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eee,#222> 화산 | <colbgcolor=#fff,#000> 칼데라 | 화구호 | 오름 | 단성화산 | 성층화산 | 온천 | 간헐천 | 열점 |
용암 | 용암 동굴 | 주상절리 | 용암 대지 | |
빙하 | 혼 | 피오르 | U자곡 | 빙하호 | 크레바스 | 빙하동굴 | 빙붕 | 빙상 | 빙산 | |
사막 | 사구 | 사막포도 | 와디 | 버섯 바위 | 삼릉석 | 오아시스 | |
하천 | 직류하천 | 자유곡류하천 | 감입곡류하천 | 망류하천 | 감조하천 | 샘( 옹달샘) | 폭포 | 계곡( V자곡) | 선상지 | 하안 단구 | 우각호 | 구하도 | 하중도 | 천정천 | 범람원( 자연제방 · 배후습지) | 삼각주 | |
해안 | 곶 | 만 | 사빈 | 석호 | 갯벌 ( 펄갯벌 · 모래갯벌) | 해안 사구 | 해안 단구 | 해식 동굴 | 해식애 | 육계도 | 시 스택 | 파식대 | 사주 | 사취 | 리아스식 해안 | |
해양 | 군도 | 산호초 | 대륙붕 | 해곡 | 해저협곡 | 대륙 사면 | 대륙대 | 심해저 평원 | 기요 | 해구 | 해령 | 블루홀 | |
평야 | 분지(침식분지( 펀치볼 · 케스타) · 대찬정 분지) | 곡저평야 | 대평원 | 팜파스 | 지협 | |
용식지형 | 석회동굴( 석순 · 종유석 · 석주) | 카르스트 지형( 돌리네 · 우발레 · 폴리에) | 싱크홀 | |
고원 | 탁상지( 테이블 산) | 순상지 | 고위평탄면 | |
산맥 | 습곡산맥( 고기 습곡산맥 · 신기 습곡산맥) | 단층산맥 | 해령 | |
동굴 | 석회동굴 | 용암 동굴 | 해식 동굴 | 빙하동굴 | |
기타 | 용천 | 습지( 늪 · 수렁) | 동굴 | 절벽 | 언덕 | 봉우리 | 반도 | 호수 | }}}}}}}}} |
盆 地
valley, basin, depression[1]
산과 산맥으로 둘러싸인 평지.
1. 개요
주위는 산으로 둘러싸여 있고 그 안은 평평한 지역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분지는 주변의 산맥이 방어 장벽 역할을 하여 군사적 요충지이고, 산에서 형성된 계곡 줄기가 분지 내부에서 다른 계곡과 합류하여 하천이 되고 이로인해 수자원과 식량자원[2]이 풍부하기 때문에 분지에 마을이나 농업지대, 공업지대, 군사기지, 도시가 형성된 경우가 많다.2. 종류
- 산간분지: 산지 내부에 있다.
- 내륙분지: 대륙 내부에 있다.
- 침식분지: 기반암이 분지의 평평한 곳에 노출되어 침식된 것이다.
- 퇴적분지: 분지의 평평한 곳에 퇴적물질이 두껍게 쌓인 것이다.
- 해저분지: 해저에 형성된 분지. 줄여서 해분이라고도 한다.
3. 기타
새벽에 발생하는 기온 역전 현상[3]으로 대기가 순환하지 않아 공기가 좋은 곳이 아니라면 아침에 운동을 하면 좋지 않다. 여름이 되면 매우 덥다. 물론 철원군의 예처럼 겨울이 되면 매우 춥다. 춘천시처럼 여름엔 엄청나게 덥고 겨울엔 엄청나게 춥다.[4] 특히 유속이 느린 강이나 호수를 끼고 있는 경우 안개가 자주 발생하는데 정도가 심한 날은 미스트 간접체험이 가능하다.밑의 예시를 보면 알겠지만 전통적인 한반도의 인구 밀집지역들은 평야가 얼마 없는 지리적 조건[5], 배산임수라는 풍수적 조건과 지정학적 특성상 방어가 쉬운 점 때문에 대부분 분지에 위치해 있다.[6] 반면 바닷가는 일부 예외가 있었지만[7] 대체로 도시보다는 어촌 취급을 받았으며, 부산[8]이나 인천 등의 항구도시가 발달한 것은 대체로 근대화 이후이다. 한편 해안가에 도시가 발달한 나라들은 주로 상공업을 중시하거나 내륙에 사람이 살기 어려운 조건인 경우가 많다. 이런 지역이나 국가들은 오히려 분지가 찬밥 취급을 받는다. 미국이나 일본, 노르웨이의 경우만 보아도 해안가와 내륙의 인구밀도 차이가 상당하다.
4. 분지인 곳
※국내 - 국내 내륙 지역의 인구 거주지 대다수가 분지형이라 기재하는 의미가 없으므로, 지도 상에서 크레이터형으로 뚜렷하게 보이는 분지지형만 기재한다.- 해안분지( 강원도 양구군 해안면): 일명 펀치 볼(punch bowl)[9]
- 초계분지( 경상남도 합천군 초계면+적중면)[10]
- 낙안분지( 전라남도 순천시 낙안면 일부+ 보성군 벌교읍 일부)
- 진례분지(경상남도 김해시 진례면)
- 나리분지( 경상북도 울릉군 북면 나리)
- 서울특별시 구시가지( 종로구+ 중구)
-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읍
- 대전광역시 유성구 자운대
- 충청남도 계룡시 계룡대
- 충청북도 진천군, 음성군 음성분지
-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방천리
- 경기도 남양주시 평내호평지구
- 경기도 포천시 시내동지구+소흘읍+가산면
- 전라북도 장수군 장수읍
- 경상남도 거창군 가조면
- 경상남도 고성군 구만면
- 경상남도 남해군 설천면
- 경상남도 창원시 구시가지
- 강원도 춘천시 시가지+신북읍+동내면+서면 일부+동면 일부+신동면 일부
- 강원도 삼척시 구시가지
※ 북한
- 개성분지
※해외
- 대만 타이베이
- 멕시코 멕시코 시티
- 미국 라스베가스 분지: 라스베이거스 자체도 해발 고도가 약 600m로 꽤 높은 편인데, 라스베가스 근교를 둘러싸고 있는 산들은 해발고도가 약 2,300m 정도로 더 높다. 덕분에 7~8월에는 40도 아래로 내려간 적이 없다. 단, 습도가 매우 낮기 때문에 체감 온도는 그보다 낮은 편이다.
- 브라질 아마조니아 분지
- 불가리아 소피아
- 이탈리아 피렌체 분지
- 일본 교토 분지
- 일본 오사카 분지
- 중국 쓰촨 분지
- 중국 타클라마칸 사막 - 타림 분지
- 체코 프라하 분지
- 콩고 분지
- 프랑스 파리 분지
- 프랑스 코냑 분지: 그 포도주 코냑으로 유명한 곳 이다. 움푹 들어간 분지지형이라 여름에는 온도가 기하급수적으로 올라가 여름만 될라치면 보통 45℃까지 올라간다고 한다. 프랑스 전국에서 가장 더운 지방으로 악명을 떨치고 있으나, 그 덕에 포도 재배에는 안성맞춤이다. 대구광역시가 엄청나게 뜨겁지만 사과재배로 명맥을 잇는 것과도 상통한다.
- 이집트 파이윰 분지
- 아프가니스탄 판지시르 주
- 헝가리 분지
- 호주 대찬정 분지
- 카르파티아 분지
- 투르판 분지
5. 관련 문서
[1]
보통 분지를 basin이나 depression라고 번역을 많이 하나, 우리가 생각하는 분지와는 조금 의미가 다르다. basin이나 depression은 함몰된 지역의 의미가 강하다. 예를 들어 the Indian Ocean basin. 대구 분지와 같은 형태의 분지를 의미할 때는 보통 영문으로 valley를 주로 쓴다.
[2]
물고기, 조개류, 갑각류 등 수서생물과 수변부를 따라 자생하는 식용가능한 야생 식물, 강물을 이용해 재배한 농작물 등 식용 식물
[3]
기온 역전 현상이란, 고도가 높아짐에 따라 기온이 증가하는 현상이다. 보통은 고도가 높아짐에 따라 기온이 내려가는 것이 원칙이나 밤 사이 지표면의 냉각으로 인해 하층의 온도가 상층보다 낮아지게 되어 상공의 기온이 지표면보다 높아지게 되어 발생한다.
[4]
춘천은 2018년 여름에 40도를 찍었고 겨울에는 영하 10몇도가 애교인 수준으로 춥다.
[5]
굳이 분지에 자리잡았다기보다는 산이 잔뜩 있는 지형에서 그나마 평지를 찾다보니 분지에 자리잡게된 것이다.
[6]
하지만
개성시와
서울특별시의 역사를 보더라도 이러한 분지의 특성을 이용해 지어진 평산성이더라도 왕들이 수성전을 하지 않고 몽진을 간 사태가 많이 있었다. 특히 인조의 경우
이괄의 난과
정묘호란과
병자호란때 전부 한양을 버리고 도망가야 했다.오히려
평양처럼 분지 지형은 아니지만 대동강과 그 지류인 보통강을 바로 옆에 끼고 잇는 성이 천혜의 요새라고 할 수 있다.
[7]
예를 들면
김해시는 바다에 접한
항구도시였지만
부산광역시
강서구 일대는 고대에는 바다였고, 지금의 김해 시가지가 바로 해안에 붙어 있었다.
금관가야의 수도였고
통일신라에서도 금관소경으로 한반도의 대도시 다섯 손가락에 드는 곳이었다.
[8]
부산에 포함된
동래 지역은 전근대시대에도 서울 다음 두 번째까지는 아니라도 꽤 큰 도시이긴 했다.
왜관과
내상이 유명. 근데 동래는 아래 목록에도 나오지만 부산 안에 있는 분지라서 항구냐 분지냐로 양자택일 분류하기엔 사정이 복잡하다. 현재
부산항이 있는 부분은 대부분 근대화 이후에 발달한 것이 맞다.
[9]
해안분지는
한국전쟁 당시에
펀치볼 전투로 유명한 곳이다. 펀치 볼이란
미군들이 해안분지의 지형적 형태가 마치 펀치를 담을 때 쓰는 넓은 그릇인 펀치 볼(
화채그릇)을 닮았다 하여 붙인 별명이다. (펀치란
인도에서 유래된 서양식 화채로, 레몬, 각종 과일, 향신료, 설탕, 술, 차, 물 등을 섞어 만든다.)
[10]
국내 분지지형 중
운석 충돌로 생성된 것이 밝혀진 유일한 곳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