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8-07 11:25:01

오무르타그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b4436, #ab4436 20%, #ab4436 80%, #ab4436); color: #fce774;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ce774> 제1제국
<rowcolor=#fce774> 둘로 왕조
아스파루흐 테르벨 코르메시 세바르
<rowcolor=#fce774> 혼란기
코르미소쉬 비네흐 텔레츠 사빈
우모르 토크투 파간 텔레리그
<rowcolor=#fce774> 크룸 왕조
카르담 크룸 오무르타그 말라미르
프레시안 1세 보리스 1세 블라디미르 시메온 1세
<rowcolor=#fce774> 크룸 왕조 코미토풀리 왕조
페터르 1세 보리스 2세 로만 사무일
<rowcolor=#fce774> 코미토풀리 왕조
가브릴 라도미르 이반 블라디슬라프 프레시안 2세
<rowcolor=#fce774> 동로마 지배기
페터르 2세 페터르 3세
<rowcolor=#fce774> 제2제국
<rowcolor=#fce774> 아센 왕조
페터르 4세 이반 아센 1세 칼로얀 보릴
이반 아센 2세 칼리만 아센 1세 미하일 아센 1세 칼리만 아센 2세
미초 아센 콘스탄틴 아센 1세 미하일 아센 2세 이반 아센 3세
<rowcolor=#fce774> 비왕조 테르테르 왕조 비왕조
이바일로 게오르기 테르테르 1세 스밀레츠 이반 2세
<rowcolor=#fce774> 비왕조 테르테르 왕조 시슈만 왕조
차카 토도르 스베토슬라프 게오르기 테르테르 2세 미하일 아센 3세
<rowcolor=#fce774> 시슈만 왕조
이반 스테판 이반 알렉산더르 이반 시슈만 이반 스라치미르
콘스탄틴 아센 2세
}}}
불가리아 공국 · 불가리아 차르국
불가리아 인민 공화국 · 불가리아 공화국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5px 0"
※ 2007년 불가리아의 국영방송 BNT 1이 국민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를 바탕으로 위대한 불가리아인 100명을 선정했다.
TOP 10
1위 2위 3위 4위 5위
바실 레프스키 페터르 더노프 아스파루흐 시메온 대제 흐리스토 보테프
6위 7위 8위 9위 10위
보리스 1세 키릴로스와 메토디오스 스테판 스탐볼로프 이반 바조프 파이시 힐렌다르스키
11위~100위
11위 12위 13위 14위 15위
존 아타나소프 흐리스토 스토이치코프 바바 반가 토도르 지프코프 게오르기 아스파루호프
16위 17위 18위 19위 20위
칼로얀 크룸 이반 아센 2세 블라디미르 디미트로프 이반 릴스키
21위 22위 23위 24위 25위
아지스 이반 코스토프 알레코 콘스탄티노프 볼렌 시데로프 게오르기 벤코브스키
26위 27위 28위 29위 30위
네노 유루코프 슬라비 트리포노프 니콜라 밥차로프 보이코 보리소프 릴리 이바노바
31위 32위 33위 34위 35위
댄 콜로프 쿠브라트 톤카 오브레테노바 게오르기 라코브스키 페트코 보이보다
36위 37위 38위 39위 40위
레이냐 크나기냐 발야 발칸스카 게오르기 디미트로프 알베나 덴코바 게나 디미트로바
41위 42위 43위 44위 45위
에블로기 아타나스 부로프 콜류 피체토 에밀 디미트로프 타르노보의 에우티미우스
46위 47위 48위 49위 50위
사무일 알렉산더르 스탐볼리스키 게오르기 파트살레프 자하리 스토야노프 니콜라이 하이토프
51위 52위 53위 54위 55위
오흐리드의 클레멘트 베셀린 토팔로프 요르단 요프코프 고체 델체프 페요 야보로프
56위 57위 58위 59위 60위
라이나 카바이반스카 테르벨 아흐메드 도간 하지 디미타르 보리스 3세
61위 62위 63위 64위 65위
네슈카 로베바 네베나 코카노바 보리스 크리스토프 요르단 라디치코브 야네 산단스키
66위 67위 68위 69위 70위
디미타르 페셰프 엘린 페린 바질 아프릴로프 아포스톨 카라미테브 게오르기 퍼르파노프
71위 72위 73위 74위 75위
딤초 데벨랴노프 자하리 조그라프 파나요트 볼로브 세르게이 스타니셰프 시메온 2세
76위 77위 78위 79위 80위
루드밀라 지브코바 밀라디노프 형제 스테판 카라자 니콜라이 기아우로프 스토얀카 무타포바
81위 82위 83위 84위 85위
디미타르 스피사네브스키 류벤 카라벨로프 스테프카 코스타디노바 흐리스토 스미르넨스키 게오르기 이바노프
86위 87위 88위 89위 90위
페터르 베론 발레리 페트로프 게오르기 칼로얀체프 게오 밀레브 브라트사의 소프로니우스
91위 92위 93위 94위 95위
에카테리나 다보프스카 디미타르 탈레프 토도르 알렉산드로프 펜초 슬라베이코프 필립 쿠테프
96위 97위 98위 99위 100위
페르니크의 크라크라 이벳 라로바 파나욧 히토프 오무르타그 아센 즐라타로브
출처
같이 보기: 위대한 인물 시리즈
}}}}}}}}} ||
파일:오무르타그.jpg
이름 오무르타그
(영어: Omurtag, 불가리아어: Омуртаг)
출생 미상
사망 831년
직위 불가리아 제1제국

1. 개요2. 생애

[clearfix]

1. 개요

불가리아 제1제국 15대 칸. 동로마 제국과 30년 평화 협약을 맺은 뒤 불가리아의 내정을 닦고 외적과 내부의 불만 세력을 모조리 정리해 나라를 반석 위에 올린 명군이다.

2. 생애

크룸 칸의 아들이었지만 814년 4월 13일 동로마 제국으로 대대적인 원정을 떠나려던 부친이 갑작스러운 발작과 토혈 후 사망한 뒤 곧바로 칸이 되지는 못했던 것 같다. 문헌에는 814년에서 816년 사이에 두쿰(Дукум), 디쳉(Диценг), 그리고 초크(Цог) 등 세 귀족이 통치자로 언급되어 있다. 이 귀족들이 어떤 역할을 했는지에 대해선 아직 어린 오무르타그의 섭정이라는 설, 칸 직을 찬탈했다는 설, 불가리아 각지의 지배자였다는 설 등 여러 가설이 제기되지만, 어떤 게 맞는지는 불분명하다.

815년 말에서 816년 초, 동로마 제국 황제 레온 5세가 파견한 제국 함대가 불가리아의 후방 지대인 네세바르 요새를 공략했다. 여기에 동로마군이 동부 트라키아의 여러 요새를 공략하였고, 프랑크 왕국과 연합하여 불가리아를 협공하려는 움직임까지 보였다. 결국 불가리아는 평화 협약을 맺기로 결의했고, 816년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30년 평화 조약이 체결되었다. 이에 따라 양측의 국경지대, 특히 트라키아의 경계가 정해졌고, 동로마 제국 내 슬라브인들의 거취는 개개인의 의사에 맡기기로 했으며, 동로마 제국은 불가리아의 이교 신앙을 용인하고 불가리아는 자국 내 기독교인들을 박해하지 않기로 했다.

818년, 다뉴브 강 중부 지역에 거주하는 슬라브계 티모차니 부족이 프랑크 왕국에 합류하려고 경건왕 루트비히에게 사절을 보냈다. 그들은 이듬해 크로아티아 공국의 일부로서 불가리아에 남았지만, 루트비히의 통치를 계속 따르려 하였다. 823년, 동로마 제국 황제 미하일 2세는 콘스탄티노폴리스를 포위한 슬라브인 토마스의 반란군을 물리치기 위해 오무르타그에게 구원을 요청했다. 이에 오무르타그는 헬라클케아 부근 케둑토스 평원에서 반란군을 습격해 막심한 타격을 입혔다. 토마스는 잔여 병력을 수습한 뒤 디아바시스로 후퇴하였지만, 결국 토벌대에게 패배하고 몰락하였다.

오무르타그는 824~826년까지 티모차니 부족의 거취 문제를 놓고 경건왕 루트비히에게 사절을 잇달아 보내 평화적으로 해결하려 했다. 그러나 별다른 성과가 없자, 군대를 파견하여 판노니아 남동부에 사는 슬라브족을 복속하였다. 프랑크군은 이에 맞서 군대를 파견했지만, 양군은 큰 충돌을 벌이지 않았다. 이후 양측이 서로 인질을 교환하기로 하면서, 분쟁은 해결되었다. 양측은 도나우 강과 타자 강 사이에 펼쳐진 평야 지대에 슬라브인들의 자치국가 카자르사그를 세워서 완충지로 삼기로 하였다.

오무르타그는 슬라브인들의 분리운동을 모조리 제압한 뒤, 슬라브 족자들의 자치권을 박탈하고 직접 통치를 받게 하였다. 또한 전국을 코미타티(comitati)라 불리는 큰 지방으로 나누어, 각 코미타티마다 카나수비기(Kanasubigi)라 불리는 관리의 통치를 받게 했다. 코미타티는 다시 주피(zhupi)라 불리는 더 작은 지역으로 나뉘었고, 수도 플리스카 주변 지역은 특별한 지위를 가졌다. 또한 더이상 슬라브 보병과 불가르족 기병으로 분리되던 관행을 파기하여 전군을 여러 민족이 뒤섞인 통합군으로 개편하였다.

오무르타그는 811년 니키포로스 1세에 의해 파괴된 플리스카를 재건하면서 화려한 궁전을 건축하였다. 그는 이때 다음과 같은 비문을 세웠다.
아무리 잘난 사람도 언젠가 죽고 또다른 사람이 태어난다. 나중에 태어난 사람이 이 비문을 보고 이 궁전을 만든 사람을 기억하리라. 군주의 이름은 오무르타크 칸 슈비기(Омортаг хан ювиги)이다. 신께서 그가 100년간 존귀하게 살도록 해주시기를 바라노라.

그는 뒤이어 이교도 사원을 짓고 플리스카를 지킬 요새도 건설했다. 또한 다뉴브 강 인근에 새로운 궁전을 세웠는데, 기둥에 다음과 같은 글귀를 새겼다.
옛 집에 살고 있는 오무르타그 칸 슈비기는 다뉴브 강에 새로운 영광스러운 집을 짓고, 두 집 사이의 거리를 재고 중간에 봉분을 쌓았노라. 봉분의 중간에서 옛 궁전까지는 2만 개의 봉분이 있고, 다뉴브 강 까지는 2만 개의 봉분이 있다. 땅을 잰 뒤 이렇게 비문을 세우노라. 사람이 잘 살아도 죽고 또 다른 사람이 태어난다. 나중에 태어난 사람이 이 비문을 보고 그것을 만든 사람을 기억하게 하라. 군주의 이름은 오무르타크 칸 슈비이기다. 그가 백년을 살도록 신께서 영광으로 여기시기를.

또한 투카 다리에 또다른 비문을 세웠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위대한 오무르타그 칸은 그가 태어난 땅에서 신의 왕자이니라. 플리스카에서 궁전을 건설하고 그리스와 슬라브에 대한 그의 힘을 늘렸노라. 그리고 궁전 뒤에 투카 다리를 능숙하게 건설했노라. 그는 요새에 4개의 기둥을 세우고, 기둥 사이에 2개의 놋 사자를 세웠노라. 칸께서 많은 불가리아의 적들을 발로 짓누르고, 100년간 기쁨과 즐거움 속에서 살도록 신께서 은총을 베푸시길 바라노라.

오무르타그 칸의 통치 기간 동안, 기독교를 믿는 많은 슬라브인이 불가리아 영내에 귀속되었다. 평화 협약에는 기독교인을 박해하지 않기로 되어 있었지만, 실제로는 암암리에 박해가 이어졌다. 이는 이들이 지나치게 많아지면 장차 동로마 제국과 충돌할 때 위험해질 수도 있다는 우려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오흐리드의 테오필락트가 저술한 <테베르폴의 순교자 15인>에 따르면, 오무르타그의 장남 엔라보타가 기독교를 받아들여 세례를 받았고, 이로 인해 왕위 계승권을 잃었다고 한다. 동시대의 역사가 테오도로스 수투디토스에 따르면, 많은 슬라브인이 기독교 박해에 불만을 품고 콘스탄티노폴리스로 망명했다고 한다.

오무르타그는 831년경 사망하였다. 장남 엔라보타는 기독교를 믿는다는 이유로 왕위 계승권이 박탈되었고, 둘째 아들 즈빈니카는 일찍 죽었기에, 셋째 아들 말라미르가 뒤를 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