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22 13:08:05

상용한자

상용자에서 넘어옴
파일:漢.svg 파일:漢_White.svg 한자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닫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eee,#333> 서체와 자형 갑골문 · 금문 · 전서 · 예서 · 해서 · 행서 · 초서 · 정자( 표준자형) · 간체자( 간체자 논쟁) · 신자체( 목록 · 변화 규칙) · 본자 · 속자 · 약자 · 이체자 · 한중일 한자
성질과 분류 획(필순) · 구조 · 파자 · 육서 · 상형자 목록 · 훈음 · 부수 · 부수(중국) · 부수(설문해자)
표준화 상용한자 (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 통용규범한자표 · 당용한자 · 일본의 상용한자 ( 목록) · 학년별한자배당표) · 한국어문회 한자검정시험 · 어문회 급수 · 대한검정회 한자급수자격시험 · 검정회 급수 · 한자한문지도사시험 · 인명용 한자표 · 광동어 정음 운동
주음·표음화·한자음 반절 · 주음부호 · 병음 ( 한어병음 · 월어병음) · 한글( 동국정운) · 훈독 · 음독 · 속음 · 한국 한자음 · 중국 한자음 ( 문백이독 · 상고음 · 중고음 · 근고음 · 양안 간 독음) · 일본 한자음 · 베트남 한자음 · 다음자
옥편 자전 · 설문해자 · 강희자전 · 옥편 · 이아 · 운서 · 광운 · 절운 · 집운 · 오음편해 · 한어대사전 · 대한화사전 · 중문대사전 · 이체자자전 · 한한대사전
색인 부수별 · 음별 · 획수별
국가별 사용 한자문화권 · 한문 · 백화문 · 한국의 한자 사용 · 한자어( 한국식 한자어 · 중국식 한자어 · 일본식 한자어 · 베트남식 한자어) · 언어간 동형이의 한자어( 고유명사) · 언어간 이형동의 한자어 · 우리말 새김
파생 문자 한글 전 한국어 표기 ( 국자 · 이두 · 향찰 · 구결) · 방언자 · 주음부호 · 가나 ( 히라가나 · 가타카나 · 헨타이가나 · 만요가나) · 측천문자 · 쯔놈 · 고장자 · 거란 문자 · 여진 문자 · 서하 문자
입력 · 검색 한자/입력기 · 창힐수입법 ( 목록) · 오필자형수입법 · 대이수입법 · 사각호마검자법
전산화 KS X 1001 · KS X 1002 · KPS 9566 · GB 2312 · JIS X 0208 · Big5 / 유니코드: 한중일 통합 한자 · BMP( 통합 한자 · 통합 한자 확장 A · 호환 한자) · SIP(통합 한자 확장 B~F) · TIP(통합 한자 확장 G) · 한자 모양 설명 문자
기타 고사성어 · 천자문 · 한시 · 어조사 · 음역 · 서예 · 올해의 사자성어 · 올해의 한자 · 국한문혼용체( 논쟁) · 국한문병용체 · 한자 교육 ( 한문(교과) ( 2022 개정 교육과정/한문과) · 한자 교육 찬반 논쟁) · 중복 한자 · 벽자 · 통자 · 갖은자 · 한자오자 · 미상 한자 · 유령 문자 · 특이한 한자 · 닮은꼴 한자 · 국호 · 주기율표 · 음률 · 한자문화권 고유명사 표기 · 자주 틀리는 한자어 · 훈을 혼동하기 쉬운 한자 · 부수를 혼동하기 쉬운 한자 · 한자를 혼동하기 쉬운 단어 · 발음이 여럿인 한자어 · 한국의 성씨( 인구분포 · 지역별) · 후리가나 · 창작 한자 }}}}}}}}}

1. 개요



한자문화권에 속하는 각 국가에서 규정하여 일상 생활에서 쓰도록 권장하는 따로 취사선택한 한자의 모음을 말한다. 상용한자는 전부 외우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한 한자의 방대한 자수를 고려, 한자 교육의 편의 및 일상에서 쓰이는 한자의 제한과 정자로의 통일을 위해 고안되었다.
국가 • 지역 상용한자 규정 자료 개수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한문교육용기초한자 1800자

[[북한|]][[틀:국기|]][[틀:국기|]]
보통교육용한자 3000자

[[일본|]][[틀:국기|]][[틀:국기|]]
상용한자표 2136자

[[중국|]][[틀:국기|]][[틀:국기|]]
현대한어상용자표 3500자

[[틀:국기|]][[홍콩|]][[틀:국기|]]
상용자자형표 4759자

[[대만|]][[틀:국기|]][[틀:국기|]]
표준자체표 4808자

2. 각국의 상용한자

2.1. 한국


한국의 상용한자는 교육용 한자 1800자를 말한다. 나무위키에서의 목록 일람은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문서 참조.

일상에서는 덜 쓰여도 한문 교육에서 필요한 글자들 역시 교육용 한자에 포함되어 있다. 예를 들어 (어조사 호), (어찌 언) 등은 비중이 적어 상용 1800자 안에 들어가기엔 많이 간당간당한 글자[1]이지만 한문을 배울 때는 거의 처음에 등장하는 글자이다 보니 교육용 한자에 포함된다. 그 외에 수능 등 각종 한자 시험에서 출제 가능한 한자를 정할 때 이 표가 기준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상용한자의 기준은 어문회 기준으로 3급 이하이며[2] 1~2급 한자들은 일상생활에서 주로 쓰이면서도 상용한자에 실리지 않았다. 이는 한국어문회가 이 표를 기준으로 급수를 정했기 때문이다.[3]

2.2. 북한

북한은 한국보다 한참 전부터 한글 전용 정책을 펼치고 있었으나 1964년에 다시 한자 정책이 부활하여 현재는 상용한자로 3000자가 규정되어 있다.

2.3. 일본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일본의 상용한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일본의 상용한자는 2136자이다.

2.4. 중국

중국 상용한자의 수는 1988년에 제정된 현대한어상용한자표(现代汉语常用字表)의 상용자(常用字) 2500자와 차상용자(次常用字) 1000자를 합쳐서 3500자이다. 상용한자에는 간화자 2235자가 포함되었다.

2013년 8월 28일에 중국 교육부에서 발표한 "통용규범한자표" 에서는 총 8105자를 선정하였다. 1급 한자(의무교육에서 알아야 할 필수 한자) 3500자, 2급 한자(출판물 등에 쓰이는 한자) 3000자, 3급 한자(인명, 지명 등 고유명사에 활용되는 한자) 1605자로 나뉜다. 통용 규범 한자 모음 (PDF 파일) 나무위키에서의 목록 일람은 통용규범한자표 참조.

아래의 하이퍼 링크는 중국 상용한자에 대한 읽기 자료(중국어)이다.
1988년에 중국 당국이 발표한 "현대한어상용자표" 3500자(상용자 2500자, 차상용자 1000자)만 알면 중국 모든 출판물의 99.48%를 커버한다고 한다.

한편 2009년 중국 언어 생활 실태 보고서[4]에 따르면 중국어를 구사하는 데 상용한자 3500자가 전부 필요한 것은 아니다. 한자 581~602자를 알면 중국어의 80%를, 934~971자를 알면 90%를, 2314~2400자를 알면 99%를 이해할 수 있는데, 이는 상용한자 중 7.15%, 11.49%, 28.47%밖에 되지 않는다.[5] 달리 말하면, 중국어를 약 99%의 이해도로 구사하기 위해 필요한 글자의 수는 30%를 초과하지 않는다.

상용한자 3500자 중에서도 약 3358자는 변화 없이 유지된다.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r1498
, s-5.3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r1498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2.5. 홍콩

홍콩의 상용한자는 상용자자형표(常用字字形表) 4759자이다.

2.6. 대만

대만의 상용한자는 표준자체표(標準字體表)에서 4808자를 규정했다.


[1] 乎는 斷乎(단호), 焉은 終焉(종언)에 쓰인다. [2] 8~3급 배정한자 1817자 중 17자가 제외되어 있다. [3] 교육용 한자가 개정될 때 어문회 배정한자도 일부 개정되었다. [4] 2009年中国语言生活状况报告 # [5] 이 보고서를 기반으로 중국어 글말에서 자주 쓰이는 한자 581개 단어집이 출판되었다. 보고서는 2009년이라고 적혔고 출판된 책에는 2006년 보고서를 기반해서 출판했다고 했으니, 2009년 보고서가 개정된 보고서일 수도 있다. ISBN-13 번호는 9787801847102.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