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07 12:04:20

김무생

김무생의 관련 둘러보기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김무생의 주요 수상 이력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백상예술대상로고(1).png
파일:baeksangartsawards4.png
TV 부문 남자 최우수 연기상
제11회
( 1975년)
제12회
( 1976년)
제13회
( 1977년)
문오장
(조총련)
김무생
( 집념)
신구
( 타향)
김진해
(처용무)
한진희
(맏며느리)

파일:한국방송대상 심볼.svg 한국방송대상
탤런트상
고두심
(1985년)
<colbgcolor=#FFFFA1,#5D5E00> 김무생
(1986년)
유인촌
한혜숙
(1987년)
}}} ||
{{{#!wiki style="margin: -6px -10px" <tablewidth=100%><table bordercolor=#2282b9> 파일:KBS 성우극회 로고.png KBS 성우극회
소속 성우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2282b9><colcolor=#fff><rowcolor=#fff> 기수 및 연도 성우
특기
(1948)
구민, 양일민, 윤진, 이춘사, 장민호†, 최무룡
남해연†, 박현숙†, 백금녀†, 복혜숙†, 이혜경†, 장서일
제1기
(1954)
김수일, 박용기†, 신원균†, 심영식, 오승룡†, 이창환
고은정, 김소원, 김소희, 윤미림†, 최옥순
1955 김기갑, 김재형†, 이우영†, 주상현
김복희, 김옥희, 서계영, 정은숙†, 천선녀
제2기
(1956)
김성원†, 김영배, 김인태†, 김현직†, 남성우†, 류기현†, 심완기, 정근우, 최길호†, 최을선
안영주†, 임옥영
1957 김형진†, 이승길
유병희
제3기
(1958)
남일우†, 박병오, 박신호, 오정환, 우한수, 최응찬
전계현
1960 맹관영, 정건우†, 황일청
김영옥, 오현주, 전원주, 황화자
제4기
(1961)
김민규, 김장환, 이강식정철호, 최흘
고경미, 김선희, 김순원, 김순자, 김용림, 오해영, 이광자, 이은주, 이혜영, 정연옥, 최난희, 추영순
제5기
(1961)
김경호, 김계원†, 김인배, 민대식, 신세인, 양충, 이기명, 임종국†, 채동식
제6기
(1962)
마옥자, 박민아, 박향자, 이승옥, 현혜정
1963 김규상, 김무생†, 김영식, 박웅, 이봉우, 이완호†, 진성만, 홍계일
권미혜, 김선희, 김수희, 김인순, 김훈미, 남미라, 박정자, 박찬옥, 사미자, 손유진, 송영숙, 양구자, 오경자, 이경애, 이정선, 장미자, 전원주, 전윤희, 최지숙
제7기
(1964)
김종성, 안종국†, 유강진, 이강룡, 이치우†, 조명남
김세원, 우소연, 이선영, 이영민, 장유진
제8기
(1965)
박상일†, 유재덕, 원한묵
정민희
1966 김병관†, 김봉근, 배한성, 안정훈†, 황원
박영남, 박윤아, 방유성, 이민자, 이주실, 홍금숙
제9기
(1967)
김용식, 김진동†, 김태연†, 박상규, 박춘일, 이광세, 이성주, 이영래, 장건일†, 정기항, 조달호†, 차재완
김순환, 김을동, 노명순, 마혜진, 명순희, 문옥현, 송도순, 이소연, 최희정
제10기
(1968)
김승경, 김정경, 남궁윤, 온영삼, 유민석, 윤병훈†, 이동주, 이종성
권영희, 김숙, 김정희, 나병옥, 이경자, 이민숙, 이정은, 임수아, 정영숙, 주희
제11기
(1969)
박광남†, 송두석, 양지운, 오필탁, 유만준, 이정환, 이종임, 주호성, 탁원제
나수란†, 최수민
제12기
(1970)
김규식, 김세한, 송용태, 이근욱, 이인성, 한상덕
김정미, 손정아
제13기
(1971)
김도현, 김동희, 노민, 문영래, 박상규, 윤주상, 이인성, 이재명
강연숙, 박윤경, 이영주, 최은숙, 한혜숙
제14기
(1972)
김기섭, 김동수†, 김정호, 엄주환
남현경, 이민정
1973 김진태, 박찬, 송세윤, 신동훈, 정동환
김민, 박은숙, 서금옥, 성선녀, 유지영, 이숙, 이향숙, 최옥희
1975 김용채, 조동희
장미선, 최복금, 한수경
1976 설영범, 오세홍
권희덕†, 송연희
제15기
(1977)
김난일, 김새영, 김용백, 김환진, 백진, 서학, 송찬, 이윤선, 이정구, 이종구, 장정진†, 정동열
강미형, 고선형, 김성희, 김정애, 박신영, 성병숙, 안경진, 유명숙, 이연수, 이진화, 정경애†, 한명희, 한인숙, 허경림, 현숙희, 황복희
1978 나한일, 서지원†, 유해무, 이봉준, 임효택, 장광, 이병철
전기병, 홍경화
1979 박제길, 유영환, 윤기황
강희선, 이나진†, 임은정, 홍영란, 황정란
제16기
(1980)
김창주, 신흥철, 유제상, 이호인
서미옥, 이연희, 이주옥, 최문자
제17기
(1982)
김종환, 김준, 백순철†, 안종익, 윤병화, 이규화, 장세준†, 장승길
김수경, 김혜경, 문지현, 서혜정, 유남희, 임은영
제18기
(1983)
강구한, 김영민†, 김익태, 성창수†, 유동현, 임성표, 최병상†, 이경영
이선희, 윤인석†, 이다금, 정옥주
제19기
(1984)
김태웅, 손원일
류선, 박수옥, 이현선, 정미숙
제20기
(1986)
박규웅, 박상훈†, 박홍식, 홍시호, 김하균
강은영, 권현수, 김양희†, 김옥경, 김정주†, 김혜미, 박은경, 신상숙, 조미란, 차명화, 최아란, 함수정, 황재경, 한상영, 임원빈
제21기
(1988)
강수진, 경진호†, 김민석, 문관일, 서문석, 이재용, 이현걸, 홍승섭
문일옥, 송덕희, 안정실, 이덕, 임명주, 장혜선, 조현옥, 최덕희, 최윤정, 한경애
제22기
(1990)
김경응, 김수중, 김승준, 김일†, 김한희†, 남기원, 서광재, 한석규, 한택심, 한호웅, 홍성헌
김순영, 김은아, 문선희, 박미선, 이연승, 임란, 조유연, 조진숙
제23기
(1992)
구자형, 김관진†, 김소형, 서윤석, 성완경, 손선근, 오인성, 이승주, 장호비, 전인배
권성은, 김지민, 김희선, 박성현, 배정미, 서민이, 송민경, 안소연, 양정애, 오세윤, 오수경, 이선, 정미경, 홍성희
제24기
(1994)
김영진, 박정민, 성수경, 이주원
김수진, 김진주, 박형욱, 신영애, 신혜경, 이용순, 이윤수, 이윤정, 이태경, 임아영, 장우영, 전유정, 주유랑, 최윤아
제25기
(1995)
김경수†, 김승태, 김우정, 석원희, 이원준, 정훈석, 조영호
구민선, 은영선, 임미진
제26기
(1997)
류다무현, 변영희, 원호섭, 유동균, 이장원, 임진응
김상현, 오길경, 은미, 이명원, 정소희, 정현경, 한정미
제27기
(1999)
사성웅, 안용욱, 양석정, 윤세웅, 이규석
김지혜, 민지, 소연, 신소윤, 이현주
제28기
(2000)
고재균, 김래환, 변현우, 임채헌, 위훈, 최정호
김명주, 김민아, 김정아, 김혜주, 윤현정†, 이주연
제29기
(2002)
박찬희, 신찬혁, 유호한, 윤동기, 이재웅, 홍진욱
김희영, 나지형, 송정희, 이미향, 임주현, 전숙경
제30기
(2003)
곽윤상, 김대중, 손정성, 이광수, 진웅, 최창석
권연희, 서지연, 안영아, 유지원, 은정, 최하나
제31기
(2005)
박영재, 방우호, 심승한, 이지환, 주재규, 차진욱
박지윤, 양현, 오인실, 윤승희, 이승주, 홍선영
제32기
(2006)
김석환, 남도형, 백승철, 이병용, 장민혁, 정형석
강유경, 김희진, 박희은, 안소이, 전지원, 전진아
제33기
(2008)
김목용, 김태영, 이문희, 전승화, 정성훈, 조규준
강보라, 배진홍, 안찬이, 양유진, 조세령, 최정현
제34기
(2009)
김두용, 김상백, 배영규, 윤호, 이찬우, 임정길
신송이, 우현주, 이미연, 이미형, 이제인, 홍수정
제35기
(2010)
백선우, 이희탁, 조연우, 최현철, 한복현
권문정, 공경은, 김태리, 김소희, 지화정
제36기
(2011)
권도일, 권창욱, 김도담, 김동하, 박상훈, 탁원정
강규리, 김민신, 박상경, 사문영, 선은혜, 이영미
제37기
(2012)
김인, 박노식, 백성식, 전상조, 조민수, 채안석
금령, 김두리, 김자연, 윤정화, 조경아, 최윤정
제38기
(2013)
김현수, 박진우, 신범식, 심인종, 윤용식, 전종구
길라영, 김사라, 우성은, 이아름, 전영수, 한혜정
제39기
(2014)
공준호, 서승휘, 송대선, 이상운, 임호기, 장병관
김경진, 김한나, 문지영, 변혜숙, 안세미, 이슬
제40기
(2015)
김진수, 석승훈, 이규창, 이정민, 장희문, 허성재
민아, 남유정, 서다혜, 오주희, 이명호, 이자영
제41기
(2016)
구지원, 선우현수, 이진무, 정의진, 최결, 홍후백
김성화, 리우, 송하랑, 이다슬, 이현애, 채지희
제42기
(2017)
김용, 김인형, 박주광, 임주완, 하지형
신온유, 이지선, 임희진, 최하리, 허예은
제43기
(2018)
김용석, 나은혁, 서정익, 오해성, 이명상
김나혜, 나인애, 박하진, 방시우, 혜원
제44기
(2019)
김희승, 송백경, 장지민, 지병문, 황원종
김다운, 김봄, 김이안, 김성희, 유인선
제45기
(2020)
송기원, 유선일, 이수안, 최현식
박의주, 정해은, 천송이, 한이정
제46기
(2021)
박기욱, 박성광, 윤세하, 이창현
김순미, 배하경, 수현, 이눈솔
제47기
(2022)
이주봉, 이현준, 임의주, 전병하
강한별, 권선영, 오은수, 최현지
제48기
(2023)
박준모, 이도하, 전종건, 최우성
박송, 엄지은, 임지현, 주예진
제49기
(2024)
김시우, 김용효, 정상일, 최인일
김정운, 배주원, 유승희, 정수현
타 성우극회: 대교방송 · 투니버스 · CBS · EBS · 대원방송 · MBC · PBC
※ 송백경 성우를 포함 회색은 문서가 없는 성우이고, 최연소 성우는 밑줄로, 최고령 성우는 볼드체로 은퇴한 성우나 제명되거나 사망한 성우는 취소선으로 한다. }}}}}}}}}

}}} ||
<colbgcolor=#5d0000><colcolor=#ffffff> 김무생
金茂生|Kim Mu-saeng
파일:김무생_배우.jpg
출생 1940년 3월 16일[1][2]
충청남도 서산군 대산면 독곳리[3][4][5]
사망 2005년 4월 16일 (향년 65세)
서울특별시 강남구 일원동 삼성서울병원
묘소 충청남도 서산시 대산읍 대로리 815-8[6]
국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본관 경주 김씨[7][8]
가족 할아버지 김동구(1876~1906)[9]
할머니 박천대(1879~1966)[10]
아버지 김장환(1906~1958)[11]
어머니 장옥순(1911~1947)[12]
배우자 김의숙(1947~2015)[13]
장남 김주현(1970년생),
차남 김주혁(1972~2017)[14]
학력 대산국민학교[15] (전학)
인천송현국민학교 (졸업)
동산중학교 (졸업)
동산고등학교 (졸업)
동국대학교 문리과대학[16] (연극영화학 / 학사)
데뷔 1963년 동아방송 1기 성우
1963년 KBS 6기 성우
1964년 TBC 공채 1기 성우
1969년 MBC
1. 개요2. 배우 활동3. 출연 작품
3.1. 영화3.2. 드라마
4. 수상5. 사망6. 여담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 배우.

2. 배우 활동

지금의 충청남도 서산시 대산읍 독곶리 태생으로[17] 동국대학교 연극영화과 졸업이후인 1963년 동아방송 1기, 1964년 동양방송 성우 공채 1기로 데뷔하였으나[18] 1969년에 MBC가 개국한 후 특채 탤런트로 텔레비전으로 정식 데뷔했다.

주로 박근형과 비슷하게 냉철한 재벌 총수 등을 많이 맡았는데 사랑과 진실, 청춘의 덫이 대표적이다. 단 박근형이 보통 피도 눈물도 없는 냉혈한으로 나오는데 반해 김무생은 같은 높으신 분이어도 좀 더 감정이 있는 연기를 했다는 게 차이점. 또한 박근형의 경우는 1980년대 초까지 멜로 드라마에서 주인공, 즉 청년 역을 주로 맡은 반면 김무생은 실제 연령이 박근형과 같은 나이임에도 불구하고 노안 덕에 꽤 젊은 나이인 1970년대부터 중년이나 노역을 맡았다는 것도 차이점이다.[19]

하지만 높으신 분만 맡은 것도 아니라 서민적인 아버지 역도 많이 맡았으며 경찰특공대에서는 테러 조직 두목 역을 맡아서 간지폭풍을 보여주기도 했다.

한편으로는 사극에도 많이 출연했으며 허준, 송시열, 임해군 등 다양한 인물들을 연기했는데, 그중에서도 가장 유명한 역할은 단연 용의 눈물 이성계 조선왕조 오백년 이순신이다. 가히 레전설급 연기로, '용의 눈물'에서는 태종 이방원역을 맡은 유동근과 막상막하의 연기대결을 벌였다. 그리고 제2공화국, 제3공화국에서는 장면 국무총리 역을 맡기도 하였다. 용의 눈물보다 앞서 조선왕조 오백년에서도 이성계를 연기했으며, 그 영향 탓인지 그 이후 김무생은 이성계 전문배우가 되었다. 어떤 사극을 찍든 이성계역에는 거의 무조건 김무생이 배역을 맡다시피했다.[20] 용의 눈물이 한창 진행되던 때 내가 사는 이유에서는 찌질하고 몰염치한 아버지역을 맡아 연기했는데, 근엄하고 엄격한 태조 이성계와 너무나도 명백히 대비되었으며, 이 극과 극의 연기를 동시에 둘 다 잘했다는 것이 김무생의 역량을 보여준다.

3. 출연 작품

3.1. 영화

<rowcolor=#ffffff> 연도 제목 배역 비고
1985년 깊고 깊은 그 곳에
2000년 시월애 한석진
2004년 고독이 몸부림 칠 때[21] 조진봉
어깨동무 태식 부

3.2. 드라마

<rowcolor=#ffffff> 연도 방송사 제목 배역 비고
1967년 파일:동양방송 로고.svg 이성계 [22]
1975년 파일:MBC 로고(1974-1981).svg 집념 허준
1976년 사미인곡 송시열
1978년 청춘의 덫 노 회장 [23]
1979년 산이 되고 강이 되고
1980년 변명
백년손님
아베의 가족
의친왕 흥선대원군
1981년 안녕하세요
제1공화국 조병옥
파일:MBC 로고(1980-1981).svg 아빠의 수염
1982년 파일:MBC 로고(1981-1985).svg 남강 이승훈 이승훈
시장 사람들
신규식
서궁마마 임해군
1983년 한국인의 재발견 시리즈 - 광대가 신재효
조선왕조 오백년 추동궁마마 이성계
1984년 조선총독부 데라우치 마사타케
추사 김정희
사랑과 진실 김회장
1985년 남자의 계절 송필달
조선왕조 오백년 임진왜란 이순신
1986년 파일:MBC 로고(1986-2005).svg 사이공 억류기
풀잎마다 이슬 양석찬
1987년 도시의 얼굴 이도진
천둥소리
산하 조병옥
1988년 푸른계절 한 교수
1989년 유산 박비서
제2공화국 장면
당신의 축배 김채봉
1990년 춤추는 가얏고 유당
아직은 마흔 아홉 서 교수
1991년 무동이네 집 무동이 아빠
1992년 파일:SBS 로고(1991-1994).svg 궁합이 맞습니다 진욱 부
1993년 열정시대
파일:MBC 로고(1986-2005).svg 제3공화국 장면
당신 없는 행복이란 박상도
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 합이 셋이오
파일:KBS 1TV 로고(1984-2018).svg 당신이 그리워질 때 이완호
1995년 바람은 불어도 황정운
1995년 파일:SBS 로고(1994-2000).svg 장희빈 조사석
1996년 부자유친 송진남(송사장)
파일:MBC 로고(1986-2005).svg 화려한 휴가
파일:KBS 1TV 로고(1984-2018).svg 용의 눈물 이성계
1997년 파일:MBC 로고(1986-2005).svg 내가 사는 이유 박성달
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 웨딩드레스 김택두 [24]
1998년 맨발의 청춘 정명석
파일:SBS 로고(1994-2000).svg 서울 탱고 조평달
파일:MBC 로고(1986-2005).svg 마음이 고와야지 김필호
파일:KBS 1TV 로고(1984-2018).svg 대추나무 사랑걸렸네 2기 양덕삼
1999년 파일:SBS 로고(1994-2000).svg 청춘의 덫 노태섭
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 누룽지 선생님과 감자 일곱 개 황구탁 [25]
파일:SBS 로고(1994-2000).svg 맛을 보여 드립니다 종갑
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 만남
2000년 파일:SBS 로고(1994-2000).svg 경찰특공대 김용태
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 RNA 무라야마 박사
2001년 인생은 아름다워 유상철
여자는 왜 김무생
2002년 파일:KBS 1TV 로고(1984-2018).svg 제국의 아침 왕규
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 태양인 이제마 충원공
2003년 파일:MBC 로고(1986-2005).svg 옥탑방 고양이 이필득
2004년 파일:SBS 로고.svg 폭풍 속으로 유병석
2004~2005년 마지막 춤은 나와 함께 강 회장 유작

4. 수상

<rowcolor=#ffffff> 연도 수상 작품 비고
1969년 제5회 백상예술대상 연극부문 신인상
1986년 제13회 한국방송대상 TV 남자연기상
1976년 제12회 백상예술대상 TV부문 남자 최우수연기상 집념
MBC 연기상[26] 탤런트부문 남자 최우수연기상
1984년 제23회 대종상 남우조연상 깊고 깊은 그 곳에
1997년 KBS 연기대상 남자 최우수연기상 용의 눈물 서인석과 공동 수상
2005년 SBS 연기대상 공로상[27] 김주혁이 대리수상[28]

5. 사망

2005년 4월 16일 오전 3시 30분, 강남구 일원동 삼성서울병원에서 폐렴 악화로 인해 향년 65세의 나이에 세상을 떠났다. 워낙 노역을 많이 맡았던 배우라 사망 당시 굉장히 나이가 많은 것처럼 느껴졌으나, 동년배의 배우들이 여전히 현직에서 활약하고 있다는 것을 볼 때 참 안타까운 죽음이었다.[29] 김무생 사후 10년 뒤인 2015년 7월 4일 아내가 뒤이어 세상을 떠났고, 2017년 10월 30일 작은 아들 김주혁까지 교통사고로 사망하였다.

서울시립승화원에서 화장되어 청아공원에 안치되어 있었지만 2006년 충남 서산에 가족묘가 조성되면서 이장하였고, 2015년 부인이 사망하면서 가족묘에 합장했다. 현재 가족묘에는 김무생의 조부모,부모님,본인 부부와 차남 김주혁의 유골함이 안치되어 있다.

6. 여담



[1] 그동안 알려진 네이버 프로필상의 1943년 3월 16일생은 주민등록(호적)상의 생년월일인데 실제로는 1940년 3월 16일생이다. 배우 김용림이 배우 김무생과 동갑이라고 언급했다. [2] 묘에는 1943년 3월 16일 출생으로 기재되어있다. [3] 충청남도 서산시 대산읍 독곶리 [4] #에 따르면, 독곶리에서 태어나 대로리에서 살기도 했다고 한다. 대로리는 경주 김씨 집성촌이며, 인근의 대산리, 오지리, 대죽리, 화곡리 등에도 경주 김씨가 많이 산다. [5] 출신학교에서 알 수 있듯이 성장한 곳은 인천광역시 동구. [6] 돌표지판으로 가는 길 안내판이 있으며, 해당 돌 표지판엔 둘째 아들인 김주혁의 이름도 적혀져 있다. 김주혁도 사망 이후 같은 자리에 안장되었기 때문이다. [7] 묘에서 "慶州金六十二世" (경주 김씨 62대손) [8] 계성군파(鷄城君派)이다. [9] 묘: "慶州金六十世" (경주 김씨 60대손), "慶州金公東九" (경주 김공 동구), 1876년 ~ 1906년. [10] 묘: "密陽朴氏千代" (밀양 박씨 천대), 1879년 ~ 1966년. [11] 묘: "慶州金六十一世" (경주 김씨 61대손), "慶州金公章煥" (경주 김공 장환), 1906년 ~ 1958년. [12] 묘: "德水張氏玉順" (덕수 장씨 옥순), 1911년 ~ 1947년. [13] 묘: "金海金氏義淑" (김해 김씨 의숙), 1947년 ~ 2015년 [14] 배우, 2017년 10월 30일, 교통사고로 사망. [15] 現 대산초등학교 [16] 동국대학교 연극영화과 1기이며 아들 김주혁과 동문이다. 1박 2일에서 김주혁이 밝히길, 합격자 명단 발표 때 동행했다고 한다. [17] 태어난 것은 충남이지만 청소년기 학창시절은 인천광역시에서 보냈으며 동산고등학교 출신이다. [18] 당시 동기로는 유강진. 김종성 등이 있다. 직속 후배였던 배한성의 말로는 라디오 드라마에서 코믹한 조연 연기가 돋보였다고. 성우로서 가장 잘 알려진 배역은 TBC에서 방영한 서부극 외화 <보난자>의 '벤 카틀라이트'가 있다. [19] 70년대에는 사람들이 30대를 중년 초입으로 여겼다는 점+노인 배우들이 없어 일부 배우들이 젊은 시절부터 노역을 맡았다는 점을 감안하면 김무생이 다소 노안인 것도 있지만, 40대 들어서까지 미남형의 얼굴로 멜로를 소화하던 박근형이 꽤 특이한 케이스다. 75년 드라마에서 김무생이 허준 역할을 맡을 때 6살 많은 이순재가 스승 유의태 역할을 맡기도 했다. [20] 조선왕조 오백년보다도 훨씬 이전 드라마인 1967년 TBC에서 방영한 이성계(극본 신봉승)에도 김무생이 출연했지만, 이성계 역은 김성원 이 연기하였다. [21] 충무로에서 오랜만에 중견~원로배우들이 주축인 영화를 제작해 화제였다. [22] 물론 여기서 이성계 배역을 맡은 게 아니다. 여기서의 이성계는 김성원이고 사람들은 이방원으로 추측 중이다. 본격적인 이성계는 16년 뒤인 1983년 MBC에서 만든 조선왕조 오백년의 첫 에피소드인 추동궁 마마에서 이성계 역을 맡았고 조선왕조 오백년. 그러나 이후 13년 뒤인 1996년 KBS에서 만든 용의 눈물에서도 같은 배역을 또 연기했다. [23] 21년 뒤, SBS 리메이크작에도 출연하여 같은 배역을 또 연기했다. [24] 김하나, 두나 자매의 할아버지. 아들(하나, 두나의 아버지) 역의 김용건보다 불과 6살 많다. [25] 용의 눈물의 조연출이었던 이교육 PD의 첫 연출작이었으며 이 인연으로 유동근도 함께 출연하였다. [26] 現 MBC 연기대상. [27] 유작이 SBS에서 방영된 마지막 춤은 나와 함께였기 때문에 이를 기리며 수상. [28] 아버지에 대한 그리움이 담긴 수상소감을 전해 시상식장을 잠시 숙연하게 만들었다. 김무생의 생전 활동 영상이 나올 때는 끝내 눈물을 흘리기도 했다. 당해에 프라하의 연인이 흥했던 관계로 김주혁 본인도 최우수연기상을 수상했다. [29] 사실 용의 눈물 촬영 당시에도 건강 우려로 인해 초반만 나오기로 생각할 정도였다고 한다. [30] 1984년 제23회 대종상 시상식에서 남우조연상을 수상한 사진이 걸려 있다. [31] 또한, 김주혁을 추모하는 뜻에서 특별상도 수상하였고, 이후에 청룡영화상 백상예술대상 시상식에서도 남우조연상을 수상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