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2em"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선캄브리아 시대 Pre-Cambrian | ||||||||||||||
명왕누대 Hadean Eon | 은생누대 Cryptozoic Eon | ||||||||||||||
시생누대 Archean Eon | 원생누대 Proterozoic Eon | ||||||||||||||
초시생대 | 고시생대 | 중시생대 | 신시생대 | 고원생대 | 중원생대 | 신원생대 | |||||||||
시데리아기 | 리아시아기 | 오로시리아기 | 스타테리아기 | 칼리미아기 | 엑타시아기 | 스테니아기 | 토니아기 | 크라이오제니아기 | 에디아카라기 | ||||||
현생누대 Phanerozoic Eon | |||||||||||||||
고생대 | 중생대 | 신생대 | |||||||||||||
캄브리아기 | 오르도비스기 | 실루리아기 | 데본기 | 석탄기 | 페름기 | 트라이아스기 | 쥐라기 | 백악기 | 팔레오기 | 네오기 | 제4기 |
페름기
二疊紀 | Permian |
|
|
|
<colcolor=#fff> 기간 | <colbgcolor=#fff,#191919>2억 9900만 년~2억 5000만 년 전 |
대기 조성 |
질소 76%? 산소 23%(ppm)[1] 이산화 탄소 %(900ppm)[2] |
상위 시대 |
현생누대 고생대 |
평균 표면 온도 | 16℃(현재보다 약 2℃ 높음) |
해수면 높이 | 0m→-100m 출처 |
공전 주기 | |
자전 주기 | 22시간 40분 |
정의 | 발견자, 발견 시기 |
태양 광도 | W(지금의 %) |
[clearfix]
1. 개요
고생대의 마지막 시기이며 이 시기를 기준으로 트라이아스기와 구분한다. 2억 9900만년~2억 5000만년 전까지였으며(4,900만년 동안), 페름기라는 이름은 러시아의 도시 페름에서 유래했다. 이는 페름기 지층이 처음 발견된 곳의 지층을 페름계라고 불렀기 때문이며, 1861년에 독일에서는 H. B. 가이니츠가 이 페름계를 연구하고 이를 두 개의 층이라는 뜻인 다이아스(Dyas)라고 불렀다. 옛 고생물학 서적에서 이러한 이유로 한자로 이첩기(二疊紀)라고도 한다.
2. 진화사
페름기의 해수면은 현재보다 낮았으며 단일 대륙으로 거의 이루어져 있었다. 이 대륙을 판게아라고 부르며 대부분의 해양 생물들은 얕은 바다에 살고 있었는데 후에 대륙이 이동하면서 혹은 다른 이유로 많은 해양 생물들이 멸종한 것으로 보인다.짧은 기간 동안 주로 단궁류들이 번성했으나 페름기 대멸종으로 인해 일부를 제외한 대부분의 단궁류 동물들은 극단적인 환경변화에 적응하지 못하고 전부 멸종했다.
또한 바다에는 석탄기에도 그랬듯 연골 어류들[3]이 크게 번성했는데,[4] 정어리만 한 크기에 작은 무리를 지어 다니는 종류부터 12m 정도에 육박하는 현재까지 알려진 고생대 최대의 생물일 것으로 추정되는 파라헬리코프리온에 이르기까지 엄청난 다양성을 자랑했다.
페름기 말엽, 지구 역사상 최대의 대멸종이라 불리는 페름기 대멸종이 발생했다.[5]
3. 주요 대표 생물
- 단궁류
- 합토두스
- 디메트로돈
- 오피아코돈
- 바라노사우루스
- 스페나코돈
- 세코돈토사우루스
- 크테노스폰딜루스
- 에다포사우루스
- 루페오사우루스
- 바라놉스
- 메세노사우루스
- 카세아
- 코틸로린쿠스
- 리카이놉스
- 리스트로사우루스
- 에스템메노수쿠스
- 이노스트란케비아
- 고르고놉스
- 모스콥스
- 울레모사우루스
- 케라토케팔루스
- 에오티타노수쿠스
- 욘케리아
- 티타노수쿠스
- 안테오사우루스
- 티타노포네우스
- 스티라코케팔루스
- 프로키노수쿠스
- 디키노돈
- 스트루티오케팔루스
- 비아르모수쿠스
- 에우캄베르시아
- 디익토돈
- 테트라케라톱스
- 디노고르곤
- 시노포네우스
- 팜파포네우스
- 아우스트랄로시오돈
- 프리스테로그나투스
- 실라코수쿠스
- 어류
- 삼엽충
- 양서류
- 파충류
- 식물
-
바퀴벌레의 조상,
매미,
진딧물 같은
해충불완전변태 곤충들과 원시 딱정벌레 같은 완전변태 곤충들 -
세이무리아
4. 관련 문서
[1]
현재의 115%
[2]
현재의 2.1배
[3]
오늘날 상어, 가오리 등의 직계 조상. 현재는 연골 어류가 쇠퇴하고, 90% 이상이 경골 어류이다.
[4]
석탄기보다는 그 수가 줄었으나
[5]
삼엽충이 이 시기에 와서 완전히 멸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