 정치 전반 · 소련 공산당 · 소련 공산당대회 · 크렘린 · 레닌 영묘 · 크렘린 벽 묘지 · 소련 최고회의 · 소련 장관회의 · 헌법
블라디미르 레닌 · 이오시프 스탈린 · 니키타 흐루쇼프 · 레오니트 브레즈네프 · 유리 안드로포프 · 콘스탄틴 체르넨코 · 미하일 고르바초프
최고지도자( 서기장) · 국가수반 · 대통령
군사 소련군( 장비 · 소련 육군 · 소련 해군 · 소련 공군 · 소련 방공군 · 소련 전략로켓군) · 스타프카 · 소련 국방장관 · 스페츠나츠 · 정치장교 · 바르샤바 조약 기구 · 열병식
소련의 핵개발( RDS-1 · 차르 봄바 · 세미팔라틴스크) · 소련군 vs 미군 · 소련군 vs 자위대 · 대외전쟁
치안 체카 · NKVD · KGB
경제 경제 · 경제사 · 소련 루블 ·
인문 민족 · 언어 · 종교
역사 역사 · 러시아 혁명 · 러시아 내전 · 신경제정책 · 대숙청 · 독소 폴란드 점령( 카틴 학살) · 대조국전쟁 · 소련-일본 전쟁 · 냉전( 6.25 전쟁 · 스푸트니크 쇼크 · 쿠바 미사일 위기 ·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 · 1980 모스크바 올림픽) · 글라스노스트 & 페레스트로이카 · 소련 존속 여부 국민투표 · 8월 쿠데타 · 소련 붕괴 ·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폭발 사고
외교 외교 · 미소관계 · 소련-유고슬라비아 관계( 티토-스탈린 결별) · 중소관계( 중국-소련 국경분쟁 · 중소결렬) · 나치 독일-소련 관계( 독소 불가침조약) · 독러관계 · 북소관계 · 한소관계 · 소련-일본 관계 · 소련-몽골 관계 · 소련-대만 관계 · 친소 · 소비에트 제국 · 브레즈네프 독트린 · 인테르코스모스
문화 문화 · 사회주의 리얼리즘 · 사미즈다트
막심 고리키 · 보리스 파스테르나크 · 미하일 숄로호프 · 알렉산드르 솔제니친 · 스트루가츠키 형제
블라디미르 비소츠키 · 세르게이 프로코피예프 ·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 · 드미트리 카발레프스키 · 아람 하차투리안 · DDT(밴드) · 키노
교육
요리
공휴일
과학 우주 콘스탄틴 치올코프스키 · 반작용 추진 연구 그룹 · 세르게이 코롤료프 · 블라디미르 첼로메이 · 유리 가가린 · 발렌티나 테레시코바 · 알렉세이 레오노프
스푸트니크 · 소유즈 우주선 · 보스토크 계획 · 보스호드 계획 · 살류트 프로그램 · 미르 우주정거장
기초 소련의 기초과학 · 토카막 · 러더포듐 · 더브늄 · 시보귬 · 보륨
표트르 카피차 · 레프 란다우 · 이고르 탐 · 그리고리 마르굴리스 · 안드레이 사하로프 · 파벨 체렌코프
스테클로프 수학 연구원 · 쿠르차토프 연구원 · 레베데프 물리 연구소 · 란다우 이론물리학 연구원
}}}}}}}}} ||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냉전기 소련 공군 항공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소련 공군 (1946~1991)
Вое́нно-возду́шные си́лы СССР, ВВС СССР
제공 전투기 <colbgcolor=#CC0000> 1세대 <colbgcolor=#fefefe,#191919> Yak-17, Yak-23, MiG-9, MiG-15, MiG-17, La-15, La-200
2세대 MiG-19, MiG-21, Su-7, Su-9, Su-11
3세대 MiG-21, MiG-23, MiG-25, Su-15, Su-17, Tu-128, Yak-38
4세대 MiG-29, MiG-31, Su-27/30, T-10K, Yak-141
4.5세대 T-10M, Su-37, Su-47, MiG-1.44
공격기 Su-7, MiG-27, Su-17, Il-40, Il-102, Su-24, Su-25, Su-27IB, Su-39, Yak-28, Yak-130
폭격기 전술 폭격기 Il-28, Tu-2, Tu-14, Yak-26
전략 폭격기 Tu-4, Tu-95, Tu-16, Tu-22, Tu-22M, Tu-160, M-4
수송기 An-12해·공, An-22, An-24해·공, An-26B, An-32, An-72, An-124, Il-18D/V, Il-62M, Il-76M/MD/TD, Il-476, Il-114
회전익기 정찰·연락용 헬리콥터 Mi-1, Mi-2
다목적 중형헬리콥터 Mi-4, Mi-8, Ka-32
대형수송헬리콥터 Mi-6, Mi-26
공격헬리콥터 Mi-24, Mi-28, Ka-50/52
대잠헬리콥터 Mi-14, Ka-27
지원기 조기경보기 A-50, Il-18D(-36)/V, Il-22M-11, Tu-142MR, Tu-126, An-71
정찰기 An-30, M-17/M-55, MiG-21R, MiG-25R, Su-17R, Su-24MR, Il-20, Il-24, Il-28R, Tu-16R, Tu-22R, Yak-25R, Yak-27R, Yak-28R
전자전기 An-12B-PP/BK-IS/-PP/-PPS, An-26M/RM/RTR/RR, Su-24MP, Il-20RT, MiG-25RB, Tu-16Ye/P/SPS, Tu-22P, Tu-95RT
해상초계기 An-72P, Be-6, Be-10, Be-12, Tu-16PL/R/RM/SP, Tu-95MR, Tu-142, Il-38, 3M/3MD, A-40 알바트로스
공중지휘기 Il-22
공중급유기 Il-78M, Tu-16D/N/Z, M-4-2, 3MS-2/3MN-2
훈련기 프롭 Yak-11, Yak-18, Yak-52
제트 Il-28U L-29, L-39, MiG-15UTI, MiG-21U, Su-7U, Su-9U, Su-11U, Yak-17UTI, Yak-28U
기타 EF 131/EF 140, Samolyot 346 }}}}}}}}}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svg 현대 러시아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러시아 연방군 (1992~현재)
Вооружённые Силы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회전익기 다목적 헬기 <colbgcolor=#ffffff,#191919> Mi-2R, Mi-6R, Mi-8(MT/MTV/PP), Ka-27/29/32, { Ka-60}
수송헬기 Mi-26, Mi-38
공격헬기 Mi-24, Mi-24(D/K/P/R/VP), Mi-35, Mi-28N, Ka-50/52, 카잔 ANSAT
대잠헬기 Mi-14(BT/PL)
전투기
레시프롭기 I-15bisR, DITR
4세대 / 4.5세대 MiG-29(A/C/S/UB/ M/M2/SMT/ K)/ MiG-35, MiG-31(M/BM), Su-27(SM/UB)해·공, Su-30(M2/SM)해·공, Su-33, Su-35S, Su-47, MiG-MFI
5세대 Su-57/{ Su-57K}, MiG-LMFS?, { Su-75}
6세대 { MiG-41}
공격기 Su-24(M/MP/MR)해·공, Su-25(SM/SM3/UB해·공), Su-32FN, Su-34
폭격기 전략폭격기 3MSN-1R, Tu-16R, Tu-95MS/MSM, Tu-22M3/MR, Tu-160, { PAK-DA}
수송기 An-12해·공, An-12BP, An-22, An-24해·공, An-26, An-26B, An-32, An-72, An-124, Il-18(D/V), Il-62M, Il-76(M/MD/TD), Il-476, Il-114, { PAK-TA}
지원기 조기경보기 A-50, { A-100}
해상초계기 Be-12, Tu-142, Il-38. A-40 알바트로스
정찰기 Su-24MR, Il-20, Il-24, Tu-214(R/ON)
공중지휘기 Il-22, Tu-214(PU/SR)
통신중계기 Tu-214SUS
공중급유기 Il-78M
인명구조 및 소방용 항공기 Be-200ES
무인기 UAV 오리온, Grusha, 옐레론-3, 그라나트-4, 오를란-2, 오를란-10, 포르포스트, S-100, 란쳇-1, 란쳇-3, GSV-37 Breeze, Korsar, Fazan, BPV-500 VTOL, Ka-137, 게란-1, 게란-2, 샤헤드-129, 샤헤드-191, 거베라
UCAV 미코얀 스카트, {오를란-E}, S-70 아호트니크
훈련기 프롭 Yak-152
제트 L-39, Yak-130
※ 윗첨자R: 퇴역 및 의장용 기종
※ 윗첨자L: 임대 기종
취소선: 개발 또는 도입 취소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윗첨자?: 도입여부가 불확실한 기종
※ 윗첨자각군: 해당 군 운용, 별도 표기 없을 시 항공우주군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소련 국기.svg 러시아·소련군의 운용장비 | 파일:jet_icon__.png 항공병기 }}}
}}}}}}


파일:우크라이나 공군 라운델.svg 현대 우크라이나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우크라이나 국군 (1991~현재)
Збройні Cили України
<colbgcolor=#0056B9> 회전익기 <colbgcolor=#0056B9> '''[[무장헬기|
경헬기
]]'''
Mi-2MSB(-1/-V)육/M | Bo 105육/D | Ka-226 | AS550 C3 패넥근위 | H145근위
'''
다목적 헬기
'''
Mi-8(MSB-V/PS/T/MT) | Mi-9 | Mi-8AMTSh육/C | Mi-17(-1V)육/D | Mi-171ED | Ka-32A11BC육/D | 시킹 HU.5해/D | H225근위 | Ka-29TB해/R | UH-60정보
수송헬기 Mi-26TR | Mi-6AR | 벨 412HPD
공격헬기 Mi-24(PU1/V/VP/P/K/RCh) | Mi-24W · Mi-25육/D | Mi-24(A/D)
대잠헬기 Mi-14(BT/PL/PS) | Ka-27(PL/PS)해/R | Ka-25PL해/R
'''[[전투기|
전투기
]]'''
'''[[2세대 전투기|
2세대
]]'''
Su-15TMR | MiG-21(PF/PFM)R
'''[[3세대 전투기|
3세대
]]'''
MiG-25PDR | MiG-23(ML/MLD)R | MiG-21MR
'''[[4세대 / 4.5세대 전투기|
4(.5)세대
]]'''
F-16(AM/BM) Block 20 MLUD | { 미라주 2000-5}D | Su-27(S1M/P1M/UB1M) | MiG-29(A/S/UB ·  MU1/UBM1M ·  AS/UBSD) | T-10K-3R
공격기 Su-24M | Su-25(K/UB→M1/UB1M) | MiG-27R | MiG-23BNR | Yak-28R | Yak-38M해/R | Su-25UTG해/R
폭격기 Tu-160R | Tu-22(M/M2/M3)해/R | Tu-22KD해/R | Tu-16해/R
'''[[정찰기|
정찰기
]]'''
전술 Su-24MR | An-30B | MiG-25(RB/RBS)R
'''[[수송기|
수송기
]]'''
경량 An-26(B/KPA) | An-26B-100 | An-2T | Tu-134AK | An-72PR | An-24BR | An-32BD
전술 An-70 | An-12(BK/BP)R
전략 Il-76MD
'''
지원기
'''
'''[[공중급유기|
공중급유기
]]'''
Il-78R
'''[[조기경보기|
조기경보기
]]'''
{ 사브 340 AEW&C}D
'''[[대잠초계기|
해상초계기
]]'''
Be-12(PL/PS) 차이카 | Il-38해/R | Tu-142MZ해/R | Be-12해/R
'''
의무후송기
'''
An-26 '비타'R
'''[[무인기|
무인기
]]'''
'''
SUAV
'''
클래스 1 - MAV
DJI 미니 ·  매빅 ·  팬텀 | PD-100 블랙 호넷 나노육/D | RQ-11B 레이븐육/D
클래스 1 - 초소형
ITEC 스키프 | 스펙테이터-M1 | 렐레카-100 | 퍼니셔 | A1-CM 퓨리아 | ASU-1 발키리야 | BpAK-MP-1 | RQ-35 헤이드룬육/D | RQ-20 퓨마육/D | WB 플라이아이육/D | 바이락타르 미니육/D | 퀀텀 벡터육/D | 퀀텀 스콜피온육/D | 팽귄 C육/D | 샤크 | 브라모르육/D | 밴시 제트 80+D
클래스 1 - 소형
PD-1 | PD-2 | UJ-22 에어본 | RQ-27 스캔이글육/D | 프리모코 원-150육/D | 루나-NG육/D
'''
UAV
'''
클래스 2 - 전술형
An-BK-1 | 맬로이 T150D | Tu-141 | Tu-143
'''
UCAV
'''
클래스 2 - 전술형
바이락타르 TB2해·공
'''[[훈련기|
훈련기
]]'''
프롭 KhAZ-30 | Yak-52
제트 L-39(M/C/ZA) 알바트로스 | L-29 델핀R | Su-17UM3R | MiG-21UMR
VIP 탑승기 ACJ319-115X | An-148-100B | An-74TK-300D | Yak-40M | Tu-154B-2R | Tu-134A-3R | Il-62MR
※ 윗첨자R: 퇴역 기종
※ 윗첨자M: 개조 기종
※ 윗첨자C: 노획 기종
※ 윗첨자D: 공여받은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윗첨자각군: 해당 군 및 국방정보국 운용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군의 운용장비 | 파일:jet_icon__.png 항공병기 }}}
}}}}}}


✈️ 항공병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대전기 1914~1945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colbgcolor=#3D3137> 1차
세계대전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러시아 제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협상군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동맹군
전간기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2차
세계대전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1943-1947).svg
미국
파일:RAF_type_C1_roundel.svg
영국
파일:독일 공군(나치 독일) 라운델2.svg
나치 독일
파일:일본 공군 라운델.svg
일본 제국
파일:Italy-Royal-Airforce.svg
[[틀:2차 세계대전/이탈리아 항공기|
이탈리아 왕국
]]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소련
파일:노르웨이 공군 라운델(1914-1940).svg
노르웨이
파일:스웨덴 공군 라운델.svg
스웨덴
파일:핀란드 공군 라운델(1934-1945).svg
핀란드
파일:덴마크 공군 라운델.svg
덴마크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파일:Roundel_of_the_Royal_Thai_Air_Force_(1941-1945).svg
태국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파일:대만 국장.svg
중화민국
파일:Czech_roundel_(right_wing).svg
[[틀:2차 세계대전/체코슬로바키아 항공병기|
체코슬로바키아
]]
파일:Roundel_of_Bulgaria_(1937-1941).svg
[[틀:2차 세계대전/불가리아군 항공기|
불가리아 왕국
]]
파일:헝가리 공군 라운델(1942-1945).svg
헝가리 왕국
파일:Nationalist_air_force_black_roundel_with_arrows.svg
스페인
파일:Manchukuo_Air_Force_Roundel.svg
만주국
파일:Emblem_of_Mongolian_People's_Army.svg
[[틀:2차 세계대전/몽골 항공병기|
몽골 인민 공화국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냉전기 1945~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제1세계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svg
미 공군 | 미 해군
파일:독일 공군 라운델.svg
서독
제2세계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소련
파일:국가인민군 공군 라운델.svg
동독
파일:폴란드 공군 라운델(1921-1993).svg
폴란드
제3세계 [[틀:냉전/유고슬라비아 항공기|파일:유고슬라비아 항공 및 반항공군 라운델.svg
유고슬라비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현대 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북미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svg
미 공군 | 미 해군
파일:캐나다 공군 라운델.png
캐나다
파일:멕시코라운델.png
멕시코
'''
중미/카리브
'''
[[틀:현대전/도미니카 공화국 항공병기|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도미니카 공화국
]]
파일:쿠바 라운델.svg
쿠바
[[틀:현대전/엘살바도르 항공병기|파일:엘살바도르 공군 라운델.svg
엘살바도르
]]
파일:온두라스 공군 라운델.svg.png
온두라스
<colbgcolor=#3d3137>남미 파일:브라질라운델.png
브라질
파일:우루과이 공군 라운델.svg
우루과이
[[틀:현대전/아르헨티나 항공병기|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아르헨티나
]]
파일:칠레라운델.png
칠레
파일: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볼리비아
파일:파라과이 공군 라운델.svg
파라과이
파일:페루 공군 라운델.svg
페루
파일:에콰도르 공군 라운델.svg
에콰도르
파일:콜롬비아 공군 라운델.svg
콜롬비아
파일:베네수엘라 공군 라운델.svg
베네수엘라
서유럽 파일:영국 공군 라운델.svg
영국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파일:네덜란드 라운델.svg
네덜란드
파일:2000px-Roundel_of_Belgium_svg.png
벨기에
파일:아일랜드 라운델.svg
아일랜드
파일:룩셈라운델.svg.png
룩셈부르크
중부유럽 파일:독일 공군 라운델.svg
독일
파일:폴란드 공군 라운델.svg
폴란드
파일:체코 공군 라운델.svg
체코
[[틀:현대전/슬로바키아 항공병기|파일:슬로바키아 국장.svg
슬로바키아
]]
파일:스위스 공군 라운델.png
스위스
[[틀:현대전/오스트리아 항공병기|파일:오스트리아 라운델.svg
오스트리아
]]
파일:헝가리 공군 라운델.png
헝가리
남유럽 파일:이탈리아 공군 라운델.svg
이탈리아
파일:스페인 공군 라운델.png
스페인
파일:포르투갈라운델.png
포르투갈
파일:그리스 공군 라운델.svg
그리스
파일:루마니아 공군 라운델.svg
루마니아
파일:불가리아 공군 라운델.svg.png
불가리아
[[틀:현대전/슬로베니아 항공병기|파일:슬로베니아군 라운델.svg
슬로베니아
]]
[[틀:현대전/크로아티아 항공병기|파일:크로아티아군 라운델.svg
크로아티아
]]
파일:세르비아 라운델.svg
세르비아
[[틀:현대전/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항공병기|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군 라운델.pn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틀:현대전/몬테네그로 항공병기|파일:몬테네그로 공군 라운델.svg
몬테네그로
]]
[[틀:현대전/북마케도니아 항공병기|파일:북마케도니아군 라운델.svg
북마케도니아
]]
파일:알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알바니아
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키프로스
파일:튀르키예 공군 라운델.svg
튀르키예
북유럽 파일:스웨덴 공군 라운델.svg
스웨덴
파일:노르웨이 공군 라운델.png
노르웨이
파일:덴마크 공군 라운델.svg
덴마크
파일:핀란드 공군 라운델.svg
핀란드
동유럽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svg
러시아
[[틀:현대전/우크라이나 항공병기|파일:우크라이나 공군 라운델.svg
우크라이나
]]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벨라루스
파일:몰도바 공군 라운델.svg
몰도바
파일:조지아 공군 라운델.svg
조지아
[[틀:현대전/아르메니아 항공병기|파일:아르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아르메니아
]]
[[틀:현대전/아제르바이잔 항공병기|파일:480px-Roundel_of_Azerbaijan.svg.png
아제르바이잔
]]
동아시아 파일:대한민국 국군 라운델.svg
대한민국
파일:항공자위대 라운델.svg
일본
파일:중국 인민해방군 공군 라운델.svg
중국
파일:대만 국장.svg
대만
파일:북한 공군 라운델.png
북한
파일:몽골 공군 핀 플래시.svg
몽골
'''
동남아시아
'''
파일:태국 공군 라운델.svg
태국
파일:베트남 공군 라운델.png
베트남
[[틀:현대전/말레이시아 항공병기|파일:말레이시아 공군 라운델.svg
말레이시아
]]
파일:싱가포르 공군 라운델.svg
싱가포르
[[틀:현대전/인도네시아 항공병기|파일:인도네시아라운델.png
인도네시아
]]
파일:필리핀 공군 라운델.svg
필리핀
파일:브루나이 공군 라운델.svg.png
브루나이
파일:미얀마 라운델.svg
미얀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Royal_Cambodian_Air_Force_roundel.svg.png
캄보디아
파일:라오스 공군 라운델.svg
라오스
'''
중앙아시아
'''
[[틀:현대전/카자흐스탄 항공병기|파일:카자흐스탄 공군 라운델.svg
카자흐스탄
]]
[[틀:현대전/우즈베키스탄 항공병기|파일:우즈베키스탄 공군 라운델.svg
우즈베키스탄
]]
[[틀:현대전/타지키스탄 항공병기|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타지키스탄
]]
[[틀:현대전/키르기스스탄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Air_Force_of_Kyrgyzstan.svg.png
키르기스스탄
]]
[[틀:현대전/투르크메니스탄 항공병기|파일:투르크메니스탄 공군 라운델.svg.png
투르크메니스탄
]]
남아시아 파일:인도 해군 라운델.png
인도
파일:파키스탄 라운델.png
파키스탄
[[틀:현대전/방글라데시 항공병기|파일:방글라데시 라운델.png
방글라데시
]]
파일:스리랑카 공군 라운델.svg
스리랑카
파일:네팔 육군항공대 라운델.svg
네팔
[[틀:현대전/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 항공병기|파일:아프가니스탄 라운델.png
아프가니스탄
]]
[[틀:현대전/아프가니스탄 항공병기|파일: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공군 라운델.png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
서아시아 파일:이스라엘 공군 라운델.svg
이스라엘
[[틀:현대전/사우디아라비아 항공병기|파일:사우디아라비아 공군 라운델.svg
사우디아라비아
]]
파일:이란 라운델.svg
이란
파일:이라크 공군 라운델.svg
이라크
파일:쿠웨이트 공군 라운델.svg
쿠웨이트
파일:시리아 공군 라운델.svg
시리아
파일:레바논 공군 라운델.svg
레바논
파일:요르단 공군 라운델.svg
요르단
[[틀:현대전/아랍에미리트 항공병기|파일:아랍에미리트 공군 라운델.svg
아랍에미리트
]]
파일:카타르 공군 라운델.svg
카타르
파일:480px-Roundel_of_Bahrain.svg.png
바레인
파일:오만 공군 라운델.svg.png
오만
파일:예멘 라운델.svg
예멘
'''
오세아니아
'''
파일:호주 공군 라운델.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공군 라운델.svg
뉴질랜드
[[틀:현대전/파푸아뉴기니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Papua_New_Guinea_roundel.svg.png
파푸아뉴기니
]]
'''
북아프리카
'''
파일:이집트 공군 라운델.png
이집트
파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리비아
파일:튀니지 공군 라운델.svg
튀니지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px-Algeria_A-F_Roundel.svg.png
알제리
파일:모로코 공군 라운델.svg
모로코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of_the_Sudanese_Air_Force.svg.png
수단
파일:자유 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자유 리비아 (~'11)
'''
동아프리카
'''
[[틀:현대전/에티오피아 항공병기|파일:에티오피아 공군 라운델.svg
에티오피아
]]
파일:지부티 공군 라운델.svg
지부티
파일:소말리아 공군 라운델.svg
소말리아
파일:케냐 공군 라운델.svg
케냐
파일:탄자니아 공군 라운델.svg.png
탄자니아
파일:모잠비크 공군 라운델.svg
모잠비크
파일:우간다 공군 라운델.svg
우간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Rwanda.svg.png
르완다
[[틀:현대전/마다가스카르 항공병기|파일:마다가스카르 공군 라운델.svg
마다가스카르
]]
파일:코모로 공군 라운델.svg.png
코모로
'''
서아프리카
'''
[[틀:현대전/나이지리아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00px-Roundel_of_the_Nigerian_Air_Force.svg.png
나이지리아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80px-Roundel_of_the_Senegalese_Air_Force.svg.png
세네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Niger_Air_Force.svg.png
니제르
파일:말리 공군 라운델.svg
말리
파일:기니 공군 라운델.svg
기니
파일:모리타니 공군 라운델.png
모리타니
파일:가나 공군 라운델.svg
가나

토고
'''
중아프리카
'''
파일:차드 공군 라운델.svg
차드
파일:카메룬 공군 라운델.svg.png
카메룬

가봉
[[틀:현대전/콩고 공화국 항공병기|파일:콩고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 공화국
]]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민주공화국
파일:앙골라 공군 라운델.svg
앙골라
'''
남아프리카
'''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svg
남아공
파일:보츠와나 공군 라운델.svg
보츠와나
파일:나미비아 공군 라운델.svg.png
나미비아
파일:레소토 공군 라운델.svg
레소토

잠비아
파일:짐바브웨 공군 라운델.svg
짐바브웨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제트전투기의 계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유럽
파일:아시아 위치.svg
아시아
}}}}}}}}}}}}

11. 참고 링크


[1] 참고로, B-52와 취역년도까지 똑같다. 폭장량은 B-52의 반 정도(B-52가 약31.5톤)이지만 항속거리가 좀 더 길다. [2] B-52항목에도 설명되어 있지만 사실상 둘은 배다른 형제다. B-29를 참조한 Tu-4의 설계를 이어받았기 때문 [3] 현재는 Объединённая авиастроительная корпорация, PJSC United Aircraft Corporation에 합병되었다. [4] https://army-news.org/2016/07/kak-moderniziruyut-rossijskij-tu-95ms-i-amerikanskij-v-52n/ [5] 조종사 2, 후방총좌 1, 상부총좌 1, 하부총좌 1, 항법사 1, 무전수 1, 폭격수 1, 기관사 1 [6] 조종사 2, 후방총좌 1, 하부총좌 1, 항공정찰 관측수(Tu-142의 경우 레이더 관측병) 1, 그외 4 [7] 조종사 2, 후방총좌 1, 그외 4 [8] 15톤은 초기형 95-1 기준이다. 그러나 개량형중에는 폭장량이 고작 12톤 수준인 것도 있다. [9] 연장포탑 3기, 상부 1기 하부 1기 후방 1기. 상부와 하부 포탑은 크기를 줄여 최대한 숨겼다. [10] 단, Tu-95MR은 하방포탑에 연장 23mm AM-23 기관포가 다시 보인다. [11] 참고로 서구에서 개발된 가장 빠른 프롭 민항기로 꼽히는 사브 2000의 순항 속도가 불과 685 km/h다. [12] C-5A/B가 비행하는 모습을 실제로 봤다면 Tu-95가 얼마나 시끄러운 비행기일지 대충 짐작할 것이다. [13] 도중에 프로펠러가 곧게 된 순간은, 자막 설명대로 일부 엔진을 멈췄다가 다시 가동하는 도중이다. [14] 영상이라서 소음이 잘 체감이 가지 않는다면, 이어폰을 끼고 소리를 최대로 하면 대충 느껴질 것이다.(⚠️수 초 이상 최대 음량으로 들을 경우, 청각 손상의 위험 있음.) [15] Tu-160의 12,300km보다 2700km 더 긴 15,000km이다. 이 절륜한 항속거리가 Tu-95 최고 장점인데, 동시기에 생산된 미야시셰프 M-4가 제트엔진에 폭장량도 더 컸지만(24,000kg) 항속거리가 거의 두 배가량 차이나서 생산 경쟁에서 Tu-95가 승리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16] 당장 P-8의 제조사인 보잉의 최다 항속거리 기종은 B777-200LR인데 이 기체의 항속거리가 8500해리정도다. 그리고 위에도 나와있듯이 이 폭격기의 항속거리는 8100해리로 얼마 차이가 나지 않는다. 당연히 협동체기인 B737의 파생기종 P-8의 항속거리가 딸리는건 당연하기 때문에 좋게 말해서 비즈니스 제트 형식의 737도 잘해봐야 태평양 횡단 정도의 항속거리다. 그래서 비슷한 항속거리의 여객기는 당장 찾아보면 스펙상으론 A350-900이 동일한 항속거리를 갖고 있다. [17] 다만 현재 잠대공미사일은 개발만 됐고 도입국은 없는 상황이긴 하다. [18] 1984년 사진이다. [19] 반대로 B-52도 모스크바 MAKS 에어쇼에 참가하기 위해 러시아 땅을 밟은 적이 있었다. [20] 하지만 데시벨은 로그스케일이라 별로 떨어지진 않았을 것이다. [21] 직접 격추시키는 것이 아니라 더 접근하지 못하도록 밀착비행하며 쫓아내는 것도 요격이라고 한다. 그런데 이게 자존심 싸움으로 번질 경우, 치킨 게임으로 변질되어 공중에서 교통사고 일어나는 경우도 있다. 2001년에 미국 EP-3 정찰기 한대와 중국 J-8 전투기 한대가 남중국해에서 이렇게 충돌해서 정찰기는 중국땅에 불시착하고, 중국 전투기는 추락했다. 조종사는 실종. [22] Tu-142가 Tu-95의 파생형인 까닭에 둘이 거의 대부분이 똑같이 생겨서 외신들도 종종 헷갈린다고 한다. [23] Доброе утро, американские пилоты! Мы здесь, чтобы поздравить вас с вашим Днем независимости 4 июля!(안녕하십니까, 미국 조종사 여러분! 저희는 7월 4일, 당신들의 독립 기념일을 축하하러 왔습니다!) [24] 농담이 아니라 정말로 ™이 붙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