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특별시 송파구 잠실동에 있는 구 역명이 신천역인 역에 대한 내용은 잠실새내역 문서
, 시흥시에 위치한 수도권 전철 서해선의 역에 대한 내용은
신천역(시흥)
문서
참고하십시오.신천(경북대입구)역 | ||
설화명곡 방면
칠성시장 ← 1.2 ㎞ |
1호선 (134) |
안심 방면
동대구역 0.9 ㎞ → |
역명 표기 | ||
1호선 |
신천 (경북대입구) Sincheon (Kyungpook Nat'l Univ.) 新川 (慶北大入口) / [ruby(新川, ruby=シンチョン)] |
|
주소 | ||
대구광역시 동구 동부로 지하41 ( 신천동 741) | ||
관리역 및 고객센터 | ||
동대구관리역 / 1고객센터 | ||
운영 기관 | ||
1호선 | 대구교통공사 | |
개업일 | ||
1호선 | 1998년 5월 2일 | |
역사 구조 | ||
지하 2층(심도 16.2m) | ||
승강장 구조 | ||
복선 상대식 승강장 (횡단 불가) |
[clearfix]
1. 개요
대구 도시철도 1호선 134번, 대구광역시 동구 동부로 지하41 ( 신천동741) 소재.이 역에서 칠성시장역으로 가는 철로는 신천 지하를 통과한다.
한편 역명이 된 지명인 신천에 대해서 기존에는 1778년( 조선 정조 3년) 대구판관 이서가 신천의 물길을 돌린 후 새내, 새강의 뜻인 신천(新川)이라 불리게 되었다고 알려져 왔다. 그런데 2005년 대구가톨릭대 전영권 교수(지리학)의 논문이 나오면서 기존설이 뒤집혔다. 신천은 원래 대구부와 그 속현인 수성현[1] 사이를 흐르는 강으로 샛강, 새내(間川)였는데 한자로 옮기는 과정에서 새로운 강이라는 뜻인 새내(新川)으로 잘못 전해졌다는 것. 전영권 교수의 논문에 따르면 정조시절 이서공 이전의 고지도인 팔도여지지도(16세기 후기), 광여도(1698~1703), 해동지도 중 대구부지도(18세기 중엽) 모두 현재의 물길과 같으며 명칭 또한 이미 신천(新川)으로 나온다고 한다.
2. 역 정보
대합실 |
경북대학교 정문 방향으로는 공고네거리와 대칭해 있으며, 역 남쪽으로는 청구네거리, 수성네거리, 신천시장, 수성시장역, 들안길삼거리와 대칭한다. 송라로(공고네거리 - 신천네거리 - 청구네거리) - 들안로(수성네거리 - 수성시장역 - 희망로네거리 - 들안길네거리 - 들안길삼거리) 라인으로는 410(-1)번이 운행 중이다.
동대구역의 플랫폼 역명판에 しんかわ라고 오류가 나있었다. 이후 수정되었다. 대구 도시철도는 한자 지명은 별도의 일본어 발음을 표기하지 않고 일본식 한자만 써놓는다.
반대 방향으로 횡단이 불가능한 역이다.
3. 일평균 이용객
신천역을 이용하는 도시철도 일일 승객 수이다. 아래 표는 승차객 + 하차객의 총합이다.||<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d93f5c><bgcolor=#d93f5c><width=30%> 연도 ||<width=40%>
||<width=30%><bgcolor=#d93f5c> 비고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2001년~2009년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2001년 | 9,318명 | |||
2002년 | 9,704명 | ||||
2003년 | 2,490명 | [5] | |||
2004년 | 8,134명 | ||||
2005년 | 8,348명 | ||||
2006년 | 10,040명 | ||||
2007년 | 8,992명 | ||||
2008년 | 8,820명 | ||||
2009년 | 8,579명 | }}}}}}}}} | |||
2010년 | 8,806명 | ||||
2011년 | 9,890명 | ||||
2012년 | 10,173명 | ||||
2013년 | 10,127명 | ||||
2014년 | 9,905명 | ||||
2015년 | 9,806명 | ||||
2016년 | 9,971명 | ||||
2017년 | 9,778명 | ||||
2018년 | 9,842명 | ||||
2019년 | 10,592명 | ||||
2020년 | 7,245명 | [6] | |||
2021년 | 8,143명 | ||||
2022년 | 8,750명 | ||||
2023년 | 9,369명 | ||||
출처 | |||||
신천역의 하루 평균 이용객 수는 9,369명(2023년 기준)이다. 신천1~3동의 거의 대부분을 역세권으로 두고 있어 주변 거주민의 수는 꽤 많은 편이지만, 도심지와 가까운 역의 입지 및 역세권의 개발이 지지부진한 이유로 인해 수요가 아주 많지는 않다.
부역명에 '경북대입구'가 붙어 있기는 하나, 정작 실제 경북대학교와는 거리가 제법 먼 데다 대부분의 재학생들이 버스를 이용하기 때문에 신천역의 경북대생 이용객 비중은 높지 않다. 1호선 연선에서는 경북대학교로 가기 위해 열차를 타는 경우가 제법 있으나 신천역 외에도 반월당역, 중앙로역 등에서 시내버스로 환승하는 경우가 많으며, 그나마 두 번 이상 환승이 필요한 경우에는 거의 대부분이 버스를 선호한다. 대체로 근처에 사는 주민들이 신천역의 수요를 채워주고 있다. 최근에 재개발로 인근에 노후된 주택가들이 아파트 단지로 탈바꿈하고 있으며, 건설 중이거나 건설 예정인 아파트가 있어서 향후 이용객이 증가할 것이다.
4. 승강장
신천역 승강장 |
역 안내도 |
칠성시장 ↑ | |||
하 | ㅣ | ㅣ | 상 |
↓ 동대구역 |
상 | 대구 도시철도 1호선 | 중앙로 · 반월당 · 명덕 · 설화명곡 방면 |
하 | 동대구역 · 아양교 · 반야월 · 안심 방면 |
5. 역 주변 정보
역 근처는 모두 주택가이며, 아파트에서는 역이 좀 떨어져 있다. 2, 3번 출구로 나가면 신천주공아파트가 나온다. 다만, 경북대 셔틀버스 정류장이 있는 슈퍼마켓 바로 앞에 반도유보라 아파트가 올라갔으며, 신암지하도 북쪽의 대구동신초등학교 건너편 일대도 재개발이 확정되어 대구동신초등학교 삼거리에 동대구 이안아파트로 싹 갈아엎었다. 동신초등학교 삼거리에서 동대구초등학교 및 동대구역지하도 방향으로 우회전하면 나오는 신암아파트의 일부는 오래 전에 신암동 건영캐스빌로 바뀌었다. 경대셔틀 정류장 앞에 올라가는 아파트가 완공되고 대구동신초등학교 주변의 재개발이 끝나면, 약간이라도 이 역의 이용률이 늘어날 여지는 있다.1, 8번 출구를 나온 후 경부선 선로이자 신천동과 신암동의 경계인 신암지하차도와 대구동신초등학교, 공고네거리를 지나서 쭉 걷다 보면 언젠가 경북대학교가 나온다. 그 외 출구 근처에는 별다른 시설물이 없고, 경대 셔틀 정류장 앞인 신암지하차도( 경부선) 주변은 경부고속선 대구 도심구간 완공 이후에도 한때 공사판이었다. 이거 때문에 신암지하도의 일부 차로를 차단하여 동신초등학교 정문 근처 지점의 수성시장역 방향 차로는 갑자기 1차선으로 축소되었다. 2016년 3월 27일에 신암지하차도 공사가 끝났다.
경대 셔틀버스 외에는 이용객들을 끌어들일 만한 게 없어서 이용률이 떨어지는 역이지만, 뜬금없이 스크린도어 우선설치 대상역으로 지정되어 2016년에 설치를 마치고 가동에 들어갔다. 다만, 2013년 8월에 투신사망 사고가 있었다.
5.1. 부역명 ‘경북대입구’ 문제
대구 버스 410, 410-1/문제점 참고대구광역시에서 비슷한 사례로는 안내방송으로 상인역은 달서구청 및 대구보훈병원, 아양교역은 대구국제공항, 이곡역은 웃는얼굴아트센터, 만촌역은 국립대구박물관으로 가려면 내리라고 하지만 실제로는 모두 1.5km 이상으로 거리가 멀다.
굳이 여기가 아니어도 상관없이 경북대학교에 가고 싶다면
- 반월당역, 중앙로역에서
- 반월당역은 반월당역(2번출구) 정류장에서 306번 및 중앙로역과 동일한 버스를 이용할 수 있다.
- 중앙로역은 3번 출구에서 90m 정도 거리의 경상감영공원건너 정류장에서 304번, 410번, 503번, 623번, 706번을 타고 갈 수 있다.
- 306번 외에는 반월당역~대구역네거리까지 동일하게 운행하기 때문에 1호선 이용 시 중앙로역을, 2호선 이용 시 반월당역을 이용해 환승하는 게 편하다. 대구역은 다른 두 역에 비해 많이 걸어가야 한다.
- 대구역에서
- 약 5분 가까이 되는 소정의 도보 시간도 무방하다면 도시철도 대구역에서 경북대학교 북문으로 가는 급행6번도 있다. 대구역에 내렸으면 대합실로 올라가지 말고 승강장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면 대합실을 거치지 않고 지상으로 바로 올라갈 수 있다. 지상에 올라왔으면 칠성남로30길을 이용하여 대성아파트 남쪽 골목길을 거쳐서 칠성꽃도매시장( 칠성시장공영주차장, 대성시장)까지 걸으면 된다. 여담으로 칠성시장공영주차장 1층에 개방화장실이 있으므로 화장실이 있으므로 급한 볼일이 있다면 개방화장실을 이용하며 버스를 기다리자. 여담으로 지상 대구역 북편 출구에서도 갈 수 있으나 지하 대구역 엘리베이터 지상층에서 출발할 때보다는 조금 더 거리가 길어진다.
- 칠성시장역( 칠성시장건너)에서
- 306번을 타고 쪽문(동대구시장건너)이나 서문( 북구선거관리위원회앞), 북문으로 가든지,
- 403번을 타고 쪽문이나 서문으로 갈 수 있다.
- 경북대학교 정문으로 가는 동구2번이나 북구2번은 칠성시장역(서문프라자앞) 정류장에서 이용할 수 있는데 칠성시장역 2번 출구로 올라가거나 지하 2층 역무실 좌측 엘리베이터를 이용하자. 단, 동구2번은 신천네거리를 경유하므로 소요 시간은 좀 더 걸리지만 배차 간격이 길고 분리 구간으로 운영되어 이용객이 306번, 410-1번에 비하면 많지 않아 착석을 보장받고 싶다면 동구2번을 추천한다.
- 동대구역( 동대구터미널 및 철도 동대구역 앞 정류장)에서
- 937번. 단, 통학 시간대에는 알다시피 가축수송이 심하지만 동대구역에서 경북대 앞을 지나가는 유일한 노선이다. 사실 칠곡-경북대- 동대구역-시지를 잇는 노선이라 RH가 아니라도 시도때도 없이 붐빈다. 937번이 경북대 인근의 번화가인 북문이 아닌 정문 앞을 지나가는데도 그렇다.
- 순환2(-1)번을 타고 동대구시장건너, 대일아파트건너, 북구선거관리위원회앞 정류장에서 내려서 조금 걷던지.(주로 쪽문, 서문 라인으로 이동 시) 아니면 서문(북구선거관리위원회앞)[7]에서 내려서 북문으로 가는 노선으로 환승해도 된다. 그나마 순환2(-1)번은 937번보다 덜 붐빈다.
- 경대병원역( 경북대학교병원 정류장)에서
- 북구청역에서
1, 2호선의 환승역인 반월당역에서도 버스를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중심으로 서, 남쪽에서 경북대학교를 찾아갈 때 굳이 신천역까지 갈 필요가 없다. 수성구 지역에서도 동대구역을 가는 방법이 많고 편리하기 때문에 대구은행역 앞 셔틀버스를 타거나 동대구역으로 가서 937번으로 환승하는 게 더 효율적인 때가 많다.
정말로 여기에서 굳이 내려서 경북대학교에 가겠다면
- 신천역에서 내린 후 iM뱅크 신천동지점(5번 출구.역사 내에 "경대 방면 승강장"이라고 표시되어 있다.)으로 내려와서 410-1번을 타든지.[8]
- 3번 출구에서 내려서 300m 걸어가서 신천LH아파트 건너에서 배차간격 24분짜리[9] 동구2번을 타고 정문으로 갈 수 있다. 통학 시간대에 꽉 차 있는 410-1번과 달리, 한산한 동구2번을 볼 수 있다.
- 그냥 하루 운동 한다는 셈치고 30분을 걸어간다. 버스탈 돈도 아깝고 택시탈 돈도 아깝다면 걸어가는 방법 외에는 없다.
아침에 신천역 8번 출구 앞에는 셔틀을 타려고 줄지어 서 있고, 셔틀은 입석 기본의 가축수송이라서 이 역을 많이 이용할 거 같지만, 그건 전혀 아니다. 반월당역, 중앙로역, 대구역, 칠성시장역, 동대구역, 경대병원역, 북구청역에서 시내버스로 환승할 수 있는 다양한 루트, 그리고 iM뱅크 수성동 본점 앞에서 출발하는 대구은행역 셔틀버스, 북구청역 셔틀버스 때문에 신천역에는 경북대학교로 가는 승객들이 모두 집중될 수 없다. 게다가 대구은행역 셔틀은 자리가 남아도 신천역을 쌩 통과해 버린다.
대구광역시 버스조합에서 공고네거리의 수요 때문에 지하철이 일부러 현재의 신천네거리로 가게끔 로비를 했다는 설과 경북대학교의 교수들이 지하철을 반대해서 신천네거리로 가게 되었다는 설, KBS대구방송총국의 외압으로 선형을 돌려[10] 신천역이 신설되었다는 설도 있다. 그러나 모두 사실무근이다. 만약 1호선이 신천네거리가 아닌 공고네거리를 경유하는 선형으로 건설되었다면[11] 굴곡이 심해지고 철도 동대구역 북편에 지하 동대구역이 들어서게 되며 동대구터미널 연계가 어려워지고, 아예 경대북문으로 향한다면 동대구역 경유는 포기해야 하여 경대서문과 공고네거리는 3호지선이, 경대북문은 5호선이 경유하게 하고 1호선은 현재의 노선으로 건설된 것이다.
대구 도시철도 구축계획안에서 연두색 노선[12]이 4호선[13]인데, 개통된다면 경북대 정문( 공고네거리역), 서문( 경대교역)과 북문( 경대북문역) 세 곳에 역이 생기기 때문에 개통 후 신천역의 부역명이 사라질 가능성이 매우 크다.
6. 연계 교통
정류장명 | 정류장코드 | 경유 노선 |
신천역(2번출구) | 09063 | 101, 425, 651, 동구2(시청), 북구3 |
신천역(3번출구) | 09149 | 425, 651, 북구3 |
신천역(4번출구)[14] | 05152 | 410, 909 |
신천역(5번출구) | 05076 | 410-1, 909 |
8번 출구 앞에서는 경북대학교로 가는 셔틀버스를 탈 수 있다. 운행시간이 평일 아침 등교 시간대로 한정되어 있고[15], 방학 때는 그나마도 감차 또는 계절수업 이후에는 운휴되니 너무 셔틀만 믿지 말자. 셔틀도 가축수송 기본이다. 여기까지 읽으면 경북대학교에 가는 방법 중 가축수송이 아닌 것이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번, 3번, 5번 출구 쪽 정류장은 시내버스로 환승할 만하지만, 4번 출구는 막장환승이다. 4번 출구에서 청구네거리방향 버스 정류장까지 170m 정도 나오며, 명문오하임아파트가 목적지라면 홍대입구역 환승통로 길이에 조금 못 미치는 340m 가까이 나온다. 그래서 정류장 위치가 4번 출구 쪽으로 약간 당겨졌다.
이 외에도 모 공유전동킥보드 서비스에서 신천역~ 경북대대구캠퍼스 구간을 서비스하고 있다. 아무래도 신천역과 경북대 간 연계성에 의도를 둔 듯하다.
7. 둘러보기
대구 도시철도 1호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d93f5c> |
'''
안심 - |
대구 도시철도 1호선 (본선) |
'''
설화명곡 -
화원 -
대곡 -
진천 -
월배 -
상인 -
월촌 -
송현 -
서부정류장 -
대명 -
안지랑 -
현충로 -
영대병원 -
교대 -
명덕 -
반월당 -
중앙로 -
대구역 -
칠성시장 -
신천 -
동대구역 -
동구청 -
아양교 -
동촌 -
해안 -
방촌 -
용계 -
율하 -
신기 -
반야월 -
각산 - '''
|
}}}}}}}}}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cf2026><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cf2026>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rowcolor=#fff> 노선명 | 역명 | |||
대구교통공사 | 대구 1호선 | <colbgcolor=#fff,#000> 신천(경북대 입구)(134) · 동대구역(135) · 동구청(큰고개)(136) · 아양교(대구국제공항 입구)(137) · 동촌(동촌유원지)(138) · 해안(139) · 방촌(140) · 용계(141) · 율하(142) · 신기(143) · 반야월(144) · 각산(145) · 안심(혁신도시·첨복단지)(146) | |||
한국철도공사 | 경부선 | 동대구역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color: #000,#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미개통 노선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
한국철도공사 | 대경선 | <colbgcolor=#fff,#000> 동대구역(K118) | ||
대구교통공사 | 대구 1호선 | 대구한의대병원(147) | |||
대구 4호선 |
|
}}}}}}}}} | |||
중구 · 서구 · 남구 · 북구 · 달서구 · 수성구 · 달성군 · 군위군 |
[1]
조선 건국 직후까지 지금의
수성구,
남구,
가창면 일대에 존재했던 옛 현이다. 1419년에 대구현을 대구군으로 승격시키는 과정에서 수성현, 해안현, 하빈현을 대구군에 통폐합하며 폐지되었다.
[2]
옛날에는 '송라네거리'였다. 신천역 개통 이후에 교차로 이름이 바뀐 것으로 추정된다. 옛 교차로명인 '송라'는 현재 신천네거리 인근의 송라시장과 송라아파트, 그리고 공고네거리~청구네거리 구간의 도로명인 송라로에 흔적이 남아 있다.
[3]
현재 벽산E솔렌스힐 아파트 자리에 있었는데, 2002년 12월 4일
수성구청역 인근
대구여고 옆으로 이전했다. 솔렌스힐 아파트는 2007년에 지어졌다.
[4]
현재 신천GS자이아파트 자리에 있었다. 영신고등학교는
SHINee의
Key가 다닌 모교이며, 유치원 초, 중, 고등학교가 한 부지 내에 있었다. 2006년 1월 23일 모두
동구 봉무동 봉무공원 입구 근처로 이전했다. 신천역보다
칠성시장역에 더 가까웠지만, 중·고등학교 교문에서 다니긴 신천역이 훨씬 가까웠다.
[5]
대구 지하철 참사로 인한 일시 운행 중단 기간 제외
[6]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한 여파
[7]
북구선거관리위원회앞 정류장에서 급행6번, 306번, 410번, 523번 등 북문 쪽으로 가는 버스로 환승할 수 있다.
[8]
통학시간 때는 조심하자. 이거도
가축수송 기본이다.
[9]
시청/북구청 분리 운행이라서 배차간격이 12분에서 24분으로 배로 늘어난다. 게다가 북구청행은 좌회전 때문에 신천역을 무정차 통과한다.
[10]
상술했다시피 1호선 개통 당시에는 대구KBS 사옥이 신천역 인근에 있었다.
[11]
실제 1호선 초기 계획 중에는 대구역~침산동~경대서문~공고네거리~동대구역 북편으로 향하는 대안 노선도 있었다. 1호선 계획 당시만 해도 경대 서문이 현재 북문의 포지션이었다.
[12]
현재는 노선색이 하늘색으로 확정되었다.
[13]
당시 "엑스코선"으로 계획 중
[14]
말이 4번 출구지 150m나 떨어져 있다!
iM뱅크 신천동지점 삼거리 바로 앞으로 정말정말 한참 내려가야 한다. 그래서 정류장이 4번 출구 쪽으로 조금 당겨졌다.
[15]
즉 주말 및 휴일, 그리고 매년 경대 개교기념일(
5월 28일)은 학기 중이라도 운행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