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7 21:03:40

환원 불능

연산
Numbers and Operations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765432> 수 체계 자연수 ( 수학적 귀납법 · 홀수 · 짝수 · 소수 · 합성수) · 정수 · 유리수 ( 정수가 아닌 유리수) · 실수 ( 무리수 · 초월수) · 복소수 ( 허수) · 사원수
표현 숫자 ( 아라비아 숫자 · 로마 숫자 · 그리스 숫자) · 기수법( 자연어 수 표기법 · 과학적 표기법 · E 표기법 · 커누스 윗화살표 표기법 · 콘웨이 연쇄 화살표 표기법 · BEAF · 버드 표기법) · 진법 ( 십진법 · 이진법 · 8진법 · 12진법 · 16진법 · 60진법) · 분수 ( 분모 · 분자 · 기약분수 · 번분수 · 연분수 · 통분 · 약분) · 소수 { 유한소수 · 무한소수 ( 순환소수 · 비순환소수)} · 환원 불능 · 미지수 · 변수 · 상수
연산 사칙연산 ( 덧셈 · 뺄셈 · 곱셈 구구단 · 나눗셈) · 역수 · 절댓값 · 제곱근 ( 이중근호) · 거듭제곱 · 로그 ( 상용로그 · 자연로그 · 이진로그) · 검산 · 연산자 · 교환자
방식 암산 · 세로셈법 · 주판 · 산가지 · 네이피어 계산봉 · 계산기 · 계산자
용어 이항연산( 표기법) · 항등원과 역원 · 교환법칙 · 결합법칙 · 분배법칙
기타 수에 관련된 사항 ( 0과 1 사이의 수 · 음수 · 작은 수 · 큰 수) · 혼합 계산 ( 48÷2(9+3) · 111+1×2=224 · 2+2×2) · 0으로 나누기( 바퀴 이론) · 0의 0제곱 }}}}}}}}}

[[대수학|대수학
Algebra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이론
기본 대상 연산 · 항등식( 가비의 이 · 곱셈 공식( 통분 · 약분) · 인수분해) · 부등식( 절대부등식) · 방정식( /풀이 · ( 무연근 · 허근 · 비에트의 정리( 근과 계수의 관계) · 제곱근( 이중근호 · 개방법) · 환원 불능) · 부정 · 불능) · 비례식 · 다항식 · 산술( 시계 산술)
수 체계 자연수( 소수) · 정수( 음수) · 유리수 · 실수( 무리수( 대수적 무리수 · 초월수) · 초실수) · 복소수( 허수) · 사원수 · 팔원수 · 대수적 수 · 벡터 공간
다루는 대상과 주요 토픽
대수적 구조
군(group) 대칭군 · 기본군 · 자유군 · 리 군 · 괴물군 · 점군 · 순환군 · 군의 작용 · 동형 정리 · 실로우 정리
환(ring) 아이디얼
체(field) 갈루아 이론 · 분해체
대수 가환대수 · 리 대수 · 불 대수( 크로네커 델타)
마그마· 반군· 모노이드 자유 모노이드 · 가환 모노이드
선형대수학 벡터 · 행렬 · 텐서( 텐서곱) · 벡터 공간( 선형사상) · 가군(module) · 내적 공간( 그람-슈미트 과정 · 수반 연산자)
정리·추측
대수학의 기본정리 · 나머지 정리 · 유클리드 호제법 · 부분분수분해 · PID 위의 유한생성 가군의 기본정리 · 산술·기하 평균 부등식 · 바이어슈트라스 분해 정리 · 호지 추측미해결 · 가환대수에서의 호몰로지 추측미해결
관련 하위 분야
범주론 함자 · 수반 · 자연 변환 · 모나드 · 쌍대성 · 토포스 이론 · 타입 이론
대수 위상수학 연속변형성 · 사슬 복합체 · 호몰로지 대수학( 호몰로지 · 코호몰로지) · mapping class group · 닐센-서스턴 분류 · 호프대수
대수기하학 대수다양체 · · 스킴 · 에탈 코호몰로지 · 모티브
대수적 정수론 타원곡선 · 디오판토스 방정식 · 유리근 정리 · 모듈러성 정리
가환대수학 스펙트럼 정리
표현론 실베스터 행렬
기타 및 관련 문서
수학 관련 정보 · 추상화 · 1학년의 꿈 · 노름 · 혼합계산 · 분배법칙 · 교환법칙 · 결합법칙 · 교재 }}}}}}}}}

1. 개요2. 사례 1: 삼차방정식3. 사례 2: 삼각함수4. 환원 불능과 작도 가능성

1. 개요

환원 불능( , casus irreducibilis[1])은 대수적인 방식으로 해를 구했을 때 어떤 무리수 허수단위 [math(i)]를 포함하는 꼴로 나타나는 것을 말한다. 후술하겠지만, 실제로는 환원 불능이 아니지만 식의 형태는 환원 불능인 경우도 존재한다.

복소수 위의 수식이라면 필연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다.

2. 사례 1: 삼차방정식

환원 불능을 가장 처음 접하게 되는 것은 삼차방정식으로, 역사적으로도 지롤라모 카르다노가 삼차방정식에서 이런 꼴의 해가 있음을 발견해서 붙인 명칭이다.

모든 삼차방정식은 다음과 같이 2차항을 제거한 꼴
[math(x^3 + px + q = 0)]
로 나타낼 수 있고[2] 이 방정식의 해는
[math(x = {\left(\dfrac{-1+\sqrt3i}2\right)}^k\sqrt[3]{-\dfrac q2+\sqrt{{\left(\dfrac q2\right)}^2 + {\left(\dfrac p3\right)}^3}}+{\left(\dfrac{-1+\sqrt3i}2\right)}^{3-k}\sqrt[3]{-\dfrac q2-\sqrt{{\left(\dfrac q2\right)}^2 + {\left(\dfrac p3\right)}^3}} \quad (k=0,\,1,\,2))]
으로 구할 수 있다.[3] 이때 위 식에서 판별식에 해당하는 [math(D = {\left(\dfrac q2\right)}^2 + {\left(\dfrac p3\right)}^3)]가 [math(D<0)]이면 [math(i)]를 포함한 환원 불능 꼴이 된다.

단, 모든 환원 불능이 이런 허수단위를 포함하는 식으로만 나타나는 것은 아니다. 다음 삼차방정식
[math(x^3 - 15x - 4 = 0)]
은 [math(x = 4)]를 해로 가지므로 [math((x-4)(x + 2+\sqrt3)(x + 2-\sqrt3) = 0)]으로 세 실근을 해로 갖는 형태로 인수분해할 수 있지만 카르다노의 공식을 사용하면 [math(D = (-2)^2 + (-5)^3 = -121)]이 되므로 해가 [math(x = {\left(\dfrac{-1+\sqrt3i}2\right)}^k\sqrt[3]{2+11i} + {\left(\dfrac{-1+\sqrt3i}2\right)}^{3-k}\sqrt[3]{2-11i})]로 나온다. 이 식에서 [math(k=0)]이면 [math({\left(\dfrac{-1+\sqrt3i}2\right)}^3 = 1)]이 되어 두 세제곱근의 합으로 표현되므로, 사실은 두 세제곱근이 복소켤레근의 관계에 있다고 가정, 즉 [math((a\pm bi)^3 = 2\pm11i)]라고 놓으면 앞서 [math(x = 4)]가 근임을 알고 있으므로 [math(a = 2)], [math(b = 1)]임을 알 수 있다. [math(\sqrt[3]{2\pm11i} = 2\pm i)]의 관계를 이용하면 나머지 두 무리수 역시 [math(\dfrac{-1+\sqrt3i}2(2+i)+\dfrac{-1-\sqrt3i}2(2-i) = -2 - \sqrt3)], [math(\dfrac{-1-\sqrt3i}2(2+i)+\dfrac{-1+\sqrt3i}2(2-i) = -2 + \sqrt3)]로 구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렇게 세제곱근을 풀기 위해서는 최소한 실근 하나가 무엇인지 알고 있어야 한다는 전제가 따르며 그렇지 않으면 식 하나에 미지수가 2개인 삼차 연립방정식을 또 다시 풀어야 하는 상황이 되기 때문에 '환원 불능'인 해라고 하는 것이다.

초월수와는 다르다. 초월수는 정수 계수로만 이루어진 유한 차수 방정식의 해가 되지 못하지만, 환원 불능은 어찌 되었건 "정수 계수로만 이루어진 유한 차수 방정식의 해"로 나타나는 대수적 수로도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다.[4] 즉 환원 불능은 [math(0.dot9 = 1)]의 사례처럼 여러 꼴로 나타나는 해[5]를 하나의 식으로 표현하거나 실수의 범주를 넘어선 수 체계를 이용한 방법을 동원하여 대수적으로 표현하려다 벌어진 불상사에 가깝다.

3. 사례 2: 삼각함수

다른 환원 불능인 예로 삼각함수가 있는데, 복소수 체계에서 모든 삼각함수는 복소지수함수를 이용하여 표현할 수 있다. 물론 삼각함수에서 정의역이 실수면 결과값도 실수였던 것처럼, 복소지수함수로 표현했다 하더라도 복소수가 대입되어 실수 결과값이 튀어나오고, 개중에 [math(i)]를 소거하지 못하는 경우가 생기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 아래와 같이 천문학에서 쓰이는 단위인 파섹([math(\rm pc)])은 연주시차의 기준이 되는 단위로, 본디 천문단위 [math(\rm au)]와 1 각초 코탄젠트 값을 곱한 것으로 주어지는데
[math(\begin{aligned}1\,{\rm pc} &= \cot(1''){\rm\,au} \\ &= \cot{\left(\frac\pi{648000}\right)}{\rm\,au} \\&= {\left(i + \frac{2i}{e^{i\pi/324000}-1}\right)}\,{\rm au} \end{aligned})]
가 되어 식의 형태가 닫힌 꼴이 되지 않는다.

환원 불능한 수의 구체적인 값이 필요한 경우 수치해석학을 이용해 근삿값을 구해서 이용한다. 가령 위의 파섹의 경우 [math(\cot x)]가 [math(\cot x = \cfrac1x - \cfrac x3 - \cfrac{x^3}{45} - \cfrac{2x^5}{945} - \cdots)]로 전개된다는 점을 이용하여 [math(x)]가 매우 작으면 [math(\cot x \approx \cfrac1x)]로 근사할 수 있으며, 실제로 [math(\cfrac\pi{648000})]은 [math(\cfrac\pi{648000} = 0.000\,004\,848\,136\cdots)]로 매우 작기 때문에 [math(\cot{\Bigl(\cfrac\pi{648000}\Bigr)} \approx \cfrac{648000}\pi = {\color{red}206\,264.806\,24}7\,096\cdots)]의 근삿값을 주로 쓴다. 참값은 [math({\color{red}206\,264.806\,24}5\,480\cdots)]이며 유효숫자 11자리가 같다는 것을 알 수 있다.[6] 도로 등의 경사도 각도 환산할 때도 같은 방법을 쓴다.

4. 환원 불능과 작도 가능성

환원 불능한 수는 모두 작도가 불가능한 무리수이다. 모든 유리수는 (정수)/(0이 아닌 정수)의 분수형태로 나타낼 수 있으므로 당연히 환원 불능이 될 수 없고, 무리수이더라도 작도가 가능한 수들은 모두 정수의 사칙연산과 제곱근만을 유한 번 사용하여 나타낼 수 있으므로 허수단위 [math(i)] 없이 표기할 수 있다.


[1] irreducible case(단순화할 수 없는 경우)를 라틴어식으로 표현한 것. 수학 용어로서 irreducible에는 ' 약분할 수 없는'이라는 뜻도 있으며 대표적으로 기약분수를 irreducible fraction(단순화할 수 없는 분수)이라고 한다. 실제로는 실수이지만 복소수로 표현된다는 점을 감안하면 '실수화 불능'이 좀 더 명료한 번역일 것이다. [2] [math(ax^3 + bx^2 + cx + d = 0)]에서 식 전체를 [math(a)]로 나누고 [math(x = t - \dfrac b{3a})]를 대입해서 [math(t)]에 관한 식으로 바꿔주면 2차항이 사라진다. [3] [math(x = u+v)]로 치환하면 식의 형태는 [math(u^3 + v^3 + q + (u+v)(3uv + p) = 0)]가 되는데 [math(u+v = x \ne 0)]이므로 이 방정식을 풀기 위한 조건은 [math(u^3 + v^3 = -q)], [math(3uv = -p)]가 된다. 제2식을 제1식에 대입하면 [math(u^3)] 또는 [math(v^3)]에 대한 이차방정식이 되고, [math(u^3)]에 대한 해 [math(\alpha)]에 관하여 [math(u^3 = \alpha)]는 [math(u^3 - \alpha = (u - \sqrt[3]\alpha)(u^2 + \sqrt[3]\alpha u + {\sqrt[3]\alpha}^2) = 0)]이므로 방정식 [math(x^3 - 1 = 0)]의 허근 [math(omega = dfrac{-1pmsqrt3i}2)]를 이용하여 위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4] 환원 불능인데 대수적 수가 아닌 예로 프레넬 적분 함수의 최댓값/최솟값이 있다. 이 수를 표기하려면 특수함수인 오차함수를 이용해야 한다. [5] [math(0.\dot9 = 1)]은 [math(9\div9)]를 세로셈법으로 계산함으로써 간단하게 보일 수 있다. 해당 문서 참조. [6] 이 때문에 2015년 이후로는 아예 [math(1{\rm\,pc} = \cfrac{648000}\pi{\rm\,au})]로 정의된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