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2em"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선캄브리아 시대 Pre-Cambrian | ||||||||||||||
명왕누대 Hadean Eon | 은생누대 Cryptozoic Eon | ||||||||||||||
시생누대 Archean Eon | 원생누대 Proterozoic Eon | ||||||||||||||
초시생대 | 고시생대 | 중시생대 | 신시생대 | 고원생대 | 중원생대 | 신원생대 | |||||||||
시데리아기 | 리아시아기 | 오로시리아기 | 스타테리아기 | 칼리미아기 | 엑타시아기 | 스테니아기 | 토니아기 | 크라이오제니아기 | 에디아카라기 | ||||||
현생누대 Phanerozoic Eon | |||||||||||||||
고생대 | 중생대 | 신생대 | |||||||||||||
캄브리아기 | 오르도비스기 | 실루리아기 | 데본기 | 석탄기 | 페름기 | 트라이아스기 | 쥐라기 | 백악기 | 팔레오기 | 네오기 | 제4기 |
1. 개요
실루리아紀 / Silurian Period고생대 6개의 기 중 제3기. 시기로는 4억 4370만년 전~4억 1600만년 전(2,770만년 동안). 명칭은 암석이 편재했던 남 웨일스 지방의 고대 명칭인 '실루레스(Silures)'에서 유래했다.[1]
2. 시대상
무척추동물에서는 상판산호나 사사산호가 특히 번성했고, 세계 각지에서 초성 석회암이 형성되었다.[2] 완족류가 급속히 발전했고, 삼엽충은 복잡한 장식을 가진 표준화석이 많다. 바다나리· 바다능금 등의 극피동물도 다산했다. 반색동물인 필석의 번성도 특기할 만한 점이다.한편 육상 식물[3]이 이즈음에 출현했지만 극히 수가 적었고, 해안이나 하천 근처에 분포했기에 육지의 전체적인 모습은 매우 황량했다. 실루리아기 중~후기에 접어들면서 절지동물이 동물 최초로 육상 진출을 하게 된다.[4]
3. 생물상
실루리아기의 바다는 층공충(Stromatoporoid)이 점령했다. 층공충은 무수한 층 사이로 구멍이 나 있는 마치 해면과 같은 동물로, 당시에 생물초를 구성하였다. 층공충과 함께 생물초를 구성한 것은 판상산호(Tabulate coral)로, 이들 역시 전성기를 맞이했다. 사방산호(Rugose coral)는 껍질 내부에 거품 모양의 골격이 채우는 포말 조직(dissepiment)이 있는 종류가 나타나 번창하였다.완족류는 오르도비스기와 마찬가지로 잘 번성하여, 고생대의 진정한 주인이라는 칭호가 아깝지 않게 살았다.
절지동물로는 바다전갈이 번성하였는데, 이중 프테리고투스 종류가 최상위 포식자 역할을 맡았다. 그 외에도 삼엽충은 오르도비스기 대멸종의 타격을 입고 기세가 많이 꺾였는데, 오르도비스기 초반에 번성한 아사푸스목(Asaphida)은 절멸하고 대신 파콥스목(Phacopida)이 기회를 잡고 주요 삼엽충 종류로 떠올랐다. 그 외로는 갑각류 역시 번성했는데, 우선 잎새우로도 불리는 엽하류(Phyllocarida)의 원시적인 종류가 원양성 포식자 및 시체 청소부로 활약했다. 그 외에도 오르도비스기(혹은 물어보는 사람에 따라 캄브리아기)에 등장한 개형충도 이때 다양화했는데, 주목할 만한 종류가 있다면 레페르디티코피드(Leperditicopida)가 있다. 5cm까지 자라는 거대 개형충 레페르디티코피드는 해수나 담수 외에도 염분 농도가 높은 석호 환경이나 담수와 염수가 섞이는 하구, 삼각주 환경에서도 살아남은 생존 전문가였다.
절지동물은 육상까지 진출하여 가장 초기의 육상 생태계를 이루었다. 실루리아기 당시 육상 생태계의 구성원으로는 거미와 닮았으나 훨씬 원시적인 트리고노타르비드(Trigonotarbida), 노래기 및 아르트로플레우라류, 그리고 전갈이 있었다. 전갈의 경우 실루리아기에 살던 종류 중 전부가 육상종이었는지 아니면 일부만 육상종이었는지에 대해 확실히 답하기 어렵다.
바다나리는 오르도비스기 대멸종으로 큰 타격을 입어 실루리아기 초기에는 종류가 확 줄은 모습을 보였다. 허나 후기에 들어서면서 번창하기 시작해 바다나리 전성기의 막을 열게 되었다. 이 바다나리 전성기는 데본기에 가속도를 얻어 석탄기에 결실을 맺게 된다. 필석은 전성기가 지나 데본기 초기까지 점점 쇠퇴하였는데, 이 때 마지막으로 번성한 필석이 바로 하나의 줄로만 구성되어 있는 모노그랍티드(Monograptid) 필석이다. 모노그랍티드는 하나의 기다란 줄 모습으로 나오기도 하고 모기장과 같은 나선형으로 나오기도 하는데, 신기하게도 1.5m까지 자라기도 하는 매우 기다란 필석이었다.
어류는 이 때 다양화하였는데, 소위 ' 갑주어'라 불리는 턱 없는 물고기 종류가 번성하였다. 그 외에도 턱이 있는 물고기인 유악류가 진화했는데, 판피어강 및 경골어류의 여러 종류가 중국에서 발견된다. 이들은 아마 당시 곤드와나 주변에 주로 살았던 것으로 보인다. 연골어류의 조상인 극어류(Acanthodii)는 북미와 유럽 등 더 많은 지역에서 발견되는데 이들은 물속을 빠르게 누비는 표양성 포식자였기 때문에 더 널리 퍼졌던 것으로 보인다.
3.1. 주요 생물
- 쿡소니아
- 필석
- 따개비 - 실루리아기에 첫 등장
- 브론토스코르피오
- 프테리고투스, 에우립테루스 등의 발달된 바다전갈류
- 오소콘 등의 두족류
- 케팔라스피스를 비롯한 무악어류
- 프사롤레피스 같은 초기의 지느러미 어류
[1]
고지질학이 영국에서 처음 발달해서 대부분의 명칭의 유래가 영국쪽이다.
[2]
산호초를 형성했다는 얘기다.
[3]
최초의 육상식물인
쿡소니아가 나타났다.
[4]
화석 기록으로 볼 때 발자국 화석은 식물이 본격적인 육상진출을 하기도 전인
오르도비스기 후기이다. 흔히
어류에서 진화한 육상 사지류 즉
양서류가 동물 최초로 육상 진출을 한 것으로 알려져있지만 이건 어디까지나
척추동물 한정이다. 비록 불완전한 오존층 때문에 태양광을 피해 밤에 잠시 돌아다니긴 했지만 뭍에 첫 발을 내디딘 건
절지동물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