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2em"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선캄브리아 시대 Pre-Cambrian | ||||||||||||||
명왕누대 Hadean Eon | 은생누대 Cryptozoic Eon | ||||||||||||||
시생누대 Archean Eon | 원생누대 Proterozoic Eon | ||||||||||||||
초시생대 | 고시생대 | 중시생대 | 신시생대 | 고원생대 | 중원생대 | 신원생대 | |||||||||
시데리아기 | 리아시아기 | 오로시리아기 | 스타테리아기 | 칼리미아기 | 엑타시아기 | 스테니아기 | 토니아기 | 크라이오제니아기 | 에디아카라기 | ||||||
현생누대 Phanerozoic Eon | |||||||||||||||
고생대 | 중생대 | 신생대 | |||||||||||||
캄브리아기 | 오르도비스기 | 실루리아기 | 데본기 | 석탄기 | 페름기 | 트라이아스기 | 쥐라기 | 백악기 | 팔레오기 | 네오기 | 제4기 |
신생대 Cenozoic Era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제4기 Quaternary |
인류세 Anthropocene (비공인) |
|
홀로세 Holocene |
메갈라야절 Meghalayan |
||
노스그리피아절 Northgrippian |
|||
그린란디아절 Greenlandian |
|||
플라이스토세 Pleistocene |
타란토절 Tarantian |
||
이오니아절 Ionian |
|||
칼라브리아절 Calabrian |
|||
젤라시아절 Gelasian |
|||
신제3기 Neogene |
플라이오세 Pliocene |
피아첸차절 Piacenzan |
|
잔클레아절 Zanclean |
|||
마이오세 Miocene |
메시나절 Messinian |
||
토르토니아절 Tortonian |
|||
세라발리아절 Serravallian |
|||
랑기아절 Langhian |
|||
부르디갈리아절 Burdigalian |
|||
아키타니아절 Aquitanian |
|||
고제3기 Paleogene |
올리고세 Oligocene |
카티아절 Chattian |
|
루펠리아절 Rupelian |
|||
에오세 Eocene |
프리아보니아절 Priabonian |
||
바토니아절 Bartonian |
|||
루테티아절 Lutetian |
|||
이프레시아절 Ypresian |
|||
팔레오세 Paleocene |
사네티아절 Thanetian |
||
셸란디아절 Selandian |
|||
다니아절 Danian |
Eocene / 始新世
1. 개요
신생대 고제3기의 두 번째 시기.시신세(始新世)라고도 하며 약 5,600만년 전~ 약 3,390만년 전까지 2,210만년 동안 지속된 지질시대이다.[1]
2. 시대상
에오세 초반에는 남극대륙과 오스트레일리아가 아직 붙어있었고 약 4,500만 년 전에야 분리된다. 북부 로라시아 초대륙이 유럽, 북아메리카, 그린란드로 분리되었으며, 북아메리카 서부에서 조산 운동이 시작되었다. 인도 아대륙은 아시아와 충돌하기 시작하여 히말라야 산맥의 형성이 시작되었다.에오세 초반에는 지구의 평균 온도가 갑자기 높아진 시기인 팔레오세-에오세 극열기가 있었다. 에오세의 기후는 매우 다양하게 변화했는데 처음에는 신생대에서 가장 고온 다습한 기후였다가 나중에는 기온이 갑자기 떨어졌다. 이산화 탄소와 메탄 같은 온실가스가 표면 온도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가장 따뜻했을 때는 적도와 극지방의 기온 차이가 크지 않았으며 변온동물인 악어가 북극에 서식했고 극지방에서도 야자수가 자랐다. 바다는 따뜻했고, 다양한 해양 생물들로 가득했으며 육지에서는 파충류의 화석이 풍부하게 산출된다. 이 시대의 지구는 사실상 사막을 제외한 모든 지역이 숲으로 뒤덮였던 푸른 별이었을 것이다. 그러다가 기후가 한랭화되었을 때는 극지방에서 다시 얼음이 나타나기 시작했으며 남극의 빙상이 급격히 확장되었다.
에오세 중반 기온이 갑자기 급격하게 떨어진 것이 수생 양치식물인 물개구리밥의 대량 번식 때문이라는 물개구리밥 사건(Azolla event)이론이 있다. 물개구리밥은 질소 고정 능력이 있는 남조류와 공생하며, 이산화 탄소를 흡수하여 유기물 형태로 바다 밑에 가라앉히는데, 에오세 초기 높은 이산화 탄소 농도에 힘입어 초대량 번식을 했고, 결국 과도하게 번식한 물개구리밥 때문에 대기의 이산화 탄소 농도를 650 ppm 정도로 떨어뜨려 전지구적인 빙하시대를 초래했다는 이론이다.
3. 생물상
오늘날 현존하는 태반류 포유동물의 목(目)의 대부분이 등장했다. 최초의 진정한 의미에서의 영장류가 에오세 초반에 출현했고, 코끼리의 친척뻘인 바다소목 동물들도 진화하였다. 고래의 조상도 에오세 초반에 나타났고, 에오세 후반에는 바실로사우루스와 같은 거대한 원시 고래도 등장하였다. 이렇게 새로 진화한 원시고래들을 잡아먹기 위해 오토두스와 같은 대형상어가 톱니를 발달시키기 시작하면서 에오세 초•중기에 최초의 카르카로클레스가 등장했으며 에오세 후기에 들어서는 완전한 톱니를 발달시킨 카르카로클레스 소콜로비가 등장했다.에오세 말에서 올리고세로 넘어갈 때 대규모 멸종사건이 있었는데, 특히 수생동물들이 이 사건에 많은 영향을 받았다.
4. 관련항목
[1]
나무위키에 있는 연대는
국제층위학위원회(ICS)의 2015년 1월판 표에 나온 것을 따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