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d9f51 {{{#!wiki style="padding: 5px 0 0; margin:-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582d2d, #663334, #663334, #582d2d)"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25%; min-height:2em" {{{#!folding [ 20세기 ] {{{#!wiki style="margin:-5px -1px -5px; word-break:normal" {{{#555,#aaa |
<rowcolor=#cd9f51> 1969 | 1970 | 1971 | |
랑나르 프리슈 | 얀 틴베르헌 | 폴 새뮤얼슨 | 사이먼 쿠즈네츠 | |
<rowcolor=#cd9f51> 1972 | 1973 | 1974 | ||
존 힉스 | 케네스 애로우 | 바실리 레온티예프 | 군나르 뮈르달 | |
<rowcolor=#cd9f51> 1974 | 1975 | 1976 | ||
프리드리히 하이에크 | 찰링 코프만스 | 레오니트 칸토로비치 | 밀턴 프리드먼 | |
<rowcolor=#cd9f51> 1977 | 1978 | 1979 | ||
베르틸 올린 | 제임스 미드 | 허버트 사이먼 | 시어도어 슐츠 | |
<rowcolor=#cd9f51> 1979 | 1980 | 1981 | 1982 | |
아서 루이스 | 로런스 클라인 | 제임스 토빈 | 조지 스티글러 | |
<rowcolor=#cd9f51> 1983 | 1984 | 1985 | 1986 | |
제라르 드브뢰 | 리처드 스톤 | 프랑코 모딜리아니 | 제임스 뷰캐넌 | |
<rowcolor=#cd9f51> 1987 | 1988 | 1989 | 1990 | |
로버트 솔로우 | 모리스 알레 | 트뤼그베 호벨모 | 해리 마코위츠 | |
<rowcolor=#cd9f51> 1990 | 1991 | 1992 | ||
머턴 밀러 | 윌리엄 샤프 | 로널드 코즈 | 게리 베커 | |
<rowcolor=#cd9f51> 1993 | 1994 | |||
로버트 포겔 | 더글러스 노스 | 존 하사니 | 존 내시 | |
<rowcolor=#cd9f51> 1994 | 1995 | 1996 | ||
라인하르트 젤텐 | 로버트 루카스 주니어 | 제임스 멀리스 | 윌리엄 비크리 | |
<rowcolor=#cd9f51> 1997 | 1998 | 1999 | ||
로버트 머튼 | 마이런 숄즈 | 아마르티야 센 | 로버트 먼델 | |
<rowcolor=#cd9f51> 2000 | ||||
제임스 헤크먼 | 대니얼 맥패든 | |||
}}}}}}}}}
- [ 21세기 ]
- ##
||<rowbgcolor=#663334><rowcolor=#cd9f51><-3> 2001 || 2002 ||
}}}}}} ||
컴패니언 오브 아너 수훈자 Order of the Companions of Honour – (CH)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black,#white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CH | |||||
윌리엄 서머싯 몸 (1954) |
아놀드 토인비 (1956) |
패트릭 블래킷 (1965) |
막스 페루츠 (1975) |
|||
존 길구드 (1977) |
프레더릭 생어 (1981) |
칼 포퍼 (1982) |
프리드리히 하이에크 (1984) |
|||
스티븐 호킹 (1989) |
조지프 니덤 (1992) |
알렉 기네스 (1994) |
데이비드 애튼버러 (1995) |
|||
리처드 돌 (1996) |
데이비드 호크니 (1997) |
크리스 패튼 (1997) |
에릭 홉스봄 (1998) |
|||
존 메이저 (1999) |
도리스 레싱 (2000) |
외국인
아마르티야 센 (2000) |
해럴드 핀터 (2002) |
|||
주디 덴치 (2005) |
이안 맥켈런 (2008) |
마이클 하워드 (2011) |
피터 힉스 (2012) |
|||
매기 스미스 (2014) |
외국인
데즈먼드 투투 (2015) |
조지 오스번 (2016) |
폴 매카트니 (2017) |
|||
J. K. 롤링 (2017) |
델리아 스미스 (2017) |
마거릿 애트우드 (2018) |
엘튼 존 (2019) |
|||
폴 스미스 (2020) |
데이비드 치퍼필드 (2020) |
폴 너스 (2022) |
메리 퀀트 (2023) |
|||
이언 매큐언 (2023) |
안나 윈투어 (2023) |
웨일스 공비 캐서린 (2024) |
셜리 배시 (2024) |
|||
고든 브라운 (2024) |
||||||
※ 참고: 전체 영어 명칭은 Order of the Companions of Honour이지만 영연방의 정부(내각), 관보(런던 가제트), 왕실 등 공공기관 웹사이트에서 약칭 Companion of Honour로 표기, 안내하고 있다. |
||||||
{{{#black,#white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013a; font-size: .8em" |
서양 철학사 현대 철학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16px -11px;" | <tablewidth=100%> 고대 철학 | 중세 철학 | 근대 철학 | 현대 철학 | }}} | |||
<colbgcolor=#545454><colcolor=#fff> 현대철학 | |||||||||
현상학 | 후설 · 슈타인 · 레비나스 · 앙리 | ||||||||
철학적 인간학 | 셸러 · 부버 · 겔렌 | ||||||||
하이데거 | |||||||||
실존주의 | 무신론적 실존주의: 우나무노 · 사르트르 · 보부아르 · 메를로퐁티 · 시오랑 · 카뮈 / 유신론적 실존주의: 베르댜예프 · 야스퍼스 · 라벨 · 틸리히 · 마르셀 | ||||||||
해석학 | 가다머 · 리쾨르 · 블루멘베르크 | ||||||||
소비에트 마르크스주의: 레닌 · 루카치 · 그람시 · 마오 · 일리옌코프 · 캘리니코스 / 서구 마르크스주의: 블로흐 · 코르쉬 · 르페브르 · 가로디 · 드보르 / 구조 마르크스주의: 알튀세르 · 비데 · 발리바르 · 랑시에르 / 포스트 마르크스주의: 제임슨 · 라클라우 · 무페 / 기타: 진 · 네그리 · 울프 · 바디우 · 가라타니 · 지젝 · 피셔 | |||||||||
비판 이론 | 호르크하이머 · 아도르노 · 벤야민 · 마르쿠제 · 프롬 · 하버마스 · 벨머 · 네크트 · 프레이저 · 호네트 | ||||||||
구조주의 | 소쉬르 · 야콥슨 · 레비스트로스 · 바르트 · 라캉 · 푸코 · 부르디외 | ||||||||
리오타르 · 들뢰즈 · 가타리 · 보드리야르 · 데리다 · 바티모 · 아감벤 · 버틀러 · 아즈마 | |||||||||
21세기 실재론
|
신유물론: 해러웨이 · 라투르 · 데란다 · 브라이도티 · 바라드 · 베넷 / 사변적 실재론: 브라시에 · 메이야수 · 하먼 / 신실재론: 페라리스 · 가브리엘 / 기타: 바스카 · 랜드 | ||||||||
실용주의 | 퍼스 · 제임스 · 듀이 · 미드 · 산타야나 · 굿맨 · 로티 | ||||||||
20세기 전반 수학철학 | 프레게 · 괴델 · 브라우어 · 힐베르트 | ||||||||
무어 · 화이트헤드 · 러셀 · 램지 | |||||||||
비트겐슈타인 | |||||||||
슐리크 · 노이라트 · 카르납 · 에이어 | |||||||||
옥스퍼드 학파
|
라일 · 오스틴 · 스트로슨 · 그라이스 | ||||||||
언어철학 | 콰인 · 타르스키 · 데이비드슨 · 더밋 · 촘스키 · 스톨네이커 · 크립키 · 루이스 · 파인 / 피츠버그 학파: 셀라스 · 맥도웰 · 브랜덤 | ||||||||
심리철학 | 퍼트넘 · 설 · 김재권 · 포더 · 데닛 · 처칠랜드 · 윌버 · 클라크 · 차머스 | ||||||||
과학철학 | 푸앵카레 · 라이헨바흐 · 포퍼 · 헴펠 · 쿤 · 라카토슈 · 파이어아벤트 · 핸슨 · 해킹 · 라우든 · 카트라이트 {{{#!folding ▼ 비분석적 과학철학(대륙전통) | ||||||||
기술철학
|
위너 · 엘륄 · 카진스키 · 스티글레르 · 플로리디 · 보스트롬 | ||||||||
미디어 철학
|
이니스 · 매클루언 · 옹 · 플루서 · 비릴리오 | ||||||||
자유주의 | 자유지상주의: 하이에크 · 랜드 · 호스퍼스 · 소웰 · 노직 · 호페 / 사회자유주의: 롤스 · 슈클라 · 센 · 누스바움 · 킴리카 / 자유사회주의: 카스토리아디스 · 레비 / 기타: 벌린 · 프랑켈 · 라즈 | ||||||||
공화주의 | 아렌트 · 스키너 · 페팃 · 포르타윈 / 공동체주의: 매킨타이어 · 테일러 · 왈저 · 샌델 | ||||||||
보수주의 | 보수혁명: 슈미트 · 슈펭글러 / 반동주의: 게농 · 에볼라 · 두긴 · 야빈 / 전통주의: 오크숏 · 푀겔린 · 커크 / 신보수주의: 스트라우스 · 크리스톨 · 버클리 · 맨스필드 · 후쿠야마 / 기타: 아롱 · 블룸 · 스크러턴 | ||||||||
윤리학 | 규범윤리학: 앤스콤 · 풋 · 톰슨 · 네이글 · 레건 · 스캔런 · 파핏 · 싱어 · 우치다 · 케이건 / 메타윤리학: 맥키 · 헤어 · 프랭크퍼트 · 윌리엄스 · 블랙번 · 코스가드 | ||||||||
인식론 | 카시러 · 치좀 · 게티어 · 암스트롱 · 골드만 | ||||||||
법철학 | 라드브루흐 · 풀러 · 하트 · 드워킨 | ||||||||
종교철학 | 드샤르댕 · 마리탱 · 니부어 · 하츠혼 · 엘리아데 · 베유 · 힉 · 지라르 · 닐슨 · 큉 · 월터스토프 · 플란팅가 · 워드 · 크레이그 | ||||||||
탈식민주의 | 파농 · 사이드 · 스피박 | ||||||||
페미니즘 | 이리가레 · 데일리 · 나딩스 · 길리건 · 크리스테바 · 데이비스 · 파이어스톤 · 오킨 · 맥키넌 · 영 · 크렌쇼 | ||||||||
환경철학
|
슈바이처 · 레오폴드 · 요나스 · 네스 · 패스모어 · 북친 · 캅 · 롤스톤 · 캘리콧 · 포스터 · 사이토 | ||||||||
관련문서 | 대륙철학 · 분석철학 | }}}}}}}}} |
<colbgcolor=#171B1C,#000><colcolor=#ffffff> 프리드리히 아우구스트 폰 하이에크 Friedrich August von Hayek |
|
|
|
출생 | 1899년 5월 8일 |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하오스트리아 대공국
빈 (現 오스트리아 빈) |
|
사망 | 1992년 3월 23일 (향년 92세) |
독일 바덴뷔르템베르크 프라이부르크 | |
국적 |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틀:국기| ]][[틀:국기| ]] → [[오스트리아| ]][[틀:국기| ]][[틀:국기| ]] → [[오스트리아| ]][[틀:국기| ]][[틀:국기| ]] → [[오스트리아 연방국| ]][[틀:국기| ]][[틀:국기| ]] → [[나치 독일| ]][[틀:국기| ]][[틀:국기| ]] → [[영국| ]][[틀:국기| ]][[틀:국기| ]] |
부모 |
아버지 아우구스트 폰 하이에크 어머니 펠릭시타스 하이에크 |
학력 | 빈 대학교 ( 법학 · 정치학 / 박사) |
종교 | 무종교 ( 불가지론)[1] |
사상 | 고전적 자유주의[2], 경제적 자유주의 ( 신자유주의) |
약력 |
오스트리아 경기연구소 소장 런던 정치경제대학교 교수 시카고 대학교 사회윤리학 교수 프라이부르크 대학교 종신교수 |
서명 |
[clearfix]
1. 개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빈 출신의 영국 경제학자이자 정치학자이다. 오스트리아 학파의 일원으로 자유주의 이념을 강력히 주장했으며 1974년 노벨경제학상을 수상했다. 대표저서로는 《 노예의 길》(1944), 《자유헌정론》(1971),《치명적 자만》(1988)이 있다. 그의 사상은 1980년대 집권한 로널드 레이건과 마거릿 대처로 대표되는 신자유주의 성향의 지도자들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3]그럼에도 불구하고 하이에크는 자신이 보수주의자가 아니라고 말했다.[4] 하이에크는 보수주의가 현상 유지에 너무 집중하고 변화에 저항하기 때문에 진보와 혁신이 부족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는 또한 보수주의가 종종 권위주의와 연관되어 있으며 개인의 자유에 위협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2. 생애
1899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빈에서 체코계 오스트리아인 의사였던 아우구스트 폰 하이에크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그의 친가와 외가 모두 저명한 학자 집안이었는데 그의 조부 구스타프 폰 하이에크(Gustav von Hayek, 1836-1911)는 자연과학을 가르치던 교수였고 그의 외조부 프란츠 폰 유라셰크(Franz von Juraschek, 1849-1910)는 경제학자였다.그는 어린 시절 똑똑했다고는 하나 공부를 그닥 잘하지는 못했고 대신 생물학이나 희극을 쓰는 데에 관심을 보였다고 한다. 이후 제1차 세계 대전이 일어나자 1917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육군에 입대해 이탈리아 전선에서 복무했는데 전투에서 왼쪽 귀를 다쳤다. 이후 오스트리아 제1공화국에 의해 신분제가 폐지되면서 그의 집안은 귀족 접두어인 폰( von)을 이름에서 제외시켰다.
재미있게도 하이에크는 20대 초반까지 사회주의자였다. 전쟁 중에 볼셰비키 혁명을 겪고, 사회주의 팸플릿과 사회주의 경제학 서적을 접하면서, 사회주의에 빠져서 경제학을 전공하기로 마음먹었다고 한다. 경제학을 배우기 위해 하이에크는 빈 대학교에 입학해 철학, 심리학, 경제학 등을 배웠고 이 과정에서 카를 멩거(Carl Menger)와 프리드리히 폰 비저(Friedrich von Wieser)의 사상에 큰 영향을 받았다. 특히 빈 대학교에서 루트비히 폰 미제스를 만나, 그의 저서 '사회주의'(Socialism, 1922)를 접하고 나서, 사회주의자에서 자유주의자로 전향하였다.
1921년 법학 박사학위를 1923년 정치학 박사학위를 취득한 이후 오스트리아 정부의 경제 고문이었던 루트비히 폰 미제스의 비서로 근무하다 미국으로 건너가 뉴욕 대학교 제리마이아 쟁스 (Jeremiah Jenks) 교수의 연구 조교로 일했으나 미국 생활에 적응을 못해 1년만에 귀국했다.
그후 1927년 오스트리아 경기연구소의 소장이 되었으며, 1931년 영국 런던으로 이주한 뒤 런던 정치경제대학교 교수가 되었다. 1950년부터 미국의 시카고 대학교에서 사회윤리학 교수로 재직했으며, 말년에는 서독 프라이부르크 대학교의 종신교수직에 임명되었다.
3. 경기 변동론
30대의 하이에크 |
그러나 케인스가 1936년 일반이론을 발표하자 런던정경대학의 제자들 대다수가 케인지언으로 돌아섰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케인스의 경제학이 대세를 이루면서, 경기 변동 이론가로서의 그의 연구 업적은 빛을 잃었다. 밀턴 프리드먼은 그의 경제학이 혼란스럽고, 이런 것들이 왜 진지하게 받아들여졌는지 모르겠다고 했다. 폴 크루그먼은 오스트리아 학파의 경기 변동 이론을 플로지스톤설에 비교하기까지 했다.
4. 사회주의 계산 논쟁
미제스와 더불어 사회주의적 경제 계산에 반대하는 논쟁을 펼쳤다. 오스카 랑게(Oskar Lange)가 신고전파 이론을 이용하여 사회주의 계산이 가능하다는 논증을 내놓자, 그는 신고전파의 완전정보모형이 현실과 떨어져 있다는 비판을 펼쳤고 신고전파 경제 이론과 멀어져 갔다. 그는 대다수 동료 경제학자들을 설득하는 데 실패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작성된 그의 논문 "The Use of Knowledge in Society(사회에서의 지식의 활용)" (1945)는 중요한 경제학적 업적으로 꼽힌다. 그가 사회주의 논쟁에서 보여준 접근법은 현대 정보경제학에서 볼 때 굉장히 선구적인 것이었다.5. The Road to Serfdom ( 노예의 길)
존 메이너드 케인스 |
비유하자면 이 세상을 천국으로 만들어 주겠다는 사람들 때문에 이 세상은 결국 지옥으로 간다는 것이 요지이다.[5] 개인마다 다양한 목적을 가지고 있는데 이런 개인들의 목적을 모두 모아 하나의 전체 목적을 만드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그렇게 하고자 한다면 강제력이 필요해지는데 결국 중앙에서 계획하고 통제하려 하게된다면 그 누군가는 권력을 쥐게 된다. 결국 자유의 길을 찾아가는 듯하여 따르지만 예속의 길, 노예의 길을 가게 된다는 것이다. 경제적인 측면에서의 집산주의적 계획은, 결국 정치적인 자유도 잃게 만들게 된다고 하였다. 왜 대중은 자유를 버리고 노예의 길을 선택할까? 하이에크에 따르면 자유는 경쟁이 기본이고, 노력이 기본이고, 책임이 기본이다. 경쟁하기 싫고 노력하기도 싫고 책임지기도 싫은 미성숙한 대중이 쉽게 원하는 것을 얻고자할 때 달콤하게 등장하는 정치 세력이 파시스트나 공산주의 같은 전체주의자라고 보았다.[6]
그는 책의 첫머리에서 “나치즘이 사회주의의 필연적 결과”라고 주장하면서, 이 사실에 대한 오해가 오늘날 자유주의 문명을 위협하는 근본적인 위험이라고 지적한다. 따라서 그에 따르면 이러한 위험을 방지하고 전체주의의 망령에서 벗어나는 일이야말로 오늘날 가장 시급한 과제라고 보았다. 그리고 이를 위해서는 경제적 자유를 수호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하였다. 왜냐하면 경제 문제에서의 자유가 없이 개인적, 정치적 자유가 있어 본 적이 없기 때문이라는 것이다.[7]
그러나 하이에크가 고전적인 자유방임주의로 되돌아가자고 주장하는 것은 아니다. 그는 “자유방임의 원리에 대한 아둔한 고집만큼 자유주의의 명분에 해를 입힌 것은 없다.”라고 역설한다. 그 대신 그는 “경쟁이 가능한 한 최대한 유익하게 작동하도록 체계를 의식적으로 창출하는” 길을 택한다. 한겨레-하이에크는 단순한 신자유주의자가 아니었다
1944년에 발간된 책이지만 세상 사람들이 하이에크를 이해하기까지는 많은 시간이 걸렸다. 정치인과 경제학자들은 이 책이 나오고 몇 십 년이 흐른 뒤에야 그의 주장에 주목하였고 가장 적극적으로 받아들인 정치인은 후술할 영국의 마거릿 대처 총리와 미국의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이다.
6. 몽펠르랭 소사이어티
The main lesson which the true liberal must learn from the success of the socialists is that it was their courage to be Utopian which gained them the support of the intellectuals and therefore an influence on public opinion which is daily making possible what only recently seemed utterly remote.
자유주의자가 사회주의자들의 성공으로부터 배워야 할 교훈은 이상주의자가 될 수 있는 용기다. 그것을 통해 지식인의 지지를 얻고, 대중 여론에 대한 영향력을 강화하여 비현실적이라고 여겨졌던 일을 현실로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Intellectuals and Socialism (지식인과 사회주의), 하이에크, 1949년
자유주의자가 사회주의자들의 성공으로부터 배워야 할 교훈은 이상주의자가 될 수 있는 용기다. 그것을 통해 지식인의 지지를 얻고, 대중 여론에 대한 영향력을 강화하여 비현실적이라고 여겨졌던 일을 현실로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Intellectuals and Socialism (지식인과 사회주의), 하이에크, 1949년
몽펠르랭 소사이어티는 하이에크가 처음 만든 이후로 현재까지도 매년 회원국에서 총회를 개최하는, 자유주의를 옹호하는 경제학자, 철학자, 역사학자, 사업가 등으로 구성된 국제적 단체이다. #
1947년 하이에크는 스위스에 있는 산인 몽펠르랭(Mont Pèlerin)[8]에 있는 한 리조트에 자신이 직접 선별하여 우편으로 초청한 36명의 학자[9]( 미제스, 라이오넬 로빈스(Lionel Robbins), 밀턴 프리드먼, 칼 포퍼, 베르트랑 드 주브넬(Bertrand de Jouvenel) 등 자신과 비슷한 생각을 가진 사람들)와 함께 회의를 개최하여 당시 전 세계를 휩쓸고 있는 마르크스주의자와 케인지언들과 대항하고 고전적 자유주의의 상황과 가능한 운명, 자유지상주의 연구와 확산의 방법에 대해 토론한 것이 몽펠르랭 소사이어티의 시초다.
여기서 하이에크는 사회주의에 대해 사상 전쟁을 선포하였다. 그는 케인스가 "경제학자와 정치철학자들의 사상은 그것이 옳을 때에나 틀릴 때에나 일반적으로 알려진 수준보다 더 강력하다"고 한 것을 인용하면서, 일반적인 기득권이 아니라, 사상이야말로 중요한 것이라고 강조하였다.
하이에크는 고전적 자유주의자들이 그들의 사상의 체계를 세상에 구현할 용기가 필요하다고 느꼈다. 그는 자유주의자들에게 사회주의로 편향된 지식인들로부터 자유주의를 구하기 위해, 이념 전쟁에 참여하도록 호소했다.
파시즘, 나치즘, 공산주의 같은 전체주의와 공산주의의 계획경제가 유행처럼 번지는 세계 정세 속에서 그 곳에 모인 학자들은 의견이 분분했지만 사유재산, 경제자유, 법치 등이 인류를 구제할 수 있다는데 의견을 모았다.
처음에는 잘 알려지지 않은 엘리트 살롱으로 시작했지만 미국인 자선사업가이자 보수주의와 자유지상주의 후원자인 해롤드 루나우(Harold Luhnow)의 윌리엄 볼커 펀드(William Volker Fund)로부터 경제적 후원을 받고 미국인 밀턴 프리드먼을 비롯한 시카고 대학교가 전초 기지로 사용되면서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있는 지적 기관 중 하나로 성장했다.
몽펠르랭 소사이어티에서 노벨경제학상 수상자 9명이 나왔다. 하이에크가 1974년 노벨상을 받고 뒤이어 1976년 밀턴 프리드먼이 받았다. 이어 조지 스티글러(George Stigler)(1982), 제임스 뷰캐넌(1986), 모리스 알레(Maurice Allais)(1988), 로널드 코즈(1991), 게리 베커(1992), 버논 스미스(Vernon Smith)(2002), 라스 피터 한슨(Lars Peter Hansen)(2013)이 받았다.
7. 시카고 대학교
밀턴 프리드먼 |
The Constitution of Liberty(자유헌정론) (1960)에서, 그는 유럽의 두 가지 지적 전통을 논했다. 첫 번째는 존 로크, 데이비드 흄, 애덤 스미스, 에드먼드 버크 등의 영국적 자유주의 전통이며, 두 번째는 데카르트로부터 내려오는 대륙적 전통, 구성주의적 합리주의였다. 전자의 노선만이 실질적 자유에 가까이 갈 수 있고, 후자는 결국 자유를 파괴하고 마는 것이었다. 하이에크는 자신이 영국적인 전통을 따르고 있고, 토머스 홉스, 장 자크 루소, 제러미 벤담, 카를 마르크스 그리고 존 메이너드 케인스 등은 후자를 따르고 있다고 주장하였다. 하이에크에 따르면, 인간의 이성은 불완전하며, 이러한 무지야말로 인간에게 자유가 필요한 근거이다. 그런데, 구성주의적 합리주의는 이성의 힘을 과신하여, 자유를 파괴하는 오류를 범했다는 것이다. 또한, 민주주의 또한 자유주의의 적이 될 수 있다. 현대의 시민은 근시안적이며 자기 통제력이나 절제가 없고, 민주 정부는 경제적 개입이나 재분배의 유혹에 빠지기 쉽다고 인식하였으며, 이러한 무제한적 민주주의를 막기 위해서 헌법을 만들어 이를 막아야 한다. 즉, 민주주의는 법의 지배 안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8. Law, Legislation and Liberty
미셸 푸코 |
또한 하이에크는 인간은 집산주의적 본능을 갖고 있다고 논한다. 시장이 제대로 작동되려면, 이러한 본능을 억제하는 것이 필요하지만, 이러한 것은 쉽게 저지할 수 없다. 사회 정의(social justice)란 개념은 이러한 집산주의적 본능 때문에 생긴 미신으로, 열린 사회와 전적으로 양립 불가능한 개념이었다. 따라서, 사회 정의의 추구에 맞서 싸워야 한다. 그런데, 이러한 본능은 이성으로 저지될 수 있을까? 그 이성에 대한 신뢰야말로 사회주의를 불러오지 않았는가?
그는 구성주의적인 이성으로 계획된 시스템도, 본능도 아닌, 자생적 질서야말로 번영과 자유로 갈 수 있게 하는 것이라고 논한다. 자유의 법(law)은 자생적으로 새겨난 행동의 준칙을 법으로 제정한 것이며, 개인의 자유라는 이상이 활짝 필 수 있도록 돕는다. 법의 지배(Rule of law)는 자유와 어긋나지 않는다. 현대민주주의는 다수의 폭정이나, 정치적 이익의 문제 때문에, 나쁜 입법(legislation)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것을 막기 위해서는 입법부의 권한을 제한할 것이 필요하며, 그것이 바로 헌법이다. 헌법은 의회가 갖고 있는 과도한 민주성을 제약해야 하며, 그럼으로써 자유를 보존할 수 있게 한다. 그렇지 않다면, 무제한적 민주주의가 생겨나고, 무제한적 민주주의는 인간의 구성주의적 이성과 집산주의적 본능으로 시장의 자생적 질서를 전체주의적으로 타락시키게 된다. 무제한적 민주주의가 지나치게 강하게 될 경우에는, 과도한 민주주의를 제한해야만 자생적 질서가 유지된다. 이것이 하이에크의 제한적 민주주의 이론이다.
그러나 인간의 의도적 행동의 가치를 너무 낮추어 평가했다는 비판이 나오게 된다. 자생적 질서는 인간이 만들어내기는 했지만, 인간의 의도적인 산물이 아닌 사회적 질서이다. 자생적 질서 속에서 각개인은 사회에서 주어진 행위준칙을 준수한다. 인간은 이미 주어진 자생적 질서와 행위 준칙 속에서 자유롭게 행위한다. 이러한 상태가 하이에크가 강조하는 소극적 자유의 상태이다.[10] 그런데 이러한 사회질서, 자생적 질서가 왜 바람직한 사회형태인가? 이미 주어진 진화의 산물, 전통의 산물이기 때문에 옹호되어야 하는가? 그렇다면 누군가의 계획에 따라 만들어진 것이 아니며 전통과 진화의 산물이지만 자유주의 사회가 아닌 카스트 제도 등은 어떻게 판단되어야 할 것인가? 과거에 의해 주어진 행위준칙을 그저 따를 수밖에 없기 때문인가?[11] 하이에크 자신의 이론은 구성주의적 합리주의, 즉 치명적 자만으로부터 자유로운가? 하이에크는 질서는 구성주의적 합리주의에서처럼 설계되는 것이 아니라 자생적인 것이라고 역설해왔다. 그러나 자유주의적 개혁, 자유주의적 제도 개선을 언급할 때 그는 구성주의적 태도를 취한 것이 아닌가? 이러한 개혁이나 제도 개선은 하이에크 자신의 정치 설계를 바탕으로 나온 것이 아닌가? 한마디로, 구성주의적인 체계를 공격하는 자신의 체계 자체가 구성주의적으로 설계된 결과물이라는, 자기 모순적이라는 비판이 나오게 된다.
피노체트 |
9. 노년
노년의 하이에크 |
1970년대 스태그플레이션이 생겨나면서 케인즈적 접근법이 불신을 받게 되었다. 사회주의 계산 논쟁이나 자유주의에 대한 옹호 또한 재평가받게 되었다. 그후에는 여러 나라를 돌아다니면서 강연하였고, 1978년엔 내한한 바도 있다. 그는 꾸준히 시장경제를 옹호하였다.
다만 말년에는 "큰 시장은 큰 정부를 부른다"라는 말로 입장을 바꿨다고 한다.
하이에크는 정치인이 인플레이션을 일으키기 쉽다고 경고했다. 인플레이션 때문에 노동자의 실질임금은 하락하고, 다시 노동자는 하락한 실질임금을 보전받기 위해서 더 많은 임금을 요구하게 되고, 이는 다시 인플레이션을 심화시켜 결국 인플레이션의 악순환으로 빠져들게 만들 것이라고 분석했다.
대공황 이후 케인즈 경제학이 주류가 되어 큰 정부가 대세가 되었으나 1970년대에 이르자 차차 세계경제는 정부 지출을 확대해도 실업률은 떨어지지 않고 불경기는 계속되면서 인플레이션만 찾아왔다. 불경기에 물가만 오르는 스태그플레이션 현상이 나타난 것이다.
하이에크의 주장에 매료된 영국의 대처 수상은 하이에크 처방대로 경제정책을 실시했다. 1979년 정권을 잡은 마거릿 대처 수상은 실업률을 낮추기 위해 통화를 풀고 정부 지출을 늘리라는 케인스식 처방을 거부했다. 높은 실업률은 단기간에 해결할 수 없는 악으로 받아들이고 감내했다. 한편으로는 정부 소유 사업을 매각하고, 경제에 대한 정부의 직접적인 개입을 줄이고, 창업을 권장하고 개인의 소득세율을 낮추었다. 대처 수상은 하이에크의 주장대로 작은 정부를 지향하고 경제 자유도를 높이는 방식으로 경제 정책을 펼쳐서 ' 영국병'을 고치고 영국을 구조 조정하고자 했다.
미국의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은 경제 참모로 하이에크파를 대거 기용했다. 레이건의 경제정책은 레이거노믹스라고도 부르는데 레이건의 연설에서 가장 많이 언급되는 경제학자가 바로 하이에크였다.
레이건과 대처의 시대에 하이에크는 대단한 영예를 누렸다. 마거릿 대처는 하원에서 하이에크야말로 우리가 나가야 할 길이라고 선언하기까지 하였다. 공산권이 무너질 때의 영예는 굉장했다. 이러한 굉장한 영예 속에서, 그는 1992년에 눈을 감았다.
(전략) 그리고 그가 죽기 몇 년 전에는 소련과 동구 사회주의가 무너지는 것도 지켜보았다. 베를린 장벽이 무너질 때 하이에크의 아들 로렌스 박사가 텔레비전을 보면서 말했다.
"아버지. 지금 베를린 장벽이 무너지고 있어요! 사회주의가 무너지고 있다구요!"
이 때 하이에크가 한 말은 간단했다.
"거 봐, 내가 뭐랬어!"
주용식 外 5人, 『자유주의 사상가 12인의 위대한 생각』, 월간조선사, 2004, p.14, p.15
"아버지. 지금 베를린 장벽이 무너지고 있어요! 사회주의가 무너지고 있다구요!"
이 때 하이에크가 한 말은 간단했다.
"거 봐, 내가 뭐랬어!"
주용식 外 5人, 『자유주의 사상가 12인의 위대한 생각』, 월간조선사, 2004, p.14, p.15
10. 기타
- 칠레의 독재에 대해서 이야기 할 때, 사회주의 민주정부보다 자유주의 독재정부를 선호한다고 주장하였다. 그걸 들은 어떤 경제학자는 "하이에크의 주장에 따르면 일종의 파시스트 독재는 '자유 사회'의 필수 전제 조건으로 간주되어야 한다"며 비판하기도 했다.[12]
- 그러나 하이에크는 "일반적인 권위주의 정부가 민주주의 정부보다 개인의 자유를 보장할 가능성이 더 높다고 주장한 적 없으며 다만 일부 역사적 상황에서 예외가 있을 뿐이다. 이러한 예외는 고대 아테네 시민들이 소크라테스를 죽일 때부터 발생했다."며 관련 논란에 대해 반박했다.
- 하이에크와 케인스의 주장을 랩으로 요약한 동영상도 존재한다. 나무위키에는 세기의 대결 - 케인즈 vs 하이에크라는 이름으로 문서가 등록되어 있다. 보기 보기2
- 철학자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와 육촌 사이라고 한다.[13] 실제로 비트겐슈타인이 죽자 하이에크가 그의 자서전을 쓰는 데 도와주기도 했다.
- 그의 성씨 하이에크(Hayek)는 체코계 성씨인 Hájek을 독일식 철자로 쓴것이다.
11. 둘러보기
신자유주의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
<colbgcolor=#9f3b39><colcolor=#fff,#eee> 주요 개념 | 경제적 자유 (economic freedom) · 경제적 자유화 (economic liberalization) · 경제 통합 · 규제 완화 · 균형예산 (balanced budget) · 긴축 · 먼델-플레밍 모형 · 민영화 · 세계화 · 시장 자유주의 · 신공공관리론 · 자유무역협정 · 자유시장 · 제한된 정부 · 지식재산권 · 직접 투자 · 통화주의 |
주요 학파 | 시카고학파 · 신고전학파 · 오스트리아학파 | |
관련 사상, 운동, 정책 등 | 경제적 자유주의 · 낙수 이론(일부) · 대처주의 · 메넴주의 · 미국의 보수주의( 레이거노믹스 · 신보수주의) · 미국의 자유지상주의 · 시장 자유주의 · 우파 자유지상주의 · 재정보수주의 · 제3의 길( 블레어주의 · 신민주당) · 피노체트주의 · 후지모리주의 | |
관련 학자 | 루트비히 폰 미제스 · 밀턴 프리드먼 · 앨런 그린스펀 · 제임스 M. 뷰캐넌 · 프리드리히 하이에크 | |
관련 정치인 | 고이즈미 준이치로 · 나카소네 야스히로 · 로널드 레이건 · 로저 더글러스 · 마거릿 대처 · 마우리시오 마크리 · 밀턴 프리드먼 · 빌 클린턴 · 세바스티안 피녜라 · 아우구스토 피노체트 · 알베르토 후지모리 · 에마뉘엘 마크롱 · 윤석열 · 이명박 · 자이르 보우소나루 · 조지 H. W. 부시 · 조지 W. 부시 · 카를로스 메넴 | |
관련 집단 | 몽펠르랭 소사이어티 · 세계경제포럼 · 시카고 보이즈 · 자유기업원 · 자유시장 포럼 | |
관련 문서 | 고전적 자유주의 · 국제통화기금 · 규제혁신 · 권위주의적 자본주의 · 반세계화/ 대안세계화 · 반신자유주의 · 시장 근본주의 · 싱가포르/경제 · 워싱턴 합의 · 홍콩/경제 | }}}}}}}}} |
영국 자유주의 관련 문서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000000,#e5e5e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영국의 자유주의 정당 | |||||
에드 데이비 | 나오미 롱 |
}}} {{{#!wiki style="margin: -21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집권내각 | 캐머런 연립내각 ( 닉 클레그 참여) | ||
과거 정당 | 자유당(영국) · 휘그당 | |||||
기타&지역 정당 | 스코틀랜드 자유민주당 · 웨일스 자유민주당 · 자유당(1989) | |||||
사상 | 자유주의 · 사회자유주의( 새자유주의) · 고전적 자유주의( 글래드스턴 자유주의 · 맨체스터 자유주의 · 자유지상주의 · 휘그주의) · 보수자유주의( 근력 자유주의) · 급진주의 · 자유사회주의 · 자유보수주의 · 자유주의 페미니즘 · 자유제국주의 · 자유국제주의 · 진보주의 · 녹색자유주의 · 경제적 자유주의 | |||||
총리 | 윌리엄 이워트 글래드스턴 · 로버트 월폴 · 헨리 존 템플 · 존 러셀 · 허버트 헨리 애스퀴스· 데이비드 로이드 조지 | |||||
주요 정치인 | 패디 애쉬다운 · 찰스 케네디 · 닉 클레그 · 조 스윈슨 · 빈스 케이블 · 멘지스 캠벨 · 팀 패런 | |||||
사상가 | 데이비드 흄 · 존 로크 · 토머스 홉스 · 애덤 스미스 · 데이비드 리카도 · 제임스 밀 · 제러미 벤담 · 존 스튜어트 밀 · 허버트 스펜서 · 이사야 벌린 · 토머스 페인 · 존 메이너드 케인스 · 프리드리히 하이에크 · 매튜 아놀드 · 토머스 힐 그린 | |||||
언론 | 더 가디언 · 인디펜던트 · 파이낸셜 타임스 · 이코노미스트 | |||||
관련 주제 | 중도주의 ( 중도우파 ~ 중도좌파) · 군주국의 공화주의 (일부)* | |||||
영국 정치 관련 문서 (
사회주의 · 자유주의 ·
보수주의) * 특히 좌파 자유주의~진보주의 내지 자유주의 엘리트들 사이에서 지지를 받는 경우가 꽤 있으나, 전부는 아니다. |
||||||
자유주의/분파 | }}}}}}}}}}}} |
🗽 자유지상주의 | |||||
{{{#!wiki style="margin: 0 -1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0px" |
<colbgcolor=#fed105><colcolor=#000> 관련 주제 | 개인주의 · 고전적 자유주의 ( 경제적 자유주의) · 급진주의(역사적) · 문화적 자유주의 · 무장저항권 · 무기소지권 · 반권위주의 · 반국가주의 · 반군국주의 · 반제국주의 · 불개입주의 · 사유재산 ( 재산권) · 성해방 · 시장 근본주의 · 자유 ( 표현의 자유 · 양심의 자유) · 자유무역 · 자유시장 · 제한된 정부 · 해방 · 해적 정치 | |||
분파 | 우파 계열 | 객관주의 · 고자유지상주의 · 시카고학파 · 아나코 캐피탈리즘 ( 암호화폐 아나키즘) · 야경국가주의 · 오스트리아학파 · 융합주의 · 자유지상주의적 보수주의 ( 밀레이주의) | |||
중도 계열 | 녹색 자유지상주의 · 시민 자유지상주의 · 신고전적 자유주의 · 자유지상주의적 페미니즘 · 지공자유지상주의 | ||||
좌파 계열 | 사회적 자유지상주의 · 아나키즘 ( 개인주의적 아나키즘 · 녹색 아나키즘 · 사회적 아나키즘 · 자유시장 아나키즘) · 자유지상주의적 사회주의 ( 신좌파 · 자유지상주의적 공산주의 ( 좌파공산주의) · 자유지상주의적 마르크스주의) | ||||
그 외 | 기술 자유지상주의 · 에고이즘 · 자유방임주의 | ||||
인물 | 게리 존슨 · 노자 · 놈 촘스키 · 랜드 폴 · 론 폴 · 루트비히 폰 미제스 · 막스 슈티르너 · 머리 로스바드 · 미하일 바쿠닌 · 밀턴 프리드먼 · 아인 랜드 · 에마뉘엘 마크롱 · 윌리엄 고드윈 · 털시 개버드 · 토머스 제퍼슨 · 프리드리히 하이에크 · 하비에르 밀레이 · 한스-헤르만 호페 · 헨리 데이비드 소로 | ||||
단체 | Students for Liberty · 몽펠르랭 소사이어티 · 미제스 연구소 · 자유지상당 · 자유지상당 국제동맹 | ||||
나라별 현황 | 대한민국 · 미국 | }}}}}}}}} |
[1]
어렸을 때부터 비종교적인 환경에서 성장하였고, 점차 성장하면서
불가지론자가 되었다.
[2]
우파 자유지상주의자로도 평가받는다.
[3]
활동 영역의 광대함이나 연구 스타일을 보면
카를 마르크스,
존 스튜어트 밀과 유사하다. 사회주의를 비판하면서도 그들이 임했던 자세나 방법은 높이 평가했던 것으로 나온다. 사회주의는 시장경제와 사유재산제가 확립되지 않아 개별 상품에 대한 가격 정보를 얻을 수 없고 또 성과금 제도, 즉 인센티브가 없기에 경제가 망할 것으로 예언했다. 다만 이 예언이 완벽히 들어맞았다고 보는 것은 무리가 있다. 사회주의는 단순히 인센티브와 사유재산, 시장경제를 부정하는 사상이 아니라 사회 공동체 주도의 생산시설 소유와 결과 분배를 중심으로 하는 사상이었고 소련 역시 이를 반영한 사회 보장 제도들이 있었다. 하이에크가 지적한 성과금 제도 역시 존재했었다.
[4]
《자유헌정론》의 에필로그 「나는 왜 보수주의자가 아닌가」
[5]
같은 문제의식을 표현한 인물이
칼 포퍼이다.
[6]
한나 아렌트도 전체주의의 기원에서 비슷한 말을 한다.
[7]
똑같은 주장을
밀턴 프리드먼도 펼쳤다.
[8]
스위스 제네바 호수를 굽어보는 산이다.
[9]
대부분은 경제학자들이고, 일부는 역사학자 또는 철학자들.
[10]
김균, 박순성 (1997). 일반논문 하이에크 자유주의의 폐쇄성과 내적 균열:민경국, 《진화냐 창조냐》에 대한 비판적 서평. 사회비평, 17, 258
[11]
김균, 박순성 (1997). 일반논문 하이에크 자유주의의 폐쇄성과 내적 균열:민경국, 《진화냐 창조냐》에 대한 비판적 서평. 사회비평, 17, 258
[12]
If we take Professor Hayek literally, a fascist dictatorship of some kind should be regarded as the necessary pre-condition (along with monetarism) of a ‘free society’. (Nicholas Kaldor, letter to The Times, October 18, 1978.)
[13]
실제로 하이에크의 어머니가 비트겐슈타인의 누나들과 친한 사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