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27 15:09:15

대구권 광역전철/역사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대구권 광역전철
1. 개요2. 1990년대3. 2000년대4. 2010년대5. 2020년대

1. 개요

대구권 광역전철의 노선 및 역의 개통 및 변동 등의 역사를 정리한 문서다.

2. 1990년대

일자 노선 변동사항 역 수 변동 비고
1997년 11월 26일 1호선 진천 ~ 중앙로 개통[1] 전체: 0 → 14
1호선: 0 → 14
1998년 5월 2일 1호선 중앙로 ~ 안심 개통[2] 전체: 14 → 29
1호선: 14 → 29

3. 2000년대

일자 노선 변동사항 역 수 변동 비고
2002년 5월 10일 1호선 대곡 ~ 진천 개통[3] 전체: 29 → 30
1호선: 29 → 30
2003년 2월 18일 1호선 명덕 ~ 신천 운행 중지[4] 전체: 30 → 24
1호선: 30 → 24
계통 분리
2003년 10월 21일 1호선 명덕 ~ 신천 운행 재개[5]
( 중앙로 제외)
전체: 24 → 29
1호선: 24 → 29
2003년 12월 31일 1호선 중앙로 복구 및 운행 재개[6] 전체: 29 → 30
1호선: 29 → 30
2005년 10월 18일 2호선 문양 ~ 사월 개통[7] 전체: 30 → 55
2호선: 0 → 26
2008년 1월 1일 1호선 칠성 → 칠성시장 역명 변경

4. 2010년대

일자 노선 변동사항 역 수 변동 비고
2012년 1월 1일 2호선 성서공단 → 성서산업단지 역명 변경
2012년 9월 19일 2호선 사월 ~ 영남대 개통[8] 전체: 55 → 58
2호선: 26 → 29
2014년 2월 28일 2호선 서문시장 → 신남 역명 변경
2015년 4월 23일 3호선 칠곡경대병원 ~ 용지 개통[9] 전체: 58 → 86
3호선: 0 → 30
2016년 9월 8일 1호선 설화명곡 ~ 대곡 개통[10] 전체: 86 → 88
1호선: 30 → 32
2017년 3월 1일 1호선 큰고개 → 동구청 역명 변경
2019년 1월 7일 1호선 성당못 → 서부정류장 역명 변경
신남 → 청라언덕 역명 변경

5. 2020년대

일자 노선 변동사항 역 수 변동 비고
2023년 8월 27일 3호선 어린이회관 → 어린이세상 역명 변경
2024년 10월 15일 2호선 대공원 → 수성알파시티 역명 변경
2024년 12월 14일 대경선 구미 ~ 경산 개통[11] 전체: 88 → 93
대경선: 0 → 7
2024년 12월 21일 1호선 안심 ~ 하양 개통[12] 전체: 93 → 96
1호선: 32 → 35


[1] 진천- 월배- 상인- 월촌- 송현- 성당못- 대명- 안지랑- 현충로- 영대병원- 교대- 명덕- 반월당- 중앙로. [2] (중앙로)- 대구역- 칠성- 신천- 동대구역- 큰고개- 아양교역- 동촌- 해안- 방촌- 용계- 율하- 신기- 반야월- 각산- 안심. [3] 대곡-(진천). [4] 대구 지하철 참사 여파 [5] 명덕- 반월당- 중앙로- 대구역- 칠성- 신천. [6] 중앙로. [7] 문양- 다사- 대실- 강창- 계명대- 성서공단- 이곡- 용산- 죽전- 감삼- 두류- 내당- 반고개- 서문시장- 반월당- 경대병원- 대구은행- 범어- 수성구청- 만촌- 담티- 연호- 대공원- 고산- 신매- 사월. [8] (사월)- 정평- 임당- 영남대. [9] 칠곡경대병원- 학정- 팔거- 동천- 칠곡운암- 구암- 태전- 매천- 매천시장- 팔달- 공단- 만평- 팔달시장- 원대- 북구청- 달성공원- 서문시장- 신남- 남산- 명덕- 건들바위- 대봉교- 수성시장- 수성구민운동장- 어린이회관- 황금- 수성못- 지산- 범물- 용지. [10] 설화명곡- 화원-(대곡). [11] 구미- 사곡- 왜관- 서대구- 대구- 동대구- 경산. [12] (안심)- 대구한의대병원- 부호- 하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