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2em"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선캄브리아 시대 Pre-Cambrian | ||||||||||||||
명왕누대 Hadean Eon | 은생누대 Cryptozoic Eon | ||||||||||||||
시생누대 Archean Eon | 원생누대 Proterozoic Eon | ||||||||||||||
초시생대 | 고시생대 | 중시생대 | 신시생대 | 고원생대 | 중원생대 | 신원생대 | |||||||||
시데리아기 | 리아시아기 | 오로시리아기 | 스타테리아기 | 칼리미아기 | 엑타시아기 | 스테니아기 | 토니아기 | 크라이오제니아기 | 에디아카라기 | ||||||
현생누대 Phanerozoic Eon | |||||||||||||||
고생대 | 중생대 | 신생대 | |||||||||||||
캄브리아기 | 오르도비스기 | 실루리아기 | 데본기 | 석탄기 | 페름기 | 트라이아스기 | 쥐라기 | 백악기 | 팔레오기 | 네오기 | 제4기 |
신생대 Cenozoic Era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제4기 Quaternary |
인류세 Anthropocene (비공인) |
|
홀로세 Holocene |
메갈라야절 Meghalayan |
||
노스그리피아절 Northgrippian |
|||
그린란디아절 Greenlandian |
|||
플라이스토세 Pleistocene |
타란토절 Tarantian |
||
이오니아절 Ionian |
|||
칼라브리아절 Calabrian |
|||
젤라시아절 Gelasian |
|||
신제3기 Neogene |
플라이오세 Pliocene |
피아첸차절 Piacenzan |
|
잔클레아절 Zanclean |
|||
마이오세 Miocene |
메시나절 Messinian |
||
토르토니아절 Tortonian |
|||
세라발리아절 Serravallian |
|||
랑기아절 Langhian |
|||
부르디갈리아절 Burdigalian |
|||
아키타니아절 Aquitanian |
|||
고제3기 Paleogene |
올리고세 Oligocene |
카티아절 Chattian |
|
루펠리아절 Rupelian |
|||
에오세 Eocene |
프리아보니아절 Priabonian |
||
바토니아절 Bartonian |
|||
루테티아절 Lutetian |
|||
이프레시아절 Ypresian |
|||
팔레오세 Paleocene |
사네티아절 Thanetian |
||
셸란디아절 Selandian |
|||
다니아절 Danian |
Pleistocene / 更新世
1. 개요
지질 시대 구분에서 약 기원전 258만년부터 기원전 7978년까지 약 257만년 동안의 시기를 일컫으며, 신생대 제4기의 거의 대부분의 시기를 차지한다. 플라이스토세라는 명칭은 그리스어로 '가장 새로움'이라는 뜻에서 왔다. 한자로 갱신세(更新世)라 부르기도 한다.2. 상세
이 시기에 빙하에 실려온 흙들이 퇴적되어 지층을 형성했는데, 18세기경 지질학의 태동기에는 이 지층이 《 성경》 속 노아의 홍수의 흔적으로 여겨지기도 했다. 거기서 유래되어 '홍적세'(洪積世, Diluvium)라는 명칭이 많이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거의 사장되어가고 있다.플라이스토세라는 용어는 지질학적인 측면보다는 인류 고고학적인 면에서 규정되는 성격이 강해, 구석기 시대와 거의 일치한다. 예전에는 플라이스토세의 상한을 약 기원전 180만 년 전으로 잡고 있었는데, 이는 올두바이 협곡 등지의 발굴 결과를 토대로 한 것이다. 이후 최근의 연구 결과로 점점 원시 인류의 지적 활동의 상한이 올라가면서 플라이스토세의 시작도 기원전 258만 년으로 올라갔다.
플라이스토세는 지질학적인 용어로, 가장 최근의 빙하기가 시작된 시기를 말한다. 2009년 IUGS(국제 지질 과학 연맹)에서 2588ky BP에서 11.7ky BP까지의 시기(대략 기원전 260만 년부터 기원전 9750년까지)로 정의했다. 20세기의 문헌에는 플라이스토세를 기원전 180만 년부터의 시기로 지칭했었는데, 이는 빙하기의 시작을 기원전 180만 년으로 보았기 때문이다. 지질학적 발견이 이어지면서 빙하기의 시작이 기원전 260만 년경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고, 이에 따라서 플라이스토세의 시작 연대를 기원전 260만 년으로 확장하게 된 것이다. 우연히도 이 시기는 구석기 시대와 겹치게 되는데, 이는 현재 발견된 것 중 가장 오래된 올도완 석기의 제작시기인 기원전 260만 년과 거의 비슷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300만 년이 넘은 pre-Oldowan 석기가 발견된 보고가 나오기 때문에 플라이스토세를 구석기 시대와 동일시하는 관점은 지양되어야 할 것 같다. 인류의 출현이나 구석기시대는 주로 빙하의 영향을 받지 않은 아프리카 대륙이므로 플라이스토세의 빙하기와는 직접적인 관계는 없다.
2.1. 빙하기
|
빙기 |
|
간빙기 |
이름 | 위치 | 최초 분출 시기 | 총합 분출량(km³) | 비고 |
옐로 스톤[2] | U.S 서북부 |
기원전 210만년 신생대 플라이스토세 초기 |
2,450km³ |
VEI 8급 최초 폭발인 기원전 210만년 2,450km³의 분출량으로 분화 후, 2번째 분화는 기원전 130만년, 3번째 분화는 기원전 64만년이며, 4번째 분화는 웨스트 덤브 칼데라를 형성한 기원전 17만년이다. 옐로스톤 열점에 속함 현재 활화산 |
토바 칼데라[3] 호수[4] |
인도네시아 수마트라 섬 |
기원전 120만년 전 신생대 플라이스토세 |
2,800km³ |
VEI 8급 최초 분화부터 기원전 7만 2000년 전까지 총 4번의 대규모 분화 발생. 2004년 및 2005년 남아시아 대지진 발생 알프스-히말라야 조산대에 속함 현재 휴화산 |
아소산 |
일본
구마모토현 동부 아소 지방 |
기원전 9만년 신생대 플라이스토세 |
600km³ |
VEI 7급 서기 2016년 구마모토 지진 및 경주 지진 발생. 현재 활화산 |
타우포 칼데라 호수 |
뉴질랜드 북부 |
기원전 24550년 신생대 플라이스토세 말기 |
1,170 km³ |
VEI 8급 현재 활화산 |
와카마루 칼데라 |
뉴질랜드 |
기원전 16050년 신생대 플라이스토세 말기 |
2,550km³ |
VEI 8급 현재 휴화산 |
세로갈란 칼데라 |
아르헨티나 카르마르카주 |
기원전 250만년 신생대 플라이스토세 초기 |
1,050km³ |
VEI 8급 현재 휴화산 |
롱 밸리 칼데라 |
미국
캘리포니아 주 |
기원전 76만년 신생대 플라이스토세 |
600km³ |
VEI 7급 환태평양 지진대에 속함 현재 활화산 |
발레스 칼데라 |
미국
뉴멕시코 주 |
기원전 147만년 신생대 플라이스토세 |
600km³ |
VEI 7급 현재 휴화산 |
캄피 플레그레이 |
이탈리아 나폴리 |
기원전 37330년 전 신생대 플라이스토세 |
500km³ |
VEI 7급 네안데트랄인의 멸종과 마지막 빙하기의 원인으로 추측 초화산 중 인구밀집지역과 가장 가까이 있음 알프스-히말라야 조산대에 속함 현재 활화산 |
창작물에서 지표가 빙하로 덮이고 털코뿔소, 컬럼비아매머드, 울리매머드가 활보하며 원시 인류가 석기로 사냥하는 장면이 나온다면 전형적인 플라이스토세의 이미지이다. 다만 실제로는 20세기 들어 연구가 진행되면서 플레이스토세라고 해서 항상 추웠던 것만은 아니고 중간 중간 기온이 올라가고 빙하가 후퇴하는 간빙기가 있었음이 밝혀졌다. 이러한 빙기-간빙기의 교대와 그에 따른 원시 인류의 생활상의 변화는 현재도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분야이다.
특히 플라이스토세 말기에 마지막 빙하 절정기인 기원전 25050년~기원전 22050년 이후 지구의 기온이 점차 오르고, 빙하가 후퇴하던 중에 플라이스토세가 끝나는 기원전 11050년과 기원전 10050년 사이에 북반구의 기온이 갑자기 20도 정도 뚝 떨어지고, 다시 빙하기가 돌아온 시기가 있었는데 이를 Young Dryas 기라고 부른다. 이런 갑작스런 빙하기의 도래는 서기 2004년 미국 SF 영화인 투모로우의 모티브가 되기도 했다. 이의 원인으로는 열을 적도에서 고위도 지방으로 순환시키는 북대서양의 해류 순환이 갑자기 달라진 것을 꼽지만 그 이유에 대해서는 아직도 많은 설이 있다. 서기 2018년에 그린랜드 북부에서 직경 31 km 정도의 대형 운석 크레이터가 발견되자 이로 인해 대량의 담수가 북대서양에 유입되어 해류를 바꿨다는 주장도 있다.
[1]
플라이스토세의 마지막 시기에
베링 육교를 통해 인류가 아메리카로 넘어간 것이 정확히 언제쯤인가는 아직도 논쟁거리 중 하나다.
[2]
칼데라의 전체 면적이
서울만하다.
[3]
전체 면적이
제주도만하다.
[4]
최대 수심 500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