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2em"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선캄브리아 시대 Pre-Cambrian | ||||||||||||||
명왕누대 Hadean Eon | 은생누대 Cryptozoic Eon | ||||||||||||||
시생누대 Archean Eon | 원생누대 Proterozoic Eon | ||||||||||||||
초시생대 | 고시생대 | 중시생대 | 신시생대 | 고원생대 | 중원생대 | 신원생대 | |||||||||
시데리아기 | 리아시아기 | 오로시리아기 | 스타테리아기 | 칼리미아기 | 엑타시아기 | 스테니아기 | 토니아기 | 크라이오제니아기 | 에디아카라기 | ||||||
현생누대 Phanerozoic Eon | |||||||||||||||
고생대 | 중생대 | 신생대 | |||||||||||||
캄브리아기 | 오르도비스기 | 실루리아기 | 데본기 | 석탄기 | 페름기 | 트라이아스기 | 쥐라기 | 백악기 | 팔레오기 | 네오기 | 제4기 |
오르도비스기
오르도비스紀 | Ordovician |
|
|
|
<colcolor=#fff> 기간 | <colbgcolor=#fff,#191919>4억 8830만년 ~ 4억 4370만년 전 |
대기 조성 |
질소 80?% 산소 18?% 이산화 탄소 0.45?%(4500?ppm) |
상위 시대 |
현생누대 고생대 |
평균 표면 온도 | 27℃→20℃(?) |
해수면 높이 | 180m→220m→140m |
공전 주기 | |
자전 주기 | 21시간 40~50분 |
정의 | Charles Lapworth, 1879 |
[clearfix]
1. 개요
오르도비스紀 / Ordovician Period
고생대의 6개의 기 중 두 번째 기. 시기로는 4억 8830만년 전~4억 4370만년 전(4,460만년 동안). 명칭의 유래는 웨일스 지방의 고대 부족명 오르도비세스(Ordovices)에서 따왔다.
2. 시대상
2.1. 오르도비스기 다양화
캄브리아기에 캄브리아기 대폭발이 있었다면, 오르도비스기에는 GOBE(Great Ordovician Biodiversification Event)가 있다. 오르도비스기의 대규모 생물 다양화 사건이라는 뜻이다. 이름과는 달리 하나의 '다양성 폭발'이 아니고, 오르도비스기 전체에 걸친 연속적인 다양성의 증가이다.2.1.1. 플랑크톤 혁명
GOBE의 시작은 '플랑크톤 혁명'이었다. 플랑크톤 혁명은, 캄브리아기 후기와 오르도비스기 초기 사이에 플랑크톤의 다양성이 크게 증가한 사건인데, 아크리타크(Acritarch)와 방산충(Radiolaria) 등 미생물 플랑크톤이 먼저 다양화하였고, 직각석(오소콘)이나 필석 등의 대형 부유성 생물의 증가가 뒤따랐다. 뿐만 아니라, 조개, 복족류 등의 생물들이 어린 시절을 미세 부유성 생물, 즉 플랑크톤으로 지내는 습성을 터득하였다.플랑크톤의 다양화가 발단이 되었는지는 모르나(단순 환경 변화 때문일 수도 있다), 플랑크톤 혁명 이후 오르도비스기 중기에 저서성 동물의 다양화가 일어났다. 이 중 가장 눈에 띄게 다양화한 것은 완족동물과 극피동물이다. 특히 완족동물은 이때 삼엽충을 제치고, 고생대를 대표하는 동물로 자리잡게 되었다[1].
2.1.2. 생물초의 발전
약간의 시간차를 두고 발생한 것은 '생물초(reef)의 발전'이다. 캄브리아기 중반에 고배류(Archaeocyatha)가 멸종한 이후, 그 빈자리를 보통해면이 어느 정도 메꾸기는 했으나, 대다수의 생물초는 스트로마톨라이트와 유사품 트롬볼라이트(Thrombolite)가 점령했다. 그러나 오르도비스기 초기에 보통해면 + 미생물의 조합이 초의 대세가 되기 시작했다. 이 해면초를 기회삼아 해면의 표면을 감싸면서 자라는 태형동물(이끼벌레)과, 해면과 같이 단단한 표면에 부착해서 생활하는 바다나리의 다양성이 빠르게 증가하였다. 동시에 초를 구성하는 동물들이 새로 나타나기도 했는데, 대표적으로 해면의 일종인 층공충(Stromatoporoid)과 자포동물인 산호가 있다. 이렇게 하여 생물초는 다양해지고 풍부해지면서, 그 반동으로 그곳을 터전으로 하는 생물들 역시 다양화하였다. 특히 단단한 초 구성 동물(해면, 산호)와 앞서 서술한 완족동물이 다양화함과 동시에, 이들의 껍데기에 구멍을 뚫고 생활하는 해면과 벌레 종류가 다양화했다.2.1.3. 다세포 생명체의 상륙
오르도비스기 말에는 육상으로 진출한 식물 또는 균류로 추정되는 프로토택사이트나 절지동물들의 발자국들이 발견되어 다세포 생명체가 처음 지상에 상륙했다고 보고있다.[2] 다만 이당시엔 오존층이 완전하지 않아 동물들은 태양빛을 피해 낮에는 물속에 있다가 밤에만 돌아다닌 것으로 추정되어 완전한 의미의 상륙과는 거리가 있었다.2.2. 오르도비스기 대멸종
오르도비스기의 끝에 5대 대멸종의 하나로 꼽히는, 오르도비스기 대멸종이 있었다. 26%의 과, 49%의 속, 85%의 종이 멸종했다고 알려져있다. 원인으로는 히르난트절에서부터 시작된 빙하기가 지목된다. 빙하기는 풍화 가설로 설명된다. 규산염 광물이 풍화될 때는 CO2가 소모된다. 히르난트절에는 현재 미국의 애팔라치아 지역과 중대서양주의 산맥을 만드는 조산운동이 일어났고, 조산운동 과정에서 지표에 노출된 신선한 현무암 등의 암석이 빠르게 풍화되었다. 또한, 이때는 많은 대륙이 습윤한 기후를 가지는 지역으로 이동했고, 이로 인해 풍화가 촉진되었다. 또한, 이 시기에 대륙에 식물이 진출하면서 식물이 방출하는 유기산으로 인해 암석의 풍화가 촉진되었다. 풍화 가설의 증거로는 Sr 동위원소 비가 있다. 일반적으로 87Sr/86Sr은 현무암에서 낮은 값을, 대륙 지각에서 높은 값을 가진다. 대리윌절 후기, 해수의 87Sr/86Sr비는 급격하게 낮아지는데, 이는 이전보다 더 많은 현무암이 풍화되었다는 증거이다. 대리윌절에 바로 온도가 감소하지 않고, 히르난트절에 빙하기가 찾아온 이유는 대리윌절과 캐티절까지는 현무암의 형성과 함께 분출되는 화산 가스의 CO2가 온도 하강을 막았고, 히르난트절에 와서 화산 가스의 방출이 줄어들지만 현무암의 풍화는 계속 진행되면서 CO2가 감소했기 때문이다.3. 생물상
오르도비스기의 대표적인 포식자는 두족류이다. 이 시대의 두족류는 원시적인 종류로, 껍데기를 가진 연체동물 공통 조상에서 진화한 지 얼마 되지 않아 몸통에 커다란 껍데기를 달고 다녔다. 두족류는 캄브리아기에 나타나 오르도비스기 초기에 여러 종류로 분화하였다. 오르도비스기의 두족류는 껍데기가 돌돌 말린 모양의 앵무조개와 암모나이트와는 달리 껍데기가 올곧은 원뿔 모양인 것이 많은데, 이들을 오소콘 혹은 직각석이라 부른다. 대부분의 오르도비스기 두족류는 직각석이나, 앵무조개같이 껍데기가 말린 종류도 있었고, 갈퀴처럼 껍데기가 굽은 종류도 있었다.직각석 중 엔도케라스(Endoceras) 같은 종류는 껍데기가 최대 6미터까지 자라, 초대형 포식자였으리라 생각된다. 물론 직각석이 다 큰 것은 아니었고, 대부분의 종류는 작고 앙증맞았다. 그 외에도 악티노케리드(Actinocerida)라는 종류가 눈여겨볼 만하다. 앵무조개와 같이 껍데기가 달린 두족류는 껍데기 속으로 수관(siphuncle)이 지나가는데, 이로 껍데기 속으로 물을 넣고 빼 몸의 부력을 조절한다. 수관은 대개 좁은 한 가닥의 관인데, 악티노케리드는 수관이 껍데기 내에서 여러 개의 넓은 방을 이루는 모습이라 부력 조절이 더 용이했을 것이다. 직각석에서 매우 중요한 종류가 오르토케리드(Orthocerid)인데, 오르토케리드의 일부는 후대에 박트리티드(Bactritid)로 진화한다. 박트리티드는 암모나이트 및 오늘날의 문어, 오징어 등 앵무조개를 제외한 모든 현생 두족류의 조상이라 생각된다.
나선형 껍데기의 두족류는 현생 앵무조개를 참고하여 이들이 자유롭게 헤엄치는 포식자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직각석의 경우 이들의 생태를 알기가 매우 어렵다. 이들이 포식자라는 것도 사실 모든 두족류가 육식성이기 때문에 그렇게 유추하는 것으로, 부리가 화석으로 남은 적이 없어 이들이 어떻게 먹었는 지에 대해 제대로 아는 것은 없다. 이들이 움직인 방식은 껍데기를 보고 추측이 가능하기는 하다. 직각석은 원추형으로 무게중심이 아래(껍데기가 넓어지는 쪽)를 향하고, 반대인 위쪽에는 수관이 통해 공기가 들어차 부력이 작용한다. 직각석은 아마 바닥 근처에서 선 채로 둥둥 떠다니며, 먹이를 발견하면 빠르게 수직이동을 하여 잡았을 것이다. 수평으로 빠르게 움직일 필요가 있을 때에는 팔을 사용해 자세를 바꾸고 이동했을 지도 모른다. 물론 화석 두족류는 종류에 따라 수관 및 껍데기의 형태가 달라, 이들의 생태 역시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다양했을 것이다.
삼엽충은 오르도비스기 초기까지는 역대 최전성기를 누렸으나, 중기부터는 서서히 풀이 꺾이는 모습도 보였다. 오르도비스기에 번성한 삼엽충은 아사푸스목으로, 아주 다양한 방향으로 진화하였다. 이소텔루스(Isotelus)나 디켈로케팔리나(Dikelokephalina)는 대형종으로, 어쩌면 캄브리아기 레들리키드의 뒤를 잇는 포식자였을 지도 모른다. 텔레피나(Telephina)나 키클로피게(Cyclopyge)는 마치 새우처럼 물속을 헤엄칠 수 있었다. 네오아사푸스(Neoasaphus)는 눈이 달팽이처럼 가닥 위에 붙어있어, 모래 속에 숨어 살았을 지도 모른다.
그 외 절지동물로는 바다전갈과 개형충이 때 처음 모습을 드러냈다. 캄브리아기부터 살아남은 기타 괴상한 절지동물도 화석으로 잘 안 남을 뿐이지 분명히 있었다. 라디오돈트도 오르도비스기에 화석이 발견되는데, 아에기로카시스 외에도 모로코와 스코틀란드 등에 이름이 붙여지지 않은 표본들이 산출되었다.
오르도비스기의 진정한 주인은 완족류로, 이 시기에 스트로포메니드(Strophomenida)라는 종류가 등장하였다. 스트로포메니드는 오르도비스기에 가장 성공한 부류의 완족류로, 다른 완족류는 껍데기 뒤쪽에 줄기가 뻗어 이를 이용해 몸을 부착하는 경우가 많으나 스트로포메니드는 성체가 되면 줄기가 사라진다. 캄브리아기에 번성한 완족류는 원시적인 종류로, 껍데기가 인산질로 되어있으며 조가비가 이어지는 부위인 각첩(hinge) 구조가 단순하다. 그러나 오르도비스기부터는 유관절류(Rhynchonelliformea, 'Articulata')가 번성하기 시작하는데, 이들은 껍데기가 탄산칼슘으로 되어있고 각첩에 돌기 및 구멍이 나 여닫힐 때 이들이 맞물리는 구조이다.
완족류 외에도 조개류 및 복족류 역시 다양화하였다. 이들은 유생을 플랑크톤으로 보내는 생존 전략을 터득하여 전세계적으로 번성하였다.
극피동물로는 바다나리가 처음 나타났다. 오르도비스기에 번성한 바다나리는 카메라탄(Camerata)으로, 팔들의 기저부 사이를 작은 뼈판들이 고정해주는 원시적인 종류이다. 초기의 바다나리는 죽은 삼엽충 껍데기나 돌 등 단단한 표면에만 부착할 수 있었으나, 오르도비스기 중후기를 기점으로 뿌리를 내리는 등 다양한 전법을 동원해 서식환경을 늘려나갔다. 바다나리 외에도 바다사과[3](Cystoidea)나 바다꽃봉오리(Blastoidea)와 같은 종류들이 있었는데, 이들 또한 바다나리처럼 줄기가 달린 종류이다. 성게, 불가사리, 해삼 종류도 오르도비스기에 나타났다.
3.1. 주요 생물
- 오소콘(직각석) 등의 앵무조개류: 이 시대의 포식자로 여겨진다. 껍데기가 곧은 것도 있고, 달팽이처럼 꼬인 종류도 오르도비스기에 이미 있었다.
- 아사푸스목 삼엽충: 오르도비스기에 가장 성공한 삼엽충 종류로, 꼬리 부분(미부)가 머리만큼 크다. 초대형 삼엽충 이소텔루스가 여기에 속하며, 그 외에도 수영하는 종류나 눈이 길게 뻗어나온 종류도 있었다.
- 층공충: 해면과 비슷한 정체 불명의 생물. 이름처럼 층이 겹겹이 쌓여 이루어졌다.
- 판상산호, 사방산호: 초기의 산호. 이 중 판상산호는 최초로 산호초를 이루었다.
- 완족류: 조개와 비슷하지만 아예 다르다. 이 시기에 스트로포메니드(Strophomenid) 완족류가 등장, 중기를 시작으로 포텐을 터트렸다.
- 필석: 캄브리아기부터 있었으나, 그것은 돌바닥에 부착해서 사는 종류였고, 오르도비스기에는 물속을 떠다니는 종류가 나타나 필석이 최대 전성기를 맞이했다.
- 조개: 캄브리아기부터 있었으나, 오르도비스기에 처음으로 크게 다양화한다. 완족류만큼은 아니지만.
- 키티노조아: 정체불명의 현미경 단위 화석. 어떤 동물의 알이나, 미생물 따위로 여겨진다.
- 아스트라스피스
- 메갈로그랍투스와 브라키오프테루스를 비롯한 바다전갈류
-
코노돈트류[4]
- 바다나리 등의 극피동물류
- 사카밤바스피스
- 아란다스피스
- 프로토택사이트
4. 관련 문서
[1]
당시 삼엽충은 전성기가 막 끝나고 종류가 줄어드는 추세였다
[2]
단세포 생물의 육지 상륙은 이보다 훨씬 빠른
고시생대여서 다세포 생명체가 탄생하기도 전이었다.
[3]
혹은 바다능금
[4]
척삭동물 중 한 분류군이며, 원시적인 "
이빨"을 가지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