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7-21 14:28:52

지원운행

1. 개요2. 사례

1. 개요

주로 시내버스(혹은 농어촌버스, 마을버스 등)에서 볼 수 있는 운행 형태. 버스 노선이 없거나 운행이 뜸한 지역의 교통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정규노선 이외의 경로로 운행하는 행위를 가리킨다.

이런 운행형태가 나오는 이유는, 해당 지역의 교통수요가 존재하기 때문에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지만 정규노선을 만들 정도의 수익이 나올 만한 곳은 아니기 때문이라는 운행사와 행정당국의 판단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근처를 지나는 다른 정규노선을 선정해서 해당 지역으로 연장하거나 들어갔다 나오는 식으로 운행하는 경우가 많다.

지원운행은 보통 도시 외곽의 인구희박지역이나 농어촌인 경우가 많으며, 이외에도 시가지나 공단 등 출퇴근시간 통근수요를 잡기 위해 존재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특정 시간대나 날짜에만 수요가 발생하는 경우도 지원운행의 대상이 된다.

BIS나 회사에서 제공하는 노선안내 정보에 이런 지원운행 여부가 언급되면 그나마 다행인데, 안내고 뭐고 그런 거 없는 경우도 허다하다. 특히 초행길인 경우 지원운행 여부를 모르고 있다가 버스가 정규노선에 없는 경로로 빠진다면 100% 멘붕하기 십상이다. 그렇기 때문에 처음 보는 노선을 타려는 경우에는 해당 노선이 지원운행을 하는지 여부를 알아보는 것이 중요하다.

2. 사례

서울에서는 동호인에게 유명한 108번이 있었으나, 지금은 금천01번 독산파출소 가는 버스 이 외는 아예 폐선되었다. 대신 서울에서는 맞춤버스(8000번대)가 지원운행의 기능을 수행하고는 있다. 인구가 적은 지방으로 갈수록 시내버스 지원운행이 많은 편이다. 광역시 단위로는 울산이 많은 편[1]이고 대전, 광주 등에도 상당수 존재하며 인천에도 존재하지만 부산은 광역시 중에선 예외적으로 서울처럼 지원운행 노선이 거의 없다.

부산은 지원운행 노선이 73번 아침시간대 동래역, 90번 수~일요일 저녁시간대에 운행하는 스포원파크, 180번 아침시간대 해운대역 제외하고는 전무하다. 부산은 골목길, 외곽, 오지 노선을 마을버스로 운행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시내버스 대신 마을버스에서 지원운행을 자주 볼 수 있다. 부산광역시는 지리 특성상 산지가 많고 난개발 때문에 길이 복잡하며 도심에도 골목길도 많아서 전국에서 마을버스가 가장 발달한 곳이기 때문. 지원운행 노선이 없는 서울도 마찬가지지만, 마을버스가 발달한 곳일수록 시내버스 지원운행이 거의 없다. 서울 역시 마을버스와 맞춤버스가 발달한 곳이다. 부산 버스 37번의 명절연휴에 운행하는 추모공원 셔틀버스와 부산 버스 90 부처님오신날에만 운행하는 노선은 이문서에 적합하지 않아서 제외하였다.

외곽지 지원운행이 있고 중간 분리구간 때문에 보조행선판이 많기로 악명높았던 대구의 경우에는 몇몇 노선들이 일부 연장하는 형태로 운행하다가 2006년 2월에 개편하면서 아예 가지노선을 분리하여 신설하는 노선에 이관하는 형태가 늘어났지만, 전혀 없어진 것은 아니다.[2]

대전광역시에서는 71번[3], 102번[4], 116번[5], 301번[6], 세종 655번[7]이 지원운행을 한다.

부천에서는 20번이 등하교 시간 한정 송내고등학교로 지원운행에 나선다.

강원도 강릉시에서는 등하교시간대나 특정한 관광지, 산간마을에 지원운행을 한다. 솔향수목원에 들어가는 104, 성산면 산북리로 1번 들어가는 104-1번, 111-1번 오리동 경유, 113번 피내 연장, 300, 314, 315번의 과학산단 운행과 503, 505번의 강릉시청 경유가 대표적이다.

[1] 과거 농어촌버스로 운행했던 언양권이나 교통오지에 대한 순수한 의미의 지원운행도 있지만, 지원운행계통이 많은 진짜 이유는 공단 출·퇴근 때문이다. 언양권의 경우 원래 따로 운행했다가 타 노선과 통합하면서 통합된 노선이 지원운행을 승계받은 경우가 많다.(308번 등) [2] 하빈면을 오고가는 성서2번의 1일 3회 서문시장 운행, 다사읍 세천리, 이천리, 박곡리, 달천리를 오고가는 성서3번 팔달시장 운행, 618번, 849(-1)번의 금강동행, 101(-1)번의 덕곡동행, 401번의 능성동 예비군훈련장행, 칠곡2번의 신동재(칠곡농장)/추동교행, 달성3번의 현풍5일장날 한정 도동서원행, 동구6번의 내곡동행, 동구9번의 도덕마을행, 북구4번의 주말한정 대구국제사격장행(평일에는 사격장에서 대구 도시철도 3호선 팔달역까지 셔틀버스 운영) 등등 [3] 일부 차량 직동 경유 or 중간종료 [4] 주말/공휴일 09시~18시 국립대전현충원 경유 [5] 1일 6회 반석1통 경유 [6] 1일 25회 둔원고등학교 경유 [7] 109번이 국도 경유로 노선을 바꾸면서 외삼차량기지 지원운행 노선을 이어받은 형태로, 세종발은 매시 30분, 충남대발은 매시 정각 출발 차량이 경유한다. 대전시내에서 지원운행을 하는 유일한 타지 노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