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3-30 11:16:27

Il-38


파일:나쁜사람은볼수없어.png
{{{#!wiki style="margin: 0 -10px;"
{{{#2585e6,#2585e6 {{{#!folding [ 일류신 항공기 목록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000,#e5e5e5
민항기
단발기 Il-103
쌍발기 Il-14 Il-114 MC-21(공동개발)
4발기 Il-18 Il-62 Il-86 Il-96
군용기
공격기 Il-2 ‧ Il-10 ‧ Il-102
폭격기 DB-3 Il-28
수송기 Il-12 Il-76 Il-476
조기경보기 A-50 KJ-2000 A-100
공중급유기 Il-78
ABL A-60
대잠초계기 Il-38
※ 제조사별 항공기 둘러보기 }}}}}}}}}}}}}}}

파일:Ilyushin_Il-38_from_below_Apr_1987.jpg
Ил-38

1. 개요2. 제원3. 개발 과정4. 내부 구성5. 현대화 개수
5.1. 러시아5.2. 인도
6. 운영 연역
6.1. 소련/러시아6.2. 인도
7. 사건 사고8. 기타9. 둘러보기

1. 개요

소련이 개발한 대잠초계기. 현재는 러시아 해군 인도 해군이 운용한다. NATO 코드명은 메이(May).

2. 제원

승무원 7명
전장 40,075 m
전고 10.12 m
날개폭 37.4 m
날개넓이 140 m2
차축너비 9 m
자체중량 34,700 ㎏
최대이륙중량 68,000 ㎏
최대착륙중량 52,200 ㎏
자체연료탑재량 26,650 ㎏
엔진 TVD AI-20M(ТВД АИ-20М) 터보프롭 엔진 × 4
엔진중량 1,040 ㎏
엔진출력 4,225마력 × 4[1]
프로펠러 AB-64 - 04A × 4(АВ-64 серии 04А)
최대속도 650 km/h
페리항속거리[2] 7,500 km
작전반경 2,200 km
작전시간 13시간
상승률 5.33 m/s
실용상승한도 11,000 m
탑재무장 대잠어뢰 × 2 (AT-1 / AT-2 / APR-1 〔АТ-1 / АТ-2 / АПР-1〕)
대잠폭뢰 × 10 (PLAB-250-120 / PLAB-50 〔ПЛАБ-250-120 / ПЛАБ-50〕)
기뢰 × 4 (IDGM / AMD-2M / APM / RM-1 〔ИДГМ / АМД-2М / АПМ / РМ-1〕)
기뢰 × 8 (IDGM-800 〔ИДГМ-800〕)
대잠핵폭뢰 스칼프(Скальп)[3]
대함유도탄 × 2 (Sea Eagle)[4]

3. 개발 과정

4. 내부 구성

동체, 주 날개, 꼬리 날개 및 동력 장치와 엔진실, 조종실은 Il-18과 동일하다. 다만 가압 구조는 동체 전방의 승무원 구획에만 적용되며, 비가압 구획과 격벽으로 분리되어 있다.

승무원 구획은 두 명의 조종사와 항법사, 항공기관사 및 무선 통신사가 자리하며 최후방에는 전탐사와 음탐사가 배치되어 있다. 조종석 아래에는 대수상 레이더가 수납된 레이돔이 동체 외부로 돌출되어 있고[7] 전면부 랜딩 기어와 고전압 장치가 있다. 레이돔 뒤에는 접이식 해치가 있어 조종석 탑승과 비상 탈출구를 겸하고 있다. 수상 비상착륙 시 비상 탈출용으로 상부와 주 날개 방향으로 해치가 있다.

동체 중앙 구획에는 동체 연료 탱크 2개, 냉각 장치 및 베르쿠트의 온보드 컴퓨터가 탑재된 컨테이너가 있다. 중앙 구획의 하부에는 주 날개를 기준으로 2개의 폭탄창이 앞뒤로 배치되어 있다. 전방에는 음향 부표, 후방에는 대잠 무기를 탑재한다.

후방 구획 화물칸에는 베르쿠트 장비, 산소 실린더 및 구명 보트가 수납되었고, 그 뒤에는 12CAM-28 배터리, TG-16(ТГ-16) 터빈 발전기, 산소 실린더, 자동조종 제어장치 등이 설치되어 있다. 구조적으로 동체가 조종석에서 꼬리 구획까지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있고, 꼬리 끝에는 5.59 m의 자기 이상 탐지기(MAD) 붐이 있다.

주 날개는 곧은 사다리꼴 형태의 이날개보(Two-Spar) 구조를 갖추고 있으며, 중심을 유지하기 위해 Il-18보다 3미터 앞으로 이동했다. 날개에는 이중 슬롯형 전기 파울러 플랩이 장착되어 있고, 4개의 엔진실과 메인 랜딩 기어가 고정되어 있다. 날개 외피는 두께 2.4 ~ 6 mm의 두랄루민 합금으로 덮혀있다. 꼬리날개는 캔틸레버(cantilever) 형식으로 단일 용골로 구성되었으며 사다리꼴 형태이다. 뒤젖힘각은 수직 꼬리날개가 21°34', 수평 꼬리날개는 6°50' 이며, 양 수평 꼬리 날개의 너비는 11.8 m 이다. 용골과 자세 안정장치는 삼날개보 구조로 되어있고, 두랄루민 합금으로 덮혀있다. 모든 방향타에는 수평 비행을 위한 자동 제어 장치가 있다.

엔진 제어는 조종석의 제어 레버와 연결된 케이블로 전달되며, 조종석의 UPRT-2(УПРТ-2) 표시기를 통해 상황을 판단할 수 있다. 각 엔진에는 228리터의 자체 연료 시스템이 있다. 연료는 저장 탱크에서 공급되는 폐쇄 사이클 엔진 냉각기에서 순환된다. 온도 컨트롤러 ARTM-64(АРТМ-64)의 제어를 통해 라디에이터 터널의 전동 완충기로 송풍을 제어하여, 공랭식 쿨러를 작동시켜 연료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엔진의 가스 배기관은 공기 덕트를 통해 외부와 연결되며, 엔진 덮개에 위치한 챔버는 뜨거운 공기를 공급하여 공기 흡입구를 결빙으로부터 보호한다. 엔진실은 티타늄 방화벽으로 처리된 3개의 구획으로 나뉜다.

연료 저장공간은 3개의 저장고와 22개의 보조 저장고를 포함하여 25개로 이루어져 있다. 저장공간 대부분은 날개에 위치하며 좌우로 1번부터 11번까지 나뉘어지고 주 날개 중앙부에 12번, 동체에는 14번이 배치되어 있다. 연료는 1 ~ 8번 저장고를 우선 사용하고, 9 ~ 11번을 추가 운용한다.

연료는 2개의 전기 부스터 펌프 PNV-2(ПНВ-2)를 통해 1번 저장고에서 주 날개의 엔진으로 동시에 공급된다. 이 때 2번 저장고의 연료는 1번으로 공급된다. 전체적으로 연료 펌프 PNV-2와 ETSN-14(ЭЦН-14)를 통해 9 ~ 11번 저장고에서 1 ~ 8번 저장고로 연료가 이동한다. 6번 저장고의 플로트 밸브는 1 ~ 8번 저장고간의 일정한 연료 레벨을 유지한다. 12 번 저장고는 1 ~ 11번에 동시에 공급하며 14번 저장고는 1 ~ 8번에 공급한다. TG-16(ТГ-16)터빈 발전기에는 9 ~ 11번 저장고에서 연료가 공급된다. 탱크 2번 저장고에는 연료 잔고 임계치(1000 리터)를 알리는 센서가 있다.

급유 과정은 SETS(СЭТС) 시스템 및 자동화된 급유 플로트 밸브를 통해 진행된다. 다른 저장고로 연료를 공급할 때 공급하는 저장고의 충전 밸브는 자동으로 닫힌다. 다만 12번 저장고는 연료 충전을 수동으로 제어한다. 기지에 중앙 집중식 가압 급유 탱커가 없는 경우 6, 8, 10, 14번 저장고의 상부를 통해 디스펜싱 건을 사용하여 급유할 수 있다.

소화 시스템은 엔진실과 터빈 장치 구획에 배치되었고, 중성 가스가 사용된다. 소화 시스템은 1단계(자동)와 2단계(수동)로 나뉘어 작동하며, 프레온-114V2(фреон-114В2) 소화제는 1단계 및 2단계 소화 2개의 OS-2Ilf(ОС-2Илф) 실린더에 충전되어 있다.[8] 엔진 내부의 소화 시스템은 각 엔진에 별도로 장착되어 독립적으로 작동한다.

엔진실의 화재 경보 시스템은 4개의 SSP-2A(ССП-2А) 와 72개의 DPS-1AG(ДПС-1АГ) 화재 감지기로 구성되었다. TG-16 터빈 장치의 화재 경보 시스템은 1개의 SSP-2A와 6개의 DPS-1AG 화재 감지기로 구성되었다. 랜딩기어를 접은 상태로 비상착륙을 하면 중성 가스가 동체에 위치한 12번 저장고의 연료과잉공간에 자동으로 이산화탄소로 채우거나 동체 중앙의 화재를 진압하도록 설계됐다. 가압 이산화탄소는 동체 우현에 55, 56호 2개의 OSU-5(ОСУ-5) 실린더에 충전되어 있다. 각 실린더와 PPS(ППС) 파이프라인은 30KhGSA(30ХГСА) 합금강으로 형성되었다. 조종석에는 2개의 휴대용 소화기가 있다.

NP 25-5(НП 25-5) 피스톤 펌프와 2개의 유압 축압기는 평시에는 앞바퀴 회전 제어, 휠 제동, 앞유리 와이퍼, 화물 해치 개폐에 사용되지만, 메인 시스템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백업 시스템으로 전환한다. 이 때 에너지원은 NS-14(НС-14) 전기 펌핑 스테이션으로 메인 시스템과 공용하는 49 리터 연료 저장고에서 충전을 받는다. 시스템의 작동 압력은 210 kg/cm3 이다. 별도의 백업 시스템으로 전방 랜딩기어의 온보드 충전 포트를 통해 180-200 kg/cm2의 압력에서 질소를 충전하여 65 kg/cm2 압력으로 운용되는 2개의 유압 축압기로 비상시 랜딩기어를 제동 및 해치 개폐, 가압 조절, 프로펠러 재가동을 담당한다.

엔진에 설치된 8기의 STG-12TMO-1000(СТГ-12ТМО-1000) 발전기는 27V 전압의 직류를 생성한다. 4기의 12SAM-28(12САМ-28) 배터리는 비상 직류 전원으로 TG-16M 시동, 소화 작업 및 비상 조명을 가동한다. TG-16에는 터빈을 회전시키는 GS-24A(ГС-24А) 시동 발전기가 장착되어 있으며 온보드 네트워크에 직류를 공급하여 주 엔진을 시동한다. SGO-12(СГО-12) 단상 발전기는 총 4기 배치되어 있으며 전압 115V, 주파수 400Hz의 교류를 생성한다. 4기 중 1기는 예비 발전기이다. 지상에서 엔진이 작동하지 않는 항공기의 장비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서 전압 115V 및 주파수 400Hz의 전류를 생성하는 PO-1500(ПО-1500)단상 변환기를 사용한다. 3상 교류 36V의 네트워크는 2기의 PT-1500T(ПТ-1500Ц) 전류 변환기를 통해 전원이 공급된다.

프로펠러의 결빙 방지 시스템은 전열식(電熱式)이다. 주 날개와 꼬리 날개의 앞쪽 가장자리는 직류로 구동되는 발열체에 의해 가열된다. 소요되는 총 전력이 약 55kW 이다. 프로펠러의 회전 날개 가장자리는 115V 전력을 통해 가열되며, 엔진의 스피너와 프로펠러는 약 8kVA 전력을 통해 주기적으로 가열된다. 가열 주기는 PMK-21(ПМК-21) 소프트웨어 메커니즘으로 실행된다. 4개의 조종석 앞유리는 자동 변압기를 통해 AOC-81 전자 조절기의 115V 네트워크에서 가열되어 각 유리의 온도를 35 °C 이내로 유지한다. 엔진 공기 흡입구는 엔진 압축기에서 가져온 압축 공기를 통해 가열된다.

비상 탈출에 대비하여 탑승 승무원은 장비할 KM-32 산소 마스크 7개 키트가 탑재되어 있고, 조종석 및 휴식 공간에 8개의 KP-24M(КП-24М) 산소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의료용 산소의 공급을 위한 각 36리터 용량의 KB-1(КБ-1) 고정 실린더 19개와 동체 내 비가압 구획으로 이동할 때 사용할 수 있는 7.6리터 용량의 휴대용 실린더 1개를 탑재한다. 고고도에서 비상 탈출할 경우를 대비하여 낙하산 탑재 산소 공급장치 KP-23(КП-23)을 비치하였다. 해당 장치의 사용 가능 시간은 11분이다. 탑승 승무원은 MSK-3M(МСК-3М) 해상 구조복을 착용할 수 있다. 비상 탈출에 사용되는 S-5(С-5) 낙하산은 NAZ-7(НАЗ-7) 예비 낙하산과 MLAS-1-OB(МЛАС-1-ОБ) 1인용 보트가 장착되어 있다. 수상에 비상 착륙할 경우 탈출을 위한 상부 비상 해치, 왼쪽 날개 부근 해치와 팽창식 구명 보트 PSN-6A(ПСН-6А)가 있다. 생존기트는 위생, 식량, 야전침구, 구급 상자 등으로 구성되었으며, 식량은 2개의 전기 스토브, 식료품 및 그릇이 포함되어 있다.

5. 현대화 개수

실제 베르쿠트 대잠 시스템은 수색 및 표적 접촉율이 매우 저조했다. 온보드 컴퓨터의 잦은 오류로 가동시간은 평균 1.5 ~ 2시간에 불과했으며, RSL-1(РГБ-1) 음향 부표의 결함 비율이 최대 30%에 달했다. 현장 보고에서는 대잠작전에서의 실제 적합성에서 경쟁 기체인 미국의 P-3보다 약 8 ~ 10배 못미친다고 판단했다.

1969년 종합적이고 대대적인 개수가 결정되어 제어판, 항법 장비, 자동 조종 장치 및 항공 자력계, 탐지 장비와 신형 음향부표, 제빙 시스템 등 사실상 모든 장비를 교체하는 작업을 진행하였고 340 kg의 기체 경량화를 추구했다. 그러나 온보드 컴퓨터가 신형 시스템의 정보 처리를 수행하지 못함으로서 개수 작업은 항공 자력계 교체에 그쳤다.

1980년대 대잠장비의 노후화가 대두되면서 신형 음향부표 도입과 함께 개수하기로 결정했다. 통신 장비, 소나 정보 처리 및 표시 장비, RSL-16(РГБ-16) 음향 부표, 베르쿠트의 인터페이스 장치 등이 개수되어 총 12대의 분량의 패키지가 완성되었다. 1980년대 후반부터 노벨라(Новелла)로 명명된 신형 시스템 교체를 시도했지만, 소련 붕괴로 말미암아 작업이 중단되었다.

5.1. 러시아

2001년 러시아 상트 페테르부르크에 위치한 전자 시스템 제조업체 레니네츠(ЦНПО "Ленинец")에서 현대화 개수를 받은 Il-38N(Ил-38Н)이 비행 테스트를 받았다.

업그레이드를 통해 합성개구레이더/형상식별기능레이더(SAR/ISAR), 수색 및 공격 레이더, 전자정보수집(ELINT) 시스템 및 고해상도 전방적외선감시장비(FLIR), 저조도 TV카메라 등이 설치되었다. 항전 및 전자전 시스템은 전방 동체 상부 버팀대에 장착된 상자형 구조물에 수납되어 신호 정보(SIGINT) 및 정보·감시·정찰(ISR)체계을 수행한다. 기수 아래에는 FLIR과 TV카메라를 설치했다. 대잠 능력 향상을 위해"노벨라-P-38" 탐색 및 추적 시스템을 장착하였고, MAD는 표적 탐지 자동화와 자체발생 전자기간섭보정 기능을 추가했다. 탐지 범위 및 정확도를 개선하여 실시간 데이터 처리능력 향상을 도모했다. 신형 음향부표는 능동/수동 겸용이 가능하고 수중 조건에 따른 수색 및 접촉율, 각 채널의 수신 및 처리 기능, 빙해에서의 작전성능 향상을 도모했다. 승무원들의 효율성을 위해 디스플레이 환경도 개선했다.

2015년 일류신과 러시아 해군항공대는 Il-38 현대화 개수를 위한 계약을 체결했다.
파일:il38n_78_Novella_IMG_5902m.jpg
파일:il38n_78_Novella_IMG_5912m.jpg
기수 하부에 설치된 FLIR 기수 상부에 설치된 항전장비

5.2. 인도

인도는 제3차 인도 파키스탄 전쟁을 거치면서 대잠전 역량 강화를 위해 1977년과 1983년 두 번에 걸쳐 Il-38을 도입하여 운용했다. 2002년 소속 기체 1대를 러시아 상트 페테르부르크의 레니네츠로 옮겨 개수 작업을 실행했다.

현대화 개수를 마친 기체는 Il-38SD(Sea Dragon)으로 명명되었다.[9] 2002년 9월 인도와 러시아는 나머지 Il-38의 현대화 개수사업 계약을 2억 5000만 달러에 체결했다. 인도 해군은 Il-38을 대함유도탄 발사체로 운용하다가 P-8I로 기체를 교체하며 2023년 10월 31일 퇴역시켰다. #

6. 운영 연역

6.1. 소련/러시아

파일:il38n_78_IMG_6139.jpg
2015년 6월 30일 그로모프 비행 연구소에서 러시아 해군에 인도되는 Il-38N (다섯 번째 업그레이드 기체)

6.2. 인도

파일:Ilyushin_Il-38SD_Krivchikov_2007.jpg
2007년 2월 7일 에어로 인디아(Aero India 2007) 행사에 참가한 인도 해군의 Il-38SD.

7. 사건 사고

8. 기타

9. 둘러보기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냉전기 소련 공군 항공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소련 공군 (1946~1991)
Вое́нно-возду́шные си́лы СССР, ВВС СССР
제공 전투기 <colbgcolor=#CC0000> 1세대 <colbgcolor=#fefefe,#191919> Yak-17, Yak-23, MiG-9, MiG-15, MiG-17, La-15, La-200
2세대 MiG-19, MiG-21, Su-7, Su-9, Su-11
3세대 MiG-21, MiG-23, MiG-25, Su-15, Su-17, Tu-128, Yak-38
4세대 MiG-29, MiG-31, Su-27/30, T-10K, Yak-141
4.5세대 T-10M, Su-37, Su-47, MiG-1.44
공격기 Su-7, MiG-27, Su-17, Il-40, Il-102, Su-24, Su-25, Su-27IB, Su-39, Yak-28, Yak-130
폭격기 전술 폭격기 Il-28, Tu-2, Tu-14, Yak-26
전략 폭격기 Tu-4, Tu-95, Tu-16, Tu-22, Tu-22M, Tu-160, M-4
수송기 An-12해·공, An-22, An-24해·공, An-26B, An-32, An-72, An-124, Il-18D/V, Il-62M, Il-76M/MD/TD, Il-476, Il-114
회전익기 정찰·연락용 헬리콥터 Mi-1, Mi-2
다목적 중형헬리콥터 Mi-4, Mi-8, Ka-32
대형수송헬리콥터 Mi-6, Mi-26
공격헬리콥터 Mi-24, Mi-28, Ka-50/52
대잠헬리콥터 Mi-14, Ka-27
지원기 조기경보기 A-50, Il-18D(-36)/V, Il-22M-11, Tu-142MR, Tu-126, An-71
정찰기 An-30, M-17/M-55, MiG-21R, MiG-25R, Su-17R, Su-24MR, Il-20, Il-24, Il-28R, Tu-16R, Tu-22R, Yak-25R, Yak-27R, Yak-28R
전자전기 An-12B-PP/BK-IS/-PP/-PPS, An-26M/RM/RTR/RR, Su-24MP, Il-20RT, MiG-25RB, Tu-16Ye/P/SPS, Tu-22P, Tu-95RT
해상초계기 An-72P, Be-6, Be-10, Be-12, Tu-16PL/R/RM/SP, Tu-95MR, Tu-142, Il-38, 3M/3MD, A-40 알바트로스
공중지휘기 Il-22
공중급유기 Il-78M, Tu-16D/N/Z, M-4-2, 3MS-2/3MN-2
훈련기 프롭 Yak-11, Yak-18, Yak-52
제트 Il-28U L-29, L-39, MiG-15UTI, MiG-21U, Su-7U, Su-9U, Su-11U, Yak-17UTI, Yak-28U
}}}}}}}}} ||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svg 현대 러시아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러시아 연방군 (1992~현재)
Вооружённые Силы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회전익기 다목적 헬기 <colbgcolor=#ffffff,#191919> Mi-2R, Mi-6R, Mi-8(MT/MTV/PP), Ka-27/29/32, { Ka-60}
수송헬기 Mi-26, Mi-38
공격헬기 Mi-24, Mi-24(D/K/P/R/VP), Mi-35, Mi-28N, Ka-50/52, 카잔 ANSAT
대잠헬기 Mi-14(BT/PL)
전투기
레시프롭기 I-15bisR, DITR
4세대 / 4.5세대 MiG-29(A/C/S/UB/ M/M2/SMT/ K)/ MiG-35, MiG-31(M/BM), Su-27(SM/UB)해·공, Su-30(M2/SM)해·공, Su-33, Su-35S, Su-47, MiG-MFI
5세대 Su-57/{ Su-57K}, MiG-LMFS?, { Su-75}
6세대 { MiG-41}
공격기 Su-24(M/MP/MR)해·공, Su-25(SM/SM3/UB해·공), [[Su-32|Su-32FN, Su-34
폭격기 전략폭격기 3MSN-1R, Tu-16R, Tu-95MS/MSM, Tu-22M3/MR, Tu-160, { PAK-DA}
수송기 An-12해·공, An-12BP, An-22, An-24해·공, An-26, An-26B, An-32, An-72, An-124, Il-18(D/V), Il-62M, Il-76(M/MD/TD), Il-476, Il-114, { PAK-TA}
지원기 조기경보기 A-50, { A-100}
해상초계기 Be-12, Tu-142, Il-38. A-40 알바트로스
정찰기 Su-24MR, Il-20, Il-24, Tu-214(R/ON)
공중지휘기 Il-22, Tu-214(PU/SR)
통신중계기 Tu-214SUS
공중급유기 Il-78M
인명구조 및 소방용 항공기 Be-200ES
무인기 UAV 오리온, Grusha, 옐레론-3, 그라나트-4, 오를란-2, 오를란-10, 포르포스트, S-100, 란쳇-1, 란쳇-3, GSV-37 Breeze, Korsar, Fazan, BPV-500 VTOL, Ka-137, 게란-1, 게란-2, 샤헤드-129, 샤헤드-191
UCAV 미코얀 스카트, {오를란-E}, { S-70 아호트니크}
훈련기 프롭 Yak-152
제트 L-39, Yak-130
※ 윗첨자R: 퇴역 및 의장용 기종
※ 윗첨자L: 임대 기종
취소선: 개발 또는 도입 취소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윗첨자?: 도입여부가 불확실한 기종
※ 윗첨자각군: 해당 군 운용, 별도 표기 없을 시 항공우주군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소련 국기.svg 러시아·소련군의 운용장비 | 파일:jet_icon__.png 항공병기 }}}
}}}}}}


파일:인도 해군 라운델.png 현대 인도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인도군 (1950~현재)
भारतीय स्थलसेना | Indian Armed Forces
<colbgcolor=#fff> 회전익기 <colbgcolor=#fff> 경헬기 <colbgcolor=#fefefe,#393b42>HAL LUH | 치타 | 체탁육/해/공 | 휴즈 269C해/R | 벨 47G-2R
다목적 헬기 드루브 Mk.(I/II/III)육/공 · 드루브 Mk.III(MR/CG해경) | Mi-17-(1V/V5) | Mi-8(T/MT) | 시킹 Mk.42(C) · UH-3H | S-62BR | Mi-4AR | S-55CR
수송헬기 CH-47F 치누크 | Mi-26
공격헬기 프라찬드육/공 | 루드라 Mk.(III/IV)육/공 | Mi-25 · 35E | AH-64E(I) 가디언 아파치
대잠헬기 MH-60R 시호크 | Ka-28 | 시킹 Mk.42B | Ka-25(C/PL)해/R
전투기 프롭 스핏파이어 (FR.XIVE/FR.XVIIIE)R | 템페스트 Mk. IIR
1세대 뱀파이어 (F.3/FB.52/NF.10/NF.54)R | 냇 F.1R | 아지트 Mk.1R | 시호크(FGA.6/Mk.100)해/R | 투파니R | 미스테르 IVAR
2세대 헌터 (F.56/FGA.56)R | MiG-21(F-13/FL/PF/SPS)R
3세대 MiG-21 바이슨M ·  MiG-21(M/MF/bis)R | MiG-23MFR
4세대 / 4.5세대 LCA 테자스 Mk.1(A) · { MWF 테자스 Mk.2} | MiG-29(B/UB/UPG) ·  MiG-29(K/KUB) "바아즈" | Su-30MKI | 라팔 (DH/EH) | 미라주 2000(H/I) "바즈라" | { TEDBF}
5세대 { AMCA} | FGFA
공격기 재규어(IS/IM/IB) "샴셰르" · 재규어 (GR.1/GR.3A)R | 시 해리어 FRS.51해/R | MiG-27(M/ML/UPG) "바하두르"R | MiG-23BNR | HF-73 | HF-24 마루트 (Mk.1/2)R | Su-7BMKR
폭격기 B-24J 리버레이터R | 캔버라 (B(I).58/B(I).66)R
수송기 HS 748 | Il-76MD "가자라지" | ERJ 135 | C-295W | An-32(RE) | C-130J-30 슈퍼허큘리스 | C-17A 글로브마스터 III | An-12AR | DH.104 도브R | DHC-3R | DHC-4AR | C-47(A/B)R ·  다코타 Mk.IVR | C-119(F/G)R | Il-14R | L-1049(C/E/G) 슈퍼 컨스텔레이션R | Tu-124(K/V)R
다목적기 BN-2(B/T) 아일랜더 | 오스터 AOP.6/AOP.9R | SA-6A 시랜드 Mk.I해/R | HAOP-27 키리샥R | 와피티 Mk.IIAR | 칸푸르 IIR
무인기 SUAV 아이디어포지 스위치 | 네트라 V
UAV IAI 헤론 TP | IAI 헤론 1육/공 | 서처 Mk.(I/II)육/해/공 | 니샨트육/R
UCAV 하롭 | { MQ-9B}
지원기 조기경보기 A-50EI | ERJ145SM 네트라 AEW&C | Ka-31
전자전기 걸프스트림 III SRA-1
해상초계기 { C-295 MRMR} | P-8I 넵튠 | Il-38SD | Do 228-201해/공/해경 | Tu-142(M/MK-E/MZ)해/R | Br.1050 알리제해/R
정찰기 봄바디어 글로벌 5000 SIGINT | IAI 아스트라 1125 | B707-337C ELINT | MiG-25(RBK/RU)R | 캔버라 (PR.57/PR.67)R | 뱀파이어 PR.55R
공중급유기 Il-78MKI
훈련기 프롭 PC-7 Mk II | 바이러스 SW 80 가루드공/해 | HTT-40 | HPT-32 · HTT-34 디팩공/해 | CFM 스트릭 SL | DH.82 타이거 모스R | HAL HT-2R | AT-16 하버드 Mk.IIBR | 프렌티스 (T.1/T.3)R | HUL-26 푸시팍R
제트 호크 Mk.132공/해 | { HJT-36 시타라}공/해 | HJT-16 키란 Mk.(I/IA/II)공/해 | 미라주 2000(TH/TI) | 해리어 (T.60/T.4N)해/R | 재규어 T.2R | TS-11 이스크라 bis (D/DF)R | MiG-21(U/UM)R | 캔버라 T.4R | 헌터 T.66R | 마루트 Mk.1T | 뱀파이어 (T.11/T.55)공/해/R
표적예인 파이어플라이 (TT.1/TT.4)해/R
정부전용기 B737-7HI BBJ | B777-337/ER | 엠브라에르 레거시 600 | Mi-8PS | B737-2A7/AdvR | 빅커스 비스카운트R | Ae-45R
※ 윗첨자R: 퇴역 기종
※ 윗첨자M: 개조 기종
취소선: 개발 취소 및 도입 취소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윗첨자각군: 해당 군 운용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군의 운용장비 | 파일:jet_icon__.png 항공병기 }}}
}}}}}}



✈️ 항공병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대전기 1914~1945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colbgcolor=#3D3137> 1차
세계대전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러시아 제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협상군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동맹군
전간기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2차
세계대전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1943-1947).svg
미국
파일:RAF_type_C1_roundel.svg
영국
파일:독일 공군(나치 독일) 라운델2.svg
나치 독일
파일:일본 공군 라운델.svg
일본 제국
파일:Italy-Royal-Airforce.svg
[[틀:2차 세계대전/이탈리아 항공기|
이탈리아 왕국
]]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소련
파일:노르웨이 공군 라운델(1914-1940).svg
노르웨이
파일:스웨덴 공군 라운델.svg
스웨덴
파일:핀란드 공군 라운델(1934-1945).svg
핀란드
파일:덴마크 공군 라운델.svg
덴마크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파일:Roundel_of_the_Royal_Thai_Air_Force_(1941-1945).svg
태국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파일:대만 국장.svg
중화민국
파일:Czech_roundel_(right_wing).svg
[[틀:2차 세계대전/체코슬로바키아 항공병기|
체코슬로바키아
]]
파일:Roundel_of_Bulgaria_(1937-1941).svg
[[틀:2차 세계대전/불가리아군 항공기|
불가리아 왕국
]]
파일:Nationalist_air_force_black_roundel_with_arrows.svg
스페인
파일:Manchukuo_Air_Force_Roundel.svg
만주국
파일:Emblem_of_Mongolian_People's_Army.svg
[[틀:2차 세계대전/몽골 항공병기|
몽골 인민 공화국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냉전기 1945~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제1세계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svg
미 공군 | 미 해군
파일:독일 공군 라운델.svg
서독
제2세계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소련
파일:국가인민군 공군 라운델.svg
동독
파일:폴란드 공군 라운델(1921-1993).svg
폴란드
제3세계 [[틀:냉전/유고슬라비아 항공기|파일:유고슬라비아 항공 및 반항공군 라운델.svg
유고슬라비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현대 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북미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svg
미 공군 | 미 해군
파일:캐나다 공군 라운델.png
캐나다
파일:멕시코라운델.png
멕시코
'''
중미/카리브
'''
[[틀:현대전/도미니카 공화국 항공병기|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도미니카 공화국
]]
파일:쿠바 라운델.svg
쿠바
[[틀:현대전/엘살바도르 항공병기|파일:엘살바도르 공군 라운델.svg
엘살바도르
]]
파일:온두라스 공군 라운델.svg.png
온두라스
<colbgcolor=#3d3137>남미 파일:브라질라운델.png
브라질
파일:우루과이 공군 라운델.svg
우루과이
[[틀:현대전/아르헨티나 항공병기|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아르헨티나
]]
파일:칠레라운델.png
칠레
파일: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볼리비아
파일:파라과이 공군 라운델.svg
파라과이
파일:페루 공군 라운델.svg
페루
파일:에콰도르 공군 라운델.svg
에콰도르
파일:콜롬비아 공군 라운델.svg
콜롬비아
파일:베네수엘라 공군 라운델.svg
베네수엘라
서유럽 파일:영국 공군 라운델.svg
영국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파일:네덜란드 라운델.svg
네덜란드
파일:2000px-Roundel_of_Belgium_svg.png
벨기에
파일:아일랜드 라운델.svg
아일랜드
파일:룩셈라운델.svg.png
룩셈부르크
중부유럽 파일:독일 공군 라운델.svg
독일
파일:폴란드 공군 라운델.svg
폴란드
파일:체코 공군 라운델.svg
체코
[[틀:현대전/슬로바키아 항공병기|파일:슬로바키아 국장.svg
슬로바키아
]]
파일:스위스 공군 라운델.png
스위스
[[틀:현대전/오스트리아 항공병기|파일:오스트리아 라운델.svg
오스트리아
]]
파일:헝가리 공군 라운델.png
헝가리
남유럽 파일:이탈리아 공군 라운델.svg
이탈리아
파일:스페인 공군 라운델.png
스페인
파일:포르투갈라운델.png
포르투갈
파일:그리스 공군 라운델.svg
그리스
파일:루마니아 공군 라운델.svg
루마니아
파일:불가리아 공군 라운델.svg.png
불가리아
[[틀:현대전/슬로베니아 항공병기|파일:슬로베니아군 라운델.svg
슬로베니아
]]
[[틀:현대전/크로아티아 항공병기|파일:크로아티아군 라운델.svg
크로아티아
]]
파일:세르비아 라운델.svg
세르비아
[[틀:현대전/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항공병기|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군 라운델.pn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틀:현대전/몬테네그로 항공병기|파일:몬테네그로 공군 라운델.svg
몬테네그로
]]
[[틀:현대전/북마케도니아 항공병기|파일:북마케도니아군 라운델.svg
북마케도니아
]]
파일:알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알바니아
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키프로스
파일:튀르키예 공군 라운델.svg
튀르키예
북유럽 파일:스웨덴 공군 라운델.svg
스웨덴
파일:노르웨이 공군 라운델.png
노르웨이
파일:덴마크 공군 라운델.svg
덴마크
파일:핀란드 공군 라운델.svg
핀란드
동유럽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svg
러시아
[[틀:현대전/우크라이나 항공병기|파일:우크라이나 공군 라운델.svg
우크라이나
]]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벨라루스
파일:몰도바 공군 라운델.svg
몰도바
[[틀:현대전/바그너 그룹 항공병기|파일:바그너 그룹 로고.svg
바그너 그룹
]]
파일:조지아 공군 라운델.svg
조지아
[[틀:현대전/아르메니아 항공병기|파일:아르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아르메니아
]]
[[틀:현대전/아제르바이잔 항공병기|파일:480px-Roundel_of_Azerbaijan.svg.png
아제르바이잔
]]
동아시아 파일:대한민국 국군 라운델.svg
대한민국
파일:항공자위대 라운델.svg
일본
파일:중국 인민해방군 공군 라운델.svg
중국
파일:대만 국장.svg
대만
파일:북한 공군 라운델.png
북한
파일:몽골 공군 핀 플래시.svg
몽골
'''
동남아시아
'''
파일:태국 공군 라운델.svg
태국
파일:베트남 공군 라운델.png
베트남
[[틀:현대전/말레이시아 항공병기|파일:말레이시아 공군 라운델.svg
말레이시아
]]
파일:싱가포르 공군 라운델.svg
싱가포르
[[틀:현대전/인도네시아 항공병기|파일:인도네시아라운델.png
인도네시아
]]
파일:필리핀 공군 라운델.svg
필리핀
파일:브루나이 공군 라운델.svg.png
브루나이
파일:미얀마 라운델.svg
미얀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Royal_Cambodian_Air_Force_roundel.svg.png
캄보디아
파일:라오스 공군 라운델.svg
라오스
'''
중앙아시아
'''
[[틀:현대전/카자흐스탄 항공병기|파일:카자흐스탄 공군 라운델.svg
카자흐스탄
]]
[[틀:현대전/우즈베키스탄 항공병기|파일:우즈베키스탄 공군 라운델.svg
우즈베키스탄
]]
[[틀:현대전/타지키스탄 항공병기|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타지키스탄
]]
[[틀:현대전/키르기스스탄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Air_Force_of_Kyrgyzstan.svg.png
키르기스스탄
]]
[[틀:현대전/투르크메니스탄 항공병기|파일:투르크메니스탄 공군 라운델.svg.png
투르크메니스탄
]]
남아시아 파일:인도 해군 라운델.png
인도
파일:파키스탄 라운델.png
파키스탄
[[틀:현대전/방글라데시 항공병기|파일:방글라데시 라운델.png
방글라데시
]]
파일:스리랑카 공군 라운델.svg
스리랑카
파일:네팔 육군항공대 라운델.svg
네팔
[[틀:현대전/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 항공병기|파일:아프가니스탄 라운델.png
아프가니스탄
]]
[[틀:현대전/아프가니스탄 항공병기|파일: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공군 라운델.png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
서아시아 파일:이스라엘 공군 라운델.svg
이스라엘
[[틀:현대전/사우디아라비아 항공병기|파일:사우디아라비아 공군 라운델.svg
사우디아라비아
]]
파일:이란 라운델.svg
이란
파일:이라크 공군 라운델.svg
이라크
파일:쿠웨이트 공군 라운델.svg
쿠웨이트
파일:시리아 공군 라운델.svg
시리아
파일:레바논 공군 라운델.svg
레바논
파일:요르단 공군 라운델.svg
요르단
[[틀:현대전/아랍에미리트 항공병기|파일:아랍에미리트 공군 라운델.svg
아랍에미리트
]]
파일:카타르 공군 라운델.svg
카타르
파일:480px-Roundel_of_Bahrain.svg.png
바레인
파일:오만 공군 라운델.svg.png
오만
파일:예멘 라운델.svg
예멘
'''
오세아니아
'''
파일:호주 공군 라운델.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공군 라운델.svg
뉴질랜드
[[틀:현대전/파푸아뉴기니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Papua_New_Guinea_roundel.svg.png
파푸아뉴기니
]]
'''
북아프리카
'''
파일:이집트 공군 라운델.png
이집트
파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리비아
파일:튀니지 공군 라운델.svg
튀니지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px-Algeria_A-F_Roundel.svg.png
알제리
파일:모로코 공군 라운델.svg
모로코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of_the_Sudanese_Air_Force.svg.png
수단
파일:자유 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자유 리비아 (~'11)
'''
동아프리카
'''
[[틀:현대전/에티오피아 항공병기|파일:에티오피아 공군 라운델.svg
에티오피아
]]
파일:지부티 공군 라운델.svg
지부티
파일:소말리아 공군 라운델.svg
소말리아
파일:케냐 공군 라운델.svg
케냐
파일:탄자니아 공군 라운델.svg.png
탄자니아
파일:모잠비크 공군 라운델.svg
모잠비크
파일:우간다 공군 라운델.svg
우간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Rwanda.svg.png
르완다
[[틀:현대전/마다가스카르 항공병기|파일:마다가스카르 공군 라운델.svg
마다가스카르
]]
파일:코모로 공군 라운델.svg.png
코모로
'''
서아프리카
'''
[[틀:현대전/나이지리아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00px-Roundel_of_the_Nigerian_Air_Force.svg.png
나이지리아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80px-Roundel_of_the_Senegalese_Air_Force.svg.png
세네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Niger_Air_Force.svg.png
니제르
파일:말리 공군 라운델.svg
말리
파일:기니 공군 라운델.svg
기니
파일:모리타니 공군 라운델.png
모리타니
파일:가나 공군 라운델.svg
가나

토고
'''
중아프리카
'''
파일:차드 공군 라운델.svg
차드
파일:카메룬 공군 라운델.svg.png
카메룬

가봉
[[틀:현대전/콩고 공화국 항공병기|파일:콩고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 공화국
]]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민주공화국
파일:앙골라 공군 라운델.svg
앙골라
'''
남아프리카
'''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svg
남아공
파일:보츠와나 공군 라운델.svg
보츠와나
파일:나미비아 공군 라운델.svg.png
나미비아
파일:레소토 공군 라운델.svg
레소토

잠비아
파일:짐바브웨 공군 라운델.svg
짐바브웨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제트전투기의 계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유럽
파일:아시아 위치.svg
아시아
}}}}}}}}}}}}

[1] 이륙 시 출력은 엔진 당 3,126 마력이다. [2] 하중이 0일 때의 최대 안전항속거리 [3] 냉전시기 신속한 적 잠함제압수단으로 핵폭뢰를 운용했다. [4] 인도 해군에서 운용한다. [5] 일류신 설계국이 구 소련 시절 부여받은 시설 번호이다. [6] 서유럽 기준으로 9월 27일이다. [7] NATO 코드명 "Wet Eye" [8] 신형은 OS-8MF(ОС-8МФ) 실린더를 사용한다. [9] Sea Dragon은 Il-38SD에 탑재된 신형 레이다의 별칭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