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10 07:37:42

경산역

경산역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고속열차 노선 보기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경부선 파일:KTX BI_middle White.png
(구포 경유)
밀 양
43.0 ㎞ →
진주 방면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일반열차 노선 보기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부산· 신해운대 방면
청 도
23.2 ㎞ →
남성현
14.5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광역철도 노선 보기 (미개통)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대구권 광역철도 아이콘.svg
시종착
}}}}}}}}}
다른 문자 표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로마자 Gyeongsan
한자 慶山
간체자 庆山
가나 [ruby(慶山, ruby=キョンサン)] }}}}}}}}}
주소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경상북도 경산시 중앙로 1 (사정동) }}}}}}}}}
관리역 등급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관리역
(3급 / 한국철도공사 대구본부)
}}}}}}}}}
운영 기관
경부선 한국철도공사
개업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경부선 1905년 1월 1일
파일:KTX BI_White, Red.svg 2013년 1월 1일
파일:ITXsaemaeul_whiteLOGO.png 2014년 5월 12일
무궁화호 1985년 11월 16일
파일:누리로 BI.svg 2022년 11월 5일
대구권 광역철도 2024년 12월 예정 }}}}}}}}}
역사 구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지상 3층 구조, 지상 1층 승강장 ( 경부선)
}}}}}}}}}
승강장 구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7면 14선 혼합형 승강장 ( 경부선) }}}}}}}}}
철도거리표
경부선
경 산
파일:경북경산역.jpg
3대 역사(2011년 준공)
파일:경산역 구 역사.jpg
2대 역사(1971년 준공, 2011년 철거)

1. 개요2. 역 정보
2.1. 열차 운행 정보2.2. 대구권 광역철도
3. 승강장4. 일평균 이용객5. 연계 교통(시내버스)
5.1.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노선5.2. 경산시 시내버스 노선
6. 기타7.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경산의 명물 갓바위를 형상화
경산역은 1905년 경부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 1971년 278.4㎡의 철근콘크리트 슬라브 2층의 옛 역사를 신축하였으며 2006년 고모역의 화물업무를 이관 받아 운영되었다. 이후 도시의 급속한 성장과 여객의 증가로 2011년 연면적 1천362㎡ 지상3층의 현재 역사를 설립하였다. 특히 경산의 명물로 이름 높은 갓바위를 형상화한 것이 특징인데, 갓바위란 팔공산도립공원에 위치한 관봉석조여래좌상(보물 제431호)을 뜻하는 것으로, 갓바위 부처로 불리기도 한다. 정성을 다해 빌면 소원을 이루어준다는 전설이 있어 기도하기 위해 찾는 사람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파일:경산역 스탬프.jpg
경산역의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경산역사와 삽살개를 형상화했으며, 크기가 7 * 5로 큰 편이다.
경산역 소개 영상[1]
경부선 철도역. 경상북도 경산시 중앙로 1( 사정동 84-1) 소재.

2. 역 정보

그룹대표역이고 역 위치가 철도 강세지역인 경산시의 중심부라 이용객도 상당히 많은 편이지만, 역사가 엄청나게 좁고 노후화되어 어지간한 도시철도역만도 못했다. 그래서 2년여 간 신 역사를 착공해서 2011년 9월 말, 2년여간의 공사 끝에 역사가 완공되었다.

현재도 경산→동대구(or 대구)를 무궁화호를 이용하여 이동하는 승객들이 있는데, 경산역에서 동대구역 또는 대구역까지 시내버스를 이용하거나 시내버스 이용 후 도시철도로 갈아타는 방법에 비해서 1,100원만 더 내고 무려 50분이나 단축된다. (시내버스 및 시내버스+도시철도 1시간, 경산→동대구(or대구) 무궁화호 9분[2]) 따라서 대구권 광역철도가 개통이 된다면 기존의 많은 경산/ 시지-> 동대구역 간 도시철도와 시내버스 이용 승객을 끌어올 수도 있겠지만 문제는 긴 배차간격이다.

철도가 강세를 보이고 있는 경산시의 특성상, 당연히 수요가 끝내준다. 더군다나 동대구터미널이 가까워서 역 동쪽의 경산오거리에 있는 경산터미널은 정말 노선이 간소하다.

주 이용객은 당연히 경산 시민들이지만, 주로 구미역, 부산역 방면을 타는 대구광역시 수성구 시지지구 주민들도 많이 이용하는 편이다. 확실히 시지지구의 위치만 놓고 보면 동대구역보다 경산역이 훨씬 가깝기도 하고, 대구 - 경산 시경계 근처인 사월역에서 경산시로 넘어가는 버스 노선들은 대다수가 중산삼거리에서 우회전하여 경산역과 경산시장을 경유하기 때문에 경산역으로 가는 시내버스들이 엄청 많기 때문이다. 거기다 대구-경산 간 시내버스는 시계외요금이 없고, 무료 환승도 된다.

2016년 3월부터 삼성 라이온즈의 새 홈구장이 완공되면서 부산 갈매기들과 마산아재들의 원정 응원 수요 때문에 이용률이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대구 삼성 라이온즈 파크와 가장 가까운 철도역이 경산역이기 때문이며, 그쪽으로 가는 시내버스 노선들이 꽤 많다. 물론 시내버스로 사월역으로 이동해서 환승한 후, 야구장과 바로 붙어 있는 대공원역으로 나와도 된다.

일반기차역이지만 수요 자체는 통근전철역 느낌이 강하다. 동대구역 등 주요 역사에도 출퇴근 목적으로 일반철도를 이용하는 승객 수요가 많지만, 경산역은 특히 구미시 등으로의 통근 수요가 꽤나 높은 편이다. 대구권 광역철도가 개통되면 이 수요를 상당수 흡수할 가능성이 높다.

2006년 고모역으로부터 화물열차 업무를 인계받아서 이 역에서 화물을 처리하고 있다. 그룹대표역이 된 이유는 여객부문이 아니라 화물부문 때문인데, 사실 일반 화물 취급은 거의 하지 않고 있고 관내에 있는 제2수송교육연대 때문에 약간의 군용 화물 신병수송을 취급하고 있다. 특히 군인 수송이 잦아 어느 규모가 있는 역에 가야만 찾아볼 수 있는 TMO도 있다.

2.1. 열차 운행 정보

모든 무궁화호, 일부 ITX-새마을 KTX가 이 역에 정차한다. ITX-새마을 경부선 상행 3회/하행 4회(상행: #1004, #1006, #1008 하행: #1005, #1007, #1009, #1011), 경전선 하행 1회(#1031), 동해선 상하행 각 1회(하행: #1021, 상행: #1022)로 총 10회 정차한다. 경전선 SRT는 이 역을 통과하지만, ITX-마음도 역시 이 역을 통과한다.

2013년 1월 1일부터 출퇴근 시간대에 맞춰 KTX가 기존 경부선 경유편 중에서 1일 왕복 2회 정차하고 있다.[3] 코레일뉴스 물론 이에 대해 KTX 정차역이 너무 많아진다는 비판이 있다. 한국철도공사는 경산역에서 KTX 이용에 따른 동대구역 환승 수요가 많은 데 따른 추가 정차라고 밝혔다.

구포 경유 KTX 노선은 본선 운행계통과 마찬가지로 비수도권 수도권 간 수요가 대부분이지만 동대구 - 구포 - 부산 구간에서의 단거리 수요도 혼재하고 있다.[4] 또한 어차피 속달편은 경주역을 경유하는 경부고속선을 이용하기에 구포 경유 KTX는 부산 방면 수요를 포기하고 동대구역 이남 구간에서 승객 유치를 위해 정차역이 많아지는데 경산역도 그러한 이유에서 KTX가 정차한다. 즉 경산역 KTX 정차는 동대구 - 부산 간 수요는 어차피 저속철이라[5] 완전히 포기하고 경산역 그 자체의 수요만 잡으려고 하는 것이라 봐야 한다. 정작 설명에 나온 #105 열차는 서울-구포 운행시간이 제일 짧다.

2022년 11월 5일 부터 부산~동대구간 #1345, #1346 누리로 열차가 상하행 1회 정차한다.

2023년 12월 29일 부터 경전선 KTX가 1왕복 추가 정차한다.

2.2. 대구권 광역철도

파일:대구권 광역철도 아이콘.svg 대구권 광역철도의 시종착역이 될 예정이다.

2021년 3월 쯤부터 5번 승강장에서 대구권 광역철도 공사가 진행중이다.

파일:20240107_205400879_02.jpg
파일:20240107_205400879.jpg

2024년 1월 7일 기준 공사 현황이다. 스크린도어는 설치가 완료되었다.[6]

대구권 광역철도가 사용하는 5번 승강장은 상하행 구분이 없고, 전동차가 전방회차 방식[7]으로 회차하는 구조이다. 경산종착, 구미행 승강장이 동일하기 때문에 따로 회차를 하지 않고, 이곳에 정차한 후 바로 다시 출발할 것으로 보인다.[8] 현 계획상 청도나 밀양까지 연장이 계획되어 있어서 변경되는 건 연장 확정 이후 변경될 것이다.

3. 승강장

파일:경산역 남성현방면 20230728.jpg
남성현(부산, 창원) 방향 승강장
파일:경산역 동대구방면 20230728.jpg
동대구(서울, 대전) 방향 승강장
삼성
1 2 3 4 5
가천
1·2 경부선 파일:KTX BI.svg · 파일:ITX-새마을 BI.svg
[[무궁화호|
무궁화호
]]· 파일:누리로 BI.svg
밀양· 부산· 신해운대 방면
경전선 파일:KTX BI.svg · 파일:ITX-새마을 BI.svg
[[무궁화호|
무궁화호
]]
밀양· 마산· 진주 방면
3·4 경부선· 경전선 파일:KTX BI.svg · 파일:ITX-새마을 BI.svg
[[무궁화호|
무궁화호
]]· 파일:누리로 BI.svg
동대구· 대전· 서울 방면
5 파일:대구권 광역철도 아이콘.svg 대구권 광역철도 동대구· 서대구· 구미 방면

4. 일평균 이용객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003da5><bgcolor=#003da5> 연도 || 파일:KTX BI.svg ||
파일:ITX-새마을 BI.svg
|| [[무궁화호|
무궁화호
]] ||<bgcolor=#003da5> 총합 ||<bgcolor=#003da5> 비고 ||
2004년 319명 4,079명 4,398명
2005년 262명 4,611명 4,873명
2006년 236명 4,490명 4,726명
2007년 276명 4,481명 4,757명
2008년 413명 4,496명 4,909명
2009년 425명 4,486명 4,911명
2010년 423명 4,680명 5,103명
2011년 315명 5,319명 5,634명
2012년 279명 5,630명 5,909명
2013년 226명 167명 5,836명 6,229명
2014년 267명 204명 5,824명 6,295명
2015년 265명 205명 5,557명 6,027명
2016년 275명 254명 5,631명 6,160명
2017년 222명 368명 5,586명 6,176명
2018년 250명 355명 5,571명 6,176명
2019년 300명 415명 5,409명 6,124명
2020년 194명 245명 3,304명 3,743명
2021년 236명 276명 3,714명 4,226명
2022년 296명 345명 4,521명 5,162명
출처
철도통계연보

5. 연계 교통(시내버스)

대구와 경산을 오가는 시내버스의 대다수가 중산삼거리에서 우회전하여 경산역 및 경산시장으로 내려오기 때문에 시내버스편이 많다. 대구 도시철도 2호선 사월역에서 하차한 후 2번 출구로 나와 시내버스로 환승하여 중산삼거리를 통해 경산역으로 이동하면 6~7분 정도 걸린다. 단, 990번은 2017년 9월부터 중산삼거리 대신 펜타힐즈 경유 후 내려온다.

다만 경산역에서 사월역으로 올라가는 방향을 이용하려면 시내버스 정류장까지 동선이 약간 길다. 사월역에서 경산역으로 내려오는 방향은 역전네거리 못 가서 세워 주지만, 사월역으로 올라가는 쪽은 경산역에서 나온 후 직진하여 도보 5분 정도 걸리는 국민건강보험공단 경산 청도지사 정류장으로 이동하여 시내버스를 이용해야 한다. 거리는 300m가 조금 안되지만 두 블럭 정도를 지나야해서인지 심리적으로 거리가 먼 것처럼 느껴지는 편. 대평동이나 정평동 쪽에서 오려면 980번이나 남천1번을 이용해야 하며, 그나마 왕복으로 다니는 노선은 남천1번 뿐이다.

5.1.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노선

309번, 509번(영남대발 방천리행, 방천리발 영남대행), 609번, 840번, 909번, 980번(영남대 방면 편도 운행)

5.2. 경산시 시내버스 노선

100번, 399번, 803번, 809번, 911번, 918번, 990번, 남산1번, 남산2번(정평역 지원운행), 남천1번, 압량1번, 용성1번(정평역 지원운행), 경산1번[9], 경산2(-1)번

6. 기타

채널이름이 '경산역'인 유튜버가 있다. [한국철도]

7. 둘러보기

경부선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취소선: 폐역
}}}}}}}}}

파일:대구권 광역철도 아이콘.svg 대구권 광역철도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1] 해당 영상은 한국철도공사 명예기자인 유튜버가 한국철도공사와의 협업으로 제작했으며, 요약 버전이 한국철도TV 공식 계정에 먼저 게시되었다. [2] 1900호대 무궁화호랑 동대구 종착 1300호대 무궁화호는 15분 소요. [3] 2015년 4월 2일부터 하행 1편이 서울 진주 경전선 KTX로 교체되었다. 나머지 하행 1편성은 구포 경유 KTX이며(이 열차는 서울에서 대전까지 무정차(!)었으나 2018년 7월 1일 시간표 개정으로 인해 광명역에 추가 정차하도록 바뀌었다.) 그리고 동대구에서 부산까지는 경산, 밀양, 구포역에 정차한다. 상행 두편은 모두 부산 서울 구포 경유 KTX이다. [4] 이러한 단거리 수요는 기존선을 공유하는 KTX 노선에서도 나타나는 현상이다. 예컨대 동해선 KTX의 동대구-포항 구간이나 경전선 KTX의 동대구-창원 구간 등등 [5] 실제로 동대구, 경산, 밀양, 구포, 부산 다 정차한다. 행신발 구포 경유 KTX 행신역, 경산역도 포함되어있기 때문에 정차역이 많아 3시간 25분이 소요된다. [6] 서대구역을 제외한 역 개량 공사 중 경산역의 공정률이 가장 높다. 11월말 기준 88%. [7] 예시로 전대에버랜드역이 있다. [8] 주박이 가능한 곳은 덕하, 동대구역뿐이다. 경산역 밑으로는 더 내려갈 곳도 없다. [9] 경산1-1번은 장산중 정류장 승하차 [한국철도] 명예기자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