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2-08-18 21:31:12

메시나절


신생대
Cenozoic Era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제4기
Quaternary
인류세
Anthropocene
(비공인)
홀로세
Holocene
메갈라야절
Meghalayan
노스그리피아절
Northgrippian
그린란디아절
Greenlandian
플라이스토세
Pleistocene
타란토절
Tarantian
이오니아절
Ionian
칼라브리아절
Calabrian
젤라시아절
Gelasian
네오기
Neogene
플라이오세
Pliocene
피아첸차절
Piacenzan
잔클레아절
Zanclean
마이오세
Miocene
메시나절
Messinian
토르토니아절
Tortonian
세라발리아절
Serravallian
랑기아절
Langhian
부르디갈리아절
Burdigalian
아키타니아절
Aquitanian
팔레오기
Paleogene
올리고세
Oligocene
카티아절
Chattian
루펠리아절
Rupelian
에오세
Eocene
프리아보니아절
Priabonian
바토니아절
Bartonian
루테티아절
Lutetian
이프레시아절
Ypresian
팔레오세
Paleocene
사네티아절
Thanetian
셸란디아절
Selandian
다니아절
Danian
}}}}}}}}}||


1. 개요2. 상세

1. 개요

메시나절은 마이오세의 마지막 시기로 기원전 724만년부터 기원전 533만년까지 총 191만년 지속되었다. 메시나절은 서기 1867년 스위스의 층서학자인 카를 마이어 에이마르(Karl Mayer Eymar, 1826 ~ 1907)에 의해 명명되었다. 메시나절의 유래는 지표면에 증발암[1]이 발견된 곳 중에 하나인 이탈리아 시칠리아섬의 메시나에서 따온것이다.

2. 상세

메시나절때는 지브롤터 해협이 막히면서 지중해에 있던 물들이 다 증발되어버리는 사건이 일어났는데 이를 메시나절 염분 위기라고 한다.
[1] 육지 내의 바닷물이나 염호의 증발로 인해 그 안에 녹아있던 화학물질이 석출, 침전되어 생긴 퇴적암이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