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24 14:10:56

대구권 광역전철

대구전철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대구권 관내 경부선에서 운행하는 광역철도 운행계통에 대한 내용은 대경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 도시철도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word-break: keep-all"
수도권 수도권 전철 ( 서울 지하철 · 인천 도시철도 · 경기 도시철도)
부산·울산권 동남권 광역전철 ( 부산 도시철도 · 울산 도시철도 · 경남 도시철도)
대구권 대구권 광역전철 ( 대구 도시철도)
광주권 광주 도시철도
대전권 대전권 광역전철 ( 대전 도시철도)
[1] : 충청남도 및 강원특별자치도 일부 지역( 천안시, 아산시, 춘천시) 포함
}}}}}}}}} ||


대구·경북의 대중교통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AAA> 파일:대구광역시 휘장.svg 대구광역시 파일:경상북도 휘장.svg 경상북도
항공 대구국제공항 포항경주공항
항만 없음 영일만항
포항여객선터미널
후포여객선터미널
철도 역 목록 역 목록
대구권 전철 ( 파일:Daegu1.svg · 파일:Daegu2.svg · 파일:Daegu3.svg · 파일:대경선-로고-simple-renew.svg )
버스 터미널 목록 터미널 목록
교통카드
캐시비 · 티머니 · 대경교통카드 · 원패스 · 탑패스
대구권 광역환승제
}}}}}}}}} ||
대구권 광역전철 노선
1호선 2호선 3호선 대경선
{{{#!wiki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미개통 노선 펼치기 · 접기 ]
{{{#!wikistyle="margin:-5px 0 -10px"
#!wikistyle="display:inline; background:#cc0000; padding:0px 2px; border-radius:6px;"
{{{-1 {{{#fff 건설 확정}}}}}}
1
#!wikistyle="display:inline; background:#999; padding:0px 2px; border-radius:6px;"
{{{-1 {{{#fff 추진 중}}}}}}
2
4호선 대구산업선 5호선 대구경북신공항 광역철도
1 기본 계획 승인: 민간투자사업심의위원회 통과 또는 예비타당성조사 통과
2 기본계획 미승인 및 예비타당성조사 평가 중 혹은 ‘타당성 없음’ 판정
}}}}}}}}}||
대구권 광역전철
大邱圈 廣域電鐵
Daegu Metropolitan Metro
개업일 <colbgcolor=#fff,#1c1d1f> 1997년 11월 26일
총연장 153.65km
노선 수 4개
역 수 96개[A]
궤간 1,435mm( 표준궤)
운행 지역 대구광역시[2]
경상북도 경산시· 구미시· 칠곡군
하위 체계 대구 도시철도[3]
운임 제도 대구권 광역환승제

1. 개요2. 역사3. 노선 목록
3.1. 운행 중인 노선3.2. 공사 예정 노선3.3. 추진 중인 노선
3.3.1.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3.3.2. 대구광역시 도시철도망 구축계획
4. 운임
4.1. 대구 도시철도4.2. 대경선
5. 열차번호6. 안내방송7. 혼잡구간
7.1. 대구 도시철도
7.1.1. 혼잡역
8. 사건 사고9. 여담
9.1. 역별 승하차 통계
10. 기타
10.1. 자전거 관련10.2. 환승역10.3. 디자인
10.3.1. 노선색10.3.2. 글씨체10.3.3. 역명판
10.3.3.1. 폴싸인10.3.3.2. 역명판
10.4. 역명 관련

[clearfix]

1. 개요

대구권 광역전철의 노선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nopad> 파일:개정후 노선도.png
대구교통공사 노선도 링크
(개정 이후)[4]
<nopad> 파일:대구권 전철 노선도 (한국철도공사 2024년 12월).jpg
한국철도공사의 대구권 광역전철 노선도
(2024년 12월 21일 기준)[5]
}}}}}}}}} ||
대한민국 대구권 지역과 그 근교지역을 운행하는 대규모 통근형 도시철도(Rapid Transit)[6] 체계. 명칭은 가칭이다.[7] 현재 대구 도시철도 광역철도가 운행 중이며 1호선, 2호선, 3호선, 대경선 4개 노선이 운행 중이다.

2024년 12월 기준으로, 대구광역시[8], 경상북도 경산시, 칠곡군, 구미시에서 운행 중이며, 경상북도 영천시[2030년]에서도 향후 운행할 예정이고, 경상북도 김천시, 경상남도 창녕군에도 노선 운행을 계획 중이다.

2. 역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구권 광역전철/역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대구권 광역전철의 개통 연혁[10]

대구 지하철 건설 과정에서 대구 지하철 공사장 가스폭발 참사와 같은 사고를 겪기도 하였으며, 서울, 부산, 인천 등과 비교할 때 재정자립도가 그렇게 높지 못한 대구의 특성상 여러 가지 어려움을 겪었다.[11] 2호선의 경우에는 대구 월드컵 경기장과 인접한 곳을 지나는 특성상 2002년 월드컵 이전 개통이 목표였지만, 실제로는 3년 더 걸려 2005년 말 개통했다. 이외에 2007년 3호선 개통, 2010년 4호선까지 개통, 2020년까지는 3호지선, 5호선, 6호선을 모두 개통할 계획이었으며 그것도 모두 지하 중전철이었다.

1호선 공사가 끝나고 영업에 들어간 후에도 지하철의 이용객 수가 적어 전체 수송 분담률의 10%도 분담하지 못해 적자만 쌓였고, 공사 측은 빚을 갚으려고 인력감축을 거듭 감행해 안전 강화마저도 소홀했다. 그 결과 2003년 발생한 대구 지하철 참사는 많은 대구시민들에게 지하철에 대한 트라우마와 공포를 각인시키며 그나마 있던 승객 수조차 곤두박질치게 하는 원인이 되었다.[12] 2004년 공사측이 2호선 공사 당시 인력감축 및 민간위탁을 발표하자, 강한 노사갈등을 유발시켜 88일간 파업이 이어졌다.

대구광역시에서는 이것을 타파하기 위해 시내버스 체계를 광역전철과 연계하는 체계로 바꾸고 시내버스 - 전철 간 무료 환승을 실시하는 등 여러 가지 대책을 내놓았다. 2호선 개통과 대구광역시청의 노력으로 서서히 이용객이 증가하는 추세. 특히 영남대역이 영업을 시작한 이후 2호선은 RH 때 가축수송 확정. 3호선 대경선이 각각 2015년, 2024년에 개통되면서 광역전철의 수송 분담률은 더 증가하고 있다. 게다가 요즘 유가가 상승하여 대중교통을 이용하려는 시민들이 늘어나 전철 이용객 역시 조금씩 늘어나고 있다.

다만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전체적으로 이용객이 추락했는데 특히 대구권 전철이 이용객 대비 그 폭이 심하였다. 특히 대표적인 수요처인 중앙로역 영남대역의 경우 이용객이 반토막났으며, 이 역들이 아니더라도 전반적으로 이용객 수가 평균적으로 30%정도 감소했다. 코로나 사태가 조금 진정된 2022년부터 수요를 조금씩 회복하고는 있지만, 온라인 강의보다 대면 강의 위주로 돌아온 계명대역, 영남대역 등 대학가 역들과 진천역 같이 주거지 연계 버스노선 변경으로 인해 이용객을 완전히 회복한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면 여전히 2019년의 수요를 회복하는 데에 있어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

3. 노선 목록

대구권 광역전철 노선
1호선 2호선 3호선 대경선
{{{#!wiki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미개통 노선 펼치기 · 접기 ]
{{{#!wikistyle="margin:-5px 0 -10px"
#!wikistyle="display:inline; background:#cc0000; padding:0px 2px; border-radius:6px;"
{{{-1 {{{#fff 건설 확정}}}}}}
1
#!wikistyle="display:inline; background:#999; padding:0px 2px; border-radius:6px;"
{{{-1 {{{#fff 추진 중}}}}}}
2
4호선 대구산업선 5호선 대구경북신공항 광역철도
1 기본 계획 승인: 민간투자사업심의위원회 통과 또는 예비타당성조사 통과
2 기본계획 미승인 및 예비타당성조사 평가 중 혹은 ‘타당성 없음’ 판정
}}}}}}}}}||

<rowcolor=#fff> 구분 분류 광역철도 지정 여부 비고
<colcolor=#fff> 1호선 <colbgcolor=#d93f5c><colcolor=#fff> 본선 도시철도 -
안심하양복선전철 안심 ~ 하양
하양금호단선전철 하양 ~ 금호 미개통
2호선 도시철도 -
3호선 도시철도 -
4호선 도시철도 - 미개통
5호선 도시철도 -
대경선 일반철도 구미 ~ 경산
대구산업선 일반철도 - 미개통
대구경북신공항철도 일반철도 의성 ~ 동대구

3.1. 운행 중인 노선

운행 중인 노선
총 노선 개수: 4개 운행계통
총 노선 길이: 153.65km
총 역 개수: 96개[A]
노선색 노선명 기점역 종점역 총 길이 역 수 소유자 운영자
<colcolor=#ffffff> 빨간색 파일:Daegu1.svg 1호선 설화명곡역 하양역 37.3km 35개 대구광역시 대구교통공사
경산시
초록색 파일:Daegu2.svg 2호선 문양역 영남대역 31.4km 29개 대구광역시
노란색 파일:Daegu3.svg 3호선 칠곡경대병원역 용지역 23.1km 30개
코레일블루 파일:대경선-로고-simple-renew.svg 대경선 구미역 경산역 61.85km 7개 대한민국 정부 한국철도공사

3.2. 공사 예정 노선

이 교통 시설 또는 노선은 개통되지 않았습니다.

이 문서에는 현재 설계, 계획이나 공사 등의 이유로 개통되지 않은 교통 시설 또는 노선에 대한 정보가 서술되어 있습니다.
공사 예정 노선
노선색 노선명 기점역 종점역 총 길이 역 수 소유자 운영자 개통 예정일
<colcolor=#fff> 미정 파일:대구산업선 광역전철 아이콘.svg 대구산업선 동대구역 대구국가산단역 43.9km 12개 대한민국 정부 한국철도공사 2029년
빨간색 파일:Daegu1.svg 1호선 하양역 금호역 5.7km 2개 경산시 대구교통공사 2030년
영천시
파란색 파일:Daegu4.svg 4호선 수성구민운동장역 이시아폴리스역 12.5km 12개 대구광역시

3.3. 추진 중인 노선

3.3.1.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반영 노선
노선색 노선명 기점역 종점역 총 길이 역 수 소유자 운영자 개통 예정일
미정 파일:대구신공항철도아이콘.svg 신공항철도 동대구역 의성역 77.46km 5개 미정 미정 2032년
<colcolor=#ffffff> 코레일블루 파일:대경선-로고-simple-2.svg 대경선 김천역 구미역 22.9km 3개 대한민국 정부 한국철도공사 미정
미정 파일:대구산업선 광역전철 아이콘.svg 대구산업선 대구국가산단역 경남 창녕군 대합면 5.4km 2개

3.3.2. 대구광역시 도시철도망 구축계획

대구광역시 도시철도망 신설 계획노선
노선색 노선명 기점역 종점역 총 길이 역 수 소유자 운영자 개통 예정일
<colcolor=#ffffff> 연두색 파일:Daegu5.svg 5호선 약 36km 대구광역시 대구교통공사 2033년
보라색 파일:Daegu6.svg 6호선
대구광역시 도시철도망 연장 계획노선
노선색 노선명 기점역 종점역 총 길이 역 수 소유자 운영자 개통 예정일
노란색 파일:Daegu3.svg 3호선 용지역 동내역 13.0km 9개 대구광역시 대구교통공사 2028년
후보 노선
초록색 파일:Daegu2.svg 2호선 성주군청역 문양역 16.5km 6개 미정
노란색 파일:Daegu3.svg 3호선 수성못역 파동주민센터 3.4km
노란색 파일:Daegu3.svg 3호선 칠곡경대병원역 동명면 2.9km
미정 국채보상로선 대구보훈병원역 동대구역

===# 폐기된 계획 #===

4. 운임

대구권 광역전철 이용 요금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ㆍ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대구 도시철도
2024년 1월 13일부터
구분 교통카드 토큰(현금)
1회권
일반 1,500원 1,700원
청소년 850원
어린이(할인권) 400원 500원
노인(우대권)[참조] 0원 0원
단체권(20명이상)
일반 - 1,350원
청소년 -
어린이(할인권) - 450원
대경선
2024년 12월 14일부터
거리비례 이동구간제 10km 이하 기본운임
10km 초과 시 5km 마다 추가운임 100원 부과[a]
칠곡군 대구광역시, 대구광역시 경산시 시도 경계 통과 시계외운임 부과 (단, 10km 이하 이동 시 면제)
구분 교통카드 토큰(현금)
기본요금 일반 1,500원 1,700원
청소년 850원
어린이 400원 500원
노인[참조] 0원 0원
5km 마다 구간 운임 일반 +100원 +100원
청소년 +80원
어린이 +50원 +50원
노인[참조] +0원 +0원
시계외운임 일반 +200원 +200원
청소년 +150원
어린이 +100원 +100원
노인[참조] +0원 +0원
[a] 경북북부구간( 구미 - 서대구)과 대구구간( 서대구 - 동대구), 경북남부구간( 동대구 - 경산)의 거리를 별도로 계산
[b] 대경선 역사에서는 레일플러스, 티머니만 충전 가능
[c] 전국호환 복지교통카드 이용불가, 1회용 승차권 발권으로 무임 승차 가능
무임 운송 대상 66세[참조] 이상 내국인, 장애인, 국가유공자
[참조] 2024년 66세 이상 • 2025년 67세 이상 • 2026년 68세 이상 • 2027년 69세 이상 • 2028년 이후 70세 이상 }}}}}}}}}

대구 도시철도 1~3호선과 대경선 간 환승은 가능하나 교통카드로만 환승 처리되는 소프트 환승 방식이다. 대경선 환승시 750원의 추가요금이 있다. 또한 환승 시 환승횟수가 1회 차감된다.

대경선 개통 이후 대구·경북 권역에서 대구권 광역연계를 위한 대구권 광역환승제를 시행한다.

4.1. 대구 도시철도

1997년 최초 개통 시에는 부산 도시철도와 같이 10km 구간제 요금으로 성인 1구간 500원, 2구간 600원이었으나 시내버스와 무료 환승을 시작한 후 2006년 10월 28일 요금 개편으로 현재 1호선, 2호선, 3호선의 전 구간은 단일 요금이며 버스와의 무료 환승(최초 하차 이후 30분 이내)도 가능하다. 운임이 계속해서 인상되었으나, 단일요금제 방식은 유지하고 있다.

대구 도시철도는 기존의 종이로 만들어진 승차권이 아니라 동그란 RF 토큰이 나온다. 2004년 12월 13일부터 토큰형 승차권을 사용중이며, 이전에 사용하던 종이승차권은 폐지되었다. 새로운 RF 토큰은 광주 도시철도에서 최초로 시행했으며 이후 대구 도시철도도 실시하고 뒤에 나온 대전 도시철도에서도 이런 방식을 채택했다. 수도권 전철에서도 2009년 종이 승차권이 다회용 승차권으로 바뀌면서 대구 도시철도와 같은 RF 방식(하차와 동시에 승차권을 반납)의 채택도 검토되기도 하였지만, 교통카드 사용 유도를 목적으로 현금으로 승차하는 승객에게 불이익을 주는(번거로운 환불 절차를 거쳐야 한다.) 1회용 교통카드가 채택되었다. 수도권 전철에서 다회용 RF 승차권제도를 시행하려면 지금까지 개통된 모든 역의 개찰구를 개조해야 한다. 그러면 그 비용이 엄청나게 깨지니 손쉽게 계획할 수 있는게 아니다. 대구 도철은 과거에는 정액권도 판매되고 있었으나, 2002년부터 도시철도에 교통카드제를 시행함과 동시에 폐지됐다. 또한 2005년부터 매표소 무인화를 시행하였다.

서울이나 부산 사람은 처음 대구 도시철도에 와서 승차권을 뽑으면 이상한 동그란 게 나와 당황하기 마련이나, 탈 때 교통카드 찍듯이 찍고 지나가면 된다. 교통카드 단말기에는 이 승차권을 찍으면 1회권이라는 뜻인지 "1"로 뜬다. 단, 내릴 때는 교통카드처럼 찍지 말고 찍는 곳 바로 옆에(처음 보면 눈에 잘 안 띈다.) 있는 저금통에 동전을 넣는 구멍과 비슷하게 생긴 조그만 구멍에 넣어야 한다. 이 저금통 투입구와 비슷하게 생긴 홈에다가 동그란 승차권을 넣지 않으면 개찰구를 통과할 수 없다. 카드 찍는 곳에 대면 일회권을 투입하여 주십시오라는 멘트가 나온다. 도시철도를 이용할 것도 아니면서 표를 사다가 (재미삼아서 혹은 수집 목적으로)자기가 챙겨 가는 사람이 간혹 있어 손해가 난다는 뉴스가 나온 적도 있는데, 제조 단가가 무려 1,500원이다.[14] 이렇게 발생하는 손해는 고스란히 시민의 세금으로 채워야 하니, 그런 짓은 하지 말자. 만약 주변에 그러려는 사람이 있다면 만류하자.

교통카드는 2002년부터 사용이 개시되었다. 선불교통카드로는 주 사용카드인 원패스를 비롯해, 대경교통카드, 탑패스, 티머니, 캐시비, 한페이, 레일플러스, 후불교통카드로는 KB국민카드, 비씨카드, NH농협카드, 신한카드, 하나카드, 롯데카드, 현대카드, 삼성카드, 씨티카드를 사용할 수 있다. 대경교통카드와 탑패스, 원패스만 역에서 충전이 가능하며, 이외 교통카드는 역 주변 편의점에서 충전해야 한다. 2013년 경에 캐시비가 대구 도시철도 역 충전을 추진했었고, 레일플러스도 대구 도시철도 역에서 충전할 수 있게 개발을 추진한다고 언급했으나 합의가 안 되었는지 현재는 계획이 삭제됐다. 이에 대한 문의가 많은 지 보충기에 티머니, 캐시비 충전 불가라고 붙여놓은 경우도 있으며, 대구교통공사의 공식 유튜브 영상에서도 이를 안내한 바 있다. 또한 타 지역 카드의 충전이 될 수 있도록 DGB유페이에 수 차례 요청을 했다고 고객의 소리에서 언급한 바 있는데, 아무래도 DGB유페이가 도시철도 역 충전은 정말 안 해주려는 모양이다.

2009년 대구광역시에서는 전국에서 사용할 수 있는 신(新) 교통카드를 새로 도입하려고 했지만 어른의 사정으로 대구 시내버스 조합과 카드넷이 터뜨린 사고로 인해 빼도박도 못하는 상황이 되었다. 자세한 내막은 iM유페이 참조. 결과적으로 기존 카드넷은 그대로 두고, 예전부터 협상을 시도하던 유페이먼트(비씨 - 삼성 컨소시엄)와 계약을 체결하여 탑패스라는 교통카드를 발매하기로 하고 단말기도 삼원FA제로 교체하여 2011년 1월에 신 교통카드 시스템이 개통되었다. 신형 시스템 개통과 함께 비씨카드(후불교통카드)도 사용 가능한 카드로 추가되었다. 발급회원 은행에 관계없이 모든 비씨카드(당연히 후불교통 기능이 있어야 함)는 사용이 가능하다.

이후 세계육상경기대회에 맞춰 2011년 8월 16일부터 티머니 캐시비도 사용이 가능하다. 2014년 12월 23일에는 한페이가 추가됐고, 12월 30일에는 레일플러스가 추가로 호환됐다. 티머니의 T-마일리지는 2014년 11월부터 대구 사용분이 적립되며, 캐시비는 호환될 적부터 L.포인트를 적립해 준다. 2016년 7월에 티머니의 편의점 빗장이 풀리며 양대 전국구 교통카드 모두 대구 충전처가 꽤 확대됐다. 한페이는 세븐일레븐 롯데ATM에서 충전이 가능하며, 레일플러스는 NH농협은행(오직 계좌이체만 가능), 우리은행 ATM, 롯데ATM 대구역, 동대구역 구내 여행정보센터 및 스토리웨이, 레일머니 앱에서 충전이 가능하다.

물론 신 교통카드인 탑패스가 도입됐어도 기존 업체인 카드넷의 대경교통카드도 사용할 수 있다. 2014년 1월에 대경교통카드가 단종됐지만 대구은행 비씨 체크카드같은 것을 통해 아직 나오고 있긴 하나, 국토교통부의 압력으로 인해 2017년 3월부터 학생증 체크카드를 시작으로 원패스로 교체될 듯하다. 2012년 2월 카드넷과 유페이먼트의 합병 떡밥이 지역 언론을 통해 나왔으며, 카드넷이 해산하고 유페이먼트로 합병됐다. 동시에 대경교통카드만 받고 있었던 영천시 시내버스에서도 탑패스를 사용할 수 있게 됐다.

교통카드 무인 충전기는 본래 일반 카드형만 삽입충전이 가능했으나, 액세서리형의 충전 편의를 위해 2호선이 개통하고 나서 몇 달 후 RF 접촉식으로 모두 개조했다.

2023년 11월 9일, 대구시에서 '시내버스와 더불어서 요금 인상을 하겠다.'고 선언하였다. 즉, 2016년 이후로 7년만에 가격 인상한다는 셈. 현재 성인, 교통카드 기준 1,250원에서 1안은 250원 상승[15], 2안은 300원 상승[16], 3안은 350원 상승[17] 중 선택 후, 시내버스와 달리 도시철도는 거리비례제[18]를 도입을 검토 중이라고 한다. 일단 1안이 선택되었다.

2024년 1월 13일부터 요금이 인상된다. 교통카드 이용 시 시내버스·도시철도 요금은 1250원에서 1500원, 급행버스는 1650원에서 1950원으로 인상되며 현금 이용 시 시내버스·도시철도는 1400원에서 1700원, 급행버스는 1800원에서 2200원으로 인상된다. 이번 요금조정은 2016년 12월 이후 7년 만이다. #1 #2 #3

실수로 횡단 불가 역에서 반대편 승강장에 들어가서 다시 찍고 나왔거나, 환승 통로에서 착각하고 하차한 경우 10분 이내에 역 직원에게 문의 시 1회분 운임이 환불된다. 최초 승차 태그 후 열차를 이용하지 않고 10분 이내에 역 직원에게 문의 시에도 운임 환불이 된다. 단, 환불 신청 후 버스로 환승한 경우에는 환불 불가하다.

4.2. 대경선

2024년 12월 14일 대경선 개통에 맞춰 김천시 시내버스, 구미시 시내버스, 칠곡군 농어촌버스, 성주군 농어촌버스, 고령군 농어촌버스,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경산시 시내버스, 청도군 농어촌버스, 영천시 시내버스, 대구 도시철도와 통합운임 및 환승제도인 대구권 광역환승할인 제도 시행이 시작됐다. 기존 대구-경산-영천-도시철도간 및 김천-구미-칠곡간 체계의 광역철도 요금 및 환승제도를 통폐합하고 성주군· 고령군· 청도군 농어촌버스 요금제를 추가하는 방식이다.

광역철도 요금은 전구간 성인 카드 기준 10km내 1,500원이며 이후 5km마다 100원씩 추가된다. 또 칠곡군 ↔ 대구광역시, 대구광역시 ↔ 경산시 시도 경계 통과 시 200원의 추가 요금이 있다. #

iM유페이 발행 카드 중 원패스만 대경선에서 사용이 가능하고, 대경교통카드 탑패스를 사용할 수 없으며, 역에서의 충전은 티머니, 레일플러스만 가능하다.

5. 열차번호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구권 광역전철/열차번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안내방송

정확한 문장과 표현을 원한다면 안내방송/열차/도시철도 안내방송/역을, 열차 진입음은 열차 진입음, 안내방송 성우와 관련된 부분은 이쪽을 참조할 것.

한국어 안내방송은 이윤정 성우가, 영어 안내방송은 제니퍼 클라이드가 담당하고 있다. 3호선의 경우 기존에는 바리 새버리스가 담당하고 있었으나, 이후 제니퍼 클라이드로 교체되었다. 철도 매니아들에게는 한국어 안내방송 말투가 미묘하다는 평가를 종종 받고 있다. 수도권 전철 환승 음악인 얼씨구야를 입힌 2호선 반월당 안내 방송을 들어보자.[19]

대구 도시철도에서는 역명 방송에서 병기역명 부역명 모두 방송하지 않는다. 따라서 역명과 부(병기)역명의 지위가 상당히 크게 차이난다. 또한 전국 도시철도 중 대구 도시철도만 영어로 내리는 문 안내방송을 하지 않는다.

2013년 8월경 일본어 안내멘트가 바뀌었다. 내용이 기존 "次の停車駅は(다음 정차역은)(역 이름)、(역 이름)です。"에서 "まもなく(곧)(역 이름)、(역 이름)駅です。"로 바뀌었으며 녹음도 따로 원어민을 안 쓰고 국문 성우인 이윤정을 그대로 써서 엄청나게 어색해졌다. 설명하자면 "마모나꾸 동대구, 동대구 에키데스"를 한글로 써놓고 일본어 전혀 못 하는 한국인이 읽은 느낌이다. 변경 전에는 일본인이 녹음하여 크게 어색하지 않았는데 안내방송을 바꾸는 김에 다른 언어도 바꾸면서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한국인 성우한테 다 시키다보니 이런 사단이 난 것이다. 단, 3호선 전동차 내 일본어 안내방송과 3호선 환승역의 안내방송은 일본인이 녹음한 것이다.

한때는 대구도시철도 안내방송이 영 말투가 이상하고 불친절했었다. 타 지역과 달리 연계 시설 멘트가 명령조라는 평가가 지배적이었다. 가령 "OO을 이용하실 고객은 이번 역에서 내려야 합니다." 라던가, "☆☆로 가실 고객은 χ번 출구로 나가십시오." 와 같은 어조가 타 지역 안내방송에 익숙한 사람들에게는 거북할 수 있을 정도. 안내방송 뿐만 아니라 문자로 된 안내문까지 원래 '~하세요/하십시오'이던 것을 2010년대 중반부터 전부 '~하시오'로 바꾸어 놓았다. 이는 고객의 소리 게시판에서 유명한 맞춤법 빌런 민원인 한 명의 영향이 크다. 게다가 영어 안내방송도 부실하고, 일본어 안내방송의 발음 문제점이나 안내방송의 음질, 땜질(청라언덕역 원어발음, 동구청역 영어 등), 음량 등 여러 분야에서 까이는 분위기가 없지 않아 있다. 부산 도시철도 등의 다른 지방 도시철도에서 각 역의 특색을 살리는 효과음이나 안내문구를 넣어 안내방송을 적극 활용하는 것과 달리 대구는 많이 소극적이라는 평가가 있다. 그나마 요즘 공사에서 시도하고 있는 것이 현재는 각종 민원으로 사라진 3호선의 사투리 안내방송이나, 가끔 이승엽 선수가 방송하는 이벤트성 방송 등이 있다. 그러나 2024년 12월 28일 대경선 개통 이후 부터 안내방송이 "○○을 이용하실 승객께서는 이번역에서 내리시기 바랍니다", "○○로 가실 승객께서는 X번 출구로 나가시기 바랍니다." 이런 식으로 다시 바뀌면서 예전에 사용하던 방송 말투로 환원되었다.

출발, 환승, 종착역에서는 대구도시철도공사 로고송이 송출된다. 2009년까지는 환승역에서는 아이네 클라이네 나흐트무지크 3악장을, 출발역은 딩동댕동을 사용했다. 종착역 음악은 모차르트 교향곡 17번 2악장 안단테로 원곡이 아닌 편곡버전으로 The Mozart Effect Tune Up Your Mind 앨범에서 Andante, Symphony No.17 In G Major, K.129곡을 사용하였다. 1호선은 앞부분 8초정도, 2호선은 17초정도로 송출되는 길이가 달랐다. 네이버 뮤직(4번항목)

하양/안심/영남대/용지 방면 진입음은 슈베르트 군대 행진곡으로 10박자, 즉 2마디 반 지점에서 끊겨서 뜬금없게 들린다. 설화명곡/문양/칠곡경대병원 방면은 비발디 사계 중 봄 1악장으로 바뀌었는데 여긴 8박에서 끊어져서 비교적 자연스럽다.

다른 지역보다 로고송을 더 자주 더 많이 사용하는데 시종착역은 물론 환승역에서도 틀어준다. 최근에 설치되는 에스컬레이터에서도 로고송이 나오며, 심지어 매 시각 00분, 15분, 30분, 45분마다 각 역마다 로고송이 방출되고 에스컬레이터 등 안전방송을 할 때도 로고송 일부 부분인 대구 도시철도 부분을 알림음으로 사용하고 막차 운행 종료 안내 방송 때도 나온다. 열차 진입음 외에는 대부분 로고송이 사용된다.

대경선에서는 다른 한국철도공사 운영 노선과 달리 "고객"이 아닌, 대구 도시철도처럼 "승객"이라는 표현을 사용한다. 다만, 대구 도시철도와 달리 환승역마다 로고송이 아닌 국악 얼씨구야가 나온다. 그리고 한국어→영어→일본어→중국어 순으로 안내방송이 나온다.[20]

7. 혼잡구간

퇴근시간 대구 1,2호선 반월당역 모습
대구는 인구 237만 명의 대도시다. 대구가 어디까지나 수도권이나 부산권 지역에 비해서 규모가 작을 뿐이지, 237만 명이면 절대 작은 도시가 아니다. 세계적으로 비교해도 수십만 개가 넘는 도시 중에서 거의 100위 권에 가깝다. 2호선의 경산연장, 1호선의 하양연장, 대경선의 개통으로 인구 42만 명의 구미시와 26만 명의 경산시까지 연계되었기에 광역전철 수송분담률은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7.1. 대구 도시철도

수도권이나 동남권은 심야시간이 가까워져도 혼잡이 풀리지 않는 구간이 한 두 군데가 아닌데, 대구는 어째서인지 시내구간조차도 저녁에 퇴근시간만 지나면 혼잡하지 않은 걸 넘어 공기수송이 되는 경우가 잦다. 퇴근시간이 어느 정도 지난 저녁 7시 반~9시 쯤에는 1호선 설화명곡역 방향의 경우에도 중앙로역, 반월당역에서만 약간 입석 승객이 생길 뿐 영대병원역만 가면 자리가 생긴다. 하양역 방향이나 대구 도시철도 2호선은 양 방향 모두 반월당역에서 그냥 자리만 다 채우는 수준이다. 다만 버스가 서서히 끊기고 전철 배차간격이 길어지는 밤 10시 이후로는 귀가 수요가 몰리면서 어느 정도 가축수송을 하는 편이다.

대구 도철이 생각만큼 이용객이 안 나오는 원인이라면 대구광역시 인구가 서울특별시 부산광역시에 비해 적을 뿐만 아니라, 도시의 구조가 다른 이유도 있을 것이다. 어지간한 특별시/광역시는 죄다 다핵도시화가 진행이 돼있는 것과 달리 대구는 아직도 단핵도심 체제가 강하기에 수요가 중심으로 몰릴 수 밖에 없는 구조이다. 또한 워낙에 도로망이 잘 갖추어져 있어서 혼잡시간대에 시내 중심지로 이동할 것이 아니라면 어지간해서는 자가용, 노선버스, 택시 등으로 이동하기에도 크게 무리가 없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부산과 비교하면 대구는 주변에 산이 병풍처럼 둘러쌓여 있을 뿐 도시 안에는 산이 많지 않은 반면, 부산은 도시 내에 산이 여기저기 박혀 있어서 도로 부지도 작은데다 도로 설계마저 개판이라 인구수는 서울의 절반도 안 되는데도 불구하고 교통지옥 수준이 서울보다 더 심하다는 증언까지 있을 정도다. 괜히 부산에서 운전하면 실력이 는다고 하는 게 아니다.

통계청에서 각 지역별 도시철도 운영기관의 사업운영 현황을 조사한 결과 대구교통공사 광주도시철도공사 다음으로 적자가 심한 것으로 나왔다. 영업계수가 전국 평균이 거의 200%를 넘지 않지만 대구도시철도공사는 무려 350%에 달하는데, 이는 100원을 버는데 350원을 투자해야 한다는 뜻이다.

그래도 노선 자체는 꽤나 개념노선이다. 3호선의 경우 조금 애매하긴 하지만 그래도 맡은 몫만큼은 하는 편이다. 광주 도시철도 1호선이나 성수지선과는 비교할 수도 없다. 대구 도시철도는 선형도 나쁘지 않으며, 이용객은 매년 증가 추세에 있긴 하나, 전국적으로 인구가 감소하는 추세인데다, 같은 6량 중형전철 굴리는 부산 도시철도 2호선은 이용객이 서울 지하철 9호선과 큰 차이가 없는데도 증결하지 않는 것을 보면 1~2호선의 8량 증결을 대비해 지어놓은 부분도 영등포시장역, 신풍역, 신당역처럼 영원하게 비어있는 공간으로 남아질 가능성이 높다.

2018년 3월 8일 폭설이 내렸을 때 도로가 마비된 탓에 임시 열차까지 편성할 정도로 가축수송이 되었는데, # 그만큼 잠재적 수요는 많지만 평소에는 도로교통에 경쟁력이 밀려서 그 잠재수요를 제대로 끌어오지 못 하는 것임을 다시 한 번 증명했다.

2020년 코로나19 집단감염 사태로 인해 평일 42~47만 명의 수준을 유지하던 대구 도시철도의 승객수가 14만 명 수준으로 대폭 감소하였음이 드러났다. 특히 일요일 승객수는 5만 8백 명 수준으로 이는 평시 2호선 반월당역의 일평균 수치보다 적은 수준이다. 코로나 19 대유행이 아니어도 도로교통에 비해 경쟁력이 뒤처지는데, 조금이나마 있는 경쟁력에 헤드샷을 맞은 꼴이 되었다. 전국의 어지간한 노선들은 보통 2019년 대비 30% 이내의 감소율을 보인 반면, 대구 1~2호선은 무려 40% 내외의 감소율을 보인 것이 위의 서술을 증명한다고 볼 수 있다. 다만 코로나19가 종식 국면에 접어든 2022년 유가가 크게 상승하며 이용객이 가파르게 회복되고 있다. 2022년 말이 되어봐야 알 수 있다.

7.1.1. 혼잡역

8. 사건 사고

1호선, 2호선 합하여 총 5번의 사고가 있었다. 위의 두 사고 외에도 1992년 1월 1호선 6공구 공사장에서 지지대가 무너지면서 1명이 부상을 입은 사고, 1995년 8월 1호선 12공구 공사장에서 폭약 폭발 사고로 4명이 숨지거나 다쳤던 사고, 2000년 2호선 신남네거리 공사장의 복공판이 붕괴되면서 좌석버스 1대가 추락해 4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특이한 점은 탈선, 충돌사고 등의 운행과 관련된 사고가 아닌 공사 중에 일어난 사고와 같은 외부 요인에 의한 사고가 많았다는 점이다. 그리고 실제 운행 중에 사고를 낸 경우는 거의 제로에 가까운 수준이다.

3호선 역시 사고에서 자유롭지 못하며, 지금까지 크고 작은 사고가 몇 차례 발생했다. 8공구 범물역 공사장에서 가스관이 파열되어 대형 참사가 발생할 뻔한 사고, 6공구 명덕역에서 천공기가 추락하여 신호 대기 중인 자동차를 덮쳐 1명이 죽고 1명이 다친 대형 사고, 근로자 1명이 교각에서 작업하던 도중 추락사한 사고, 7공구 공사장에서 근로자 1명이 지상으로 떨어진 철골 구조물에 맞아 숨진 사고가 이에 해당한다.

대경선은 열차의 낮은 수송량으로 승객 과밀 문제가 있다. 2024년 12월 22일 오후 1시 45분쯤 대경선 대구역을 이용했던 고령층 탑승객이 열차 혼잡에 호흡곤란 증세를 호소하면서 119구급대가 출동한 사건이 있다. 개통한지 얼마 안됐기 때문에 추후 더 큰 사고 방지 노력이 필요하다.

2018년 2월 말~3월 초 대구광역시에 이례적인 폭설이 내리면서 3호선 열차가 멈추는 일이 잇따랐다. 특히 범물역 인근에서 정지한 열차를 구원하기 위해 접근하던 열차도 같이 멈춰버리는 바람에 3호선 운행이 잠시동안 중지된 적이 있다.

9. 여담

대구 도시철도 1호선의 완전 개통은 1998년 5월 2일인데 이 때를 맞춰 대구광역시 시내버스가 대대적인 개편을 하게 된다. 그 결과물이 바로 현재의 지역별로 구분된 번호 체계로, 지금이야 20년 가까이 됐으니 완전히 정착한 상태지만 당시만 하더라도 실패작이라는 소리와 함께 환원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았다.

대구 도시철도 1~2호선 역사 내에서 사진을 찍다 역무실에 끌려가 크게 혼쭐이 났다는 증언이 있을 정도로 전국에서 철도 동호인이 활동하기엔 무지하게 살벌한 환경이 조성되어 있다. 특히 영대병원역은 조심하자. 율하역에서도 역무실에 불려간 사례가 있었으니 주의하자. 사진을 찍는 게 아니더라도 안전선을 조금이라도 넘어가거나 안전펜스를 살짝 손대기만 해도 역무실에서 방송으로, 그것도 큰 소리로 혼쭐을 내거나 사회복무요원이 이를 제지하기 때문에 안전한 안전선 안쪽에 서 있어야 한다. 대구 지하철 참사 이후 안전강화를 위해 하는 것이니 촬영을 하려는 철도동호인들은 역무실에 가서 허락을 받도록 하자.[21] 다만 시간이 많이 흘러 이런 살벌한 분위기도 이제는 전 역사 스크린도어 설치 등으로 안전이 확보되어 옛말이 되어가고 있다. 2023년 현재는 간단한 사진이나 영상 정도는 크게 문제삼지 않고 있다.

한편 3호선은 관광 역할도 하기 때문에 촬영을 문제삼지 않는다. 오히려 대다수 역의 경우 승객 대기실에 그 지역을 상징하는 그림을 그려두고 사진을 찍을 수 있게 해둔 역들도 존재한다. 예를 들자면 수성못역의 수성구 마스코트 물망이 그림이다. [22] 3호선에는 시장역이 4개나 있는데 매천시장역 팔달시장역 서문시장역 수성시장역이다.

매년 8월마다 스탬프 랠리를 개최하고 있다. 코레일 부산교통공사가 시행하는 스탬프를 보고 벤치마킹한 모양인데, 기간 제한 및 나이 제한이 있어 스탬프 수집가들의 관심은 적은 편이었다. 그러나 2016년부터 대상이 일반인으로 확대되었기에 앞으로 수집가들이 늘어날 듯하다. # 부산과는 달리 어떤 교통수단을 사용해도 도장을 받을 수 있다. 단, 2016년부터는 먼저 지정된 역에서 책자를 수령한 후 특정 지역에 가서(예를 들어 청라언덕역의 경우 계산성당) 인증샷을 찍어야만 도장을 받을 수 있게 되었다.

2012년 12월 열차 내부에 T 와이파이 존이 설치되었다. 즉, 도시철도 터널 내에 SK텔레콤 T 와이브로가 개통된 것이다. 기존에는 유선망이 깔린 역사 내부에만 있었으며 이후 2013년 11월 열차 내부에 KT 와이파이 존 역시 설치되어서 도시철도 터널 내에서도 이용 가능하다. 2017년 3월에는 LTE 기반의 LG유플러스 와이파이 존도 개통되었다.

2009년 반월당역 동물 명예 역장으로 티컵 강아지 담비를 임명했다가 임명한 지 하루 만에 폐사하는 사건이 있었다. 이는 일본 와카야마현 키시역 고양이 역장 타마를 그대로 모방한 케이스인데, 티컵 강아지 자체가 건강상으로 문제가 있는 종이고 담비가 임명되기 하루 전까지 동물병원에 있었다는 것을 볼 때 전형적인 탁상공론의 폐해라고 볼 수 있는 사건이었다. #

3호선을 제외하고 중전철만 보면 고가 구간이 없다시피하다. 2호선 다사~ 문양 구간도 지상 노반이며, 회차선 끝부분만 고가다. 이는 성주 연장에 대비한 것으로 추정되나, 기약이 없다.

2016년 들어 1호선(개통 때부터 설치돼있던 설화명곡역, 화원역 제외)과 2호선(로프형이 달린 문양역과 이미 설치되어있는 다사, 대실역 제외)의 스크린도어 설치 러시가 시작됐다. 대곡, 상인, 월촌, 서부정류장, 영대병원, 교대, 명덕, 대구역, 칠성시장, 신천, 방촌, 안심, 계대, 이곡, 용산, 죽전, 감삼, 두류, 반고개, 청라언덕, 범어, 수성구청, 만촌, 수성알파시티역이 스크린도어 1단계 우선 설치역으로 지정됐다. 하지만 진천역이나 신매역 같이 어느 정도 이용률이 있는 역들과, 환자들의 이동이 있을 경대병원역은 우선 설치 대상 역에서 제외됐다. 게다가 유치선이 있는 역들 중에서는 사월역 스크린도어 우선설치 대상역에서 빠졌다. 오히려 전반적으로 이용률이 낮은데도 유치선이나 건넘선 같은 게 없는 월촌역 신천역 스크린도어 우선 설치역으로 지정됐다. 다만 신천역의 경우 2013년 8월에 투신 사망 사고가 있었다. 월촌역의 경우 송현과 이 역 사이에 건넘선이 있긴 하다. 나머지 역들에는 2017년 11월까지 스크린도어를 설치한다고 하며, 2016년 11월경부터 그걸 암시하는지 몇몇 역들의 승강장 발판 쪽에 매직펜으로 표시한 게 보였고 2017년부터 스크린도어 기둥이 들어갈 홈을 파내면서 본격적으로 설치 공사를 시작했다. 2호선의 경우 달서구( 내당역 포함) 구간부터 공사를 시작했다. 다만 1차 설치분처럼 LED 안내기가 없는 스크린도어다. 2017년 6월, 1호선 최후의 미설치역인 동구청역 안전문이 시운전에 들어감에 따라 1호선은 전 역사가 완공되었고, 2호선도 사월역, 신매역 등 나머지 3개역도 시운전을 마쳤으므로, 2호선도 전역사가 완공되었다. 그러나 스크린도어 시공 과정에서 대부분 불량 부품을 사용해 빈축을 사고 있다. 게다가 2016년 9월에 열린 1호선 화원 구간에 깔린 LED 행선안내판 장착 스크린도어에 대해서도 전력 낭비가 우려된다며 일부 시민들이 까고 있다. 한편 오래된 스크린도어도 교체 중. 다사역 스크린도어는 교체 완료했다.

2017년 언론 보도에 따르면 대구 도시철도 차량 내, 역사의 미세먼지 농도가 타 도시 전철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파일:지하철 미세먼지.png

코로나19 때문에 1칸씩 띄어앉는 좌석 띄어앉기 스티커를 좌석 앞에 부착했으나, 2023년 대중교통 마스크 착용 의무가 해제되면서 철거됐다.

발매기 형식이 LCD화면 터치형으로 바뀌기 전까지 일본에서 볼 수 있는 형태의 발매기를 사용했다. 현재도 벽에 비스듬히 붙어있는 모습으로 그 형태가 어느 정도 남아있다.

대구 도시철도는 고객 편의시설 배치가 상당히 잘 되어있다. 맨 아랫칸에 캐리어를 보관할 수 있는 전자식 물품보관함이 1, 2호선 모든 역에 설치되어 있고, 1호선 열차 및 1, 2호선 역사 내에 공기청정기를 설치, 현황을 보여주고 있다. 규모가 크거나 외부공기 차단이 필요한 역은 차단문을 설치해 두었고 정수기나 음수대 설치도 모든 역에 되어있다. 3호선 전역사 내에 물방울 입자를 흩뿌리는 냉방기와 대형 선풍기, 고객대기실이 설치되어 있다. 근처에 관광지, 명소가 있는 경우 소개존을 대합실에 마련하여 운영하고 있다. 도시철도 역 개찰구 앞에는 대부분 인근 시설에서 기증한 수족관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 역시 대구 도시철도만이 가진 특징이다.

무더운 여름으로 유명한 대구답게 열차 내 냉방이 아주 잘 되어있다. 타 도시에 비해 확연한 차이를 느낄 수 있을 만큼 에어컨을 세게 틀어주며, 역사 내 배포하는 부채에 '폭염에는 시원한 도시철도가 최고입니다.'라고 인쇄되어 있을 만큼 냉방에 진심인 모습을 보인다.

구청역이 3개나 있는데 1호선의 동구청역, 2호선의 수성구청역, 3호선의 북구청역이다.

병원역은 4개나 있는데 1호선의 영대병원역 대구한의대병원역, 2호선의 경대병원역, 3호선의 칠곡경대병원역이다.

대구 도시철도 대경선 모두 대중교통 공공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한다.

9.1. 역별 승하차 통계

대구 도시철도 1호선
역별 순위
순위 역명 일평균 승하차량 2024년 승하차량
1위 동대구역 34,490명 12,623,342명
2위 중앙로 29,552명 11,729,457명
3위 상인 21,027명 7,696,047명
4위 반월당 20,756명 7,596,701명
5위 진천 16,472명 6,028,752명
6위 서부정류장 16,225명 5,938,350명
7위 대구역 15,600명 5.709,600명
8위 안심 12,131명 4,439,771명
9위 영대병원 10,100명 3,696,686명
10위 신천 9,471명 3,466,297명
11위 하양 9,251명 101,757명
12위 아양교 8,953명 3,276,917명
13위 대곡 8,738명 3,198,266명
14위 설화명곡 8,651명 3,166,386명
15위 월배 8,325명 3,047,009명
16위 율하 8,200명 3,001,318명
17위 월촌 7,982명 2,921,258명
18위 칠성시장 7,917명 2,897,451명
19위 각산 7,910명 2,895,167명
20위 화원 7,641명 2,796,741명
21위 안지랑 7,630명 2,792,471명
22위 교대 7,531명 2,756,209명
23위 대명 7,332명 2,683,577명
24위 신기 7,281명 2,664,689명
25위 송현 6,868명 2,513,527명
26위 방촌 6,431명 2,353,901명
27위 동구청 6,271명 2,295,026명
28위 현충로 6,112명 2,237,166명
29위 명덕 6,075명 2,223,379명
30위 반야월 5,147명 1,883,700명
31위 해안 4,703명 1,721,169명
32위 동촌 4,333명 1,585,798명
33위 용계 3,847명 1,407,864명
34위 대구한의대병원 1,790명 19,689명
35위 부호 1,572명 17,295명
대구 도시철도 2호선
역별 순위
순위 역명 일평균 승하차량 2024년 승하차량
1위 반월당 41,641명 15,240,506명
2위 영남대 19,451명 6,655,243명
3위 범어 17,807명 6,419,200명
4위 용산 17,735명 6,026,927명
5위 경대병원 14,199명 5,330,680명
6위 두류 13,924명 5,230,207명
7위 감삼 13,850명 5,203,120명
8위 대실 13,762명 5,170,880명
9위 계명대 13,354명 5,021,703명
10위 죽전 12,309명 4,505,002명
11위 강창 11,871명 4,344,864명
12위 대구은행 11,328명 4,146,188명
13위 신매 11,321명 4,143,386명
14위 청라언덕 9,995명 3,658,042명
15위 수성구청 9,994명 3,657,775명
16위 성서산업단지 9,398명 3,439,685명
17위 정평 8,438명 3,088,312명
18위 내당 8,277명 3,029,379명
19위 사월 7,955명 2,911,703명
20위 반고개 7,667명 2,806,275명
21위 만촌 7,221명 2,642,833명
22위 이곡 6,974명 2,552,494명
23위 다사 6,543명 2,394,904명
24위 임당 6,378명 2,334,274명
25위 담티 6,017명 2,202,166명
26위 문양 5,837명 1,953,256명
27위 고산 5,048명 1,847,623명
28위 수성알파시티 4,097명 1,499,678명
29위 연호 1,142명 417,827명
대구 도시철도 3호선
역별 순위
순위 역명 일평균 승하차량 2024년 승하차량
1위 서문시장 12,731명 4,527,620명
2위 팔거 8,795명 3,219,018명
3위 칠곡운암 7,331명 2,683,312명
4위 범물 7,292명 2,668,850명
5위 북구청 7,260명 2,657,037명
6위 남산 5,964명 2,182,727명
7위 황금 5,591명 2,046,344명
8위 수성시장 5,509명 2,016,387명
9위 대봉교 5,509명 2,016,190명
10위 달성공원 4,949명 1,811,200명
11위 명덕 4,945명 1,809,817명
12위 수성못 4,826명 1,766,135명
13위 팔달시장 4,731명 1,731,615명
14위 용지 4,475명 1,637,791명
15위 구암 4,280명 1,566,321명
16위 지산 4,264명 1,560,540명
17위 청라언덕 4,262명 1,559,735명
18위 태전 4,096명 1,499,163명
19위 매천 3,961명 1,449,789명
20위 동천 3,840명 1,405,337명
21위 원대 3,364명 1,231,404명
22위 수성구민운동장 3,247명 1,188,339명
23위 건들바위 3,099명 1,134,106명
24위 매천시장 2,884명 1,055,394명
25위 만평 2,691명 985,015명
26위 공단 2,334명 854,304명
27위 칠곡경대병원 2,282명 835,387명
28위 팔달 2,209명 808,421명
29위 어린이세상 2,200명 805,291명
30위 학정 702명 256,994명
대경선
역별 순위
순위 역명 일평균 승하차량 2025년 승하차량
1위 - - -
2위 - - -
3위 - - -
4위 - - -
5위 - - -
6위 - - -
7위 - - -

10. 기타

10.1. 자전거 관련

자전거와 도시철도 등 교통수단 간 연계성 강화를 위해 평일과 주말을 가리지 않고 도시철도 1·2호선 열차 내 모든 형태 자전거 반입이 가능하다. 다만, 열차 혼잡 등이 예상되는 출퇴근 시간대에는 반입이 제한된다. 평일 오전 7~10시, 오후 4~7시를 제외한 나머지 운영 시간에 자전거 반입을 허용한다. 휠체어 전용공간이 마련된 맨 앞칸 및 맨 뒤 칸에만 입장을 허용한다.

10.2. 환승역


대구 도시철도끼리의 환승역은 모두 중구에 모여있다. 도시철도는 대구 중심부로 모이고, 광역철도 대경선 또한 도심을 관통하는 형태이다.

10.3. 디자인

1호선은 역 벽면의 타일 색깔을 역별로 흰색-노란색-연두색-하늘색-파란색-보라색-빨간색 7색을 순차적으로 적용하여 디자인했으나 예외도 있다. 중앙로역은 원래 빨간색이였으나 대구 지하철 참사로 인해 리모델링으로 이 싸이클을 벗어났고, 새로 개통된 설화명곡역 화원역은 이 디자인을 따르지 않았다. 역별로 특색이 그다지 없어 이 역이 이 역 같고, 저 역이 저 역 같아서 디자인에 관련하여 아쉬워하는 사람들이 많다.

2호선은 각 승강장마다 벽면마감재가 조금씩 다르고 역사의 생김새도 다양하다. 특히 이곡역, 용산역, 만촌역, 수성구청역 같은 웅장한 곳도 많다. 또한 승강장은 역세권 분석을 통해서 자연지역은 초록색, 주거지역은 황토색, 문화지역은 갈색, 상업지역은 연분홍색, 학교지역은 노란색, 산업지역은 파란색, 금융과 사무 지역은 보라색 등 7가지의 색상으로 칠해져 있다. 그러나 자연지역의 경우 향후 역세권이 개발이 되면 이 규칙을 벗어날 것이다. 물론 현재는 2호선상에 그런 역이 없으나, 연호역이 그렇게 될 가능성이 높다.

3호선 역들은 유리궁전으로 지어졌기 때문에 디자인은 수려하나, 지상철이라 앞뒤위가 다 뚫려있어 냉난방 기기도 돌릴 수 없어서 겨울엔 춥고 여름엔 더운 최악의 실용성을 자랑한다. 이 때문에 3호선 역사에는 고객대기실도 설치가 되어있고 여름엔 선풍기를 돌리고 있었다.
파일:대구 3호선 냉방.jpg
최근에 냉풍기를 사용하여 이 앞에 사람들이 많이 몰려있다.

대경선은 다른 한국철도공사의 역과 디자인이 거의 동일하다.

10.3.1. 노선색

대구 도시철도 노선의 색상은 "대구지하철1호선건설지"에서 찾을 수 있다. 지정 색상은 현재까지 큰 틀에서 유지되고 있지만 색조, 채도, 명도 각각 약간의 변동은 있다. # #
호선 색명 당초 현행
1호선 빨강 DIC 156 #D93F5C
2호선 초록 DIC 643 #00AA80
3호선 노랑 DIC 124 #FFB100
대경선 코레일블루 #0054a6 #0054a6
4호선 파랑 DIC 180 미개통
5호선 연두 DIC 171 미개통
6호선 보라 DIC 146 미개통

10.3.2. 글씨체

1, 2호선의 경우 대구 도시철도 만의 지하철체로 제작된 표지판이 많이 남아있는데(특히 “타는 곳” 과 “나가는 곳”), 다른 곳에서는 상당히 찾아보기 힘든 형태의 특이한 디자인이다. 서울의 지하철체와 부산의 지하철체가 사용 중인 노선에서 모두 동일한 반면에, 1, 2호선의 글씨가 미묘하게 다른 것이 특징이다. 한 번 살펴보자.
파일:1호선반월당역.png 파일:2호선반월당역.png
1호선의 반월당역 글씨체. 2호선의 반월당역 글씨체.
현재 1호선과 2호선 모두 반월당역에서는 지하철체가 전멸했다.

잘 보면 서체의 장평이 변하고 월, 당 자가 조금 정돈되는 등, 2호선 측이 아무래도 최근에 속하여서 조금 더 정돈된 모습을 보인다. 다만 이 글씨체에 대해서는 현재까지 제대로 된 정보가 없다. 서울의 지하철체가 지금까지 여러 군데서 쓰이며 여러 책과 자료로 남아 있고, 부산의 지하철체가 사료라도 남아있는 것과는 대조적이다. 다만 이 지하철체가 매력은 있지만 현재로선 영 적합하진 않는데, ㅇ 받침은 크기가 너무 크다 보니 거북한 감이 있고, 받침이 복잡한 역명의 경우 글자를 다 받아들이지 못 해 틀 바깥으로 튀어나오는 글자가 몇 개 있다. 대표적으로 “월” 자가 들어간 역이다. 월배역, 반월당역에는 지하철체가 전멸되었지만 월촌역, 반야월역, 사월역에는 아직 지하철체가 남아있다.

어느 지하철체가 다 그런 만큼 회색 바탕의 신형 CI로 개정이 되기 시작하면서 이미 노선도와 폴싸인에서는 전멸한 지 오래다. 그러나 여러 역사에서 의외로 많이 남아있는데, 심지어 중앙로역, 대구역 등의 유동인구가 많은 곳에도 그대로 남아있다. 그러나 1호선 승강장 역명판의 경우 거의 다 신형 역명판으로 교체가 진행되어서 보기 힘들다. 2호선의 경우에는 섬식 승강장이 대부분인 관계로 선로 벽면에 부착되어 있는 역명판은 철거되었다. 또한 상대식 승강장의 기둥에 붙이는 역명판도 스크린도어 설치와 함께 철거되었다. 그 중 율하역의 기둥 역명판은 2011년 세계선수권대회를 맞아 신형 디자인으로 유일하게 교체를 했었는데 오래 가지 못했다. 그리고 승강장 역명판마저 부역명(항시원외과) 추가로 새로 교체되면서 승강장에는 2011년 세계선수권대회를 맞아 역명판을 교체한 흔적을 찾아볼 수 없다.

10.3.3. 역명판

10.3.3.1. 폴싸인
파일:대구구형폴싸인.jpg
차례로 1호선, 2호선, 그리고 대곡역에서 독자로 사용했던 폴싸인이다. SUBWAY 부분이 없는 형태도 있다. 대곡역에서 사용하던 폴싸인을 제외하면 가장 큰 문제점이 색깔이 빨개서 멀리서도 보이는 대신에 글씨가 작아서 무슨 역인지 잘 안 보였다는 것이다. 이것은 공공디자인에 있어서 아주 큰 실격 사항이다. 더불어 이 폴싸인들은 대구광역시지하철공사가 지하철참사 오명을 벗기 위해서 사명 변경과 빠른 디자인 교체 등을 실행하면서 2010년 역사 속으로 가장 먼저 사라진 옛 흔적이다. 2009년 중순부터 교체를 시작해, 2010년 완전 교체되었다.

2000년대 초반, 2호선 개통 시기도 아니고 1호선 개통 시기도 아닐 때 개통한 대곡역의 경우에는 다른 역과는 다른 디자인을 가지고 있었으며 서울 지하철의 청록색 폴싸인과 비슷한 형태였다. 이 폴싸인에서 신형 폴싸인으로 넘어가던 단계에서는 1호선에서 기존 형태의 폴싸인에다가 신형 디자인을 덮어씌우는 등 과도기 형태의 디자인도 존재했었다. 2호선은 기존 폴싸인이 굴곡이 져있어서 그런지, 바로 지금 형태의 새 폴싸인으로 교체되었다.
파일:대구신형폴싸인.jpg
이후 대구도시철도공사가 출범하면서 다음과 같은 디자인으로 바뀌었는데, 1, 2호선간 폴싸인 디자인을 통일하고, 기존 한 면에 한글, 로마자, 한자 모두 표기하였던 것을 넓은 면에 한글만 표기하고, 옆면에 로마자와 한자(번체자 또는 간체자)를 표기하는 방식으로 바뀌었다. 노선 색은 폴싸인의 아래쪽에 띠로 표현한다. 그러나 이 폴싸인도 설치한 지 10년이 넘어서 그런지, 글자 옆 부분이 뜯기거나 빛에 바래어서 흰색이 아니라 주황색에 가깝게 보이는 등 세월의 흔적을 보이고 있다.

이 폴싸인은 글자를 붙인 것이 아니라 회색 바탕에 글자 부분을 떼어 내어서 글자를 만들어 낸 것이기 때문에, 간혹 부역명 추가가 있을 경우에는 땜질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이 교체를 한다. 또 노후화가 너무 심한 폴싸인의 경우 부분적 교체를 하는 중이다. 그러나 연호역같이 이용객이 별로 없는 역은 뜯긴 채로 방치되고 있으며 3호선은 별도의 폴싸인이 존재하지 않는다.
10.3.3.2. 역명판
파일:1호선구형.jpg 파일:2호선구형.jpg
역명판의 경우도 1호선과 2호선의 형식이 달랐다. 3호선은 2015년 개통으로, 구형 디자인이 없다. 두 역명판 모두 지금은 찾아보기가 여간 힘든 일이 아니다. 1호선의 경우 거의 대부분 교체가 진행되어서 대구역, 신천역과 이용객이 적은 아양교 동쪽 구간 역들 몇 군데 등에서만 볼 수 있다. 2호선은 대부분이 섬식 승강장인 관계로 모두 선로 쪽에 부착되어 있었기에 스크린도어 공사와 함께 잊혀진 지 오래다. 신매역과 강창역 같은 외곽지의 상대식 승강장 역이나 로프식 스크린도어 너머로 역명판이 보이는 문양역 등을 제외하고 볼 수 없다. 또 예전에는 주요 역에 뒤쪽에 조명이 들어오는 역명판이 있었으나, 현재는 화원역, 설화명곡에서 신형 역명판으로나 볼 수 있었으나 그것 마저도 조명이 들어오지 않게 되었다.

파일:1호선 기둥형.jpg 파일:2호선 입구, 기둥형.jpg
상대식 승강장의 기둥에서는 이러한 형태의 역명판을 사용했는데 현재는 스크린도어 공사 후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다만 2호선 역명판의 형태는 역 입구에서도 쓰는 경우가 있어서 몇 개의 역에 남아있다. 1호선 안심역에도 역사 계단 옆 벽면에 비슷한 형태로 붙어있지만, 크기가 훨씬 작다.

파일:980808.jpg
1호선 입구에는 이렇게 2호선 입구 표지판 형식과 비슷한 기둥 역명판과는 또 다른 디자인을 사용했었다.

파일:안심.jpg 파일:대구2호선역명판1.jpg
섬식 승강장의 기둥형 역명판의 경우는, 외곽의 상대식 승강장을 제외하고 2호선의 모든 역에서 볼 수 있다. 신형도 글씨체 말고 변한 게 없다. 안심역의 경우는 별다른 가이드라인을 따르지 않고 완전히 별도 디자인의 역명판을 사용 중인데 나중에 추가된 것으로 추정. 이 역명판은 (혁신도시, 첨복단지) 부분을 실제로도 함초롬바탕으로 대충 땜질한 것이 충격적인 역명판이다.

파일:신형1.jpg 파일:신형2.jpg
현재는 1, 2, 3호선 모두 이와 같은 디자인으로 통일되어 있다. 승강장 역명판은 초반에는 사진처럼 역 번호가 붙어있지 않았으나 현재는 붙어있다. 3호선은 더 얇은 형태로 되어있다.

10.4. 역명 관련

전국에서 유일무이하게 은행 이름이 역명인 대구은행역[23]이 있었으나 부산 도시철도 2호선 문전역이 국제금융센터·부산은행역으로 역명을 변경했다. 그 밖에도 병원이 역명으로 정해진 역들이 4개나 있다. 영대병원역, 대구한의대병원역, 경대병원역, 칠곡경대병원역. 부역명에 병원이 들어간 역은 많지만 부역명과 본역명은 차원이 다르다. 이 또한 한 때는 대구에만 존재했으나, 서울 지하철 3호선 경찰병원역이 개통되면서 기록은 깨졌다. 이 때문에 공공기관이 아닌 곳이 역명으로 정해진 것을 좋지 않게 생각하는 사람들도 많다. 희한하게도 대구 도시철도에서 부역명에 병원이 적힌 역은 없었지만 2012년부터 부역명에 병원이 적힌 역이 생기게 되었다.

시장이 역명으로 정해진 역도 각 노선마다 한 곳 이상 있었으나(칠성시장역, 서문시장역), 2호선 서문시장역이 신남역을 거쳐 청라언덕역으로 개명돼서 이 기록은 깨졌다. 대신 3호선이 2호선에서 옮겨진 서문시장역과 더불어 매천시장역, 팔달시장역, 수성시장역까지 가져가게 되었다.

시설 측면에서 몇 가지 보완돼야 할 점이 있는데, 출입구에 지붕이 없는 역들이 상당히 많다. 에스컬레이터가 있는 출입구에는 대부분 지붕이 달려 있으나, 계단만 있는 출입구엔 대부분 지붕이 없는 상태다. 그래서 눈이나 비 내리는 날엔 역무원과 사회복무요원들이 고생한다. 이러한 불만을 반영해서인지 2014년부터 지붕을 설치하는 모습이 많이 보이고 있다. 그리고 타지의 도시철도와는 달리 교차로 한가운데에 있지 않고 교차로의 한 쪽에 치우쳐서 건설된 역들이 많다. 만촌역, 연호역, 명덕역, 현충로역, 서부정류장역, 각산역, 동대구역, 동구청역, 신기역, 담티역 등이 이에 해당된다. 3호선의 역들도 이에 해당되지만 지상 역사는 지하 역사와는 달리 미관과 구조상의 문제로 네거리 한가운데에 건설되는 게 어려우므로 어쩔 수 없다. 범어역도 이러했지만, 2010년 2월에 출구를 추가해 이용률이 높아졌다. 죽전역 2022년 서측 출구를 추가했다.

초기에는 전동차 안에서 개신교 포교하는 사람이나 잡상인들이 눈에 띄었는데 잠시 주춤하는 듯했으나, 2011년 1월부터 5월까지 특별단속을 했더니 잡상인 250건, 구걸 17건, 질서문란행위 1,736건이라는 엄청난 횟수가 걸린 걸 보면 적지 않다. 혹시 잡상인 같이 질서문란행위를 하는 사람이 보인다면 1544-0104로 문자를 보내거나 열차 내에 있는 무전기로 기관사에게 연락을 취하자. 곧 도시철도 사회복무요원이나 대구도시철도공사 직원이 친히 와서 조용히 데리고 간다. 심할 경우 철도경찰이 잠복해 있다가 한순간에 잡아 가기도 한다.

2011 대구 세계육상선수권대회를 맞아 일부 역[24]에 한글, 로마자 외에 간체자와 가타카나로 표시된 노선도가 붙게 됐는데 노선도 제작자가 가나 문자의 를 헷갈렸는지 노선도에서 가타카나의 을 전부 로 써 놨다. 예를 들어 바소고게(バソゴゲ), 가소차소(ガソチャソ)(대신 강창역은 한자표기가 있음), 아소지라소(アソジラソ). 여기까진 어찌어찌 넘어간다 쳐도 그야말로 엄청난 크리티컬이 하나 있으니 바로 쿠소 고게(クソゴゲ) 우리말로 '똥 고개'라는 뜻. 다행히도 후에 문제를 인식하고 표기를 고쳐놨으며, 큰고개역도 이후 동구청역으로 역명이 바뀌면서 이것도 옛날 얘기가 되었다.

초기에는 역 명칭을 무조건 4글자 이하로 제정하는 관례가 있었다. 이 관례에 따라 대상시설물의 명칭이 긴 ㅇㅇ공업단지, ㅇ대학교병원 등은 ㅇㅇ공단, ㅇ대병원 등 풀네임이 아닌 약칭으로 역명을 지어가며 글자 수 규칙을 엄수했었다. 그런데 성서공단역이 2012년 성서산업단지역으로 바뀌면서 이 관례가 깨졌고, 2015년 3호선 개통시에는 칠곡경대병원역, 매천농수산시장역[25], 수성구민운동장입구역[26] 등 4글자가 넘어가는 역명이 다수 등장했다. 새롭게 지어진 역명이 조금 길어지긴 했어도 차내 행선기의 글자수 제한 때문에 '7글자 이하'라는 조건이 만들어졌다. 그런데 2023년에 경산시 지명위원회에서 안심하양복선전철의 역명을 부호호산대경일대역, 하양대구가톨릭대역으로 지어버린 탓에 대구시와 대구교통공사가 정식으로 경산시에 항의하고 개명을 요청했다. 한편 대구시 지명위원회 결정에서도 기존에 ㅇ대병원역이라고 짓던 관례를 벗어나 ' 대구한의대병원역'이라고 지은 사례가 처음 등장했다.


[A] 환승역 중복 제외 [2] 군위군 제외. [3] 경상북도에서도 구미 등 광역철도 연계 트램 추진을 위해 도시철도망 구축계획을 준비하고있다. 기사 [4] 2024년 11월 개정. 개정 전 노선도와는 달리, 동서 방향은 올바르게 되어 있지만 남북 방향은 반전되어 있는 형태이다. 자세히 보면 실제로는 대구의 남서측에 위치한 설화명곡역이 노선도 기준으로는 북서측에, 실제로 남동측에 위치한 용지역은 노선도의 북동측에 위치한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대해 교통공사 측은 “방위 개념을 적용하지 않고 정보 인지와 탐색을 우선적으로 고려했다“라고 밝혔다. ( 관련 기사) 하지만 이렇게 상하반전된 노선도는 평이 좋지 못하다. 상하반전 노선도 논란 참조. [5] 성서산업단지역이 성서공단역으로 잘못 표기되어 있다. [6] 대만 타이베이 첩운에서 첩운(捷運)의 영어 표현과 같다. [7] 철도 기관 및 학회, 언론에서 대구권 광역전철망이라는 표현을 주로 사용하지만, 도시철도공사에서 사용한 용례는 아직 없다. 한국철도공사는 공식 유튜브 채널에 대구권 전철 대경선으로 표현한 용례가 있다. [8] 군위군 제외. [2030년] [10] 2024년 12월 14일 개통된 대경선, 개통 예정인 대구 도시철도 1호선 하양연장, 대구 도시철도 4호선, 대구 도시철도 5호선, 대구산업선 광역전철까지 포함된 상태이며 이 중 대구 5호선은 아직 확정 상태는 아니다. 또한 대구 1호선 금호연장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 [11] 이 때문에 한창 1호선이 건설되던 문민정부 시기 건설교통부 산하의 부산교통공단에서 도시철도의 건설과 운영을 담당하던 부산과 비교되어 YS TK를 홀대하고 PK만 편애한다는 대구 지역 여론과 맞물려 대구에서 불만이 많았고, 1990년대 대구 지역 선거의 단골 공약이 지하철 건설 국비 지원 확대였다. [12] 단적인 예로 대구 지하철 참사의 현장인 중앙로역은 사고 이전 2002년까지만 해도 당시 노선이 하나였던 대구에서 일평균 이용객이 5만명 초반대로 비수도권에서 넘사벽 서면역을 제외한 웬만한 부산 도시철도의 역들과도 비볐으나 이 사태 이후 일부 시민들이 중앙로역에 가기를 꺼리고 2호선 개통으로 반월당역이 급성장하게 되면서 이용객이 코로나 이전에도 야금야금 빠져나갔다. [A] [14] 어린이의 경우는 요금이 500원으로 제조단가가 그의 3배이다. [15] 1,500원 [16] 1.550원, 서울시와 같은 요금 인상폭 [17] 1,600원 [18] 10km 이하는 기본 운임, 11~16km는 100원 추가, 17km 이상은 200원 추가 [19] 실제 코레일쪽 TTS 모델이다 [20] 대구 도시철도는 한국어→영어→중국어→일본어 순이다. [21] 율하역 역무실 측에서는 대구 도시철도 홍보팀에게 허가를 받아야지 역무실에서는 그런 걸 처리하지 않는다라고 밝힌 바 있다. [22] 개통 초기에는 칠곡방향에만 대기실이 설치되어 있다가 용지방향에도 설치되어 하행 승강장에서도 사진 촬영이 가능하다. [23] 현재는 사명을 대구은행에서 iM뱅크로 변경했기에 은행 역명이라 하기에 애매하다. [24] 율하역 [25] 개통 직전 매천시장으로 재확정 [26] 개통 직전 수성구민운동장역으로 재확정.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506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506 ( 이전 역사)
문서의 r1810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