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9 13:50:36

불가리아/역사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불가리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3966f,#3b6051> 고대 슬라브족 트라키아인 고대 튀르크족
오드뤼사이
아케메네스 왕조
아르게아스 왕조
리시마코스
셀레우코스
오드뤼사이
로마 제국
중세 동로마 제국 불가르족
남슬라브족
불가르 칸국
불가리아 제1제국
동로마 제국
불가리아 제2제국
오스만 제국
근현대 불가리아 공국
불가리아 왕국
불가리아 인민공화국
불가리아 공화국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fff><colbgcolor=#D01C1F> 상징 국가
역사 역사 전반 · 슬라브족의 이동 · 불가리아 제국( 불가리아 제1제국 · 불가리아 제2제국) · 불가리아 공국 · 불가리아 왕국 · 불가리아 인민 공화국
문화 불가리아 요리 · 불가리아어 · 불가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 키릴 문자 · 불가리아 정교회
정치 정치 전반 · 대통령 · 부통령 · 총리 · 국민의회( 선거) · 내각 · 행정구역()
경제 경제 전반 · 불가리아 레프
외교 외교 전반 · 유럽연합
군사 모병제 · 불가리아군 · 불가리아 육군 · 불가리아 해군 · 불가리아 공군 · 바르샤바 조약기구 · 북대서양 조약 기구
사회 불가리아 마피아
민족 슬라브 · 불가리아인( 불가리아계 우크라이나인 · 불가리아계 러시아인 · 불가리아계 미국인)
}}}}}}}}} ||
1. 개요2. 역대 국가수반
2.1. 역대 국왕
3. 고대
3.1. 트라키아인
3.1.1. 기원전 480년 오드뤼사이 왕국: 그리스의 영향을 받음, 바르바로이라고 불림3.1.2. 로마 제국3.1.3. 동로마 제국 안에서의 트라키아인3.1.4. 6~7세기, 슬라브인들과 융합
3.2. 트라키아 슬라브인들과 튀르크 불가르인들의 동화
4. 중세
4.1. 불가리아 제1제국
4.1.1. 811년, 동로마 제국과의 전쟁에서 승리4.1.2. 863, 정교회 수용4.1.3. 893, 전성기: 불가리아 제국의 황제가 된 시메온 대제4.1.4. 동로마 제국의 공세전환4.1.5. 보야르들의 세력확장4.1.6. 제국멸망(1018)
4.2. 불가리아 제2제국
4.2.1. 제3의 로마4.2.2. 몽골제국의 침략, 이바일로의 난: 위기4.2.3. 1300년 ~ 1322년, 차르 토도르 스베토슬라프: 중흥기4.2.4. 1330, 1331 보야르 할거시대4.2.5. 1331년 ~ 1371년, 차르 이반 알렉산더르: 제2의 중흥4.2.6. 3국 분열4.2.7. 1393, 1395 2국의 멸망과 1396년, 사실상의 멸망
5. 근세 : 오스만 제국의 통치6. 근대7. 현대

1. 개요

불가리아의 역사를 다루는 문서.

2. 역대 국가수반

2.1. 역대 국왕

출처 : https://ko.wikipedia.org/wiki/%EB%B6%88%EA%B0%80%EB%A6%AC%EC%95%84%EC%9D%98_%EA%B5%B0%EC%A3%BC_%EB%AA%A9%EB%A1%9D

불가리아 제1제국( 681년 ~ 1072년)
대수 왕조 이름 재위
1 둘로 왕가 아스파루흐 681년 ~ 701년
2 둘로 왕가 테르벨 701년 ~ 721년
3 둘로 왕가 코르메시 721년 ~ 738년
4 둘로 왕가 세바르 738년 ~ 753년
5 (혼란기) 코르미소쉬 753년 ~ 756년
6 (혼란기) 비네흐 756년 ~ 760년
7 (혼란기) 텔레츠 760년 ~ 763년
8 (혼란기) 사빈 764년 ~ 766년
9 (혼란기) 우모르 766년 ~ 766년
10 (혼란기) 토크투 766년 ~ 767년
11 (혼란기) 파간 767년 ~ 768년
12 (혼란기) 텔레리그 768년 ~ 777년
13 크룸 왕가 카르담 777년 ~ 803년
14 크룸 왕가 크룸 803년 ~ 814년
15 크룸 왕가 오무르타그 814년 ~ 831년
16 크룸 왕가 말라미르 831년 ~ 836년
17 크룸 왕가 프레시안 1세 836년 ~ 852년
18 크룸 왕가 보리스 1세 852년 ~ 889년
19 크룸 왕가 블라디미르 889년 ~ 893년
20 크룸 왕가 시메온 1세 893년 ~ 927년
21 크룸 왕가 페터르 1세 927년 ~ 969년
22 크룸 왕가 보리스 2세 969년 ~ 971년
23 크룸 왕가 로만 971년 ~ 991년
24 코미토풀리 왕가 사무일 997년 ~ 1014년
25 코미토풀리 왕가 가브릴 라도미르 1014년 ~ 1015년
26 코미토풀리 왕가 이반 블라디슬라프 1015년 ~ 1018년
27 코미토풀리 왕가 프레시안 2세 1018년 ~ 1018년
자칭 (없음) 페터르 2세(자칭) 1040년 ~ 1041년
자칭 (없음) 페터르 3세(자칭) 1072년 ~ 1072년

불가리아 제2제국( 1185년 ~ 1422년)
대수 왕조 이름 재위
28 아센 왕가 페터르 4세 1185년 ~ 1197년(공동)
28 아센 왕가 이반 아센 1세 1189년 ~ 1196년(공동)
29 아센 왕가 칼로얀 1197년 ~ 1207년
30 아센 왕가 보릴 1207년 ~ 1218년
31 아센 왕가 이반 아센 2세 1218년 ~ 1241년
32 아센 왕가 칼리만 아센 1세 1241년 ~ 1246년
33 아센 왕가 미하일 아센 1세 1246년 ~ 1256년
34 아센 왕가 칼리만 아센 2세 1256년 ~ 1256년
35 아센 왕가 미초 아센 1256년 ~ 1257년
36 아센 왕가 콘스탄틴 아센 1세 1257년 ~ 1277년
37 아센 왕가 미하일 아센 2세 1277년 ~ 1279년
38 아센 왕가 이반 아센 3세 1279년 ~ 1280년
자칭 (없음) 이바일로 1278년 ~ 1279년
39 테르테르 왕가 게오르기 테르테르 1세 1280년 ~ 1292년
40 (없음) 스밀레츠 1292년 ~ 1298년
41 (없음) 이반 2세 1298년 ~ 1299년
42 (없음) 차카 1299년 ~ 1300년
43 테르테르 왕가 토도르 스베토슬라프 1300년 ~ 1322년
44 테르테르 왕가 게오르기 테르테르 2세 1322년 ~ 1323년
45 시슈만 왕가 미하일 아센 3세 1323년 ~ 1330년
46 시슈만 왕가 이반 스테판 1330년 ~ 1331년
47 시슈만 왕가 이반 알렉산더르 1331년 ~ 1371년
48 시슈만 왕가 이반 시슈만 1371년 ~ 1395년
49 시슈만 왕가 이반 스라치미르 1395년 ~ 1396년
50 시슈만 왕가 콘스탄틴 아센 2세 1397년 ~ 1422년

불가리아 왕국( 1879년 ~ 1946년)
대수 왕조 이름 재위
51 바텐베르크 왕가 알렉산더르 1세 1879년 ~ 1886년
52 작센코부르크고타 왕가 페르디난트 1세 1886년 ~ 1918년
53 작센코부르크고타 왕가 보리스 3세 1918년 ~ 1943년
54 작센코부르크고타 왕가 시메온 2세 1943년 ~ 1946년

3. 고대

3.1. 트라키아인

고대 트라키아에는 캅카스 소아시아에서 건너온 인도유럽어족을 쓰는 종족들과 현지인들이 통혼 혼혈된 트라키아인들이 살고 있었다. 트라키아인은 기원전 15세기 무렵에 형성된 것으로 여겨지고 있으며, 청동기 문명- 철기 문명을 영위해 나갔지만 오랜기간 동안 부족국가 형태에 머물러 있었다.

이들은 흑해 북쪽에서 이주해온 것으로 여겨지며 가까운 마케도니아인 그리스인들과는 다른 정체성을 가지고 있는 민족이었다. 전통적으로 호전적이고 야만스런 민족으로 알려져 있었으며 바로 아래의 마케도니아가 그리스와의 지속적인 교류를 거치며 빠른 속도로 문명화되었던 것에 반해 오랜 기간 동안 부족국가 체제를 유지했다. 고대 트라키아인들은 그리스와 접하면서 많은 영향을 서로 주고받았으며 신화적으로도 서로 공유하는 부분이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다키아인들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도 여겨지는데, 다키아인들 자체가 트라키아와 분리되기 이전 같은 조상으로부터 갈라져 나온 민족인 것으로 여겨지며 실제 기록이나 발굴되는 유물 등지에서 서로 많은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3.1.1. 기원전 480년 오드뤼사이 왕국: 그리스의 영향을 받음, 바르바로이라고 불림

한 동안 아케메네스 제국에 의해 지배당하기도 했다가 기원전 480년경에 오드뤼사이 왕국을 건국하였고, 이 시기에 그리스와 많은 교류를 거치면서 그리스 문화의 영향을 지대하게 받았으며 트라키아어도 그리스 문자로 표기되었지만 한편으로는 바르바로이라고 불리며 멸시를 받았다.

3.1.2. 로마 제국

트라키아 왕국은 마케도니아가 그리스 전역을 통일하고 트라키아 일대도 정복했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마케도니아 제국 쪼개지면서 독립을 쟁취했지만 로마 제국이 발칸 반도 일대를 차지하면서 트라카아 일대도 로마 제국의 통치하에 들어갔다. 이 당시 다수의 검투사를 배출해낸 것으로 나름대로 유명하기도 했었으나 트라키아 자체는 이후로도 촌동네 취급을 받았다. 그런 이유인지 트라키아 출신인 스파르타쿠스도 트라키아 촌놈으로 많이 지칭됐고, 그 이후에도 로마 공화정 말기에서 제정 시대까지 오랫동안 검투사, 전사, 기병 등 무인의 산실로 유명했다.

스파르타쿠스가 죽은 기원전 71년에서 300년이나 지난 시대인 군인 황제 시대 때에도 황제인 막시미누스 트라쿠스(230년대) 시대에도 트라키아와 트라키아인은 여전히 촌구석과 촌놈 취급을 받았다.

3.1.3. 동로마 제국 안에서의 트라키아인

콘스탄티노폴리스 천도 이래로 일약 신 수도권이 되면서 그런지 몰라도, 동로마 제국 시대엔 그런 무인의 산실+촌동네 이미지는 아나톨리아의 내륙 테마들로 옮겨간다.

200여 년 더 지나서 동로마 초기의 황제인 레오 1세 트라키안은 트라키아 출신의 황제였다! 저 때의 '트라키아'는 이미 수도권인 만큼 비하의 의미는 없다고 하지만 그래도 역으로 되짚어 보면 아직 콘스탄티노폴리스가 중세 시대의 인구 50만 되고 그런 으리으리하고 짱짱한 위세를 갖추지는 못했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더 나중의 동로마 황제들도 아르메니아인, 이사우(브)리아인, 프리기아인 등의 출신지명이 특징으로 잡혀 별명으로 붙어 있는데, 이들은 수도권(콘스탄티노폴리스와 마르마라 해 연안 지역) 및 동로마의 핵심지(앞의 수도권+에게 해 연안의 그리스와 소아시아 서부)와 거리가 다소 있는 지방들이었다.

이후에 이 일대의 트라키아인들은 로마와 동로마 제국의 지배를 오랜기간에 걸쳐 받으며 고유의 정체성을 상실하고 그리스어와 라틴어를 사용함에 따라 트라키아어 사어가 되었다.

3.1.4. 6~7세기, 슬라브인들과 융합

그리스-로마화된 트라키아인 + 남슬라브

이후 이들 트라키아인들은 서기 6세기에서 7세기에 이르는 기간동안 안테 슬라브인들이 로마 제국으로 남하함에 따라 상당수의 트라키아인들은 남하한 슬라브인들에게 융합되어서 트라키아인들이 사용하는 언어도 그리스어에서 불가리아어의 원형인 고대 교회 슬라브어로 대체되었다.

3.2. 트라키아 슬라브인들과 튀르크 불가르인들의 동화

한편 불가르인들은 서아시아 캅카스 산맥 지역에서 살고 있던 튀르크계 유목민족이었다. 그 이후 볼가 강[1]로 이주했고, 이 때문에 불가르족이라는 이름을 얻게 되었다. 6세기 초, 불가르 부족 중 하나였던 우티구르족[2]의 쿠브라트가 불가르 부족들을 통일하고 훈족의 후계 부족 우티구르와 쿠르티구르족을 격파하여 현재의 우크라이나 러시아 남부에 대 불가리아를 건국하였다.

그러나 대 불가리아는 오래가지 못했다. 쿠브라트의 아들 바트바얀은 하자르인에게 패배하였고 대 불가리아는 하자르에 멸망되었다. 쿠브라트의 잔당들중 코트라그의 무리는 볼가 강과 카마 강이 합류하는 지점으로 도망쳤고 이들이 볼가 불가르으로 동화된다. 나머지 잔당들은 바이에른, 이탈리아 등지로 패주하였으나, 독립적인 국가를 건국하지 못하였고 이들 불가르인들은 주변 민족에 동화되어 사라진 것으로 보인다. 불가리아의 민족시조 아스파루흐(Аспарух)는 현재 불가리아 지방에 도망쳐 와서 토착민으로 살고 있던 트라키아 슬라브인들을 연합, 정복하여 불가리아 제1제국을 세워 슬라브인들에 동화되었다. 이때부터 불가리아의 국명과 본격적인 역사가 시작된다.

4. 중세

4.1. 불가리아 제1제국

4.1.1. 811년, 동로마 제국과의 전쟁에서 승리

역사적으로는 동로마 제국의 트라키아 일대 영향력이 약화된 이후 681년 최초의 불가리아 칸국이 건설되어 등장하였다. 이 시기 불가리아 칸국은 그 세력을 크게 떨쳐 811년에는 크룸 동로마 제국 황제 니케포루스 1세의 군을 궤멸[3]시키기도 하는 등 동로마 제국을 크게 위협하였으며, 여러 차례 콘스탄티노폴리스를 공격하여 공물을 받기도 했다.

4.1.2. 863, 정교회 수용

9세기에는 나라가 크게 안정되었으며, 보리스 1세의 재위 기간 동안 동로마 제국으로부터 기독교( 정교회)를 받아들이고 문화가 발전하였다.

파일:23032370_1971060229829445_1185944076488359433_n.jpg

4.1.3. 893, 전성기: 불가리아 제국의 황제가 된 시메온 대제

10세기에는 명군주인 시메온 1세( 시메온 대제)[4]가 집권하였다. 시메온 1세는 그리스 방면으로 크게 영토를 넓히고 동로마 제국을 위협하였다.( 시메온 전쟁)[5] 불가리아의 공격을 막기 위해 동로마 제국의 로마노스 1세는 시메온 1세에게 억지로 황제( 차르[6])의 제관을 씌워주었고, 로마 제국 프랑크 왕국 다음의 세 번째 제3의 로마인 불가리아 제국을 세우게 되었다. 또한 초기 기독교 이후 최초의 총대주교좌인 불가리아 총대주교가 창설되어 종교적으로도 큰 위신을 얻었다.

당시 불가리아 제국의 위세는 실로 대단한 것으로, 동로마 제국으로부터 그리스도교 선교를 위해 파견되었던 키릴로스와 메토디 형제에 의해 키릴 문자가 만들어졌으며, 이 키릴 문자를 바탕으로 성립된 교회 슬라브어와 이를 바탕으로 향유된 불가리아 문학은 정교회 슬라브권으로 퍼져나갔다. 이 고대 교회 슬라브어는 동유럽권의 공용어로 사용되었고, 불가리아는 러시아 이전의 슬라브 세계의 실질적인 맹주 역할을 하던 국가였다. 이렇게 불가리아는 동로마 제국을 위협하고 동유럽권의 양대 강국이었던 가톨릭 헝가리 대공국과의 오랜 투쟁에서 승리하며 경쟁자를 탈락시키고, 서부와 북부로 계속해서 팽창해 나가며 발칸 반도 대국으로 번영할 것처럼 보였으나..

4.1.4. 동로마 제국의 공세전환

불가리아 제국이 최대 판도를 이룬 후 얼마 지나지 않아 동로마 제국의 혼란스러웠던 정치가 내부 불안요소가 정리됨에 따라 점차 안정되고, 또 동로마 제국의 주적이었던 이슬람 무슬림 세력이 분열되면서 세력이 회복되었던 동로마 제국이 오히려 공세로 돌아서자 상황은 급변했다. 상대적으로 안정기에 접어든 동로마 제국은 감히 북쪽 국경에서 제국을 자처하고 있는 불가리아 제1제국[7] 아니꼽게 보았다. 불가리아의 전성기는 어디까지나 동로마 제국의 혼란기를 담보로 해서 성립한 것이었는데, 안정기에 접어들어 고질적인 우환거리였던 유럽과 아시아의 양대 전선을 어느 정도 정리하고 제국 동부에서 병력을 전용하여 발칸 반도에 전력을 집중할 수 있게 된 동로마 제국에게 불가리아는 애시당초 근본적인 국력에서부터 상대가 될 수 없었다.

4.1.5. 보야르들의 세력확장

설상가상으로 국내의 혼란 또한 극심해져서 황제( 차르)의 귀족( 보야르)들에 대한 통제력이 크게 약화되고 반란과 봉기가 잇달았다. 그 결과 10세기 후반, 제국이 성립한지 백년도 안되어 키예프 공국과 동로마 제국에게 연이어 공격당해 일차적으로 몰락하였다.

4.1.6. 제국멸망(1018)

그 후 사무일이 서부 지역을 중심으로 다시 재기를 시도하였으나, 바실리오스 2세 "불가록토노스(Βασίλειος Β' Βουλγαροκτόνος)"[8]의 공격( 바실리오스 2세의 불가리아 전쟁)을 받아 클레이디온 전투(1014)에서 패해 불가리아 제1제국은 허망하게 몰락하였다.

4.2. 불가리아 제2제국

4.2.1. 제3의 로마

이후 동로마 제국의 지배를 받다가 1185년 동로마 제국이 크게 약화된 틈을 타 페터르 4세 이반 아센 1세 봉기를 일으켜 불가리아를 부활시켰다. 불가리아 제2제국은 한때는 마케도니아, 알바니아 등지를 차지하는 넓은 제국이었다. 불가리아 제2제국은 차르 칼로얀 이반 아센 2세의 시대에 전성기를 맞아 아드리아노폴리스 전투에서 라틴 제국을, 클로코트니차 전투에서 이피로스 전제군주국을 격파하면서 13세기에는 콘스탄티노폴리스를 수복할 유력한 후보국에 속하기도 하였다.[9] 이 시기 불가리아는 시메온 대제 시기와 버금 가는 전성기를 누렸고 불가리아인들은 쇠퇴한 콘스탄티노폴리스를 대신하여 제국의 수도였던 터르노보 제3의 로마라고 지칭할 정도[10]로 큰 자부심을 가졌다.[11]

4.2.2. 몽골제국의 침략, 이바일로의 난: 위기

하지만 이반 아센 2세의 사후, 무서운 속도로 유럽을 정복하고 있었던 몽골 제국의 침략과 봉건화의 촉진으로 쇠퇴하였고, 이로 인해 농민들의 불만이 폭발하여 이바일로를 중심으로 농민 반란이 일어나 한때는 수도 터르노보를 점령당하고 이바일로는 차르 자리에 오르기까지 하였다. 하지만 이바일로는 이후 국내 귀족들의 반발로 폐위되어 킵차크 칸국에서 모살당하고, 불가리아는 결국 몽골제국에게 정복당하면서 몽골제국 중 하나였던 킵차크 칸국의 식민통치 하에 들어간다.

4.2.3. 1300년 ~ 1322년, 차르 토도르 스베토슬라프: 중흥기

그러던 중 등장한 차르 토도르 스베토슬라프(1300년 ~ 1322년) 시대에 다시 중흥을 맞아 지방의 독립적인 대귀족 영주들( 보야르)을 다시 차르에게 복종시켰고, 몽골제국과의 관계도 느슨한 친선 관계로 변화하였다.[12] 하지만 발칸 반도에서는 새로이 중세 세르비아 왕국이 성장하고 있었다.

4.2.4. 1330, 1331 보야르 할거시대

1330년 차르 미하일 쉬시만은 '중세 세르비아 왕국'의 스테판 우로시 3세 데찬스키와의 벨버즈드 전투에서 대패하고 그 자신은 전사하고 말았다. 이후 스베토슬라프 시대에 안정되는 듯 하였던 불가리아는 다시 봉건 영주들의 할거 상태에 빠졌다. 1330년, 왈라키아 지방에서 바사라브 1세가 창건한 왈라키아 공국 헝가리 왕국 카로이 1세를 포사다 전투에서 이기고 실질적으로 자립한다.

4.2.5. 1331년 ~ 1371년, 차르 이반 알렉산더르: 제2의 중흥

이러한 시기에 불가리아를 40년 동안 통치한 차르 이반 알렉산더르[13]의 시대에 불가리아 제국은 제2의 황금기라고 불릴 정도로 경제, 문화적인 전성기를 맞았으나, 외부에서는 새롭게 성장하는 오스만 제국의 위협이 다가오고 있었다. 게다가 이반 알렉산더르는 제국을 스스로 분열시키는 자충수를 두었는데, 무슨 이유에서인지 황후[14]를 수도원으로 보내버리고 다른 여자 아내로 맞은 것. 그리고 첫번째 황후에게서 얻은 아들 이반 슈랏시미르[15]는 이 사건에 반발하여, 독립 왕국을 세워버린다.

4.2.6. 3국 분열

게다가 이반 알렉산더르의 뒤를 이어 정통 황제로 즉위한 이반 시슈만(Ivan Shishman)은 즉위 당시 20대 초반이었던 데다 영 유능한 인물이라고 하기도 어려워 강력한 지방 귀족이 ' 도브루자 공국'이라는 독립국을 세우는 것을 막을 수 없었고, 이로써 불가리아 제국은 사실상 삼국으로 분열된다. 이반 시슈만은 아버지 때부터 이어진 오스만 제국의 침공을 제대로 방어할 수도 없었다. 게다가 황제를 자칭하고 있는[16] 형 이반 슈랏시미르(Ivan Sratsimir)는 이반 시슈만을 돕기는커녕 그의 통수를 치는 것이 다반사였고, 결국 삼분된 불가리아 제국은 하나씩 하나씩 오스만 제국에게 정복당했다.

4.2.7. 1393, 1395 2국의 멸망과 1396년, 사실상의 멸망

불가리아 제국의 수도 터르노보는 1393년에 함락되었고, 이반 시슈만이 오스만 제국군도 피할 겸 헝가리의 지원도 요청할 겸 머물고 있던 니코폴리스는 1395년에 함락되었다. 마지막으로 남은 이반 슈랏시미르의 왕국도 1396년 결성된 니코폴리스 십자군에 합류하여 니코폴리스를 탈환하는 등, 마지막 반전을 노렸지만 이후 유럽 연합군이 니코폴리스 전투에 패배하면서, 수도였던 비딘이 무너졌고 이반 슈랏시미르는 오스만 제국의 수도 부르사로 압송되어 사망하였다.

5. 근세 : 오스만 제국의 통치

이후 불가리아는 500년 가까이 오스만의 지배를 받았다. 오스만 제국의 시대는 불가리아의 귀족들을 제거하고 불가리아를 무자비하게 통치하던 불가리아사에서의 암흑시대 흑역사로 여겨지고 있었으나 최근에는 오스만 암흑기적 관점에 약간의 재평가를 하기도 한다. 물론 일반적인 불가리아인 입장에서는 한국인이 일제강점기 재평가론을 들을 때와 딱 똑같은 반응을 보일 수 밖에 없는 소리니 함부로 건들 수 없는 주제다.

6. 근대

6.1. 1878, 불가리아 공국

오스만 제국의 쇠퇴로 계속된 대튀르크 전쟁과 격렬한 저항이 일어났고 오스만 제국은 이에 대해 학살정책으로 맞섰다. 그러나 불가리아 사태는 열강의 개입을 불러왔고 결국 1877년 '제12차 러시아-튀르크 전쟁'에서 러시아 제국에게 패한 오스만 제국이 1878년 3월 3일 불가리아의 자치를 인정함으로서 불가리아 공국이 성립하였다. 불가리아가 자치권을 얻고 자치 공국으로 승격되며 실질적으로는 독립국인 상태였다. 참고로 국제법상 지위에서 속국의 개념이 이때 처음 등장하게된다. 서구 열강들이 불가리아의 법적지위를 논하면서 속국이란 개념도 등장하게 되는데, 오스만제국의 불가리아에 대한 종주권을 인정함으로서 러시아의 남하를 견제하려는 의도로 만들어진것이다. 불가리아인들은 독립전쟁 당시에 터키에 싸움을 건 당시의 러시아 황제인 알렉산드르 2세를 해방자 황제(Цар Освободител)라고 부른다. 소피아 시내 한복판에 세워져 있는 그의 동상을 볼 수 있다.[17]

불가리아 공국의 초대 공작 (Prince of Bulgaria)은 바텐베르크 가문의 알렉산더였지만, 러시아의 압력으로 인해 1886년에 퇴위하고 작센코부르크고타 가문의 일파인 작센코부르크고타코하리 가문 출신의 페르디난트가 새로 공작이 되었다. 그는 원래는 가톨릭 교도였지만 1896년에 동방정교로 개종하였다.

자치 공국으로 있던 1885년에 세르비아와 전쟁을 하였다.

6.2. 1908, 불가리아 왕국

이후, 1908년에는 불가리아 왕국으로 승격하였다. 이 때 오스만 제국에서 형식상으로도 완전히 벗어났다. 불가리아 왕의 칭호는 '차르(цар)'였다. 러시아 제국의 그 차르 맞다!

중세 불가리아 제국 시대에는 '차르'가 황제의 의미를 가지고 있었지만, 점차 그 의미가 떨어져 근대에 이르러는 의 의미에 가깝게 변해[18] 러시아 제국부터는 새롭게 서유럽식 황제의 표현인 임페라토르(Императоръ)를 황제의 의미로 사용한다. 따라서 현대 불가리아와, 러시아를 비롯한 동슬라브 국가는 '차르'를 왕, '임페라토르'를 황제의 의미로 사용한다. , 폴란드 등의 서슬라브, 세르비아 등의 남슬라브는 '차르'를 황제의 의미로 사용한다.

6.2.1. 발칸 전쟁

근현대 불가리아 왕국은 팽창주의적이고 투쟁적인 군국주의가 상당해서 오스만 제국에서는 그리스만큼이나 불가리아 민족주의자들은 골칫거리였다. 그리고 언어적으로 유대가 있는 마케도니아 지역을 차지하기 위해 두 차례의 발칸 전쟁을 일으키기도 했다.

1913년 제1차 발칸전쟁에서 반 오스만 연합군으로 참전해 많은 영토를 얻었다. 하지만 차지한 영토의 분배를 두고 갈등이 발생, 불가리아를 제외한 나머지 연합국에 1차 전쟁의 패전국 오스만까지 합세해 불가리아와 맞서면서 제2차 발칸전쟁이 발발했다. 이 전쟁에서 불가리아는 수적 열세에 굴복하며 1차 발칸전쟁에서 얻은 영토를 많이 뺏겼으며 이 때의 원한은 제1차 세계 대전에서 러시아의 지원을 받아 협상국에 가담한 세르비아 왕국 등에 대항해 불가리아가 독일 측 동맹국에 가담하는 주요 원인이 되었다.

6.2.2. 제1차 세계 대전

제1차 세계 대전 당시에는 주요 동맹국의 일원 중 하나였다. 기본적인 국력차 때문에 후대에 별로 주목은 못 받았지만 그래도 2차 발칸 전쟁 때 설움을 갚아주려고 참전하자마자 발칸전선에서 세르비아 왕국, 그리스 왕국, 몬테네그로 왕국, 루마니아 왕국, 심지어 원정온 영국군, 프랑스군까지 개발살내며 위세를 떨쳤다. 지지부진하던 세르비아 침공 전선이 1915년 불가리아가 뛰어들자마자 갑자기 전세가 확 뒤집혔을 정도. 그러나 이런 분투에도 불구하고 국력은 국력인지라 적군의 물량공세에 밀리며 결과는 패전. 그 바람에 발칸 전쟁에서 간신히 차지할 수 있었던 뇌이 조약으로 나머지 영토마저 빼앗기고(...) 페르디난트 1세 왕태자이자 철도 동호인 이었던 보리스 3세에게 양위하고 고향 독일로 은거해야 했다.

6.2.3. 제2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이 벌어지자 나치 독일의 강압에 의해 추축국에 들어가서 독일의 그리스 침공 유고슬라비아 침공을 돕기도 했다. 물론 나치의 위협에 의해 추축국에 들어가긴 했지만 마케도니아와 북그리스( 테살로니키)를 확보하는 등 어느 정도 이득을 챙기기도 했다. 그러나 독일의 압박에도 불구하고 같은 슬라브계 소련을 치는 독소전쟁에는 참전을 거부했다.

소련은 처음에 독일에 대패하여 나치 독일군이 모스크바 코 앞까지 닥쳐오자, 소련은 소련과 독일 양 측에 우호적인 관계였던 불가리아를 통해 독일과 강화를 시도하기도 했다. 이 때 모스크바 주재 불가리아 대사가 이오시프 스탈린에게 "우리 불가리아는 결국 소련이 이길 것을 확신한다"라고 말한 바 있다. 이후 소련군은 전세가 역전되자 명목상 추축군인 불가리아를 침공했다. 그나마 양국 간 전쟁 상태는 사흘 정도밖에 지속되지 않았고, 그 사흘 동안에도 제대로 된 교전은 없었으니 침공보다는 진주의 성격이 강했다.

1943년에 국왕 보리스 3세가 히틀러와 회담을 가진 뒤에 독살로 의심되는 불분명한 이유로 급사했고, 결국 6살 난 왕태자 시메온 2세가 왕위를 이었다. 결국 불가리아는 항복한 후 연합국으로 전향해 독일에 선전포고를 날리고 소련군과 손잡고 독일군이 발칸 반도에서 탈출하는 것을 봉쇄하고 오스트리아로 진격했고 빈 전투에도 참가했다.

이후 불가리아는 소련 위성국이 되어, 집권한 공산정부에 의해 1946년 9월 9일, 왕정 폐지를 맞았다. 시메온 2세는 아직 어린아이여서 망명이 허락되었지만, 섭정인 숙부 키릴 왕자는 총살당한다. 은거한 페르디난트 1세는 아직 살아있었다.[19]

7. 현대

7.1. 불가리아 인민 공화국

파일:external/senzacia.net/Georgi-Dimitrov-2-212x300.jpg
게오르기 디미트로프(불가리아어: Гео̀рги Димитро̀в Миха̀йлов, 1882년 6월 18일 코바체브치 ~ 1949년 7월 2일)

불가리아 인민 공화국의 초대 총리이다. 1933년 독일 국회의사당 방화 사건이 발생했을 때 독일 경찰은 당시 독일을 여행 중이였던 바실 타네프, 블라고이 포포프, 게오르기 디미트로프 등의 불가리아 공산주의자들을 체포해서 그들을 마리뉘스 판데르뤼버와 엮어 방화범으로 몰려고 했는데 디미트로프는 스스로를 변호하며 결국 무죄판결을 이끌어냈고, 그렇게 1933년 12월 독일 사법부는 뤼버를 제외한 나머지 피고인들에게 무죄 판결을 내렸다. 이후 디미트로프는 이 사건으로 전세계적으로 공산주의자로써 명성이 높아졌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60px-Joseph_Stalin_and_Georgi_Dimitrov%2C_1936.jpg
스탈린과 디미트로프

이후 디미트로프는 코민테른 사무총장 (1935년~1943년 임기)에 선출되었고, 스탈린이 대숙청을 실시하자 그는 이를 암묵적으로 지지하며 묵인하였다. 이후 그는 스탈린의 신임을 얻어 소련의 불가리아 공산화 과정에서 불가리아의 총리 자리에 오르게 된다. 그러나 디미트로프는 요시프 브로즈 티토와 상당히 가깝게 지냈고, 티토와 함께 발칸 연방을 구상하기도 했는데 훗날 티토와 스탈린의 관계가 틀어지자 점점 스탈린에게 미움을 받게 되었다. 그러다가 1949년 디미트로프는 소련에서 치료 도중에 죽었는데 디미트로프의 병세가 엄청나게 급격하게 악화되어 사망했기 때문에 그가 스탈린에 의해 독살되었다는 주장이 상당히 나오는 상황이다.

자세한 것은 불가리아 인민 공화국 항목 참조.

7.2. 민주화 이후

1980년대에 외채 문제로 경기침체가 계속 진행되어나가면서 불가리아 공산당에 대한 비판 여론이 거세져 나가던 차에 1989년에 주변국과 함께 민주화되었다. 민주 전선 연합(SDS)이 여당이 되었으나 2014년 현재는 분열로 "강한 불가리아를 위한 민주주의당"(DBS, 2009년 당시 청색 연합의 일원)과 함께 의석 0석 상태가 되었다.

흥미로운 것은 1946년 공산주의 혁명으로 왕위에서 쫓겨나 스페인에서 망명생활을 하던 시메온 2세가 민주화 이후 귀국했는데, 2001년에는 정치를 시작하면서 '시메온 2세 국민운동연합'[20]이라는 정당을 조직해 선거에서 승리했다. 왕위에서 쫓겨났다가 선거에서 승리해 총리로서 권좌에 복귀하는 차르의 귀환 진기록을 세운 것이다. 시메온 2세는 이후 4년간 총리를 지내고 '시메온 2세 국민운동연합'의 당수를 맡았다가 물러났다. 2001년 선거에서 큰 승리를 거두었으나 신자유주의 도입과 유럽연합 가입 협정( 2007년 가입)을 통한 경제성과에도 불구하고 2005년 선거에서 지지율이 절반으로 떨어져서 여당 자리를 내주었고, 2009년 선거에서는 참패(3%)하여 의석이 하나도 없게 되었다. 2013년엔 1.9% 득표.

2014년 기준으로 불가리아의 제1당은 2009년 승리를 거둔 보이코 보리소프 전 소피아 시장의 우파 '불가리아 유럽발전시민당'(GERB)이었다. 시메온 국민운동연합에 참여했던 보리소프와 시민사회 인사들이 2007년 창당한 신생당. 그러나 후술하는 민영화와 자금세탁, 범죄조직 연루의 불명예로 의석을 많이 잃었으며 결국 과반 달성에 실패, 좌파가 옹립한 무소속 총리가 신임되었다. 그럼에도 불가리아 민주화 이후 1당을 다시 유지한 정당은 이번이 처음으로, 내각 구성을 못한게 아니라 안한 것에 가깝다.

불가리아의 다른 주요 정당은 '불가리아 사회당(Bulgarian Socialist Party)'으로 1990년 기존 공산당(구 "조국전선"의 일부)이 마르크스-레닌주의를 포기하면서 후신으로 창당된 당이다. 90~91년, 94~97년, 05~09년 집권. 2013년 5월 총선으로 지지는 많이 올랐으나 아직 제2당(44->84)이다. 다만 구 여당의 조각 거부로 이번 연정을 주도했다.

그외 연정에 참여한 터키계 소수민족 정당인 사민주의 리버럴 계열의 '정의와 자유 운동'[21] , 극단적 정교회 민족주의 정당인 공격당(ATAKA)이 원내 정당이다. 극우정당 불가리아구국국민전선도 문턱 4%에 근접한 3.7%의 득표를 올렸다.

2013년 2월, 불가리아에서는 공기업 민영화로 인한 전기요금 인상 등으로 대규모 시위와 유혈사태가 발생했다. 이후 정부는 총리 내각이 총사퇴하며 국민에게 사죄를 했고 선거에서도 의석(117→97)이 크게 줄었다. #

그러나 불가리아의 새 사회당-민주당 연정 정권 역시 정확히 과반인 120석의 의석(84+36)속에 조기총선 요구와 반대시위에 부딪치고 있다.

2019년에 불가리아의 반부패 위원장이 아파트 스캔들에 휘말려 사퇴하는 일이 발생되었다. #

2021년 7월 11일에 3개월 만에 다시 정부 구성을 위한 총선에 돌입했다. #


[1] 현재 러시아 볼가 강가에 살고 있는 튀르크 추바시인(Чăвашсем; 추바시란 말은 평화롭다는 뜻의 jăvăş에서 나왔다고 추정된다.)이 이들과 큰 상관이 있으리라 추정된다. [2] 훈족 멸망하고 나뉘어진 후계 종족의 일파로 불가르족중의 하나다. [3] 이때 불가리아의 크룸 대왕이 니케포루스 1세의 두개골 술잔으로 만들기도 했다. [4] 마지막 군주요, 사실상 즉위기간이 없다시피했던 시메온 2세를 제외하면 이 이름을 쓴 군주는 없었다. [5] 테살로니키 아드리아노폴리스를 연이어 점령하고 콘스탄티노폴리스를 포위하기도 하였다. 그래서 10세기 초의 유튜브 연도별 판도를 보면 동로마의 유럽 영토가 거의 다 점령당해 없다시피하다.(...) [6] '차르'라는 칭호를 최초로 사용한 국가가 불가리아이다. [7] 자신들이 불가리아 제국을 인정하긴 하였으나 자존심 상 용인할 수가 없었다. [8] 불가리아인의 학살자라는 뜻이다. 무슨 일을 했는지는 항목을 볼 것. [9] 동로마인들은 처음에는 라틴 제국을 때려잡는 칼로얀을 환영했으나 이후 불가리아의 세력이 지나치게 강성해지자 그에게 반기를 들었고, 보복으로 칼로얀은 트라키아 동부의 동로마인 마을을 잇따라 습격해 주민들을 학살하거나 노예로 팔거나 자기 땅으로 강제로 이주시켰다. 이를 계기로 칼로얀은 스스로를 '로마녹토노스(Romanoktonos)', 즉 '로마인들의 학살자'라고 일컬었는데, 당연히 이는 '불가르인들의 학살자'라고 불린 동로마 황제 바실리오스 2세를 의식해서 만든 별칭이었다. [10] 마치 러시아 제국 이반 3세 동로마 제국 멸망 이후 정교회 세계의 최대 도시가 된 모스크바 제3의 로마로 칭했던 것처럼. [11] 이는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가 터르노보의 화려함을 인정하여 '제2의 콘스탄티노폴리스' 이라 부른 데에서 유래한다. 콘스탄티노폴리스 자체가 '새로운 로마'였으므로, '제2의 콘스탄티노폴리스'은 곧 '제3의 로마'가 된다. [12] 1299년에는 킵차크 칸국내에서 내전이 발발하고 황족인 차카가 치열한 전쟁 끝에 내전에서 패하면서 결국 그는 황족의 지위를 박탈당한채 킵차크 칸국에서 쫓겨나지만 그는 당시 식민지인 불가리아로 퇴각한 후, 불가리아 국왕 이반 2세를 몰아내고 자신이 직접 식민지인 불가리아의 왕위에 올랐다가 토도르와의 싸움에서 패사했다. 차카는 게오르기 테르테르의 사위였다. [13] 왈라키아 공국의 창건공, 바사라브 1세의 사위. [14] 왈라키아 공국의 창건공, 바사라브 1세의 딸. [15] 왈라키아 공국의 창건공, 바사라브 1세의 손자. [16] 아버지인 이반 알렉산더르가 죽을 때까지는 왕을 칭하며 얌전한 태도를 유지했으나, 이복동생이 즉위하자 황제를 칭했다. [17] 다만, 해방자로서 고마워하는 정도일뿐. 러시아 제국은 불가리아나 세르비아, 루마니아 등지에 조공 바쳐라, 속국화, 러시아 정교 강요 등으로 이들 나라에게도 반발을 일으키게 된다. [18] 이건 원조 격인 로마에서도 마찬가지였다. ' 카이사르 아우구스투스'가 황제의 타이틀이었지만, 디오클레티아누스 들어서 상설적으로 정제(正帝)와 부제(副帝)를 분리하게 되면서 부제직에 카이사르라는 이름을 붙인 이래 카이사르는 부제, 제위 계승자, 황제에 버금가는 최고위 황족 등의 의미로 떨어졌다. 자세한 것은 Caesar(title) 참조. [19] 이후 망명한 독일 코부르크에서 1948년 9월 10일에 죽었다. [20] 키릴 약자로 НДСВ로 표기하고 영어식 표기로는 NDSI, New Democracy Simeon II 정도라고 생각하면 된다. 이 당은 2007년 당 이름이 '안정과 진보를 위한 국민운동연합'(National Movement for Stability and Progress)으로 변경되었고 이후에도 이름을 몇 번 더 바꾸었다. [21] 어설픈 테러 가도에 당수가 테러범을 때려눕힌 정당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