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5 16:47:13

풍양 조씨


한국의 성씨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a495,#2d2f34><colcolor=#fff> · · · · · 강전 · · · · · · · · · · · · · · · · · · · · ·
· · · 남궁 · · · · ·
· · · · · · · 독고 · · · 동방 · · · 등정
· · · · · · · ·
· · 망절 · · · · · · · · 무본 · · · ·
· · · · · · · · · · · · · ·
· 사공 · · · · · 서문 · · · 선우 · · · · · 소봉 · · · · · · · · ·
· · · · · · 어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장곡 · · · · · · 제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황목 · 황보 · ·
초록색: 2015년 기준으로 총 인구 100명 미만인 성씨
한자 표기가 다르더라도 한글 표기가 같으면 합산됨
}}}}}}}}}
{{{#!wiki style="margin: -15px -10px" <tablealign=center><tablewidth=160><tablebordercolor=#ece5b6>
파일:풍양 조씨 종문.svg
豐壤 趙氏
풍양 조씨
}}}
관향 <colbgcolor=#fff,#191919> 경기도 남양주시 진건읍 송능리
시조 조맹(趙孟)
중시조 조지린(趙之藺)
조신혁(趙臣赫)
조보(趙寶)
집성촌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충청남도 아산시, 부여군
경기도 김포시, 포천시, 양주시, 화성시
경상북도 상주시
전라남도 강진군
황해도 해주시
인구 124,262명(2015년)
웹사이트 풍양조씨 대종회(구 사이트)
풍양조씨 대종회(신 사이트)
풍양조씨참판공파 홈페이지
풍양조씨한산군파종중

1. 개요2. 가문의 역사3. 풍양의 위치4. 5대파
4.1. 호군공파(護軍公派) / 회양공파(淮陽公派) / 금주공파(錦州公派)4.2. 평장사공파(平章事公派)4.3. 상장군공파(上將軍公派)4.4. 그 외 파계 및 미상
5. 기타6.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경기도 남양주시를 관향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로, 시조는 고려의 개국공신 조맹(趙孟)이다. 고구마를 처음 들여온 이조판서 조엄이 풍양 조씨였으며, 조선 후기 안동 김씨 세도를 다툰 조만영· 조인영 형제는 그의 손자다.

17세기 좌의정을 지낸 평장사공파 조익(趙翼)의 기록에 의하면 한국의 조씨 중 가장 오래되었다.[원문][번역] 이렇게 주장할 수 있는 이유는, 당시에도 이미 풍양 조씨가 한국에서 가장 오래 된 조씨라는 인식이 있었기 때문이다. 백제 개국공신이라 전하는 직산 조씨 시조는 실존 여부가 불분명할뿐더러 고증 가능한 기록이 고려 후기에야 등장하고[3], 같은 고려 초의 함안 조씨 시조는 한반도에서 자생한 조씨가 아니라 중국에서 건너왔기 때문이다.[4]

2. 가문의 역사

바우[岩]라는 사람이 고려 개국의 공이 있어 태조 왕건이 조(趙)라는 성과 맹(孟)이란 이름을 하사했다고 기록돼 있다.

족보에 따르면 조맹은 후삼국시대 신라 풍양현[5]에서 태어나, 천마산 기슭 바위동굴에서 난세를 피하고 있었다. 당시 후고구려 군을 이끌고 신라와 전쟁[6] 중이던 왕건은 영해[7] 지방의 전투에서 패하고 도망쳤다. 이후, 한숨돌린 왕건은 군사회의를 열었다. 그러자 풍양현에 숨어 사는 '바우도사'의 지혜를 빌리는 것이 어떻겠냐는 의견을 듣고 직접 찾아가 책사로 삼았다고. 당시 조맹은 70세였다는데, 마침내 고려가 건국되자 태조 왕건에게 왕명으로 성과 이름을 받고 삼한개국공신 3등에 이름을 올린다. 남양주시 천마산에는 조맹이 왕건과 만났다고 전해지는 현성암(見聖庵)[8]이라는 유적이 있고, 조맹이 홀로 마셨다는 우물[獨井] 인근은 '독정이'라는 마을 이름으로 지금까지도 남아있다.

그 이후 선대에 대한 계보는 기록이 없고, 조선 시대에 들어와서 정리가 된다.[9][10] 조선시대엔 당색으로 서인 - 소론에 속했는데, 유명한 건 역시 세도정치 때문. 풍양 조씨는 안동 김씨가 모든 것을 장악했던 당시, 효명세자의 장인인 조만영과 그 아우인 조인영을 중심으로 세를 일으켰다. 조인영은 영의정에 올랐으며 세도 정치의 근간이 되는 외척 자리를 놓고 안동 김씨와 격돌한 풍양 조씨는 효명세자가 요절하자 안동 김씨에게 밀리게 된다. 그러나 이후 헌종(조선), 철종(조선) 등이 하나같이 대를 잇지 못하면서 조 대비 흥선대원군의 아들 익성군을 효명세자의 양자로 삼아 대통을 잇게 한다. 풍양 조씨는 흥선대원군, 여흥 민씨 등과 손잡고 안동 김씨를 밀어내는 데 마침내 성공한다.[11][12]
自洪國榮專權以來, 凡戚畹當路者, 謂之勢塗, 其指勢塗也, 必擧其所居坊洞之名, 如明世宰輔之擧地以號而曰, 長沙·江陵·分宜·貴溪之類, 故金氏稱典·校洞, 趙氏稱磚洞, 至大院君居雲峴, 故稱雲峴, 非但勢塗爲然, 近世之稱大臣也亦然, 必以閤字, 配其洞名曰某閤, 如居會洞則曰會閤, 升洞則曰升閤。

홍국영이 집권한 후 외척으로 출세한 사람들을 세도가로 칭하였다. 그 세도가를 가리킬 때는 반드시 그들이 거주한 방리와 동명을 명나라 때 대신들이 지명을 따라 장사(長沙)[13], 강릉(江陵)[14], 분의(分宜)[15], 귀계(貴溪)[16] 등으로 불렀으므로 김씨들도 전동(典洞) 교동(校洞)으로 부르고, 조씨들은 전동(磚洞), 대원군 운현궁에서 살았으므로 운현(雲峴)이라고 한 것이다.
비단 세도가만 그런 것이 아니라 근세의 대신들도 그렇게 하여, 반드시 「합(閤)」 자를 동명(洞名)에다가 붙여 ‘어디 합(某閤)’이라고 하였다. 예를 들면, 회동(會洞)에 거주할 경우 회합(會閤), 승동(升洞)에 거주할 경우는 승합(升閤)이라고 하였다.
< 매천야록> 1권 上 - 세도가의 칭호(勢塗稱號)

물론 안동 김씨들이 그냥 물러난 것은 아니다. 몇십 년에 걸쳐 집안간 알력이 있었기 때문에, 당시 세도가와 그 친척 문중 후손들은 당시 얘기를 어르신들에게 많이 듣는다고 한다. 그러면서 집안의 긍지는 물론 당시의 한에 대해 알게 된다고. 조선시대에만 과거 급제자 181명, 정승 7명, 홍문관 대제학 4명을 배출했다. 2015년 인구는 12만이다.

3. 풍양의 위치

풍양현은 현재의 경기도 남양주시 진건읍, 진접읍, 오남읍 일대이다. 풍양이라는 지명은 지금도 풍양출장소[17], 풍양중학교, 풍양운수, 진접선 407정거장[18] 등에 남아 있다.

백제 고구려에 속했을 때는 골의노현(骨衣奴縣)이라 불렸고, 신라 경덕왕 16년(757년)에 황양현(荒壤縣)으로 이름을 고치고 한양군(漢陽郡)에 속하게 되었다. 고려 태조 23년(940년)에 이름을 다시 풍양현으로 고치고 양주에 속하게 하였다. 그후 현종 9년(1018년) 포주[(抱州): 지금의 포천(抱川)]로 다시 소속이 바뀌었다. 세종 9년(1427년)에는 다시 양주에 통합되게 되면서 현은 폐지되었다.[19] 1895년 갑오개혁 당시 양주목에서 양주군으로 개편됐다. 1980년 4월 양주군 남부 지역을 분리하여 남양주군을 신설하였다. 1995년 미금시와 남양주군이 통합하면서 남양주시가 되었다.

4. 5대파

시조 이후의 세계(世系)에 관한 기록이 남아있지 않은 까닭에, 시조와 각 파의 파조의 정확한 관계를 알 수 없다.[20] 정확히 몇 세대가 지났는지 알 수가 없다. 그래서 3개의 계파가 각자 추적이 가능한 인물을 1세로 받들어 세계를 이어오고 있다.[21]

각 계파는 자신들이 한 할아버지(조맹)의 후손임은 확실히 인정하면서도 계보를 정확하게 따질 수 있는 기록이 전혀 없기 때문에, 족보는 함께 만들면서도 각각 독자적인 항렬자를 사용한다. 같은 이유로 어느 계파가 큰집(종갓집)인지 알 수 없으므로, 후손이 가장 번창한 전직공계를 족보에 가장 먼저 기재하고, 그 다음 평장사공파, 상장군공파 순으로 기록한다.

여담으로 풍양 조씨 전직공계, 평장사공파(남원공파), 상장군공파의 족보의 표제가 모두 풍양조씨세보로 똑같은데, 표제 앞에 한자로 적힌 숫자가 있는 게 전직공계이고, 상중하로 적힌 게 평장사공파, 표제 중간에 상장군이 들어가 있으면 상장군파로 구별된다.

인구가 그리 많지도 않았고[22] 그 얼마 안 되는 문중끼리 서로 연락이 잘 되었기 때문에, 돈 주고 족보 사기 어려운 가문 중 하나로 평가받기도 한다. 계보를 고증할 수 없는 사람은 모두 별보(別譜)에 기록되었으며, 이 때문에 풍양 조씨 족보는 다른 집안의 족보와 비교가 안 될 정도로 별보가 많은 편이다.

4.1. 호군공파(護軍公派) / 회양공파(淮陽公派) / 금주공파(錦州公派)

고려 중기 천화사전직(天和寺殿直)을 지낸 전직공(殿直公) 조지린(趙之藺)을 1세로 삼고 있다. 그래서 이 세 파를 통틀어 전직공계(殿直公系)라고 하기도 한다. 전직공의 후손은 아래 설명할 3개 파로 나뉘는데, 전직공의 6세손인 대언공(代言公) 조염휘(趙炎暉)[23][24]의 장남, 3남, 4남의 후손들이다. 조염휘는 슬하에 4남 1녀를 두었다. 차남인 상서공(尙書公) 조사공(趙思恭)은 1358년 신돈을 처치하려다 발각되어 곤장을 맞고 유배를 떠나던 도중 신돈이 보낸 자객에 의해 사망하였는데, 딸만 넷 두어 남계 후손이 없다.

전직공계의 후손들은 자신이 무슨 파인지 설명할 때는 전직공파/전직공계라는 말을 쓰지 않고 아래 3개 파 중 하나로 말한다.
호군공파(護軍公派) / 회양공파(淮陽公派) / 금주공파(錦州公派)
(전직공계(殿直公系))
짝수 세손은 이름자의 앞에, 홀수 세손은 이름자의 뒤에 항렬자를 쓴다.
24세 동(東) 34세 용(用)
25세 구(九) 35세 원(元)
26세 남(南) 36세 상(商)
27세 연(衍) 37세 형(衡)
28세 성(誠) 38세 무(茂)
29세 희(熙) 39세 범(範)
30세 용(鏞) 40세 강(康)
31세 신(新) 41세 재(宰)
32세 중(重) 42세 종(鍾)
33세 규(揆) 43세 주(湊)
이름 생몰년도 비고
1~23세
조운흘 (云仡) 1332 ~ 1404 7세, 고려 문신
조상우 (相愚) 1640 ~ 1718 회양공파 15세, 조선 문신
조문명 (文命) 1680 ~ 1752 회양공파 17세, 조선 문신
조현명 (顯命) 1690 ~ 1752 회양공파 17세, 조선 문신
조재호 (載浩) 1702 ~ 1762 회양공파 18세, 조선 문신
효순왕후 1715 ~ 1751 회양공파 18세, 효장세자의 빈
조경 (璥) 1727 ~ 1787 회양공파 19세, 조선 문신
조만영 (萬永) 1776 ~ 1846 회양공파 21세, 조선 문신
조인영 (寅永) 1782 ~ 1850 회양공파 21세, 조선 문신
신정왕후 1809 ~ 1890 회양공파 22세, 효명세자의 빈
조영하 (寧夏) 1845 ~ 1884 회양공파 23세, 조선 문신
조장하 (章夏) 1847 ~ 1910 회양공파 23세, 독립유공자
24세(東)
조동석 (東奭) 1845 ~ 1895 호군공파 독립유공자
조동윤 (東潤) 1871 ~ 1949 회양공파 조선귀족
조동식 (東植) 1873 ~ 1949 회양공파 독립유공자
조동호 (東祜) 1892 ~ 1954 회양공파 독립유공자
25세(九)
조정구 (鼎九) 1860 ~ 1928 회양공파 조선 문신, 독립유공자
조중구 (重九) 1880 ~ 1942 회양공파 독립유공자
조완구 (琬九) 1881 ~ 1954 회양공파 조선 문신, 독립유공자
조중구 (重九) 1906 ~ ? 회양공파 조선귀족
조정구 (鼎九) 1916 ~ 1993 회양공파 기업인, 정치인
조완구 (完九) 1953 ~ 회양공파 공무원
조선구 (宣九) 1989 ~ 회양공파 인터넷 방송인
26세(南)
조남명 (南明) 1870 ~ 1947 회양공파 독립유공자
조남승 (南升) 1882 ~ 1933 회양공파 독립유공자
조남수 (南壽) 1916 ~ 1976 회양공파 정치인
조남기 (南起) 1917 ~ 2018 회양공파 중국 군인
조남헌 (南憲) 1923 ~ 1996 회양공파 작가
조남철 (南哲) 1923 ~ 2006 회양공파 바둑기사
조남욱 (南煜) 1933 ~ 회양공파 정치인
조남호 (南浩) 1938 ~ 2024 회양공파 정치인
조남풍 (南豐) 1938 ~ 회양공파 군인
27세(衍)
조대연 (大衍) 1888 ~ 1962 회양공파 대한제국 관료, 대한민국 정치인
조태연 (台衍) 1895 ~ 1945 호군공파 독립유공자. 초명 학연(學衍)
조월연 (月衍) 1901 ~ 1949 호군공파 독립유공자
조중연 (重衍) 1936 ~ 회양공파 정치인
조중연 (重衍) 1946 ~ 회양공파 체육인
조길연 (吉衍) 1951 ~ 회양공파 정치인
조치훈 (治勳) 1956 ~ 회양공파 바둑기사
조긍연 (兢衍) 1961 ~ 회양공파 체육인
조소연 (蘇衍) 1964 ~ 회양공파 관료
조의연 (義衍) 1966 ~ 회양공파 법조인
조수연 (秀衍) 1967 ~ 회양공파 법조인, 정치인
조승연 (昇衍) 1981 ~ 회양공파 작가
조병연 (昞衍) 1997 ~ 회양공파 프로게이머
28세(誠)
조성돈 (誠惇) 1896 ~ 1945 호군공파 독립유공자
조성훈 (誠勳) 1923 ~ 2004 호군공파 독립유공자
조우정 1984 ~ 회양공파 배우
29세(熙)
조광희 (洸熙) 1917 ~ 2017 호군공파 제4대 국회의원
조준희 (準熙) 1938 ~ 2015 호군공파 법조인
조희문 (熙文) 1957 ~ 호군공파 영화평론가
조원희 (愿熙) 1968 ~ 호군공파 정치인
조우리 (友利) 1992 ~ 회양공파 배우
조광희 (光熙) 1993 ~ 회양공파 체육인
30세(鏞)
조용문 (庸文) 1962 ~ 호군공파 군인, 족보명 용문(鏞文)
조용 (庸) 1962 ~ 호군공파 언론인

4.2. 평장사공파(平章事公派)

충렬왕 때 문하시중평장사(門下侍中平章事)[31]를 지낸 조신혁(趙臣赫)을 1세로 삼고 있다. 화성시, 해주시, 아산시, 강원도 곳곳, 동래구, 사하구에 집성촌이 있다. 후손 1만 3천여 인이 있다. 과거 명칭은 남원공파였는데, 중시조의 증손자인 남원도호부사를 지낸 조계팽(趙季砰)[32]의 후손이 현달하여 족보도 조계팽의 후손을 중심으로 편찬하였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지금도 남원공파라고 부르는 어르신들이 많다. 조계팽에게는 맹지(孟砥), 중려(仲礪)라는 이름의 두 형이 있었는데, 이름 말고 남은 기록이 없다.

세부적으로 참의공파(參議公派)와 참판공파(參判公派)로 나누기도 한다. 애당초 평장사공파가 워낙 후손이 적어서 이 정도로 세세하게 구분하는 경우는 거의 없긴 하지만...
평장사공파(平章事公派)
홀수 세손은 이름자의 앞에, 짝수 세손은 이름자의 뒤에 항렬자를 쓴다.
甲木 17세 만(萬) 子水 31세 순(淳)
午火 18세 년(年) 卯木 32세 경(卿)
己土 19세 희(熙) 丁火 33세 기(祺)
申金 20세 재(載) 戌土 34세 성(成)
子水 21세 돈(敦) 辛金 35세 창(彰)
甲木 22세 묵(默) 壬水 36세 중(重)
丙火 23세 병(柄) 寅木 37세 연(縯)
己土 24세 기(紀) 丁火 38세 직(稙)
庚金 25세 강(康) 己土 39세 범(範)
癸水 26세 규(揆) 庚金 40세 용(鏞)
寅木 27세 연(演) 子水 41세 승(承)
丁火 28세 행(行) 乙木 42세 욱(旭)
辰土 29세 진(振) 丁火 43세 영(寧)
申金 30세 동(東) 戊土 44세 무(茂)
辛金 45세 재(宰)
壬水 46세 정(程)
乙木 47세 태(兌)
丁火 48세 우(宇)
丑土 49세 건(建)
申金 50세 보(輔)
이름 생몰년도 비고
20세(載)
조평재 (平載) 1909 ~ 1969 법조인
조일재 (一載) 1920 ~ 1965 정치인
21세(敦)
조순 (淳) 1928 ~ 2022 정치인
22세(默)
조인묵 (仁默) 1956~ 정치인
조종묵 (鍾默) 1961~ 관료, 정치인
23세(柄)
조병욱 (丙旭) 1998 ~ 체육인
24세(紀)
조문기 (文紀) 1927 ~ 2008 독립유공자
조희진 (嬉珍) 1962 ~ 법조인
조동기 (東紀) 1971 ~ 체육인
조상기 (相紀) 1975 ~ 배우
25세(康)
조강현 (康玹) 1985 ~ 배우

4.3. 상장군공파(上將軍公派)

고려 중기 상장군(上將軍)을 지낸 조보(趙寶)를 1세로 삼고 있다. 강진군 안악군에 집성촌이 있다. 후손 3천여 인이 있다.[34]

상장군공파는 사연이 특이하다. 조보의 일족은 강진 서기산 일대에 살았다. 조보의 증손자인 조감(趙瑊) 대까지 그렇게 살다가, 조감의 둘째 아들 조천규(趙天圭)[35]가 황해감사를 지내면서 조천규의 후손이 안악에 살게 되었고, 첫째 아들 조수(趙琇)의 후손들은 그대로 강진에 남았다. 그 전까지는 본관을 풍양으로 쓰다가 이들 형제부터 본관을 도강[36]으로 쓰게 된다. 정조 강진현감으로 부임한 회양공파 조홍진(趙弘鎭)이 강진의 호적대장을 보고 이 지역에서 세거하는 조씨 일족이 같은 일족임을 안 뒤 이를 예조에 통보하였고, 임금의 명으로 풍양으로 본관(本貫)을 되돌렸다.

여담으로 강진군에서 조씨를 발견하면 열에 아홉은 풍양 조씨(=강진 조씨)이다.
상장군공파(上將軍公派)
짝수 세손은 이름자의 앞에, 홀수 세손은 이름자의 뒤에 항렬자를 쓴다.
24세 갑(岬) 34세 진(陳)
25세 일(日) 35세 건(乾)
26세 병(昺) 36세 천(遷)
27세 종(宗) 37세 정(正)
28세 성(晟) 38세 무(武)
29세 기(玘) 39세 회(回)
30세 강(慷) 40세 용(庸)
31세 상(庠) 41세 신(薪)
32세 성(聖) 42세 영(郢)
33세 채(蔡) 43세 규(葵)
이름 생몰년도 비고
24세(岬)
조정구 (政九) 1907 ~ 1941 독립유공자
25세(日)
조남철 (南哲) 1923 ~ 2007 군인, 정치인, 족보명 남철(南喆)
조석호 (錫虎) 1960 ~ 정치인, 족보명 영남(永南)
26세(昺)
조경연 (敬衍) 1918 ~ 1991 군인
조민아 (民娥) 2000 ~ 체육인

4.4. 그 외 파계 및 미상

5. 기타

'조'라는 이름으로 시작하는 외국인이 한국 관련 이야기가 나올 때마다 풍양 조씨 드립이 나온다. 대표적으로 조니 뎁, 조 바이든 등.

6. 관련 문서


[원문] 趙氏在東方者。惟我豐壤爲最舊。他處之趙皆後出。 [번역] 동방에 있는 조씨(趙氏) 중에서는 오직 우리 풍양(豐壤)이 가장 오래되었고 다른 곳의 조씨들은 모두 뒤에 나왔다. [3] 직산 조씨에 5개 파가 있는데, 각 파시조 간의 관계는 알 수 없다. 또 백제 개국공신이라 전하는 조성(趙成)은 실존 여부가 불분명할뿐더러, 5개 파를 조성과 연관지으려는 움직임이 조선 후기에야 나타난다. 게다가 횡성 조씨 후손 일부가 직산 조씨 족보에 들어가있기도 하다. [4] 다만 조익의 기록은 후삼국시대 이후를 기준으로 한 것이라 그 이전에도 한반도에 조씨 가문이 존재했을 가능성은 있기 때문에 조익이 저술한 내용도 확실한 사실이라 보기는 어렵고 직산 조씨가 실제로 풍양 조씨보다 늦게 등장했더라도 백제의 성씨 직산 조씨가 원래 성씨가 없다가 고려 초중기의 토성분정을 통해서 성씨를 가졌을 가능성도 있기 때문에 사칭이라 단정짓기는 어렵다. 현대에 출토된 통일신라 초기의 금석문을 통해 백제인의 후손이라는 사실이 확실하게 검증된 천안 전씨 족보에 직산 조씨 시조 조성(趙成)이 백제의 십제공신 중 하나로 언급되고 있다. 같은 한국의 백제계 성씨인 마씨(馬氏)는 6세기 중반 백제 성왕 시기에 일본의 역사서인 일본서기(720년)에서 처음 확인되고 전씨(全氏)는 7세기 금석문(계유명전씨아미타불비상, 673년)에서 백제 유민 집단을 대표하는 가문으로 전씨(全氏) 일족이 확인된다. [5] 현 남양주 진건읍, 진접읍, 오남읍 일대. 그중에서도 조맹이 태어난 곳은 진건읍 송능리이다. [6] http://www.poongyangcho.com/ [7] 현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 병곡면, 창수면, 축산면 일대 [8] 見은 보통 '견'으로 읽으나 '뵈다/뵙다'의 뜻으로 쓰일 때는 '현'으로 읽는다. 예시로 알현(謁見)이라는 단어가 있다. [9] 고려 중기까지의 기록은 전하진 않지만, 고려 말에 역사에 족적을 남긴 인물이 여럿 있고, 내로라하는 유력 가문들과 사돈을 맺은 기록이 있는 것을 볼 때 고려 후기부터 힘을 떨치던 신흥 귀족가문이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10] 조선왕조실록에도 시조 조맹이 고려의 재상이라 나와있다. 단, 한양 조씨의 시조라 기록되어있는데, 고려 때는 풍양현이 한양부의 속현이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한양 조씨라 해도 이상함이 없었던 것이다. 물론 당대에도 이 집안하고는 별개의 씨족으로 인식되었다. [11] 여담으로 나의 문화유산답사기를 보면 유홍준은 세도 정치 시기 풍양 조씨를 딱히 부정적으로 생각하지 않은 듯하다. 책 내용 중에 헌종이 외조부 조만영이 사망한 것 때문에 개혁 의지를 잃었다던지... 실제로 이하전 등 안동 김씨 세도에 적극적으로 반대의사를 표명하는 여러 종실이 풍양 조씨 세력의 비호를 받았다. [12] 사실, 사학계에서도 시선이 많이 바뀌었다. 시가타 히로시를 비롯한 초기 연구자들이 조선이 망할 수밖에 없던 이유를 찾다가 안동 김씨와 풍양 조씨의 집권이 있었던 것을 발견하고, 이 일파가 잘못 정치했으므로 나라가 망했다고 결론을 먼저 내린 뒤 연구를 거기에 끼워맞췄고, 그 결과 우리가 아는 세도정치가 탄생했다는 것이다. 특정 일파가 정치를 장악하던 것은 조선시대 내내 있었던 현상인데 우리가 세도정치로 아는 것도 이와 다르지 않는다는 것이 사학계의 다수설이다. 연구 결과 세도정치라고 불린 시기가 그다지 백성들이 살기 힘들었던 시기가 아니었음이 밝혀지고 있기 때문이다. [13] 명나라 때 대신 이동양(李東陽) [14] 장거정 [15] 엄숭 [16] 명나라 때 대신 하언(夏言) [17] 다만 현재의 풍양출장소는 옛 풍양현과는 다르게 진건읍이 속하지 않고 진접읍ㆍ오남읍ㆍ별내면ㆍ퇴계원읍ㆍ별내동이 속한다. [18] 2026년 예정. [19] 세종실록 지리지에서는 양주도호부의 3개 속현 중 하나로 농양현이 옛 풍양현이었다고 언급되는데 조선 초기에 한 번 개칭됐던 것 같다. [20] 전직공계의 경우 조운흘이 시조 조맹의 30대손이라는 기록이 있지만, 나말여초 시기 인물인 조맹과 여말선초 시기 인물인 조운흘 사이 30대나 지날 수 없기 때문에 불확실한 기록이다. 일각에서는 30(三十)을 13(十三)의 오기로 보아 전직공을 시조의 7대손(8세손)으로 보기도 하나, 추측일 뿐 확실한 것은 아니다. [21] 바꿔서 말하자면 억지로 없는 조상을 만들어내지 않았다는 말이다. 보통 양반 가문의 경우 가문의 위신을 높이기 위해 가상의 인물을 시조삼아서 그를 고관대작으로 소개하고, 그 인물로부터 시작하는 정확한 계보가 존재하는데, 풍양 조씨는 그렇게 하지 않았다. 조상을 알 수 없으면 알 수 없는 대로 냅두고, 고증 가능한 사람부터 1세로 족보에 기록했다. 이 때문에 조선시대사를 연구하는 학자인 에드워드 와그너는 한국의 족보 중 풍양 조씨 족보가 가장 신뢰도가 높다고 평했다. [22] 세도정치로 유명한 시기에 풍양 조씨 집안이 수천 가구가 있었지만 권세 가문은 조엄 일가와 그 후손인 몇 가구뿐이었고, 가난한 풍양 조씨 집안도 많았다. [23] 고려사엔 趙炎輝로 기록되어있다. 부인은 밀양 손씨 손원계(孫元桂)의 딸이다. [24] 삼남 조신이 고성 이씨 이암의 딸에게 장가간 관계로 조염휘의 이름이 고성 이씨 족보에도 기록되어있는데, 이에 따르면 조염휘는 보문각 대제학을 지냈다고 기록되어있다. [25] 호군(護軍)은 고려 때 정4품 관직으로, 중앙군 소속 지휘관이다. 원래 호칭은 장군이었다가 공민왕 때 호군으로 개칭되었다. [26] 회양부사(淮陽府使) 관직을 지냈다. 회양은 지금의 강원도 회양군이다. [27] 원래 사렴(思廉)이었다가 신(愼)으로 개명했다. 아래 조임/조덕린이 동일인물인 것인지 불분명한 것과는 다르게 조신/조사렴은 동일인물임이 확실하다. 조선 태조가 왕위에 오르기 전 조신에게서 글을 배웠다 한다. 세도정치의 중심인물이었던 조만영, 조인영 형제가 조신의 후손이다. [28] 지금주사(知錦州事) 관직을 지냈다. 금주는 지금의 충청남도 금산군이다. [29] ⿰示任. 유니코드 확장한자이다. 1970년 이후에 발간된 족보에는 袵(⿰衣任)으로 나와있는데, 당시엔 이 글자를 타자로 입력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30] 풍양 조씨 족보에 의하면 원래 이름은 덕린(德麟)이었다가 임(𥙛)으로 개명했다고 한다. 다만 이 부분은 불분명한 부분이 있는데, 최초 발간 족보였던 신해보(1731)에서는 조덕린과 조임이 동일인물이 아닌 부자관계로 기록되어있었기 때문이다. 이에 따르면 조염휘의 4남이 조덕린, 조덕린이 나광만(羅光萬)의 딸에게 장가가서 얻은 외아들이 조임이다. 또한 강릉 김씨 족보에서는 19세손 김지복(金之福)의 둘째 딸이 조임에게 시집간 것으로 기록되어있는데, 그 주석에 豊壤人判事父直提學德麟祖右代言炎暉...(풍양 조씨이고 판사를 지냈다. 아버지는 직제학 조덕린이고 조부는 우대언 조염휘이다. ...)라고 기록되어있다. 이로 보아 정황상 조임은 조염휘의 아들이 아닌 손자로 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나, 현재 족보에서는 조덕린과 조임이 동일인물이고, 첫째 부인이 나광만의 딸, 첫째 부인을 잃은 후 다시 장가들어 얻은 둘째 부인이 김지복의 딸인 것으로 기록되어있다. [31] 문하시랑평장사의 오기이다. 문하시랑평장사는 수상인 문하시중 다음가는 재상직이고 이 정도 고위직에 오른 인물은 고려사에 관력이 나오기 마련인데 조신혁의 이름은 찾을 수 없다. 후대에 미화된 듯하다. [32] 1393년생 포천시 출신으로, 결혼 후 처가가 있는 광주하도송라촌(廣州下道松蘿村), 즉 지금의 화성시 매송면 야목리, 송라리, 원리 일대로 거처를 옮겼다. [33] 조지진은 외조부(즉, 조계팽의 장인)에게 아들이 없어서 외손봉사를 하기 위해 광주하도송라촌에 남았다. 들목 조씨라는 이름은 화성시 매송면 야목리의 원래 이름인 들목에서 따온 이름이다. [34] 이들 3천 명 중 안악군 출신의 풍양 조씨는 1%, 즉 30명도 안 된다. 집성촌이 북한에 있고, 1.4 후퇴 때 내려온 소수만이 집계되었고, 족보도 이들의 직계 외엔 기록이 거의 없는 등 굉장히 부실한 편이다. 다만 국조방목에 안악에 거주하는 강진 조씨 중 무과에 급제한 이가 많은데, 강진군의 강진 조씨보다 후손이 더 많을 가능성도 있다. [35] 초명 조규(趙珪) [36] 조선 건국 이후에는 강진으로 쓰기도 했다. 조선 초 도강과 탐진을 합하여 강진이라 했기 때문이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