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2em"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선캄브리아 시대 Pre-Cambrian | ||||||||||||||
명왕누대 Hadean Eon | 은생누대 Cryptozoic Eon | ||||||||||||||
시생누대 Archean Eon | 원생누대 Proterozoic Eon | ||||||||||||||
초시생대 | 고시생대 | 중시생대 | 신시생대 | 고원생대 | 중원생대 | 신원생대 | |||||||||
시데리아기 | 리아시아기 | 오로시리아기 | 스타테리아기 | 칼리미아기 | 엑타시아기 | 스테니아기 | 토니아기 | 크라이오제니아기 | 에디아카라기 | ||||||
현생누대 Phanerozoic Eon | |||||||||||||||
고생대 | 중생대 | 신생대 | |||||||||||||
캄브리아기 | 오르도비스기 | 실루리아기 | 데본기 | 석탄기 | 페름기 | 트라이아스기 | 쥐라기 | 백악기 | 팔레오기 | 네오기 | 제4기 |
신생대 Cenozoic Era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제4기 Quaternary |
인류세 Anthropocene (비공인) |
|
홀로세 Holocene |
메갈라야절 Meghalayan |
||
노스그리피아절 Northgrippian |
|||
그린란디아절 Greenlandian |
|||
플라이스토세 Pleistocene |
타란토절 Tarantian |
||
이오니아절 Ionian |
|||
칼라브리아절 Calabrian |
|||
젤라시아절 Gelasian |
|||
신제3기 Neogene |
플라이오세 Pliocene |
피아첸차절 Piacenzan |
|
잔클레아절 Zanclean |
|||
마이오세 Miocene |
메시나절 Messinian |
||
토르토니아절 Tortonian |
|||
세라발리아절 Serravallian |
|||
랑기아절 Langhian |
|||
부르디갈리아절 Burdigalian |
|||
아키타니아절 Aquitanian |
|||
고제3기 Paleogene |
올리고세 Oligocene |
카티아절 Chattian |
|
루펠리아절 Rupelian |
|||
에오세 Eocene |
프리아보니아절 Priabonian |
||
바토니아절 Bartonian |
|||
루테티아절 Lutetian |
|||
이프레시아절 Ypresian |
|||
팔레오세 Paleocene |
사네티아절 Thanetian |
||
셸란디아절 Selandian |
|||
다니아절 Danian |
Pliocene / 鮮新世
1. 개요
신생대 신제3기의 두 번째 시기.선신세(鮮新世)라고도 하며 약 533만년 전~ 약 258만년 전까지 275만년 동안 지속된 지질시대이다.[1] 찰스 라이엘에 의해 명명된 이름이다.
2. 상세
플리오세는 다시 잔클레절(Zanclean), 피아첸차절(Piacenzian)로 나누어진다. 한때는 젤라절(Gelasian)도 이 시기에 속했으나 현재는 플리오세에 이어지는 시대인 플라이스토세에 속한다.전 지구적으로 평균 온도는 오늘날보다 2~3°C 정도 높았으며 해수면은 25m 더 높았다. 북아메리카와 남아메리카가 파나마 지협으로 연결되었다. 이는 해류의 흐름에 영향을 주어 기후에 변화가 있었다. 유럽과 아프리카의 충돌으로 지중해가 형성되었고, 해수면의 변화는 아시아와 알래스카를 베링 육교로 연결시켰다.
3. 생물상
기온이 내려가고 더 건조해지면서 열대우림은 적도부근으로 후퇴하였고 활엽수림이 증가하였다. 침엽수림과 툰드라는 북반구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였고, 초원은 남극을 제외한 전 세계로 확대되었다. 아시아와 아프리카에서는 건조 사바나와 사막이 나타난다.
|
대륙들이 연결되며 육상생물들의 대대적인 교류가 있었다. |
북아메리카와 남아메리카가 연결되면서 많은 동식물의 교류가 있었는데 이 사건을 아메리카 대교환(Great American Interchange)이라고 부른다.[2] 남아메리카에서는 땅늘보, 클립토돈트, 아르마딜로 등이 북아메리카로 건너갔다. 백악기 이후 처음으로 북아메리카의 동물들이 남아메리카로 오게 되면서 대부분의 남미 고유종들은 생존경쟁에서 밀리고 멸종된다. 남아메리카의 공포새들은 드물어졌고 그들 중 일부는 역시 북아메리카로 건너갔다.[3]
아시아는 북아메리카가 연결되면서 일부 낙타 종들이 북아메리카에서 아시아로 건너갔다. 기후가 추워지면서 유럽에서는 앨리게이터와 크로커다일 무리가 지구상에서 사라졌다. 유라시아에서는 처음으로 하이에나 무리와 검치호 무리가 등장했다.
호주 대륙에서는 여전히 유대류가 강세를 보였고 첫 번째 설치류가 유입된다.
4. 기타
|
제주 서귀포층 패류화석 산지.[4] |
대한민국에서는 제주도의 서귀포층이 대표적인 플라이오세 화석 산출지이다. 조개, 어류, 고래, 상어, 산호화석 등이 산출된다.
동해에서는 화산 활동으로 인해 독도가 이 시기에 형성되었다.
[1]
나무위키에 있는 연대는
국제층위학위원회(ICS)의 2015년 1월판 표에 나온 것을 따른 것이다.
[2]
중국은 남북미주생물대천사, 일본은 아메리카대륙간대교차라고 부른다.
[3]
티타니스 등
[4]
1968년에 천연기념물 제195호로 지정되어서 발굴하려면 관련 기관장에 신고와 허가가 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