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05 17:53:45

한국어문회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한국어문회에서 주관하는 전국한자능력검정시험에 대한 내용은 전국한자능력검정시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漢_White.svg 국가공인 한자검정시험 주관 기관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사단법인한국어문회 로고.png 파일:대한검정회.jpg 파일:한자교육진흥회.jpg 파일:대한상공회의소 심볼.svg 파일:한국평생교육평가원.jpg 파일:한국정보관리협회.jpg
<rowcolor=#000000> 한국어문회 대한검정회 한국한자실력평가원 대한상공회의소 한국평생교육평가원 한국정보관리협회
<rowcolor=#FFFFFF> 한자능력급수 한자급수자격검정 한자실력급수 상공회의소한자 한국한자검정 한자어능력 }}}}}}}}}
社團法人韓國語文會
사단법인한국어문회

The Society for Korean Language & Literature
파일:사단법인한국어문회 워드마크.jpg
<colbgcolor=#0076C0><colcolor=#FFFFFF> 통칭 어문회(語文會)[1]
설립인가 1991년 6월 22일
이사장 남기탁(南基卓)[2]
주소 서울특별시 서초구 사임당로 64 벤처타워 501호
홈페이지 한국어문회·한국한자능력검정회: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한국어문교육연구회: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3]
표어 한글과 漢字는 국어의 두 날개
로고의
의미
'원' 형태의 보편적 조건에서 '각' 형태의 구체적 조건으로 가는 상승적 진행을 의미하는 '펜' 형태의 이미지 표현으로 한국어문회의 미래지향적 발전을 나타내고 있으며, [math(\bigcirc)] 및 [math(\square)] 모양은 '어문'의 초성을 상징함.

1. 개요2. 역사3. 활동 및 특징
3.1. 국한문혼용 추진 운동3.2. 전국한자능력검정시험 시행3.3. 전국한자능력검정시험 대비 학습교재 출판
3.3.1. 비판: 허술한 글꼴 반영3.3.2. 비판: 교재 내의 오류
3.4. 한자지도사자격검정시험 시행3.5. 격월간지 〈어문생활〉 간행3.6. 학술지 〈어문연구〉간행3.7. 난정장학금 수여3.8. 난정학술상 시상3.9. 한글 상담3.10. 한자 상담
4.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사단법인 한국어문회는 어문교육 및 어문정책 연구와 학술활동 수행을 위해 만들어진 비영리 학술연구 문화단체이다. 법인의 이사진에는 여러 대학의 국어국문학과 명예교수들인 노학자들이 포진하고 있다.[4] 또한 현재 가장 유명한 한자급수 시험 기관 중 하나.

2. 역사

한국어문회의 설립인가는 1991년이지만, 한국어문회의 역사는 1969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정부의 한글전용 정책[5]을 우려한 인물들이 모여 국어국문학 학술연구와 국한혼용 어문운동을 추진하기 위하여 한국어문교육연구회를 창립하였다. 초대 회장은 일석 이희승 선생.[6]

이후 한국어문교육연구회는 학술활동에 주력하고 한국어문회는 어문교육정책 및 어문운동에 주력하는 방향으로, 한국어문회가 한국어문교육연구회에서 분리되었다. 그 뒤에는 전국한자능력검정시험을 시행하기로 하면서 한국한자능력검정회는 전국한자능력검정시험 시행에 주력하는 방향으로, 한국한자능력검정회가 분리되었다.[7]

한국어문교육연구회, 한국어문회, 한국한자능력검정회 이 세 단체는 역사적으로 같은 모체를 공유하며, 법적으로 이사진의 일부 구성원을 공유하며, 사상적으로 같은 주장을 공유하며, 대외적으로 같은 로고를 사용하기 때문에 서로 같은 맥락에서 놓고 보아도 무방하며 다만 주력하는 분야와 역할은 다르다. 한국어문회에서 시행한다고 알려진 한자검정시험은 사실 엄밀히 말해 '한국어문회 주관 한국한자능력검정회 시행'이지만, 주관기관과 시행처를 구분하지 못해도 큰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하단의 연혁은 한국어문회(한국어문교육연구회·한국한자능력검정회)의 주된 활동인 국한문혼용 추진 운동, 전국한자능력검정시험 시행, 회보 발간,학술지 발간, 장학 활동, 시상 활동의 여섯 가지 활동을 중심으로 세 단체의 연혁을 추린 것이다. 사실 세 단체의 연혁은 한국어문회 홈페이지의 본회연혁 페이지에 합쳐서 서술되어 있다.
===# 연혁 #===
<rowcolor=#FFFFFF> 날짜 연혁
1969. 7. 31. 한국어문교육연구회 창립. 초대(1969. 7. 31.-1988. 3. 18.) 회장 일석 이희승 선생 취임.
1971. 7. 3. ‘어문교육시정촉구건의서’[8] 국무총리에게 제출.
1972. 8. 16. 상기한 건의서 등을 받아들인 문교부는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1,800자’ 선정 공포.
1973. 10. 30. 계간 국어국문학 학술논문지 <어문연구>를 창간
1988. 3. 19.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대(1988. 3. 19.-1997. 12. 6.) 회장 난정 남광우 선생 취임.
1990. 8. 20. 계간 〈어문회보〉 창간.
1990. 8. 25. 사단법인 한국어문회 창립. 한국어문교육연구회의 어문운동 부분 강화를 위해 창립.
1991. 6. 22. 사단법인 한국어문회 인가. 초대 이사장 난정 남광우 선생 취임.
1992. 9. 14. 한국한자능력검정회 창립. 초대 회장 난정 남광우 선생 취임.
1992. 12. 9. 제1회 전국한자능력검정시험 시행.
1998. 2. 18. 국회의원 151명의 서명을 첨부하여 한글전용법 폐기 청원을 국회에 냄.
1999. 3. 31. 난정 남광우 선생의 유지를 기려 전국한자능력검정시험 성적 우수자에게 한검장학금 지급.
1999. 6. 15. 행정자치부 장관을 상대로 ‘주민등록증의 성명 한글전용표기결정 취소 청구의 소’를 서울행정법원에 냄.[9]
1999. 12. 7. 교육한자 대표훈음 심의위원회, 교육한자 대표훈음 최종 심의·확정.
1999. 12. 10. 계간 〈어문회보〉를 격월간 〈어문생활〉로 개제(改題)하고 가로쓰기로 전환함.
2001. 1. 1. 전국한자능력검정시험의 1급, 2급, 3급, 3급Ⅱ, -4급-이 교육부 승인을 받아 국가공인자격으로 확정됨.[주의]
2002. 3. 1. 한검장학금을 난정 남광우 선생의 호를 따 난정장학금으로 변경하고, 장학위원회를 발족시킴.
2016. 4. 28. 난정학술상 제1회 시상식 거행

상기 연혁은 사단법인 한국어문회 홈페이지의 본회연혁 페이지에 서술된 연혁을 추린 후, 국한문혼용체를 한글전용체로 바꾸고 일부 윤문한 것이다.

3. 활동 및 특징

단체 차원에서 국한문혼용체를 주장하며 이에 관한 운동을 전개하고 있다. 이 단체가 대중적인 인지도를 가지고 있는 가장 주되며 거의 유일한 이유라 할 수 있는 국가공인 전국한자능력검정시험을 시행하고 있다.[11] 또한, 격월간지(隔月刊誌)인〈어문생활〉을 간행하고 학술지 어문연구(語文硏究, The Society for Korean Language & Literary Research)를 간행하고 있다. 장학 및 시상 활동에서는 일반인과 학자를 구분하고, 각각 전국한자능력검정시험 고득점자에게는 장학금을 수여하고 및 중견 국어학자들을 대상으로는 학술상을 수여하고 있다.

여타 국가공인민간자격 한자검정시험 시행처와 비교하였을 때 이 단체는 저명성과 권위 면에서 누구도 따라오기 어렵다. 한자검정시험을 시작하기 이전부터 국한문혼용체 추진 운동이 소기의 성과[12]를 거두면서 사회적인 저명성이 생긴 단체이며, 학계에서 자리를 잡은 노학자들이 단체에 자리잡고 있기에 권위 역시 생긴다. 이런 특징을 바탕으로 한국어문회는 국문학계에서의 영향력을 가지는 단체이며, 국한문혼용론이 받아들여지지는 않을지언정 학술지 〈어문연구〉는 이름이 있다. 학계에서 알려진 단체일 뿐만 아니라, 한자검정시험을 치르는 언중 사이에서도 대중적인 인지도를 가장 크게 갖춘 단체이다.

3.1. 국한문혼용 추진 운동

한국어문회의 모체인 한국어문교육연구회가 한글전용 정책에 반대하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어진 단체이기에, 한국어문회는 본래부터 국한문혼용론을 주장하는 단체이다. 한자 지식이 언중에게 필수적이며, 한자 교육이 학생들에게 필수적이라고 이 단체는 꾸준히 주장하고 있다. 다음은 한국어문회의 지향을 명확히 알 수 있는 문구들이다.
사단법인 한국어문회 정관 및 공식 소개 일부 발췌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정관 제1장 총칙 제3조 (목적)
이 법인은 국어전통의 계승 발전과 국한혼용 체제의 확립 및 국어 순화를 범국민운동으로 전개함을 목적으로 한다.
사단법인 한국어문회 설립 목적 (홈페이지 참고)
社團法人 韓國語文會는 國漢混用 語文運動을 효과적으로 전개하기 위하여 1991년 6월 22일 창립된 非營利 學術硏究 文化團體입니다.[번역] (후략) }}}}}}}}}
한국어문회 홈페이지의 '한글과한자' 페이지에 서술된 인용구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국한문혼용체 원문
우리는 우리말의 70%가 漢字말이요, 漢字가 당당히 國字의 하나임을 옳게 인식해야 한다.
國字인 한글과 漢字는 각각 長短點이 있는 바 採長補短하는 國漢混用체제가 理想的이다. 漢字는 한글의 단점을 보완하는 구실을 하며 視覺性, 造語力, 縮約力에 있어 한글에 比해 월등하다.
本會는 "漢字敎育이 바로 국어敎育의 지름길이요, 國語를 媒體로하는 모든 敎育效果를 증진하는 要諦"임을 확신해서
① 國民學校부터 漢字敎育을 하고,
② 모든 敎科書를 國漢混用으로 할 것
을 주장해온 바 이제 국민학교부터의 漢字敎育 陽性化와 中·高·大에서의 漢字敎育強化를 強力히 促求하는 것이다.

『한글과 漢字』 刊行後記(蘭汀 南廣祐, 1985) 중에서
한글전용체 번역
우리는 우리말의 70%가 한자말이요, 한자가 당당히 국자의 하나임을 옳게 인식해야 한다.
국자인 한글과 한자는 각각 장단점이 있는 바 채장보단하는 국한혼용체제가 이상적이다. 한자는 한글의 단점을 보완하는 구실을 하며 시각성, 조어력, 축약성에 있어 한글에 비해 월등하다.
본회는 "한자교육이 바로 국어교육의 지름길이요, 국어를 매체로하는 모든 교육효과를 증진하는 요체"임을 확신해서
① 국민학교부터 한자교육을 하고,
② 모든 교과서를 국한혼용으로 할 것
을 주장해온 바 이제 국민학교부터의 한자교육 양성화와 중·고·대에서의 한자교육강화를 강력히 촉구하는 것이다.

『한글과 한자』 간행후기(난정 남광우, 1985) 중에서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출간 전국한자능력검정시험 교재 머리말 원문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國語(국어) 어휘의 70% 정도를 차지하고 있는 것이 漢字語(한자어)입니다. 30여년 간의 한글 專用(전용) 교육은 국민의 國語 能力(능력)을 低下(저하)시킴으로써 상호간 意思疏通(의사소통)을 모호하게 하고, 學習(학습) 能力(능력)을 減少(감소)시켰을 뿐만 아니라, 傳統(전통)과의 단절, 한자문화권 내에서의 孤立(고립)이라는 결과를 빚어냈습니다. }}}}}}}}}
이러한 한국어문회의 주장과 지향이 어떠한지를 판단하고 비평하는 것은 각 개인의 자유이겠지만, 어쨌든 한국어문회는 위와 같은 지향을 바탕으로 한글전용을 폐지하고 국한문혼용을 다시금 정착시키려는 운동을 진행했다. 박정희 정부의 한글전용 7개조 정책에 반발한 것 이후의 대표적 활동은 다음과 같다. 이 밖에도 한국어문회는 국한문혼용의 실시를 촉구하는 사회적 활동을 다수 진행했다.

3.2. 전국한자능력검정시험 시행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전국한자능력검정시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한자검정시험 시행처 중에서는 가장 먼저 한자검정시험을 시행하였으며 가장 높은 저명성을 유지하고 있는 터라 가장 권위 있는 시행처로 평가받는다. 소위 근본.

3.3. 전국한자능력검정시험 대비 학습교재 출판

한국어문교육연구회는 한국어문회 주관 - 한국한자능력검정회 시행 전국한자능력검정시험 대비 교재를 출판한다. 한국어문교육연구회에서 출판한 책은 절대적으로 대부분이 한국어문회 시험 교재이고, 이 교재들이 전국한자능력검정시험 대비 교재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물론, 한국어문교육연구회 뿐만 아니라 한국어문회와 무관한 여러 저자들도 한국어문회 주관 시험을 대비한 학습교재를 출판하므로 수험생은 여러 교재들 중 원하는 교재를 살펴보고 고르면 된다. 꼭 어문회 공식 지정 교재로 공부하란 법은 없으며, 공식 교재를 쓰지 않아도 충분히 원하는 급수를 합격할 수 있다. 수능에 연계되는 EBS 교재와 교과서로만 수능을 공부하란 법이 없는 것과 같다. 다만, 현실적으로 EBS 교재와 교과서만으로 대비하기 어려운 수능과 달리 전국한자능력검정시험은 한국어문회 공식 시험 교재만으로도 충분히 공부할 수 있다.

왠지 진지하고 딱딱할 것 같은 분위기와 달리, 가끔은 농담을 곁들이기도 한다.
: 어떤 짐승(벌레)을 본뜬 글자이다. 이 글자를 모르는 사람이 탱크처럼 생긴 글자라 하여 웃음을 산 일이 있다. 주로 이름처럼 쓰인다.
'한자능력검정시험' 기본서 '卨(사람이름 설)' 설명 中

3.3.1. 비판: 허술한 글꼴 반영

한국어문회 측이 자체적으로 발간하는 한자능력검정시험 교재는 대부분 한양해서 폰트를 적용하고 있다.[14] 원래 (쉬엄쉬엄 갈 착)의 부수 형태인 ‘책받침’이 들어간 한자는 한양해서식 자형 자체에 오류가 있다고 보아 인정하지 않았기 때문에 2021년판까지 바탕체로 표기되어 있었다. 그러다가 2022년 1월 새 쇄본부터 궁서체로 업데이트했는데, 이러한 문제 제기를 한 부분에 한해서 한양해서 대신에 출처 불명(혹은 자체 제작)의 이미지 파일을 덧붙여서 오해를 해소한 편이다.

그런데도 어문회 교재에서도 아직도 반영하지 못 한 정자를 몇 개 꼽자면 다음과 같다. 다만, 위에서 밝혔듯이 어문회 시험에서 사소한 이체자로 오답 시비를 가리지는 않는다는 점에도 유념한다.
[원문 보기]
안녕하십니까?

衰는 衣+冄(늘어질 염)으로 구성된 글자로 해당 부분은 冄이 변형된 것입니다.

컴퓨터의 폰트에 따라 (口+一) 또는 丑의 형태로 다양하게 표현되고 있으므로 어느 것을 쓰든 무방합니다.

감사합니다.
}}}

3.3.2. 비판: 교재 내의 오류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과 맞지 않는 발음법 등을 담은 예시어들이 많다. 菓品(과품)을 과:품이라 표기한다든지, 難兄難弟(난형난제)를 난:형난제라 표기한다든지 이런 점이 꽤나 발견된다. 이에 대해 한국어문회는 다음과 같이 설명하였다.
본회가 출간한 교재의 장단음은 <한국어표준발음사전>과 <고금한한자전>을 기초로 한 것으로 이는 <표준국어대사전>의 장단음 표기와 일부 차이가 있습니다. 이런 모순을 본회도 인지하고 있기에 최근에는 교재와 <표준국어대사전>의 장단음 구분이 다른 경우 출제를 지양하고 있으며, 장단음의 활용도를 고려하여 동음어에 대한 장단음 구분 중심으로 출제하고 있습니다. 혹 본회와 국립국어원의 견해가 상충하는 경우에는 이 이견이 학계를 통해 정립되지 않는 한 모두 정답으로 처리합니다.
사단법인한국어문회 > 학술연구 > 국어상담실 > 한자상담 > '장단음, 정자', 2021-05-07
교재 내에서 간간이 오타가 발견되기도 한다. 쇄사슬 쇄, 찥어질 렬 등등.
엄격히 따지자면 오류는 아니지만, 국어사전에 나오지 않는 단어들도 상당수 실려있어 비판의 실마리가 되기도 한다. 자세한 내용은 이쪽에도 기술되어 있다. 그래놓고 ' 특급을 공부할 정도면 웬만한 것은 스스로 해결하라'라고(...)

3.4. 한자지도사자격검정시험 시행

국가공인민간자격이 아닌 등록민간자격인 터라 널리 알려지지는 않았으나, 한자교육을 실행할 수 있는 능력을 측정하는 자격증 시험도 시행하고 있다. 한자지도사 초급 시험에서 전국한자능력검정시험의 3급II에 해당하는 1,500자, 중급 시험에서 3급에 해당하는 1,817자에 대한 지도능력을 평가하지만 고급 시험에서 갑자기 1급에 해당하는 3,500자에 대한 지도능력을 평가하는 아스트랄한 시험이다.

한자검정시험에서는 어문회가 가장 권위와 저명성 면에서 앞선다고 평가받는 것과는 상반되게 한자지도사검정시험에서는 어문회가 국가공인자격을 발급하지 못하고, 오히려 (한자검정시험에서 어문회의 주요 경쟁자들인) 대한검정회와 한자교육진흥회가 국가공인자격을 발급하고 있다.[16]

3.5. 격월간지 〈어문생활〉 간행

〈어문생활〉은 1990년 8월 20일 창간된 회보 형식의 격월간지이다. 2022년 7월, 제275호가 출간되었기에 현재까지 무리 없이 간행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어문생활〉은 여러 기고자들의 에세이 및 칼럼 또는 인터뷰 형식의 글들을 싣고 있으며, 꼭 한자 이야기만 하기보다는[17] 전반적으로 국어국문학의 전 범위를 제한 없이 다루며 국어국문학계 소식도 다룬다. 격월간지의 성향 역시 상술한 한국어문회의 지향을 따르며, 국한문혼용체가 간혹 가다 등장한다.[18] 그렇더라도 대부분은 옆에 작은 글씨로 한글 발음을 달아주기 때문에, 讀解독해에 無理무리가 생길 程度정도는 아니다.

3.6. 학술지 〈어문연구〉간행

어문연구는 한국어문교육연구회가 1973년 10월 30일부터 간행한 국어국문학 학술지이다. 2002년 이후 2027년까지 KCI 등재지이다. (KCI) 국어국문학도들이 꽤 많이 찾는 학술지 중에 하나이며, 국어국문학의 전 부문을 제한 없이 다루고 있다. 따라서 문학, 문법, 교육론, 한자 등 여러 주제에 걸친 논문들이 실린다.[19] 이 학술지에 등재되는 논문이라고 해도 본문은 한글전용이고 필요 시 한자 병기지만, 특기할 점은 제목 및 초록에서 국한문혼용으로 된 논문들이 많다는 것이다.

사실 논문 제목을 국한문혼용으로 표기하는 것은 2000년대 이전까지 영어영문학 등 타 분야에서도 흔했다. 특히 학술논문(석사/박사논문)의 경우는 영어영문학과 기준으로도 2000년대 중반까지도 국한문이 종종 있어왔다. 따라서 어문연구의 관행은 색다를 것이 없으며, 다만 기존의 관성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또한 학술지 편집부와 리뷰어는 저자의 제출본에서 국한문의 사용 등 논문의 내용과 무관한 수정을 강제할 수 없다. 따라서 발행기관의 성향에 따라 저자들이 국한문으로 입력하는 것이다. 실제로 이 학술지 논문 중에는 다른 학술지와 같이 한글 전용 및 유럽어 병기 제목도 종종 있다.

3.7. 난정장학금 수여

전국한자능력검정시험 문서의 5.4번 문단 참고.

난정(蘭汀)은 국한문혼용론자였으며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대 회장이자 한국어문회 초대 회장, 한국한자능력검정회 초대 회장인 남광우 박사의 호이다. 이 문서에서 그의 이름은 연혁 문단, 국한문혼용 추진 운동 문단에 등장한다.

3.8. 난정학술상 시상

젊은 세대의 일반인에게 수여되는 난정장학금과 상호 보완적으로 중견 학자를 대상으로 하는 상의 시상이 필요하다는 인식에 의해 난정학술상이 2015년 제정되었다. 2016년 제1회 난정학술상 시상식이 있었으며, 지금까지 6회 시상되었다.[20] 수상자들은 상패와 상금을 수여받는다. 2022년 본상 수상자는 1,000만원을 상금으로 받았으며 우수상 수상자는 500만원을 상금으로 받았다.

3.9. 한글 상담

* 국어상담실의 "한글상담"은 2018년 5월 1일로 운영을 종료합니다.
* 한글에 대한 상담은 국립국어원의 "온라인가나다"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온라인가나다 바로가기]
* 본회는 한글과 더불어 국어의 하나인 한자에 대한 상담과 문의에 더욱 집중하겠습니다.
* 감사합니다.
이름과는 달리 한글이 아닌 '한국어' 전반에 대한 질문을 받는 곳으로, 사단법인한국어문회 > 학술연구 > 국어상담실 > 국어상담 순으로 접속할 수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이 2018년 5월 1일부터 운영을 종료하여 더 이상 질문을 올릴 수 없으며, 옛날에 올라온 153개의 문답만이 게시되어 있다. 정작 한자 상담에 올라가야 할 질문들이 여기에 들어간 경우도 많다.

국립국어원의 온라인 가나다의 답변이 띄어쓰기나 맞춤법을 매우 정확히 지키는 것에 비하면 이런 면에서 다소 허술하다.

3.10. 한자 상담

전국한자능력검정시험 및 한자 전반에 대한 질문을 받는 곳으로, 사단법인한국어문회 > 학술연구 > 국어상담실 > 한자상담 순으로 접속할 수 있다.

답변의 말투가 상당히 특이하다. 한국어문회 자체를 낮춰 '저희'라고 하지 않고 답변하는 사람 개인만을 낮춰 '저'라는 표현을 쓰는 것을 비롯해서, 불확실하고 이게 뭔가 싶을 정도로 자신이 없어 보이는(...) 표현, 구어적인 표현도 생각보다 많이 쓴다. 이를테면 다음과 같다.
저도 잘 모르겠습니다. 생각해 본 일이 없는 말이라서... 貸(대)는 누군가에게 빌려주는 것입니다. 切(절)은 다른 사람과의 계약은 끊기는 것입니다. 계약이 성립되면 다른 사람에게는 一切(일절) 빌려줄 수 없으니 "절"이 아닐까요? "체"라고 하면 "온통 빌려줌, 모든 것을 빌려줌"의 뜻이 되어 뜻이 달라진다고 보입니다. 사용권과 관계된 부분을 넘어, 방 한 칸 빌리는 데, 집 전체를 빌려주는 듯하여, 빌려주는 대상의 범위가 확장될 소지가 있습니다. 그러므로 "체"는 아닌 듯합니다.
사단법인한국어문회 > 학술연구 > 국어상담실 > 한자상담 > 대절, 2014-01-03

심지어는 역으로 질문자를 훈계(...)하기까지 한다.
답변자를 시험하시면 안 됩니다. 논어를 읽는 분이 위의 문장의 뜻을 모른다면 한자의 뜻과 한문법을 더 공부하셔야 됩니다.
사단법인한국어문회 > 학술연구 > 국어상담실 > 한자상담 > 번역해주세요, 2013-04-24

정말 극단적인 경우가 아닌 이상 모두 답변을 달아주는 '온라인 가나다'와는 달리 임의로 답변을 거부하기도 한다.
Q: 戢翼 독음 즙익?집익? 睢剌수랄? 휴랄? 각 단어의 뜻 殤宮, 霄熠, 蜎秀, 郢斧, 棣通의 뜻을 알려 주세요.

A: 특급을 공부하실 정도면 웬만한 것은 스스로 해결하실 수 있어야 합니다. 궁금하신 것은 먼저 자전을 찾아보시기 바랍니다. 독음만 알려드리면 戢翼은 즙익/집익 다 되고, 睢剌은 휴랄이나 혜랄이 되고, 수랄은 안 됩니다.[21]
사단법인한국어문회 > 학술연구 > 국어상담실 > 한자상담 > 戢翼, 2013-03-04

그러나 이는 소수일 뿐이고 전반적으로는 까다로운 질문들에 대해서도 매우 전문적인 수준으로 설득력 있게 답변해 준다. 단, 국립국어원의 온라인 가나다의 답변이 띄어쓰기나 맞춤법을 매우 정확히 지키는 것에 비하면 이런 면에서 다소 허술하다.

또한 자주 확인을 하지 않는 듯하다. 질문은 주기적으로 올라오는 데 반해 답변은 여러 질문을 모아 한번에 한다. 일례로 2024년 8월 8일 오후에 한번에 6개의 질문에 대한 답변이 동시에 올라왔는데, 이 질문들이 게시된 날짜는 2024년 7월 24일부터 2024월 8월 5일까지. 이 중 가장 오래된 2024년 7월 24일자 질문에 경우는 질문한지 2주가 넘어서야 답변되었다. 반면에 2024년 8월 5일자 질문의 경우는 3일만에 답변된 것이 된다. 그러므로 답변이 올라오기 위해 걸리는 시간은 한국어문회가 질문을 언제 확인하는지에 따라서 완전히 무작위라고 생각하되, 최대 2주 정도는 걸릴 수 있다는 것을 감안해야 한다.

아예 다음과 같이 나무위키 문서로 답변을 대신한 경우도 있다! (별 진, 때 신) 문서의 '독음' 문단은 본의 아니게 한국어문회에서 인정받은 신뢰성 높은 정보라고 할 수 있다(...).
Q: 교수님 안녕하세요 辰자가 네이버 사전에는 "별 진", "때 신"으로 나와 있는데요 日月星辰은 일월성신으로 읽고 辰宿列張은 진수열장으로 읽는 것 같은데 일월성신에서 辰이 별을 뜻하니 일월성진이라고 읽어야 하는 게 아닌가요?
그리고 신수열장이라고 읽으면 안되나요? 두 개의 차이가 궁금합니다.

A: 辰의 독음에 대하여 잘 정리된 자료가 있어 추천하는 것으로 답을 대신하겠습니다.

辰 - 나무위키 (namu.wiki)

참조가 되시길 바랍니다.
사단법인한국어문회 > 학술연구 > 국어상담실 > 한자상담 > 10672(辰의 발음이 궁금합니다.), 2024-06-02

4. 관련 문서


[1] 국문학계나 한문학계에 몸담고 있지 않은 이상 일반 대중은 주로 " 어문회 한자검정시험에 응시해서 합격했다."와 같은 용례로, 전국한자능력검정시험과 결부하여 사용한다. [2] 강원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現 명예교수. 한국어문회 한자 교재들의 집필자로 이름을 올려두고 있다. [3] 이 단체는 어문회와 관계있는 단체이다. 이에 대해서는 하술한다. [4] 후술하겠지만, 국한문혼용론을 주장하는 학자들이다. [5] 박정희한글전용 촉진 7개 사항을 공포하여 한글전용 정책을 밀어붙였다. 박정희의 7개 사항의 주된 내용은 행정, 입법, 사법의 모든 문서 및 민원 서류와 각급 학교의 교과서에서 한자를 없애는 것이었다. [6] 1896-1989. 국어학자, 시인, 수필가. 조선어학회 사건으로 옥살이를 한 경험이 있으며, 서울대학교에서 교수로 생활하며 1962년에는 명예교수로까지 추대되었다. 1963년부터 1965년까지 동아일보의 사장을 역임한 경력도 있다. 정계에서는 신민당( 신민당(1960년)인지 신민당(1967년)인지는 확인이 필요하다)과 한국독립당(아마도 한국독립당(1963년)으로 보인다)의 고문을 지냈고, 유신정권 반대 운동에 참여하였다. 물론, 이희승이 유신정권에 반대한 것은 민주주의를 향한 그의 지향 때문이지 어문정책이 주된 이유는 아니다. 대중적 인지도는 높지 않아도 역사적 중요성으로나 학문적 업적으로나 기념할 만한 인물이다. 자세한 내용은 위키백과 문서 참고. [7] 한국어문회 홈페이지의 '본회연혁' 페이지의 서술은 다음과 같다. 위와 같이, 韓國語文敎育硏究會는 학술활동에, 社團法人 韓國語文會는 어문교육(韓國語文敎育院)·어문정책·어문운동에, 韓國漢字能力檢定會는 전국한자능력검정시험 시행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8] 상술한 대로 박정희의 한글전용 정책을 반대하는 움직임이었다. [9] 이후 주민등록 성명 한자병기로 정부 정책이 결정되었다. [주의] 현재는 4급이 국가공인자격이 아닌 민간자격이다. 3급Ⅱ와 그 이상으로는 현재도 여전히 국가공인자격이다. [11] 한국어문회가 직접 시행하는 시험은 아니지만, 상술했듯 아무래도 상관없다. [12] 물론 국한문혼용체가 시행되지 못하고 한글전용 정책도 폐기되지 않았지만, 학교 교육에서 일정 규모와 수준의 한자교육을 사수한 것은 이 단체 입장에서는 성과라고 할 수 있다. [번역] 사단법인 한국어문회는 국한혼용 어문운동 을 효과적으로 전개하기 위하여 1991년 6월 22일 창립된 비영리 학술연구 문화단체입니다. [14] 실제로도 한국어문회 측 질의응답에 의하면, 강희자전과 가장 유사하게 반영한 폰트는 '한양해서체'라고 주장한 적이 몇 번 있으나, 2018년부터는 이런 답변을 안 하는 추세이다. [15] 다만, 그네 천(韆)은 병부 절(⺋) 쪽이 맞는다. 사실 이를 구분하려는 사람이 더 드물긴 하다. [16] 이는 어느 단체가 어느 자격시험을 먼저 만들었는지의 순서와도 일치하는데, 한국어문회는 한자검정시험에서는 최고(最古)의 선두주자이지만 한국어문회 시험을 통한 한자지도사는 2007년, 한자·한문지도사는 2012년 처음 배출되었다. 반면, 대한검정회는 한자검정시험은 한국어문회보다 늦게 시작했지만 한자·한문전문지도자 시험은 1999년부터 실시하였다. [17] 물론 한자 얘기가 종종 등장하긴 한다. [18] 특히, 기고자들의 이름 등 사람 이름은 웬만하면 한자로 표기한다. [19] 다만 한문학에 편중된 논문은 실리지 않는 듯하다. [20] 2021년은 무슨 일인지 시상이 없었고, 2022년에는 시상이 있었다. 다음 시상은 2023년에 있을 예정. [21] 그런데 아무리 특급을 공부하더라도 당연히 헷갈릴 수 밖에 없다. 본문에 나온 단어 중 (거둘 즙/집)은 어문회 대표훈음에서는 '즙', 네이버 사전에서는 '집'이라고 하고 있으니 질문자 입장에서 충분히 헷갈릴 만 하고, (부릅떠볼 휴, 물 이름 수)는 어문회 대표훈음이 '휴', '수'가 둘 다 있으니 둘 중 무엇인지는 국어사전에서 확인할 수 있으나 등재가 되어 있지 않은 단어이니(...) 어문회 측에 물어볼 수 밖에 없었을 것이다. 더군다나 '睢剌'의 음 중 쌩뚱맞게 '혜랄'이 존재하여 혼동을 유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