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공차회송( 空 車 回 送)은 버스, 기차 등의 대중교통이나 트럭 등의 화물차량에 승객을 태우지 않거나 화물을 적재하지 않고 차고지 등으로 회송하는 경우를 말한다. 보통은 버스에서 간간히 찾아볼 수 있는데 시내버스 업체 간의 다툼 또는 시계외 30km 운행거리 제한으로 차고지까지의 노선 인가를 받지 못한 경우가 대부분이다.2. 버스
공차회송 구간에서는 백날 손 흔들어봤자 절대로 세워 주지 않는다. 관련기관에 신고해도 소용없다. 회사나 관계기관 관계자가 아닌 이상 함부로 공차회송 구간을 타고 다니면 안 된다. 다만, 불법으로 영업운전을 하다가 걸리는 경우도 있는데, 대표적으로 준공영제 실시 전의 청주. 회송차량에 00번이라는 번호판을 붙이고 불법으로 승객을 태우고 다니는 것을 버스회사가 강제하고, CCTV를 보고 불법운행을 하지 않는 기사를 질타했다고. 한 번만 태워도 수입이 짭짤하다고 한다. 문제는 그걸 단속해야할 시도 모르고 있었다는 것. 그리고 이러한 짓을 전국 뉴스 타기 전까지 계속 했다. # 당연하지만 시·도 행정기관 및 경쟁 운수사에게 적발되면 누구도 책임 못 지고 감당하기 힘든 불이익이 발생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정 가고 싶으면 다른 노선으로 환승해야 한다. 가끔 버스 하차벨 또는 뒷문이 맛탱이가 가서 차를 고치러 차고지로 공차회송을 해야 하는 경우가 있는데, 통학 수요가 있는 구간에는 교통카드 기기가 작동한다면 일단 승객들은 받아주나 교통카드를 제외한 모든 시스템이 수동화되었기 때문에 내려야 되는 정류장이 있다면 1980년대 이전마냥 기사에게 멈춰달라고 해야 한다.최근에는 공차 거리를 줄이고 차고지 내의 소음도 줄일 겸 해서 전기버스를 출고 하고 있다. 전기 충전소는 면적을 많이 차지하지 않기 때문이다.
특이한 사례로, 우회운행 시 안전벨트 미설치 시내버스가 자동차전용도로 경유 문제로 승객을 모두 하차시키고 우회하는 경우도 있는데( 관련 게시물), 이것도 공차회송의 일종으로 볼 수 있다.
시외버스 경우는 노포동~동래 마산에서 동래까지 승객들이 많이 이용하긴하나 노포동까지 손님이 없어 동래에서 다 하차시키면 동래에서 노포동터미널까지 공차회송하는 경우가 가끔 있다.
2.1. 수도권
-
서울 버스 01
첫,막차 시간대 운행 시작전,종료후 면목동 차고지<>예장자락버스주차장 을 공차회송 한다.
-
서울 버스 심야A21
예장자락버스주차장- 창신역을 공차회송한다.
-
경기광주, 고양 버스 9700
대원고속 차량은 가스 충전을 위해 킨텍스(또는 대화역) - 고양공영차고지 구간을 공차회송하는 경우가 있으며 차량정비가 있을 경우에는 성석동에 소재한 일산영업소로 공차회송한다. 명성운수 차량은 아예 기점이 대화역이며, 고양공영차고지까지 공차회송한다. 중간에 있는 일산서부경찰서 정류장에서도 당연히 승하차 불가.
-
파주 버스 30,
31
막차 시간대 일부 차량이 불광역에서 타절한 후 진관동에 있는 모 처로 회송하여 주박한다. 그리고 각 노선 첫차 시간에 맞추어 불광역에서 다시 운행을 재개한다.
-
고양 버스 97
새벽/심야 시간대에 차고지 입출고 문제로 고양공영차고지 - 행신역 구간을 공차회송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반대편의 구간인 김포대학교 - 월곶공영차고지 구간에서도 볼 수 있다.
-
구리 버스 51,
서울 버스 201,
서울 버스 341
구리 방향으로 수택동까지가 종점이나, 남양주시 와부읍 도곡리 차고지에서 나오는 회송 차량이 삼패사거리에서 정기적으로 목격된다. 왜냐하면 구리시 수택동 경기여객 차고지에 가스 충전소가 없기 때문이다.(그나마 51번은 차를 디젤엔진버스로 바꾸면 되나, 201번은...)[1] 이는 201번의 나쁜 배차간격을 부채질하고 있다. 341번은 좀 사정이 다른데 강동공영차고지 포화 때문에 수소전기버스 외에는 당일 운행 시작과 종료 때에 수택동으로 공차회송한다.
-
김포 버스 33-1
전기버스의 충전문제로 인해 항상 운행 전, 운행 후 기존 노선의 일부 구간의 같은 길을 지나면서 공차회송한다. 이러다보니 "차고지행" 팻말을 걸어도 몇몇 승객이 운행하는 버스인 줄 알고 착각하거나, 운행중인 차량과 공차회송 차량이 만나면서 기사들끼리 인사를 하는 모습도 종종 볼수있다.
-
동두천 버스 50
보통 이 50번 버스는 막차시간대에 공차회송하지 않고 50-6번으로 운행하며 종료한다. 다만 평시시간때에 운행을 마쳤을 경우에는 구터미널(생연동)에서 대양운수 본사(송내동)으로 공차회송을 한다.
-
서울 버스 3214,
서울 버스 3316,
서울 버스 3317,
서울 버스 3416
마천동 차고지에서 장지공영차고지나 송파공영차고지로 가스충전할 때 공차회송한다.
-
서울 버스 3216,
서울 버스 3220
신흥운수 오금동 차고지에서 장지공영차고지로 가스충전할 때 공차 상태로 간다.
-
서울 버스 302,
서울 버스 303,
서울 버스 4425
본래 상대원1동 차고지에 이동식 가스 충전소가 있었지만, 철거된 후에는 "공장행" 팻말을 걸고 상대원동에서 15km 떨어진 구미동차고지까지 분당수서로를 통해 공차회송한다. 물론 상대원1동에서는 송파공영차고지와 장지공영차고지가 훨씬 가깝지만 송파공영차고지, 장지공영차고지가 과포화인데다가, 성남 소재의 다른 충전소는 사용 허가를 받지 못했기 때문이다. 이동식 충전소 철거 이전에도 용량 문제로 몇몇 차량들은 현재처럼 구미동까지 공차회송해서 충전했다.
-
서울 버스 674
기점이 신월1동 신길교통 본사이므로 보광교통 소속 차량은 첫차 운행 전, 막차 종료 후 은평공영차고지로 회송하며, 가스 충전도 수색에서 한다. 신길교통 소속 차량의 관리는 얼핏 보면 신월1동 본사에서 맡을 것 같으나, 차고지 협소의 이유로 자사 부천 영업소에서 맡고 있어서 신길교통 또한 공차회송이 존재한다. 신길교통 차량의 가스 충전도 상동차고지에서 한다. 양천공영차고지는 신길교통 신월1동 본사 차량들만 오후 일부 시간대에만 이용하기 때문이다. 신길교통 차량들의 관리 때문에, 674번의 막차는 대개 보광교통이 맡고 있다.
-
서울 버스 604,
서울 버스 652
신월1동 신길교통 본사에서 양천공영차고지로 가스충전 회송을 한다. 일부 차량의 경우 운행 시작 전, 후 674번처럼 상동차고지로 가스 충전을 하러 가며 차고지 협소로 상동차고지에 주박하는 차도 일부 있다.
-
진관2공영차고지 박차 노선 중
진관공영차고지 정류장 미인가 노선
신수교통 706, 774번 노선이 해당된다. BIS상으로는 기점이 진관차고지로 되어 있으나, 두 노선 모두 실제로는 차고지에서 승하차가 안 된다.
-
서울 버스 1155
차고지가 별내동(불암동)에 있으나 이 노선의 기점은 별내면 청학리이다. 따라서 운행을 마치는 새벽시간대나 야간시간대에 공차회송이 이뤄지며 낮 시간대에 운행 중 차고지에 들러서 충전을 한다.
-
서울 버스 1213
중랑공영차고지로의 가스 충전 회송이 존재한다. 도원교통 철수 후 국민대 쪽 첫차시각을 유지하기 위해 2024년 7월 8일부터 첫차 1대가 국민대로 공차 운행한다.
-
서울 버스 6516
첫차 시간대 중간지점 출발 차량이 새벽 3시 20분경에 양천공영차고지를 나와서 출발지로 가기 위해 공차회송한다. 물론 회송시에는 원래의 빙빙 돌아가는 경로로 운행하지 않고 일직선으로만 운행한다.
-
서울 버스 7612,
서울 버스 7713
출발 정류장이 현대교통 차고지가 아닌 홍제천로상의 연희파크푸르지오앞 정류장이므로 차고지에서 바로 나오는 차량은 탈 수 없고, 차고지 건너편으로 건너가서 승차해야 한다.
-
서울 버스 8221
장안2동주민센터 → 장한평역 → 고미술상가(무정차통과) → 전곡시장 → 고미술상가(정차) → 답십리역 순으로 운행한다. 장안2동주민센터 → 장한평역 구간은 2211번, 전곡시장 → 답십리역 구간은 145번과 같은데, 이들 두 노선의 수요 분산 목적으로 운행하는 만큼, 장한평역 → 전곡시장 구간은 승객을 받지 않는 것으로 인가되었다. 그러므로 천호대로 상에 있는 고미술상가 정류장은 답십리역 방향으로 갈 때만 정차한다.
이와 같이 편도 노선 중간에 공차회송 구간이 존재하는 것은 흔치 않은데, 선형 자체도 사실상 두 노선을 이어 붙인 것과 같은 모양새다.
-
서울 버스 8541
양천공영차고지에서 시흥2동 호압사입구 정류장까지 공차회송한 후 운행을 시작한다. 운행 종료 때는 행운동 주민센터 정류장까지 운행한 후 양천공영차고지까지 공차회송한다. 공차회송만 거의 20~30분이 걸릴 정도로 구간이 긴 편인데, 이에 대한 사연은 서울 버스 5412 문서를 참고.
-
서울 버스 9711
어느 장거리 노선 중 제일 혹사시키는 장거리 노선이라 노선을 직선 위주로 개선 하려고 했었다. 양재방향 시 강변북로 상습정체로 인해 중간에 볼 일 보고 운행 재개를 할 정도로 뉴스에 나오자 서울시가 탄현.중산마을에서 주엽역.대화역 정차로 변경하려 했으나, 고양시가 경기도 공공버스를 반대하는 와중에도 자기지역 버스의 수익을 지킬려는 사유로 부동의 하는 바람에 결국 대화역. 주엽역을 지나 일산동부경찰서까지 공차로 회송하여 세금낭비와 남의동네 도로 한 가운데에 가스 뿌리고 회송하는 추태를 발생하게 되었다.
-
파주 버스 9709
서울운수가 운행했을 당시 2018년 1월 13일부터 금촌( 아동동)차고지 관리로 통합하여 매회 운행 시작 전, 종료 후 차고지 행 행선판을 앞에 걸고 맥금동 - 아동동 간을 공차회송하여 운행하고, 운행사원의 휴식과 식사도 아동동차고지로 가서 해결했다. 이는 서울운수가 관리의 편의상 통합한 것이라고 하며, 가스 충전은 기존처럼 맥금동에서 했다.[2] 신일여객 차량 역시 문산 차고지 관할이므로 공차회송이 존재한다.
-
부천 버스 10
종점인 옥길동에 차고지와 정비 시설 자체가 없다보니 운행이 끝나거나 정비를 해야될 때는 대장공영차고지까지 약 21km의 거리를 공차회송하고 있다. 현재는 모든 차량이 전기버스로 대차되면서 연료 문제는 어느 정도 해결했으나, 여전히 차량 정비를 하려면 결국 차고지로 공차회송을 하기도 한다.특히 주말에 10번 버스가 대장공영차고지에 주박해 있는 경우를 볼 수 있다.
-
시흥교통의 버스들
이 경우는 오이도 영업소, 방산공영차고지 말고는 차고지 내에 천연가스 충전소가 없어서 가스 충전을 위해 공차회송을 하는 경우. 저 탓에 안산 경원여객 본사나 시흥교통 오이도 영업소, 방산공영차고지까지 원정을 갔다온다.[3]
-
안산 버스 350 (안산역 출발 첫차, 종료 막차)
안양 방향 첫차는 오이도차고지, 안산역에서 6시에 동시출발하는데, 이 중 안산역 출발 차량은 경원여객 본사에서 주박하지 않기 때문에 공차회송을 와서 운행한다. 반대로 안산역에서 운행을 종료하는 막차도 같은 이유로 안양으로 먼길을 공차회송한다.
-
안양 버스 33
이 노선은 평촌영업소 소속이라 운행을 시작하기 위해 기점으로 가거나 운행을 마치고 차고지로 복귀할 때 시민대로, 벌말로를 이용하여 공차회송한다.
-
의왕 버스 07-1
이 마을버스는 의왕테크노파크에서 운행 시작을 위해 월암공영차고지에서 의왕테크노파크까지 공차회송을 한다.
-
부천 버스 G8808
상동차고지에서 출발하나 정식으로 운행을 시작하고 마치는 기점이 부천터미널소풍이다. 차고지~기점 사이에 위치한 부천정산고, 상일중, 상동역 등의 정류장은 정차하지 않는다.
-
양주 버스 28,
1100,
1101,
G1200
덕정동 차고지에서 출발하나, 정식으로 운행을 시작하는 기점이 덕정역이고 봉암리에서 돌아와 운행을 종료하는 지점이 덕정사거리이다. 즉, 덕정역 이후의 차고지 구간 중 서희아파트는 정류장에 아예 등록되지 않아 무조건 공차회송한다. 1100, 1101, G1200번도 마찬가지로 기종점이 모두 덕정역이다.[4]
-
양주교통 시내버스노선중
양주 버스 11,
양주 버스 76,
양주 버스 77,
양주 버스 77-1,
양주 버스 80,
양주 버스 83,
양주 버스 99번을 제외한 모든 노선
양주교통 버스노선 20, 21, 72, 73, 73-1, 73-2, 73-3, 75, 78, 81, 82, 87,88,91, 700, 701번 버스들은 양주교통본사에서 출발하는 노선이 아니고 12번, 78번을 제외한 모든노선은 양주시 내에서만 운행을 하기때문에 첫·막차시간이나 점심시간이 되면 모든버스들은 회차지나 종점에서 본사까지 공차회송을 하며 가스충전할때도 공차회송을 한다.
-
양주 버스 1304
주박은 홍죽리영업소에서 일괄적으로 하며 천연가스버스 충전은 덕정동영업소로 공차회송한다.
-
평택 버스 80,
810,
98
80번과 810번 버스는 안중차고지 소속 차량은 평택항에서 운행을 마친후 안중까지 회송해야하고, (단, 80번 안중차고지 소속 차량중 1대는 막차인 80-1로 운행하여 안중차고지에서 운행을 마친다. 공차회송하는 차량은 평택항까지 운행하는 차량들.) 98번 버스도 마찬가지로 해군기지에서 운행을 마친후 차고지로 회송하지만 1대만 98-1으로 운행하여 안중차고지에서 운행을 마친다.
-
광역급행버스 M5438,
평택 버스 6600,
평택 버스 6801,
평택 버스 6802,
평택 버스 1150,
평택 버스 5401
차고지는 지제영업소[평택_KD]와 지제역차고지[6]이지만 가스를 충전하기 위해 용이동에 위치한 협진여객의 용이동차고지까지 공차회송을 한 뒤 가스충전을 한다.
-
광역급행버스 M4108,
M4403
차고지는 동탄공영차고지이지만 기점은 상행 월드반도, 하행 한화꿈에그린2차이다. 따라서 차고지~기점 사이에 있는 정류장들인 탄요유적공원, 동탄국제고등학교, 동탄차고지 정류장에서는 승객을 받지 않는다.
-
광역급행버스 M5121,
M5422
차고지는 광교영업소이지만 기점은 삼성전자중앙문으로, 광교호수로와 동탄원천로를 이용하면 직진만으로 도달할 수 있고 거리는 4km 내외이다. 영통구청 인근에서는 승객을 태우지 않은 상태로 출발 시간까지 대기하는 차량을 자주 볼 수 있고, 회송하는 차량들이 중앙문 정류장과 금성아파트 정류장에서 승객을 받지 않고 지나치는 경우도 자주 볼 수 있다. 과거에는 러시아워 시간에 간혹 중앙문 정류장에서 운행이 종료된 뒤 매여울지하차도에서 바로 유턴하여 재출발하는 경우도 볼 수 있었으나 2017년 말 양재IC 사고 이후 1회 운행 후 휴게시간 규정이 생김에 따라 이런 모습은 찾아볼 수 없게 되었고 강남역/서울역 방향 정류장과 금성아파트를 그대로 지나쳐 광교로 공차회송을 가는 경우가 많아졌다.
-
광역급행버스 M7119
일산신도시 노선임에도 불구하고 선진네트웍스 소속인지라 정비를 위해 김포운수나 선진버스 차고지를 들락날락거린다. 가스 충전은 고양교통 식사동 차고지에서 한다.
-
KD 운송그룹
일산영업소 소속 노선들
KD 운송그룹 일산영업소가 성석동에 위치해서 기점과의 거리가 있는 관계로 모든 노선들이 기점까지 공차회송한다. 가스 충전은 9700번은 고양공영차고지, 나머지 노선들은 모두 고양교통 식사동 차고지에서 한다.
-
KD 운송그룹
의정부영업소 소속 시내버스
106번의 경우 본래 기점은 대원여객 본사(의정부영업소)였고, 현대힐스테이트녹양역 정류장을 경유했던 시절에 서류상 의정부영업소가 기점이나, 연장 구간을 한 바퀴 돌게 되면서 아래의 의정부 면허 노선들처럼 영업소 내부 승하차가 금지되었다.[7] 이것과는 별개로 민락영업소 방향으로의 공차회송은 가스충전을 위해 이전부터 계속 존재했었다. 이때는 경기도교육청 북부청사, 금오중학교, 자금사거리를 경유하여 회송한다.
25-1번은 의정부을지대학교병원, 360번은 금오중학교가 기점이다. 금오중학교나 의정부을지대학교병원에서 의정부 차고지까지는 거리가 있으나 비교적 가깝기 때문에 선택의 여지가 있기는 하다. 뿐만 아니라 25-1번은 아예 적성전통시장이 종점인데, 차고지 이전 전까지만 해도 2017년 1월 31일까지 운영했던 적성터미널 안에서 승하차가 가능했으나 차고지 이전 후 적성전통시장[8] 정류장에서 모두 하차시키고 공차회송하기 시작하여 현재에 이른다. 또한 마지고개 근처의 적성 차고지에서 백날 승하차를 요구해도 소용없으며[9] 그 이후는 무조건 적성전통시장에서 하차 후 다른 노선을 이용해야 한다.
-
동아운수 노선들
수유1동 영업소 노선들은 가스 충전을 하러 우이동 본사 방향으로 공차회송한다.[10]
우이동 노선들은 준공영제 이전에는 기점이 차고지였으나 준공영제가 되고 나서는 이웃 회사인 삼양교통, 영신여객 기점 통일화를 위해 기점인 도선사입구와 차고지 사이를 공차회송한다. 우이동 소속 노선을 기점인 도선사입구에서 타는데 누군가 이미 타고 있다면, 이는 100% 동아운수 직원이나 종사자 지인이다. 한편, 해당 노선들을 버스 앱에서 조회해 보면, 기점인 우이동도선사입구.북한산우이역 정류장에서 첫.막차 통과 시각이 인가상 시각보다 1~3분 가량 늦게 통과하는 것으로 조회되는데, 배차 자체는 차고지 출발을 기준으로 하는 듯.
-
도원교통(서울) 노선 중 舊
성원여객 소속 노선들
해당 노선들의 차고지는 정릉동에 있으나, 기점(서경대학교/성북구민회관/번동 한성운수 차고지)은 차고지와 떨어져 있다. 그래서 차고지 출입, 가스충전 등을 위한 공차회송이 종종 있다. 특히 1111번의 경우 야간에 성북동에서 운행을 마치고 정릉동으로 들어가는 차량도 있다.
-
흥안운수,
삼화상운,
한성여객 일부 노선들
월계동에서 시종착하는 노선들(103, 173, 1017, 1130, 1226)과 7단지영업소 노선(102, 105, 146, 1129, 1137, 심야버스)을 제외하면 모두 상계7단지 영업소로 공차회송을 한다. 상계4동, 중계본동, 하계동 차고지는 가스충전소가 없어서 어쩔 수 없는 부분. 흥안마을버스 소속 노선들의 배차간격이 낮 시간대에 벌어지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그래서 이를 예방하기 위해 전기버스를 대다수 출고하고 있다.
-
서울 버스 서대문11, 서대문13
홍제동 및 홍은동을 기점으로 하는 마을버스 노선들로, 다니는 지역이 시내 쪽과 좀더 가깝기 때문에 서울특별시청 서소문별관에 있는 가스 충전소에서 충전한 후 독립문(극동아파트) 및 홍제동으로 돌아와서 운행을 재개한다. 그래서 영천시장에서 해당 노선의 차량들이 보이면, 100% 가스를 충전하러 시청 서소문별관에 가는 차량들이다. 서울 버스 서대문11, 서대문13 외에도 도심과 인접한 지역에서 운행하는 CNG 마을버스 차량들이 시청 서소문별관에 들어와서 가스를 충전한다.
-
대원운수 소속의
30-1~14 노선들,
광역급행버스 M2323,
남양주 버스 33
마석순환버스 노선들 기종점이 마석역인데 차고지는 차산리에 위치해 있다보니 도중에 가스충전, 식사시간 등으로 인하여 차산리까지 공차회송 하는 모습을 종종 볼 수 있다. 따라서 마석역이 아닌 곳에서 30-1~14들을 버스정류장에서 보게 된다면 정류소라도 아무리 손을 흔들어도 멈추지 않는다.
광역급행버스 M2323의 경우는 평내호평에서 잠실역으로 가는 노선이다. 차고지인 차산리에서 가스충전후 신경춘로로 평내호평으로 넘어간다.
남양주 버스 33는 월산리에서 수동 내방리로 가는 노선이다. 차고지인 차산리에서 가스충전후 신경춘로를 타고 월산리로 넘어간다.
남양주 버스 7은 원차산리(예비군훈련장)에서 녹촌리를 지나 마석 북쪽에 삼익아파트까지 가는 노선이다.
차고지인 차산리에서 가스충전후 차고지에서 좌회전을해 원차산리로 간다.
-
하남 버스 31
기종점이 위례신도시 내부지만, 차고지는 하남공영차고지를 사용한다. 위례신도시를 출발하면 송파IC까지 가서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를 이용하여 하남JC에서 중부고속도로로 갈아탄 뒤 하남IC에서 진출한다. 진출 과정에서 요금소를 지나기 때문에, 고속도로를 경유하고 돈을 내고 공차회송하는 특이한 사례다. 현재는 감일지구로 연장되고 나서 서하남로와 대성로, 43번 국도를 거친다.
2.1.1. 인천광역시 시내버스에서
위 사례와는 완전히 이질적이고 특이한 형태이다. 인천 시내버스 노선 절반 이상이 첫차가 기점에서 출발하는 방식이 아닌, 중간지점에서 차량이 출발/종료하는 방식으로 운행하고 있다. 이는 기점/종점이랑 회사 차고지랑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첫차 운행을 위해 차고지에서 기점/종점지까지, 막차 운행 후 정산을 위해 기점/종점지에서 차고지까지 별도로 공차 회송을 하고 있다. 오후 11시가 넘어가면 차고지로 가기 용이한 지점인 큰 도로변이나 사거리 등의 장소에서 운행을 끊고 차고지로 향한다.다음 날 첫차는 운행 시작 시간에 맞춰서 차고지에서 기점 및 중간 출발 지점까지 버스가 공차로 와서 운행을 시작한다.
이러한 이유는 공동배차제를 시행하면서 생겨나서 차고지에서 종점이 너무 먼 노선을 배정받을 경우를 대비해 공차회송 거리를 줄인다는 명분이 있었지만 단독배차제를 하고 있는 지금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
당연히 일반적인 공차회송도 존재하는데 이러한 경우는 아래에 서술한다.
-
17
17번 버스는 인천 면허이지만 강화교통 소속 노선임에도 불구, 선진네트웍스의 본진이라 할 수 있는 김포 대포리 차고지에서 출발하며, 관리지역은 김포시에 두고 있지만 마전동~대포리 구간은 공차회송하고 있다. -
93
차고지인 신흥동에서 기점인 국제성모병원까지 약 16km 가량을 공차회송하고 있다.[11] -
223
223번 버스는 운행 회사 차고지인 십정동에서 영종도까지 약 35km 정도의 거리를 빈 차로 회송하는데 이는 영종도라는 도서지역 특성상 인력을 구하기 힘들고 직원들이 출퇴근하기에도 무리수가 있기에 어쩔 수 없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공차운행 문제를 해결하고 공항 출근 수요를 위해서 첫 차에 한해서 공항좌석요금을 받고 인천공항으로 가는 지원운행 노선을 운행하고 있으며 BIS에서는 223A로 조회된다. -
202,
204,
205,
222
202번과 222번은 차고지인 영종공영차고지에서 인천공항까지 약 10km 정도의 거리를 공차회송하고 있으며 204번과 205번은 차고지와 한 정거장 차이 밖에 안나는 영종아레나에서 출발하고 있다. -
515,
515-1
차고지인 석남동과 기점인 인천지방법원까지 약 10km 정도의 거리를 공차회송하고 있다. -
561,
562
차고지인 석남동과 기점인 희망체육공원입구까지 약 9km 정도의 거리를 공차회송하고 있다. -
800,
801
인천 출발 차량의 경우 차고지인 송도제2차고지에서 출발지인 문학경기장까지 약 9km 정도의 거리를 공차회송하고 있다. -
인천e음45
차고지인 가좌동에서 출발지인 남촌농산물도매시장과 동춘동 송도유원지까지 각각 약 12km, 약 11km 정도의 거리를 공차회송하고 있다. -
인천e음55
차고지인 삼산동에서 기점인 남동인더스파크역까지 약 17km 정도의 거리를 공차회송하고 있다. -
인천 버스 583,
인천e음89
차고지인 삼산동에서 기점인 검단신도시까지 약 12km 정도의 거리를 공차회송하고 있다. -
인천 버스 순환83
차고지인 삼산동에서 기점인 마전지구버스차고지까지 약 19km 정도의 거리를 공차회송하고 있다. -
인천 버스 44
차고지인 백석동에서 기점인 쉐보레출고사무소까지 약 12km 정도의 거리를 공차회송하고 있다. -
인천 버스 584-1
차고지인 원창동에서 기점인 서운산업단지까지 약 11km 정도의 거리를 공차회송하고 있다. -
인천 버스 565
차고지인 석남동에서 기점인 진산초등학교까지 약 11km 정도의 거리를 공차회송하고 있다. -
인천 버스 9500
차고지인 원창동에서 기점인 부평역까지 약 11km 정도의 거리를 공차회송하고 있다. -
인천 버스 1500
차고지인 원창동에서 기점인 롯데마트계양점까지 약 10km 정도의 거리를 공차회송하고 있다. -
인천 버스 117
인천 버스 공차회송의 끝판왕. 차고지인 십정동에서 기점인 영종하늘도시까지 약 30km의 거리를 공차회송하고 있다. -
인천 버스 308
차고지인 십정동에서 기점인 북변환승센터까지 약 30km의 거리를 공차회송하고 있다.[12]
2.2. 부산광역시 시내버스, 양산시 시내버스에서
-
부산 버스 20,
22
차고지인 백운포에서 공식 기점인 남구국민체육센터까지 약 0.8km 가량 공차회송한다. -
부산 버스 37,
90
운행종료 후 노포역환승센터에서 금정공영차고지까지 공차회송을 한다. 37번은 좌천역의 정관방면 05:45분 첫차로 맞출수가 없기 때문에 신정관로로 공차회송 하여 운행 한다. -
부산 버스 50,
양산 버스 61,
3100
운행시에 봉우아파트 차고지를 이용하지만, 전기 충전만 담당할 뿐 야간에는 정비 및 세차를 위해 같은 삼신교통 노선인 1002번, 302번과 푸른교통 노선인 52번, 56번, 58번, 59번이 기종점으로 하고 있는 웅상공영차고지로 공차 회송한다. 더군다나 61번은 한일 유엔아이까지 공차 회송해야 한다. -
부산 버스 51
동천초등학교 첫차가 출발하는 05:30에는 차고지 첫차로는 시간을 맞출 수 없어 번영로로 공차회송을 하여 운행한다. -
부산 버스 87
기종점이 차고지인 86번과는 달리 삼성여객차고지에서 실제 기점인 망미주공아파트종점 정류장 까지 공차회송한다. 까치고개방면도 삼성여객차고지에서 망미주공아파트종점 정류장까지 공차로 온다. 다만 공차거리가 매우 짧으며 충분히 도보로 이동 가능한 거리라 별다른 문제는 없다. -
부산 버스 88-1
운행시에는 동삼그린힐아파트 내 도로에서 임시주차를 하지만, 운행종료 후 태종대에서 가스충전을 하고 청학고개 본사차고지로 공차회송을 한다. -
부산 버스 122,
123,
127
성원여객이 차고지를 김해시 구산동 소재 금진여객차고지에서 삼계동으로 이전하게 되었으나 부산 122번을 제외 하고 김해시에서 연장구간에 대한 여객취급을 허가하지 않은 관계로 122번을 제외한 나머지 운전기사들은 오늘도 북부신도시-구산육거리 구간을 공차회송하고 있다. 그러나 연장구간을 운행 중인 노선이 한두개가 아니라서 쉽게 허가를 내줄지는 미지수.[13] 122번도 공차 회송이 있는데 이건 성원여객이 차고지에 정류소를 설치 안해서 1코스 전인 삼계서희스타힐스 까지 공차회송 하고 있다. -
부산 버스 169
일렉시티를 제외한 가스차는[14] 종점에서 태진여객 본사까지 공차회송을 한다. -
부산 버스 190
운행시에는 해양대학교에서 임시주차를 하지만, 운행종료 후 태종대에서 가스충전을 하고 신한여객 차량은 태종대 차고지, 유한여객 차량은 차량정비를 제외하고는 태종대에서 주차를 한다. -
부산 버스 1003
운행시에는 교리영업소에서 시종착하지만 운행이 끝나면 청강리공영차고지로 공차회송한다. 2024년 7월 20일부로 기점이 청강리공영차고지에서 교리차고지로 다시 재환원되었으나 교리영업소에서의 주차공간 문제로 인하여 주박은 여전히 청강리에서 행해진다.[15] -
부산 버스 1008
운행시에는 좌천원자력의학원 옆에 위치한 간이차고지에 주박하지만 위에 50번 처럼 웅상공영차고지로 공차회송한다. -
부산, 거제 버스 2000
부산 방향과 거제시 방향 모두 시계외 50km 운행거리 제한으로 연장 되었지만 부산시 방향만 어쩡정하게 회차하고 있는 중이다. 하단역~괴정복개로 (하단시티빌아파트)[16] 구간과 신현교~고현터미널이 공차회송 구간이다. 원래는 고현 E편한세상~연초까지 공차 회송 하였으나, 거제시가 시외버스에게 운행 적자분을 지급한다고 명시 하면서 고현으로 연장되었다. 다만 명목상으로는 거제시 구간도 신현교 ~ 고현터미널 구간의 150m 가량 되는 공차회송 구간이 남아있는데, 2000번이 터미널 밖 순환버스 정류장에서 승하차를 받는 이유와 같다. 즉, 고현터미널 일대 혼잡을 방지하기 위한 고육지책이다. -
부산 버스 2029
부산여객과 부일여객은 차고지인 청강리 차고지에서 해운대백병원까지 공차회송하며, 태영버스는 차고지인 김해 구산동에서 김해국제공항까지 공차회송 하고 있다. -
남부여객
충전소가 없어 운행종료 후 3.8km를 이동하여 태종CNG충전소를 이용하고 있다. -
대도운수
부산 버스 110-1
충전소가 없어 운행종료 후 5.5km를 이동하여 대도에너지를 이용하고 있다. -
동남여객 개금영업소
충전소가 없어 운행종료 후 5km~5.2km를 이동하여 대도에너지를 이용하고 있다. -
일신여객
충전소가 없어 운행종료 후 5km를 이동하여 연산9동 삼동애너지 충전소를 이용하고 있다. -
오성여객,
용화여객
충전소가 없어 운행종료 후 8km를 이동하여 신선대CNG충전소를 이용하고 있다. -
용화여객
부산 버스 16
충전소가 없어 운행종료 후 4km를 이동하여 대도에너지를 이용하고 있다. -
유한여객
부산 버스 82,
부산 버스 85
충전소가 없어 운행종료 후 7km~7.6km를 이동하여 태종CNG충전소를 이용하고 있다. -
양산 버스 12과
양산 버스 12-1 부산 종착 차량
12번 부산종착 차량은 명륜역에서 노포동터미널까지 공차회송 하고 있다. -
양산역 환승센터 기점 노선들과 용선 종점 노선들
양산역 환승센터와 용선 종점은 회차지 역할만 할뿐 충전소가 없어 증산공영차고지까지 공차회송 하고 있다. -
양산 버스 순환40, 순환40-1
40번은 사송역 환승센터에서 증산공영차고지까지 40-1번은 사송역환승센터에서 웅상공영차고지 공차회송 하고 있다. -
양산 버스 5000
물금역은 주차시설이 없어 증산공영차고지까지 공차회송 하고 있다.
2.3. 대구광역시 시내버스에서
위 사례와는 완전히 이질적이고 특이한 형태다. 인천광역시 시내버스와 마찬가지로 대구광역시 시내버스들 대부분이 차고지에서 기점과 종점으로 공차회송이 많다.[17] 여객취급 인가를 안 해주는 것도 아니고 기종점이 멀어서 그런 것도 아니다. 2023년 2월 17일까지의 대구시 시내버스 전 노선은 자정 즈음 차고지서 그날의 정산을 하기 위해서 오후 11시 정각 전후로 시내버스가 그 자리에서 운행을 종료하고(중간 종료) 차를 차고지로 공차회송했다. 마음대로 운행종료하는 것은 아니고, 운행 다이어에서 11시쯤 도착할 수 있고 U턴하기 용이한 정류소를 미리 설정해두고 거기서 운행을 종료하며, 당연히 운행이 종료되면 타고 있던 승객들을 모두 하차시켰던 것. 대구광역시 시민들은 대부분 익숙하지만[18], 타지에서 온 경우라면 대혼돈을 넘어서 "대구 시내버스는 개념없다"는 소리가 많이 나왔으며 이렇게 중간 종료하는 차량들은 LED안내기에 어디까지 간다고 표기를 했다.[19] 다음날 첫차는 어젯밤 종료한 그 자리까지 다시 공차로 가서 아침 5:30분경에 운행을 시작한다.이러한 이유는 대구시내버스가 공동배차제를 시행하여서 모든업체가 대구 시내버스 노선들을 번갈아 배차하였기에 노선운행후 그날 막차 정산을 위해 수월히 차고지로 가게끔 만들어진 제도이나...[20] 이를 업체별 노선 배차로 바뀐 후에도 시행 중이라는 것이다. 그러는 동안 대구 시내버스 업체들은 대부분 외곽으로 차고지를 이전하는 바람에 대구 시내버스 노선들을 전면적으로 바꾸지 않는 이상 이 같은 공차회송은 유지될 전망이었다.
다만 이 중간 종료 관련해서 익숙하다고는 해도 편리한 제도가 아닌 것은 사실인지라 승객 불편과 민원이 끊임없이 발생하였고, 대구시와 운수사, 조합이 합의를 거쳐 2023년 2월 18일부로 일부 예외[21]를 제외한 전 노선의 중간 종료를 폐지하였다. 다만 승객 편의를 위하여 중간 출발은 존치된다.
이런 특이한 제도를 제외하면 당연하지만 일반적인 공차회송도 존재하는데 그 경우가 상당히 많다. 과거에는 버스 회사들의 차고지도 시내와 비교적 인접한 위치에 있었고 버스 노선들도 당연히 차고지를 기, 종점으로 삼는 노선이 대부분이었다. 하지만 1990년 공동 배차를 시행하면서 굳이 기, 종점을 버스 차고지로 둘 필요성이 적어져서 점점 바뀌다가 1998년 개편으로 완전히 틀어지게 된다. 더불어 2000년대 들어서 버스 회사들의 차고지도 점점 외곽으로 밀려나가 도리어 버스 차고지를 기, 종점으로 삼는 노선을 찾기가 힘들어졌다. 2010년대 들어서 공영 차고지가 조금씩 생겨나면서 다시금 차고지를 기, 종점화 시키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다.
2.4. 그 외 지역
-
광주 버스 수완03
이 노선의 기점 회차지는 송암공단 세영운수, 을로운수 차고지이지만 안내방송 및 노선도에는 효천지구라고 나오며 승객이 이용가능한 실질적인 기점은 송원대학교 정류장이다. 반대 방향은 폭스존 정류장부터다.
-
화순 버스 1111
이 노선은 심야버스 전용 노선이고 단방향 버스이기 때문에, 대리교통광장 종점에서 광주에 위치한 화순교통차고지까지 공차회송으로 복귀한다.
-
나주 버스 997, 998, 999
2016년 8월 22일부터 123번의 노선번호 및 경로변경으로 인해 신설되었다. 주로 혁신도시를 경유하며 혁신도시 주민들의 광주지역 대학병원( 전남대병원, 조선대병원), 대학교( 광주대학교, 조선대학교, 전남대학교) 수요를 늘리기 위해 신설되었다고 한다. 특히 광주시내구간에서는 양과동, 향등, 진월대주아파트, 대광여고, 양림휴먼시아2차, 남광주역, 전남대병원오거리, 서남동주민센터, 법원입구, 두암지구입구, 풍향시장, 기산복합상가, 두암주공입구, 덕산아파트, 청명아파트, 말바우시장, 평화맨션, 북구청에는 정차하지 않으니 주의하길 바라며 전남대후문에서 문흥동차고지까지는 공차회송을 한다는 점 잊지 말자.
- 청주시 시내버스 - 충청북도교육청 인근에 시내버스 충전소가 있어서 이쪽으로 충전하러 공차회송 하는 경우가 잦다. 이외에도 747번, B3번은 6개사 공동배차 노선이라 출퇴근때 공차회송해야한다.[22]
- 세종특별자치시 시내버스 - 기점이 차고지가 아니거나, 차고지나 종점 인근에 주유소/충전소가 없어서 공차회송하는 경우가 상당히 많다.[23]
- 대전광역시 시내버스, 천안시 시내버스 - 기점이 차고지가 아닌 노선이 매우 많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노선 기점까지 직접 공차회송한다.[24]
- 거제 버스 32, 33 - 거제 버스 34가 특정 구간까지의 회송을 위한 노선이다. 회송 후 32, 33번으로 바꿔 고현 혹은 능포로 간다. 물론 32, 33번을 달고 특정 지점까지 영업 회송을 하기도 한다. 과거에는 남부면 순환버스 운행을 위한 회송 목적으로 거제 53-1번을 운행하는 등 이러한 영업회송 성격을 가진 노선이 더 있었으나 대부분이 영업 회송을 하였으며, 공차회송하는 경우는 별로 없다.
- 포항시 시내버스
- 포항 버스 110, 111의 경우 기종점이 송도해수욕장회차지이지만 실질적으로 양덕차고지 소속으로 보통 오전 운행이 끝나면 모든 버스들이 빈차로 송도해안길, 영일대해수욕장, 환호공원을 거치면서 양덕차고지로 회송한다[25]. 이유는 양덕차고지에서 정비[26], 교대[27], 충전[28]을 한다.
- 포항마을버스/동해·구룡포 권역, 포항 버스 동해3의 경우, 운행 시작 전, 운행 종료 후 문덕차고지로 공차회송한다.
- 경주시 시내버스 - 경주 버스 50, 51, 경주 버스 60, 61, 경주 버스 70, 300번대 노선, 권역별 순환노선: 경주터미널을 기점으로 하는 노선들을 제외한 모든 노선은 충효동 차고지로 공차회송을 하고있으며 일부 노선은 막차시간대에 종점에서 운행종료 후 공차회송을 하지 않고 그 곳에서 주박을 하는 경우가 있다. 이런 경우는 대게 승무원이 그 마을의 주민이거나 종점에서 승무원 개인차량으로 퇴근을 하는 경우다. 다만 가스충전은 충전소가 본사 차고지 밖에 없어 모든 노선들이 충전하러 공차회송을 하고 있다.
- 구미시 시내버스 - 많은 노선이 구미역 정류장에서 운행을 종료하고 000번, 차고지행으로 노선번호를 바꿔 차고지로 공차회송한다.
- , 진주 버스 110, 진주 버스 111 : 각각 140번, 160번 운행을 위해 차고지에서 기점간 회송하는 노선이다. 기점으로 회송한 후 본 노선으로 번호 변경 후 한바퀴 운행 후 다시 회송 노선으로 변경해 차고지로 돌아간다. 공차회송 구간을 정식 노선화 시킨 것이나 타는 사람이 거의 없어 실상은 공차회송에 가깝다.
-
사천 버스 194: 삼천포에서 출발하는 18:15분 막차는 버스에 마지막에 내리는 손님이 내리면 그 자리에서 바로 회차해서 공차로 LED에 운행종료또는 노선번호를 띄우고 삼천포 도착 시 LED 운행종료를 켜고 공차 회송한다.
- 강릉시 시내버스: 주 52시간 근무제 시행 후 대다수의 노선이 종점발 1회차 운행을 위해 공차회송을 한다.[29]
2.5. 운수업체에서 몰래 승객을 받는 경우
-
김포 버스 60,
1002
60번은 인천 검단동 단봉초등학교, 1002번은 인천 당하동 완정사거리가 정식 기점이며, 차고지는 60번이 대포리 본사, 1002번은 검단 롯데마트 뒷편에 있는 백석영업소를 이용한다. 원래는 각각의 기점부터 차고지까지 공차회송하는 것이 맞지만, 비공식적으로 승객 취급을 한다. 게다가 검단 롯데마트 - 완정사거리 구간 내의 정류장에는 1002번의 노선도가 버젓이 붙어있고, 백석영업소 전면에는 1002번의 주요 경유지를 써 놓은 대형 현수막까지 걸려 있다. 승객 취급을 하지 않는다면 이와 같이 할 이유가 전혀 없다. -
아성고속,
천마고속의 일부
동대구행 차량
다른 예시들과는 달리 이쪽은 대놓고 승객을 받는다. 동서울이나 인천에 갔다온 차량들을 회송시킬때 승객을 태우고 회송시키는데, 근거리 노선인데도 우등 차량이 들어왔다면 100% 회송차라고 보면 된다. -
삼흥고속 대전권 노선 운행 차량
여기는 정식으로 인가 받은 노선을 통해서 회송을 한다. 차고지가 공주에 있기 때문에 어찌되었든 공주까지 회송을 해야 하는데 어차피 대전(대전복합)에서 유성을 거쳐 공주로 가는 노선이 있으므로 차량을 해당 노선에 투입시켜 공주로 보내는 것.[30] 물론 공주터미널에서 차고지까진 온전히 공차회송으로 간다. 반대 방향도 마찬가지 상황. 대전-공주 노선은 원래 일반 차량만 들어오는 노선이지만 뜬금없이 우등 차량이 들어온다면 100% 여기에 해당된다. 더군다나 출퇴근 시간대에는 입석도 태운다. - 구미시 시내버스 - 차고지 근처까지 종점부터 승객을 받는 경우가 많다.
2.6. 시외/고속버스
정비공장으로 회송하거나[31] 임시차량의 공차회송에 관한 내용은 제외하고, 정규차량의 공차회송 관련 내용만 서술하였다.- 금호고속
- 호남선 차량들이 세차를 위해 경부선 터미널로 공차회송하는 경우가 있다.
- 서울호남-장흥 노선의 일부 차량은 경부선 터미널에서 호남선 터미널로 공차회송한다. 해당 노선에서 운행하는 1팀 차량들은 주로 경부선 기점 차량으로 운행하기 때문이다.
- 속리산고속 : 1군 고속버스 업체 가운데 공차회송이 가장 심한회사, 서울경부-조치원 차량의 경우 청주에서 관리를 하기 때문에, 조치원발 첫탕과 서울발 막탕의 운행을 마친 후 청주로 공차회송한다. 하지만 그보다도 성남선 차량들이 청주나 서울로 공차회송하는 경우가 너무 잦다.
- 호남고속 시외버스: 전주 주박차량은 전주시외버스터미널에 주박하지 않고 팔복동 본사 차고지로 공차회송한다. 추가로 군산 착발 노선(군산 - 인천 / 안산.고양 / 유성.청주 / 대전복합)은 군산시외버스터미널까지 무려 40km를 공차회송한다. 전북고속과의 이해관계 때문에 전주-군산 영업운전을 못하는듯.
3. 철도
- 회송 문서 참고.
-
경의선:
용산역/
서울역 -
수색역 구간
이 구간은 대한민국의 거의 모든 여객열차가 수색/고양에 있는 차량기지로 공차회송을 위해 지나다닌다. 행신역착발 일부 KTX를 제외하면, 모조리 기지 입출고를 위한 공차회송이다. 이거 때문에 선로가 포화되어 있어서, 서울역으로 가는 경의선 전동열차를 많이 못 넣는다. 또한 이 구간에서 문제가 발생할 경우 기지 입출고가 불가능해져 청량리발 등 일부 열차를 제외한 전국의 열차 운행이 마비된다. 이로 인해 서소문 건널목 또한 열리지 않는 건널목 칭호를 획득했다. -
가야선/
동해선:
가야역~
부산역 구간
부산역발 여객열차의 회송구간이다. 서울~수색보단 덜해도 여기도 막히면 난리가 난다. -
서울 경전철 신림선:
샛강역~
보라매공원역(입고 시)/
보라매병원역~
관악산역(출고 시)
신림선의 경우 노선 한가운데에 있는 보라매차량사업소 부근에 건넘선이 없고 중간 출발 계통이 열차 증회 시 추가되는 보라매병원발 관악산행밖에 없어, 평상시 운행의 경우 출고 후 관악산역까지 공차회송하여 영업운행을 시작하게 된다. 한편 중간 종착 계통 또한 없어 차량사업소 입고 시 샛강역에서 샛강행 운행을 마친 후, 샛강역에서 차량사업소까지 공차회송하여 입고한다.
- 수도권 전철 4호선: 월곶역~ 오이도역(한국철도공사)/ 노원역~ 불암산역(서울교통공사)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대곡역 ~ 백마역
- 공차 상태인 화차의 운송
-
노선 내 중정비를 할 수 없는 차량기지가 없을 시
4. 항공
항공의 경우 승객을 태우지 않고 운행하는 비행편을 페리비행(Ferry Flight)이라고 한다. 아래와 같은 이유로 발생한다-
노선 연결 이유로 출발지 변경을 위해 기재를 이동시킬 때
대한민국에서는 주로 인천국제공항에서 김포국제공항 사이를 이동하는 경우에 발생한다. 그 외에도 김포국제공항에 배치된 비행기들을 청주국제공항, 원주공항, 양양국제공항, 군산공항 등 지방발 제주 노선을 운항할 경우도 역시 마찬가지로 비행기 티켓을 받지 않고 필요한 객실 남녀 승무원, 조종사, 정비사 등과 같이 탑승하여 운항하게 된다. 폐리비행이지만 승객을 태워서 운항하는 노선이 존재하는데, 바로 제주항공의 무안-제주 노선이다. 이는 무안착발 비정기 국제선을 운항하기 위해 제주에서 페리비행으로 (또는 그 반대방향) 항공기를 이동시켜야 하는데, 폐리비행을 하는 김에 승객을 태워서 정기편으로 운항하는 것이다. -
정비를 위해 기재를 이동시킬 때
김해의 중정비창에 다녀올 경우 종종 발생한다. 한때 에어부산의 김포-대구 노선은 대구발착 국제선의 일일정비 회송용 노선이었다. 지금은 대구에서 철수해서 옛말이 되었다. -
신규항공기를 도입했을 때[35]
보잉 항공기의 경우 페인 필드 (737MAX)/ 찰스턴 (B787), 에어버스 항공기는 툴루즈 공항 등에서 생산이 완료된 비행기가 출고되며 이를 도입 항공사의 허브 공항이 위치한 곳까지 조종사와 정비사 등이 탑승하여 이동시키게 된다.[36][37] -
해외에서 자국민 보호 수송할 목적으로 비행기를 보낼 때
코로나19로 인해 항공편이 사실상 봉쇄 되다시피했던 2020년 상반기에 수많은 특별기들이 세계 곳곳으로 갔다. 다만 특별기의 경우 해당 국가 목적지까지는 여객영업을 할 수 없는지라 탑승객은 정가의 왕복 가격을 지불해야했다. 물론 보호 수송이라 한들 아예 빈차로 가면 너무 손해인지라 코로나 진단 키트등 의료물품이나 긴급 화물 등을 싣고 갔다. 몇몇 나라들은 아예 의료물품을 가지러가는 조건으로 해외 교민들을 같이 한국으로 귀국시키기도 했다. -
에어쇼 등의 행사를 위해
특별한 경우 승객을 태우고 롤 비행을 하는 경우나 이벤트 목적으로 관계를 태울 수 있지만, 기본적으로는 안전을 위해 일반 승객이 없다. -
신규 공항에 취항할 때
예를 들어 공항이 새로 개항하면 신규 공항 출발 비행기를 위해서는 해당 공항에 일단 승객 없이 비행기를 보내놓을 수 밖에 없다. -
노후 항공기를 퇴역하게 될 때
보기를 들어 대한항공이 오랫동안 쓰던 A300, 보잉 747-400, 예전의 MD-80 기종 등을 퇴역 후 다른 곳으로 송출할 경우 임시 편명[38]을 붙고 떠나게 되며, 객실 내부는 퇴역 전에 정리되며 좌석 등은 남겨두는 경우도 있다. 협동체 항공기의 경우 항속거리로 인하여 중간 기착을 하면서 송출 비행을 하게 된다.
5. 선박
선박은 공차회송을 하는 경우는 극히 드물며, 인천항에 배치되는 화물선을 북쪽의 경인아라뱃길과 연결되어 있는 항구인 경인항이나 원창동의 북항으로 출항하게 되는 노선을 인천항에 재배치되는 경우도 있고 부산신항에 정박하는 선박들도 부산항으로 이전시키는 경우도 더러 있다.6. 관련 문서
[1]
특히 디젤(경유)은 충전시 급하면 대형 상용차가 들어갈 수 있는 주유소 아무나 가서 가능하다는 점이 있다. 그래서 일부 회사는 차고지에 주유소가 없을 경우 이런 주유소를 지정해 그쪽으로 회송하게 하기도 한다.(혹은 노선 운행 중간에 이용하기도 하며, 이것도 회사에서 충전 시간대 지정) 가스와 전기, 수소도 같지만, 경유쪽이 아직은 나은 상황.
[2]
하지만 (현재는 폐지된) 760번 및 775번은 맥금동 대신
교하동
제일여객 차고지로 가서 충전했다.
[3]
포동 기준 편도 30분 이상이나 소요돼 공차회송을 하는 낮시간대에는 배차간격이 크게 벌어지는 건 덤. 이 때문에 가스 충전소와 같이 과포화상태에 있는 본사(포동 영업소)의 문제 해결을 위해
방산공영차고지가 건설되었다.
[4]
8906번은 노선 연장 초기만 해도 한 동안 차고지 승하차가 허용되다가 막혔다가 다시 가능해졌다.
[평택_KD]
광역급행버스 M5438은
지제역차고지와
지제영업소를 같이 사용중이고
평택 버스 6600,
평택 버스 6801,
평택 버스 6802는
지제영업소만 사용.
[6]
광역급행버스 M5438과
평택 버스 1150 차량 중 일부(천연가스버스 차량만 해당).
[7]
단, 의정부 차고지 소속의 공항버스는 예외인 게, 엄연히 승객대기실(기사휴게실 겸용이다!)이 있기 때문에 차고지 승하차가 가능하다.
[8]
당시 적성버스터미널이었으나 적성터미널 폐쇄 후 적성전통시장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9]
심지어 종점에 도착했음에도 깊이 잠들어 깨지 못하는 사람이 있다면 운전자가 이 사람을 어떻게든 깨워서 끌고 내리게 한다. 이는 여느 지역의 버스도 마찬가지. 다만, 잠든 사람을 기사가 발견하지 못하고 그대로 공차회송 구간을 지나 차고지에 들어왔다면 그 이후가 다소 난감해진다.
[10]
충전소는 우이동 가기 전에 있으며, "
동아운수앞" 정류장이 있는 그 곳이다. 우이차고지는 성원아파트 정류장 쪽에 있다. 그런데 충전소의 소재지는 쌍문동이다.
[11]
하루 두 대의 차량이 당일 종점인 이음초등학교에서 운행을 종료하는데 이 때에는 차고지인 신흥동에서 이음초등학교까지 26km 가량을 공차회송한다.
[12]
117번, 308번을 제외한 다른 공항좌석노선들은 전부 십정동차고지로 연장되어서 공차회송이 없어졌지만 이 노선만은 예외다.
[13]
김해 버스 1,
김해 버스 1-1,
김해 버스 8,
김해 버스 8-1,
김해 버스 58,
김해 버스 59,
부산김해경전철. 다만 127번은 그렇다치고 123번은 섣불리 인가를 받아 연장했다간 안그래도 장거리 노선인데 운행거리와 배차간격이 늘어날 우려가 크다.
[14]
예비차만 남았으며, 모두 대차되면 충전하러 갈 일이 없을 것이다.
[15]
굳이 이게 아니더라도 좌석차량 가스충전 문제로 청강리까지 가야 한다.
[16]
과거에는
동아대학교까지가 공차회송구간이었으나 회차지 배차간격 조정을 위한 휴게 공간 문제로 인하여 바뀌었다.
[17]
물론 위에 언급한 경우랑 비슷한 사례가 있긴 있다.
칠곡1(-1)번과
750번,
급행6번, 동명교통 소속 726번 일부 차량도 북비산로를 경유해서 공차회송하기도 한다. 심지어
309번 일부 차량들도 서대구로와 북비산로를 경유하여 공차회송한다.
[18]
사실 대구광역시 일부 시민들도 익숙하지는 않다...
[19]
예) 849번 노변청구타운까지 운행,영문은 없다.
[20]
1990년 공동배차제를 시행하기 전에는 막차도 전 차량이 종점까지 운행했고 첫차 중간 출발 또한 없었다. 사실 버스 운행 시간이 23시 30분까지라고 노사협약에서 정해져 있는 상황에서 종점에서 먼 곳까지만 버스를 이용하는 승객들의 편의를 고려해서 중간종료 막차가 생긴 것이다. 1995년 이전에는
달성군도
경상북도 소속이었고 버스 종점으로 쓰였던 차고지들이 시내와 가까운 곳에 있었기 때문에 중간종료 및 중간출발 없이도 운행이 가능했었고, 당시에도 버스 운행시간 자체는 더 빠르거나 늦지도 않았다.
[21]
경산시 공동배차 노선, 순환 노선, 타사 차고지 착발 노선 등.
[22]
특히 B3번은 배차 순번을 잘못 배정하면 공차회송 거리가 아득히 멀어질 수 있어 청주공항이 가까운 업체는 청주공항에서, 세종터미널이 가까운 업체는 세종터미널에서 운행을 시작하도록 배차가 짜여져 있다. 또한 공차회송으로 낭비되는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오송행 단축 노선도 운행한다.
[23]
조치원발 마을버스, 11/12/13/300/910번, 52/53번, 201/202/204번, 222번(가스 한정), 340번, 430번, 550번, 801번(경유 한정), 991번은 이 두 조건을 모두 만족한다.그리고 991번 중 대곡리에서 운행 끝내는 차는 회송거리까지 상상초월
[24]
현재 대전시내버스 일반노선 105개 중 기점과 차고지가 같은 노선은 급행4번을 제외한 모든 급행노선(급행 1, 2, 3번)과 30, 108, 114, 216, 301, 311, 511, 513, 514, 611, 620, 704(
경익운수 소속만)번 노선들 뿐이다. 예외적으로 614번은 종점과 차고지가 가까운 편. 이마저도 기점출발, 종점출발 시간이 비슷하고, 중간출발도 있어서 일부는 엄청나게 먼 거리를 공차로 가야한다. 천안도 5, 87번을 제외하면 거의 다 기점이 차고지가 아니다. 물론 별도의 회차지를 만들어서 시종착을 담당하는 노선도 있다.(1, 2, 7, 12, 14, 21 등)
[25]
영일대해수욕장, 환호공원을 지나다보면 110번, 111번에 운행하는 버스들이 줄줄이 씩 가는 광경을 볼수있다. 특히 LED 전광판에는 '차고지행'으로 적힌것은 덤.
[26]
송도해수욕장회차지에는 당연히 정비소가 없다. 만약 정비소가 설치되면 바로 붙어있는 송도초등학교가 소음에 시달리게될테다...
[27]
포항은 1일 2교대 방식이라 오전에 운행하는 오전 조, 오후에 운행하는 오후 조로 나뉜다. 오후에 운행하게 될 110번, 111번을 오후 조는 배차 타이밍에 맞게 다시 송도해수욕장회차지로 향한다.
[28]
송도해수욕장회차지에는 충전소가 2대밖에 없어서 양덕차고지에서 충전하는 광경을 볼수있다. 110번, 111번에 운행하는 인가댓수 다 합치면 총 12대인데 2대로 버틸순없으니 당연하다.
[29]
단, 202번 계열, 206, 207, 230, 230-1번은 차고지와 종점이 달라서 공차회송이 필수였고 300번대 노선은 52시간 근무제 이전부터 이뤄지고 있었다.
[30]
유성-동서울 노선의 경우, 운행 종료 후 다시 터미널로 공차이동을 한다. 향후
유성복합터미널이 완공되기 전까지는 일단 서남부터미널로 이동은 해야하므로.
[31]
금호고속: 부천공장/송암공장, 동부고속: 용인공장/반곡차고지, 동양고속: 안양공장, 중앙고속/한일고속:동탄공장, 천일고속:부산공장 등
[32]
물론 동서울기점(연고지) 차량도 존재한다.
[33]
부산기점차량 제외
[34]
동서울기점 (연고지) 차량이 존재하지 않는다.
[35]
저비용항공사의 경우 중고 항공기를 도입할때도 포함된다.
[36]
에어부산의 항공기 인수 과정.
#
[37]
신규 도입하는 항공기가 광동체라면 (B787, A350등) 중간기착 없이 직항으로 페인 필드/찰스턴(보잉), 또는 툴루즈(에어버스)에서 인천으로 바로 오지만, 협동체의 경우 (A321neo, B737 MAX등) 항속거리로 인하여 중간기착을 한다. 보잉 항공기의 경우 페인 필드-앵커리지-삿포로(신치토세)-인천(또는 김포)으로 들어오고, 에어버스의 경우는 툴루즈-타슈켄트-인천(또는 김포)으로 들어온다.
[38]
KE127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