냉전 시기의 소련 해군 수상함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전함 | <colbgcolor=#fefefe,#191919> 옥차브리스카야 레볼루치야급, 아르항겔스크UK, 노보로시스크배상, 슐레스비히-홀슈타인배상, 비보르크배상, 헤센나포 | |||
순양전함 |
|
||||
순양함 | 순양함 |
키로프급, 막심 고리키급, 카가노비치급,
차파예프급,
아드미랄 나히모프급,
스베르들로프급, |
|||
미사일 순양함 |
프로젝트 63형,
킨다급, |
||||
대잠 순양함 | 크레스타급, 카라급, 프로젝트 1199형, 프로젝트 11990형 | ||||
구축함 | 구축함 | T33배상, T-12배상, T-17배상, 프릿키배상, 필키배상, 프로치니배상, 프라보르니배상, 베르니배상, 브니자프니배상, 보즈로조니급배상, 룍키배상, 라프키배상, 레뚜치배상, 리호이배상, 레그키배상, 로브배상, 윅스급UK, 프로젝트 30형, 오그네보이급, 프로젝트 31형, 코틀린급, 킬딘급, 카닌급, 소브레멘니급 | |||
대잠 구축함 | 카닌급, 카신급, 우달로이급, 프로젝트 1156형, 프로젝트 11560형, 프로젝트 11000형 | ||||
호위함 |
프로젝트 29형,
네우스트라시미급,
콜라급,
코니급,
리가급,
페트야급,
미르카급,
크리박급, |
||||
초계함 | 소형 미사일함 (МРК) |
나누추카급,
보라급,
타란툴급, |
|||
소형 대잠함 (МПК) | 크론슈타트급, 포티급, 그리샤급, 프로젝트 1141형, 폴급, 파르킴급, 무하급, 파우크급 | ||||
소형 함포함(Мак) | 야즈급 | ||||
경비정 | 프로젝트 D 361형, 프로젝트 P 361형, 프로젝트 T 361형, 프로젝트 B 361형, 프로젝트 C 361형, 프로젝트 125, 프로젝트 125A형, 프로젝트 D 376형, 스텐카급, 주크급, 스베틀야크급 | ||||
모니터함 | 제레즈냐코프급, 하산급 | ||||
함포정 | 쉬멜급 | ||||
어뢰정 | 프로젝트 123-bis형, P-6급, P-4급, 프로젝트 184형, 셰르셴급, 프로젝트 125형, 투르야급, 무라베이급 | ||||
대잠정 | 무레야급, S·O-1급 | ||||
미사일 고속정 | 코마급, 오사급, 마트카급, 타란툴급 | ||||
항공모함 |
프로젝트 85형, PBIA,
모스크바급,
키예프급, |
||||
상륙함 | 강습상륙함 |
|
|||
대형 상륙함(БДК) | 앨리게이터급, 이반 로고프급, 로푸카급, 폴노시니급, 프로젝트 778형 | ||||
중형 상륙함 | 프로젝트 572형, 프로젝트 118형, 폴노크니급 | ||||
소형 상륙함(МДК) | 프로젝트 450형, 프로젝트 189형, 프로젝트 106형 | ||||
공기부양 소형상륙함 | 주브르급, 아이스트급, 프로젝트 10210형 | ||||
공기부양정 | 거스급, 레베디급, 우테노크급, 프로젝트 1238형, 무레나급 | ||||
LCU | 프로젝트 80형, 프로젝트 306형, 프로젝트 1785형, 온다트라급 | ||||
기뢰함 | 대양 소해함 | 프로젝트 73-K형, T43, T58급, 유르카급, 리다급, 나탸급, 프로젝트 923형, 고랴급 | |||
기본 소해함 | 프로젝트 3형, 프로젝트 265형, 바냐급, 프로젝트 699형, 제니야급, 소냐급 | ||||
연안 소해정 | MT급, 프로젝트 255형, 예브게니야급, 프로젝트 10751형 | ||||
정보수집함 | 프로젝트 393형, 프로젝트 393-A형, 프로젝트 394B형, 프로젝트 850-M형, 프로젝트 861M형, 프로젝트 08621형, 프로젝트 08622형, 비시냐급, 프로젝트 1826형, 프로젝트 10221형, SSV-33 우랄 | ||||
추적유도함 | 프로젝트 1128형, 프로젝트 1129형, 프로젝트 1129B형, 프로젝트 1130형, 마쉘 네델급 | ||||
통합보급함(ККС) | 베레지나급 | ||||
급유함 | 프로젝트 563형, 프로젝트 1589형, 보리스 칠킨급, 프로젝트 577형, 프로젝트 160형, 두브나급, 이만급, 어얼구나급 | ||||
고속 및 특수급유함 | 프로젝트 437-K형, 프로젝트 1545형, 프로젝트 1844형, 프로젝트 1541형, 프로젝트 11510형 | ||||
급탄함 | 프로젝트 1791형, 프로젝트 11570형, 프로젝트 10680형 | ||||
잠수함지원함/잠수함구조함 | 돈급, 프로젝트 1886형, 콤무나 | ||||
위그선 | 룬급 | ||||
해양연구함 | 블라디미르 카브라이스키, 프로젝트 852형 | ||||
수로탐사함 | 프로젝트 861형, 프로젝트 862형 | ||||
훈련함 | 드네프르, 프로젝트 887형, 프로젝트 888형 | ||||
※ 윗첨자UK: 영국이 대여해준 함선 ※ 윗첨자배상: 추축국인 나치 독일, 이탈리아 왕국, 일본 제국 등으로부터 전후 배상받은 함선 ※ 윗첨자나포: 추축국의 함정을 나포해서 운용하게 된 함선 ※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러시아·소련군의 운용장비 | 해상병기 |
}}} }}}}}} |
Десантные корабли на воздушной подушке проекта 12322 «Зубр» |
[clearfix]
1. 개요
프로옉트 12322 주브르급 공기부양정(Проекта 12322 Зубр)은 소련이 건조하여 러시아 해군, 그리스 해군,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이 운용하는 상륙수송정이다. 이름은 러시아어로 ' 유럽들소'를 뜻하는 'Зубр(Zubr)'에서 유래하였다.세계 최대 크기의 공기부양정[1]으로 NATO 코드명은 포모르니크(Pomornik) Project 1232.2 클래스로 분류되며 그리스 해군용은 1232.2E로 따로 분류된다.
2. 제원
제원 | |
경하 배수량 | 340톤 |
기준 배수량 | 415톤 |
만재 배수량 | 555톤 |
길이 | 57m |
폭 | 25.6m |
흘수선 | 1.6m |
속도 | 55~63노트 |
전자 대응 장비: 교란 장비 | MS227 채프 발사기, ESM: 도구 상자(추적용) |
무장 | |
대공 체계 선택 | 4x4 연장 스트렐라-3 휴대용 대공 미사일 발사기(여분 32발의 미사일 적재) |
4연장 SA-N-5 "그라일" 발사기 2문 | |
CIWS | 30mm x 6연장 AK-630 대공포 2문 |
로켓 선택 | 140mm x 22연장 А-22 아곤 발사기 2문(여분 132발의 로켓 적재) |
122mm 로켓 발사기 2문 | |
기뢰 |
3. 성능
1986년 상트페테르부르크의 알마즈 조선소에서 처음으로 건조하였다. 최대 속도 60 노트, 항속거리 480km에 555톤의 덩치를 자랑하는 주브르급은 지금까지 등장한 공기부양정 중 가장 큰 함선답게 전차 3대나 장갑차 8대 또는 무장병력 360명의 탑승이 가능하며 이러한 병력을 탑승시킨 채로 5일간 작전이 가능하다.미국의 공기부양정인 LCAC와는 운용방식이 아예 다르다. LCAC는 상륙함에서 병력을 싣고 출발하는 고속 상륙 주정의 개념이라면, 주브르 급은 아예 독자적인 고속 상륙함으로 기획된 것이다. 때문에 상륙함에 탑재되는 상륙정으로서 운용되는 일반적인 공기부양정과는 달리 주브르급은 그 자체가 독립적인 상륙함으로 운용된다. 이러한 운용방식의 차이는 주력이 되는 바다가 차이가 났던 탓도 있는데 구 소련의 주요 상륙전장은 흑해나 발트해 등지였고 넓혀도 지중해를 넘지않는 수준이었기 때문이다. 이에 반해서 미국은 상륙작전을 펼치려면 대양을 넘어야 한다. 구 소련에서 LCAC에 대응되는 함선은 대한민국 해군에도 도입되어 있는 무레나급 정도이다.
러시아 해군 함선답게 자체적인 무장도 충실하여 AK-630 2문, 이글라 대공미사일 4기, 22연장 140mm A-22 아곤 로켓발사기를 장착하여 자함 방어와 함께 상륙교두보의 적의 저항을 제압할 수 있다. 또한 승무원과 탑승 병력을 완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장갑으로 보호되는 완전 밀폐형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생화학전에 대비한 강력한 환기 장치와 냉난방 장치가 장착되어 있다.
4. 배치 현황
728형이란 명칭으로 2019년 기준으로 최소 9척이 실전 배치되어 있다.개발 및 생산국인 러시아가 2척(그리스 매각전 3척), 그리스가 러시아로부터 2001년에 러시아군이 운영하던 1척을 구매 후 추가로 3척을 주문하여 총 4척을 운용 중에 있다. 중국은 Project 958 Bizon 계획으로 우크라이나에 접근하여 4척을 주문하였는데 2척은 우크라이나에서 2척은 중국 국내에서 건조할 것으로 알려져 있다. 2012년 1척이 중국에 인도되어 시험 평가 중에 있으며 중국에게 주브르급의 설계도가 아에 넘어갔다는 루머도 존재 한다. 이후 중국은 그리스 해군의 주브르급 매입을 시도했으나 실패했고, 자국 생산을 통해 2척을 더 건조하며 기어이 세계 최대의 주브르급 운용국이 되었다.
4.1. 러시아
원조 운용국. 그러나 소련 해체 후 퇴역시키거나 판매한 수가 많은 고로 현재는 딱 2척만 운용하며, 전부 발트함대 소속이다. 2021년 기준 개량을 마쳤고 현재 두 척 모두 현역이다.- MDK-50 770 예브게니 코체시코프 (Evgeny Kocheshkov)
- MDK-94 782 모르도비아(Mordovia)
4.2. 그리스
- L180, HS 케팔로니아(Kefalonia) - 러시아로부터 구입하여 2000년 5월 25일 인도되었고 러시아 해군에서의 함번은 717(MDK-118)이었다.
- L181, HS 이타키(Ithaki) - 우크라이나에서 도입하였으며 우크라이나 해군에서의 함번은 U421(MDK-100)이었다.
- L182, HS 케르큐라(Kerkyra) - 2004년 6월 건조를 시작하여 2005년 1월에 양도된 최신함.
- L183, HS 자킨토스(Zakynthos)
2014년에 중국에 가지고 있던 주브르급을 전량 판매하기로 하였으나 포기하고 2척은 조기퇴역, 나머지 2척을 운용하기로 결정했다. #
4.3. 중국
- 원조 러시아보다도 주브르급을 더 사랑하는 국가.[2] 2018년 기준 6척을 운용중이며 전부 남부함대 소속이다. 2척은 우크라이나에서 구입했고 4척은 중국 내 조선소에서 자체적으로 건조하였으며, 2014년에는 그리스 해군의 주브르급을 전량 매입하려다 실패한 바 있다.
워낙 폐쇄적인 인민해방군인지라 각 함정의 함번은 알려진 바가 없다.
4.4. 퇴역, 폐기된 함선
- MDK-51 - 함번은 762로 다른 자매함과는 다르게 대형 레이더돔을 장착했던 함선으로 1997년 7월 17일 퇴역후 폐기.
- MDK-57(U422) - 옛 함번은 507이며, 아래 두 척과 더불어 우크라이나 해군에서 운용하다 퇴역시켰다.
- MDK-93(U423) - 옛 함번은 509.
- MDK-100(U420) 도네츠크(Donetsk)
- MDK-119 - 알마즈 조선소에 선체가 완공된 상태로 방치되다 2005년 폐기됨.
- MDK-122 - 2005년 6월 22일 퇴역후 폐기.
- MDK-123(U424) 아르테미우스크(Artemivsk) - 우크라이나 해군에서 운용하다 퇴역.
5. 매체에서 등장
-
소닉윙즈 시리즈
보스의 명칭은 발문에서 언급된 NATO 코드명인 포모르니크 명의로 나온다. 초대작 5면인 지중해 스테이지의 보스로 등장. 콘솔판 스페셜에서는 초대작 컨셉인 A루트로 가면 지중해 스테이지 보스로 등장한다. 아케이드판 리미티드에서는 우랄 산맥의 바다구간의 중보스로 축소되어 나오고, 원래 주부르급이 보스로 등장했던 5A루트의 지중해 보스는 우랄 산맥쪽에서 나왔던 노브고로드가 차지하게 되었다. 둘의 등장위치가 서로 바뀌어버린 셈.
-
블루 아카이브
「아비도스 리조트 복구 대책위원회」 이벤트에서 ' 리조트 사냥'을 하는 퐁당퐁당 헬멧단 소속 인원들의 이동식 리조트로 등장한다. 팀 리더 겸 선장은 코마카제 라브. 그리고 이 배는 퐁당퐁당 헬멧단이 대책위원회를 상대하기 위해 수영복 와카모를 용병으로 불러왔다가 주객전도가 일어나며 조직 전체의 지휘권과 함께 아지트 선박도 전부 와카모에게 탈취되어 2022년 6월 22일 업데이트된 연합작전 컨텐츠에서 두 번째 보스로 등장한다.
본 공기부양정은 게임 한계상 실제 모티브가 된 공기부양정 모델과는 달리 크기가 좀 더 많이 작아진 채로 등장하는데, 어디까지나 연합작전 한정으로, 이벤트 배너의 배경을 잘보면 호버크래프트 갑판임을 알 수 있으며, 실제 크기와 별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다. 호버크래프트 연합작전 보스전에서는 해당 선박에 수영복 와카모가 직접 탑승한 채로, 여러 가지 미사일들을 발사하여 유저 측의 본진인 리조트 건물을 공격한다. 리조트의 파괴도 패배 조건에 포함되어 있어서 리조트가 날아가는 걸 막기 위해 미사일을 요격하는 기믹도 있다.
여담으로, 해당 게임 스테이지에서 등장하는 주브르급 공기부양정에서 발사되는 미사일들의 모티브는 각각, 탄두 부분이 빨갛고 몸체가 하얀 '상어 미사일'의 모티브는 P-270 모스킷 미사일로 추정되며, 그 양 옆에서 날라오는 '헬멧단 수제 미사일'의 모티브는 Kh-35 미사일인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검은색의 크고 굵고 땅딸막하고 느린 '블랙 미사일'의 모티브는 P-700 그라니트 미사일로 추정되며, 뾰족하고 탄두 부분이 주황색인 '앰플 미사일'의 모티브는 3M22 지르콘 미사일로 추정된다. 이들 미사일들은 전부 구소련 및 러시아제 미사일들이 모티브인 것이 공통점이다. 그리고 모스킷이 4톤, 그라니트가 7톤인데 주브르급이 수백톤급 부양정에 불과하다는 걸 생각하면 어떻게 탑재했는지 진지하게 궁금해질 정도로 과적에 과무장까지 한 셈이다...
그리고 이 불쌍한 배는 기어이 총력전 보스가 될 것이라는 예고가 나와버렸다. 호버크래프트(블루 아카이브) 문서 참고.
-
아머드 워페어
각각의 특수 작전들에서 아군을 전개하거나 적을 전개시키는 식으로 등장한다. 시대가 더 흐르긴 했지만. 현 생산분과 동수가 미션이나 보조 미션으로 파괴되었다. 또한 일반 맵에 오브젝트로 등장한다.
6. 관련 문서
7. 둘러보기
현대의 우크라이나 해군 군함 | ||||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6px" |
<colbgcolor=#005bbb> 항공모함 |
|
||
순양함 |
|
|||
호위함 | 오타만 빌리R, 드니프로페트롭스크급 (크리박 I급)R, 세바스토폴 (크리박 II급)R, 헤트만 사하이다크니 (크리박 III급)R, { 올리버 해저드 페리급} | |||
원양초계함 |
|
|||
초계함 | 파우크급CP, 타란툴급CP | |||
잠수함 | <colbgcolor=#005bbb> SS | 자포리자CP | ||
지휘함 | 슬라부티흐급CP | |||
상륙함 | LST | 리브네급R, 코스티안틴 올샨스키급CP, 폴노시니급 | ||
상륙정 | 도네츠크급R, 스바토보급, 우이스코급 | |||
미사일 고속정 |
|
|||
고속정 | 프릴루키, 켄타우로스급, 그리쟈-M급, CB90 | |||
경비정 | 슬라뱐스크급, 스카도브스크, 플라밍고급, PB-40, 롤란드급, {마크 VI급} | |||
소해함 | 헤니체스크R, 체르니히우급CP, 체르카시급, { 트라이파타이트급} | |||
구난함 | 올렉산드르 오흐리멘코, 아무르급R | |||
정보수집함 | 루하나급, 무나급 | |||
수로탐사함 | 루빈급CP | |||
군수지원함 | 베레자급, 옐바급, 드라쿤급 | |||
USV/UUV | 시 베이비, 마구라-5, 마리치카, TLK-150, 소노봇 5, SeaFox, AM-800, 야마하 웨이브러너 FX 개조형 | |||
※ 윗첨자R: 퇴역/자침/격침 함선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선 ※ ※ 윗첨자C: 노획된 함선 ※ 윗첨자CP: 나포된 함선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우크라이나군의 운용장비 | 해상병기 |
}}} }}}}}} |
현대의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 군함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잠수함 | 재래식 | <colbgcolor=#fefefe,#191919> 031형R, 033형R, 035형 밍급, 039형 쑹급, 킬로급, 039A/041형 위앤급, 032형 칭급 | ||
하이브리드 | {041형 주급} | ||||
SSN | 091형 한급, 093형 상급 | ||||
SSGN | { 095형}, {097형} | ||||
SSBN | 092형 샤급, 094형 진급, { 096형 탕급} | ||||
고속정 | 062형 상하이I/II급, 062I형 상하이 III급R, 037형 하이난급, 037I형 하이칭급 | ||||
어뢰정 | 123형R, 02형R, 025형R | ||||
미사일 고속정 | 021형R, 024형R, C14급, 037IG형 후신급, 037II형 후지안급, 022형 후베이급 | ||||
초계함 | 056(A)형 쟝다오급 | ||||
호위함 |
053K형 장동급R,
053(
H ·
H1 ·
H2 ·
H1Q ·
H1G
)형 지앙후(
I ·
II ·
IIIR ·
IVT ·
V
)급, 053H2G형 장웨이 I급, 053H3형 장웨이 II급, 054(A)형 장카이 (I · II)급, { 054B형} |
||||
구축함 | 구축함 |
6607형R,
051형 루다급R,
항저우급,
052형 루후급,
051B형 루하이급, 052B형 루양 I급 |
|||
방공구축함 | 051C형 루저우급, 052C형 루양 II급, 052D형 루양 III급, 055형 런하이급 | ||||
상륙정 | 067형 윈난급S, 069형 위친급S, 724형 징사 II급 LCAC, 726형 위이급 LCAC, 728형 | ||||
상륙함 | LHA | 075형 위션급, { 076형} | |||
LPD | 071형 위쟈오급 | ||||
LST | 072형 위칸급, 072(II · III · A)형 윈칭(I · II · III)급 | ||||
LSM | 074형 위하이급, 073(II · IIY)형 위다오급, 073III형 위덩급, 073A형 윈슈급, 079형 위량급 | ||||
기뢰소해함 | 010형R, 081형 워치급, 082형 워사오급, 082II형 워장급 | ||||
군수지원함 | 903(A)형 푸치급, 904(A · B)형 따윤급, 905형 푸칭급R, 908형 칭하이후, 901형 | ||||
항공모함 | 001형 랴오닝, 002형 산둥, { 003형 푸젠} | ||||
※ 윗첨자R: 퇴역 함선 ※ 윗첨자T: 기존 함을 연습함으로 전용 ※ 윗첨자S: 비축 함선 ※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선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중국군의 운용장비 | 해상병기 |
}}} }}}}}} |
현대의 그리스 해군 함정 | ||||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6px" |
<colbgcolor=#003f87> 잠수함 | 포세이돈급, 글라브코스급, 오케아노스급, 파파니콜리스급 | ||
어뢰정 | 에스페로스급R, 에스테렐급 | |||
고속정 | 아이올로스급R, 아이올로스급R, 톨미급, 루센급, 보트시스급, 카발로디스급, 라스코스급, { 사펠로급} | |||
초계함 | 아포스톨리스급R, 오스프리 55급, HSY-55급, HSY-56A급 | |||
호위함 | 에피루스급R, 엘리급, 히드라급, { 키몬급(3대)} | |||
구축함 | 아이가이온R, 니키급R, 미아울리스R, 키몬급R, 키몬급(2대)R, 테미스토클리스급R | |||
상륙정 | 세리포스급, 케팔로니아급 | |||
상륙함 | <colbgcolor=#003f87> LST | 이아손급 | ||
소해함 | 피레아스급R, 안티오피급R, 에브니키급, 에우로페급 | |||
수송함 | 판도라급, 프톨레마이다급 | |||
군수지원함 | 케르키니급, 제우스급, 프로메테우스급, 악시오스급 | |||
※ 윗첨자R: 퇴역 함선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선 ※ *: 테스트용으로만 사용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그리스군의 운용장비 | 해상병기 |
}}} }}}}}} |
⚓️ 해상병기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대전기 1914~1945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제1차 세계대전 |
미국 |
독일 제국 |
영국 |
||||||
일본 제국 |
이탈리아 왕국 |
프랑스 |
||||||||
제2차 세계대전 |
미국 |
일본 제국 |
영국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0px-War_Ensign_of_Germany_1938-1945.svg.png
나치 독일 |
||||||
소련 |
프랑스 |
폴란드 |
||||||||
스웨덴 |
핀란드 |
중화민국 |
만주국 |
|||||||
캐나다 |
호주 |
노르웨이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냉전기 1945~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제1세계 | ||||||
제2세계 |
소련 |
동독 |
폴란드 |
|||||||
제3세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현대 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colbgcolor=#685050>북미 |
미국 |
캐나다 |
멕시코 |
- | ||||
''' 중미/카리브 '''
|
쿠바 |
|||||||||
남미 |
브라질 |
칠레 |
페루 |
|||||||
에콰도르 |
콜롬비아 |
|||||||||
서유럽 |
영국 |
프랑스 |
네덜란드 |
벨기에 |
||||||
중부유럽 |
독일 |
폴란드 |
||||||||
남유럽 |
이탈리아 |
스페인 |
포르투갈 |
그리스 |
||||||
루마니아 |
불가리아 |
[[틀:현대전/크로아티아 함선|
크로아티아 ]]
|
튀르키예 |
|||||||
북유럽 |
스웨덴 |
노르웨이 |
덴마크 |
핀란드 |
||||||
라트비아 |
||||||||||
동유럽 |
러시아 |
[[틀:현대전/우크라이나 함선|
우크라이나 ]]
|
||||||||
동아시아 |
대한민국 |
일본 |
중국 |
대만 |
||||||
북한 |
||||||||||
''' 동남아시아 '''
|
베트남 |
태국 |
||||||||
필리핀 |
싱가포르 |
브루나이 |
미얀마 |
|||||||
남아시아 |
인도 |
파키스탄 |
스리랑카 |
|||||||
서아시아 |
이스라엘 |
이란 |
[[틀:현대전/사우디아라비아 함선|
사우디아라비아 ]]
|
[[틀:현대전/아랍에미리트 함선|
{{{#!wiki style="margin: -0px -9px"]] |
||||||
바레인 |
카타르 |
|||||||||
''' 오세아니아 '''
|
호주 |
|||||||||
아프리카 |
이집트 |
알제리 |
모로코 |
|||||||
남아공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해상병기의 계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미국 전함 | 항공모함 | 원잠 | 전략원잠 |
러시아 항공모함 | 원잠 | 전략원잠 |
영국 전함 | 항공모함 | 원잠 |
프랑스 전함 | 항공모함 |
독일 전함 | 잠수함 |
}}}}}}}}}}}} |
[1]
만재배수량이 500t 이상인지라
배수량 500t 이상의
군함을 '
함'이라 부르고 배수량 500t 미만의 군함을 '
정'이라 부르는
한국 해군식 분류 기준으로는 '공기부양정'이 아닌 '공기부양함'으로 부를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는 그렇게 부르는 경우는 별로 없지만 말이다.
[2]
사실 이상한 건 아닌데 소련 붕괴 이후 러시아는 딱히 상륙전을 치를 전장이 없다. 우크라이나, 발트해, 쿠릴 열도 등이 기껏해야 전부로 그마저도 셋 모두 육공군이 훨씬 더 중요하기에 상륙전력은 상대적으로 후순위. 반면 중국은 제1순위 목표인 대만부터 시작해서 남중국해의 각종 군도, 필리핀, 센카쿠 열도 등 상륙전을 치룰 곳은 많고도 많으니 공기부양정의 보유여부가 중요할 수 밖에 없다.
[3]
동종의 프로펠러를 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