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17 22:13:23

서동진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배우에 대한 내용은 서동진(배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인플루언서에 대한 내용은 서동진(1992)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옛 경상북도 도기.svg 경상북도 제3대 민의원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대구 갑 포항 김천
서동진 조병옥 이우줄 하태환 문종두
달성 의성 을 안동 갑
조재천 박만원 공석
전임자: 박영출
박영교 권오종
안동 을 청송 영양 영덕 영일 갑
김익기 윤용구 박종길 김원규 박순석
영일 을 경주 갑 경주 을 영천 갑 영천 을
김익노 김철 이협우 김상도 권중돈
경산 청도 고령 성주 칠곡
박해정 김보영 김홍식 공석
전임자: 도진희
장택상
금릉 선산 상주 갑 상주 을 문경
김철안 김우동 공석
전임자: 김달호
백남식 윤만석
예천 영주 봉화 울릉
현석호 이정희 정문흠 최병권
}}}
}}}}}}

파일:옛 경상북도 도기.svg 경상북도 제5대 민의원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대구 갑 대구 정 대구 무
서동진 서상일 임문석 조재천 조일환
대구 기 안동 을 경주
장영모 공석 김시현 박해충 오정국
김천 달성 군위 의성 갑 의성 을
김세영 박준규 문명호 오상직 우홍구
청송 영덕 영양 영일 갑 영일 을
심길섭 김영수 공석 최태능 최해용
월성 갑 월성 을 영천 갑 영천 을 경산
김종해 황한수 조헌수 권중돈 박해정
청도 고령 성주 칠곡 금릉
김준태 곽태진 주병환 장택상 우돈규
선산 상주 갑 상주 을 문경 예천
신준원 홍정표 김기령 이병하 현석호
영주 봉화 울릉
황호영 최영두 전석봉
* 포항 이상면 당선 무효 (1961.4.11.)
* 영양 박종길 자격 상실 (1961.4.25.)
}}}
}}}}}}

{{{#!wiki style="margin: -7px -10px -10px;"
{{{#!wiki style="margin: -6px 0px -1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000080><tablebgcolor=#000080>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000080><tablebgcolor=#000080>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윤보선 정일형 김도연 김상돈 김재곤
곽상훈 신하균 강승구 천세기 신정호
신각휴 이충환 김기철 이태용 육완국
이석기 김영선 성원경 이철승 김판술
유진산 김상현 윤제술 소선규 정성태
정중섭 정재완 윤형남 민영남 유옥우
김의택 조영규 김선태 서동진 조병옥
조재천 권오종 권중돈 박해정 현석호
김동욱 최천 김영삼 윤병호 }}}
}}}}}}

{{{#!wiki style="margin: -7px -10px -10px;"
{{{#!wiki style="margin: -6px 0px -1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000080><tablebgcolor=#000080>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000080><tablebgcolor=#000080>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한근조 주요한 정일형 유성권 홍용준
서범석 김산 신상초 장면 김원만
윤명운 김재곤 곽상훈 김훈 조윤형
허혁 김영구 홍익표 천세기 박주운
김윤식 이병헌 허길 계광순 박충모
김명윤 양덕인 태완선 신기복 김준섭
김대중 함종빈 최경식 김광준 김기철
신정호 김창수 박기종 민장식 이충환
김사만 이태용 유진영 성태경 엄대섭
김학준 이석기 우희창 김영선 이상철
성원경 장경순 안만복 이규영 성기선
류청 이철승 김판술 이춘기 이정원
배성기 신현돈 송영선 한상준 윤정구
홍영기 나용균 송을상 조한백 조규완
윤택중 정성태 김용환 이필선 김문옥
정재완 고몽우 김동호 고기봉 김석주
김우평 조연하 박형근 박민기 고영완
양병일 김채용 김옥형 유옥우 주도윤
정문채 이경 김의택 김선태 박희수
서동진 임문석 조재천 조일환 오정국
우홍구 박해충 최태능 최해용 황한수
조헌수 박해정 김준태 주병환 홍정표
이병하 현석호 황호영 김응주 김동욱
최성욱 이만우 박순천 이종린 이종남
박찬현 김명수 정남규 김용진 김병진
강봉용 한종건 박기정 백남훈 최영근
조일재 최원호 이양호 서정귀 윤병한
정헌주 김종길 조명환 정준현 신중하
정길영 홍문중 }}}
}}}}}}

파일:external/tv.pstatic.net/yonhapnews_28370165.jpg

徐東辰
1900년[1] 1월 16일 ~ 1970년 1월 15일 (향년 69세)

1. 개요2. 생애3. 선거 이력

1. 개요

대한민국의 전 화가, 교육자, 정치인이다. 본관은 달성(達城)[2], 호는 소허(小虛).

독립유공자 서동성(徐東星)은 둘째 형이다.

2. 생애

1900년 1월 16일 경상북도 대구군 동상면 남성리(現 대구광역시 중구 공평동 21-1번지)에서 아버지 소주(小洲) 서기수(徐琦洙, 1868 ~ ?.4.3)[3]와 어머니 파평 윤씨 윤매주(尹梅周, ? ~ ?.2.11) 사이에서 4남 3녀 중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4] 아버지 서기수는 대구군 지역 유지였고, 외조부 윤성항(尹成恒)은 1886년( 고종 23) 사헌부 감찰(監察)[5], 1887년(고종 24) 예안 현감(禮安縣監)[6], 1895년(고종 32) 장기 군수(長鬐郡守)[7] 등을 지낸 관료 출신이었다.

계성학교[8]에 진학한 뒤 당시 교사로 근무하던 이상정에게 미술을 처음 배웠다. 그러던 1921년 6월 동맹휴학을 주도한 일로 인해 퇴학 처분을 받았다. 이후 휘문고등보통학교[9]에 편입한 뒤 고희동에게 미술을 배웠고, 1924년 졸업한 뒤에는 6개월간 모교인 계성학교에서 교사로 근무하였다. 그 뒤 2년간 일본에서 유학하면서[10] 수채화 판화 기법을 익혔다.

귀국한 뒤 줄곧 화가로 활동하는 한편, 1926년부터 1940년까지 대륜중학교 대륜고등학교의 전신인 교남학교(嶠南學校)에서 보수를 받지 않고 미술교사로 근무하였다. 1924년 6월 28일부터 6월 29일까지 대구소년회에서 주최하고 동아일보사 대구지국에서 후원하는 대구아동자유화전람회가 개최되자 심사원으로 참석했다. 1925년에는 영일군 송라면에 있던 광흥학교(廣興學校)에 이사로 참여했다. 1927년 6월 11일부터 6월 13일까지 동아일보사 대구지국 주최로 지난 해 전공 특선한 수채화의 개인 전시회를 개최했다. 1928년 제7회 조선미술전람회 제2부 서양화 부문에 「驛の附近」이라는 작품을 출품해 입선했고, 그해 7월 7일부터 7월 9일까지 동아일보사 대구지국 주최 하에 개인 전람회를 개최했다. 1929년 제8회 조선미술전람회 제2부 서양화 부문에 「驛の構內」라는 작품을 출품해 입선했다.

이후 대구미술사(大邱美術社)를 창립해 사장에 취임했고, 1930년 9월 교남학교가 재개교하자 교사 부임했다.[11] 1930년 10월에는 향토회(鄕土會)에서 제1회 서양화전람회를 개최하자 이에 작품을 출품했다. 1931년 제10회 조선미술전람회 제2부 서양화 부문에 「午後の風景」이라는 작품을 출품해 입선했고, 1932년 제11회 조선미술전람회 제2부 서양화 부문에 「裏通リ」라는 작품을 출품해 입선했다. 1935년 9월 교남학교 교사로서 간친회 간사를 역임했고, 그해 11월에는 대구향토회 주최 제6회 미술전에 참여했다.

8.15 광복 후에는 경상북도청년회 회장, 경상북도 원호회 회장, 경상북도 후생회 회장, 대구금융조합 감사, 영남일보사 취체역, 전국문화단체총연합회 경상북도지부 위원장 등으로 활동하였다.

1950년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 후보로 경상북도 대구시 갑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무소속 조경규 후보에 밀려 2위로 낙선하였다. 1954년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국민당 후보로 경상북도 대구시 갑 선거구에 출마하여 무소속 최희송 후보를 꺾고 당선되었다. 이후 민주국민당 경상북도당 최고위원으로 활동하였다. 1955년 민주당 창당에 참여하였고, 이후 계보상으로는 신파에 속하였다. 1958년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당 후보로 경상북도 대구시 갑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친여 무소속 신도환 후보에 밀려 2위로 낙선하였다.

1960년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당 후보로 경상북도 대구시 갑 선거구에 출마하여 사회대중당 최석채 후보를 꺾고 당선되었다. 이후 대한민국 국회 민의원 외무위원회(현 외교통일위원회) 위원장으로 활동하였다. 1963년 제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재건 민주당에 속하였다.

1970년 1월 15일 저녁 6시 40분 대구시 남구 대명동 182번지 청구주택 자택에서 숙환으로 사망했다.

3. 선거 이력

연도 선거종류 선거구 소속정당 득표수(득표율) 당선여부 비고
1950 제2대 국회의원 선거 경북 대구 갑[12]

[[무소속(정치)|
무소속
]]
6,512 (18.75%) 낙선 (2위)
1954 제3대 국회의원 선거

21,211 (41.30%) 당선 (1위) 초선
1958 제4대 국회의원 선거

10,840 (38.78%) 낙선 (2위)
1960 제5대 국회의원 선거 21,208 (73.79%) 당선 (1위) 재선

[1] 달성서씨세보 권10 891쪽에는 1901년생으로 등재되어 있다. [2] 현감공파(縣監公派)-순수공계(舜壽公系) 24세 동(東) 항렬. [3] 족보명 서상기(徐相琦), 자는 기옥(奇玉). [4] # [5] # [6] # [7] # [8] 대구 계성고등학교 [9] 휘문고등학교 [10] # [11] 김상열 제3대 경북대학교 총장, 이효상 국회의장, 권중휘 제7대 서울대학교 총장 등과 함께 부임했다. [12] 제1선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