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양 철학사 현대 철학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16px -11px;" | <tablewidth=100%> 고대 철학 | 중세 철학 | 근대 철학 | 현대 철학 | }}} | |||
<colbgcolor=#545454><colcolor=#fff> 현대철학 | |||||||||
현상학 | 후설 · 셸러 · 레비나스 · 앙리 | ||||||||
하이데거 | |||||||||
실존주의 | 사르트르 · 보부아르 · 메를로퐁티 · 야스퍼스 · 마르셀 | ||||||||
해석학 | 가다머 · 리쾨르 | ||||||||
서구 마르크스주의: 루카치 · 블로흐 · 그람시 · 코르쉬 · 르페브르 · 드보르 / 구조 마르크스주의: 알튀세르 · 발리바르 · 랑시에르 / 기타 공산주의: 바디우 · 지젝 · 네그리 / 포스트 마르크스주의: 라클라우 · 무페 | |||||||||
비판 이론 | 호르크하이머 · 아도르노 · 벤야민 · 마르쿠제 · 프롬 · 하버마스 · 호네트 | ||||||||
구조주의 | 소쉬르 · 야콥슨 · 레비스트로스 · 바르트 · 라캉 · 푸코 · 부르디외 | ||||||||
데리다 · 들뢰즈 · 가타리 · 리오타르 · 보드리야르 · 아감벤 · 버틀러 | |||||||||
21세기 실재론
|
브라시에 · 메이야수 · 하먼 | ||||||||
실용주의 | 퍼스 · 제임스 · 듀이 · 미드 · 굿맨 · 로티 | ||||||||
20세기 전반 수학철학 | 프레게 · 괴델 · 브라우어 · 힐베르트 | ||||||||
무어 · 화이트헤드 · 러셀 · 램지 | |||||||||
비트겐슈타인 | |||||||||
슐리크 · 노이라트 · 카르납 | |||||||||
옥스퍼드 학파
|
라일 · 오스틴 · 스트로슨 · 그라이스 | ||||||||
언어철학 | 콰인 · 촘스키 · 크립키 · 루이스 · 데이비드슨 · 더밋 / 피츠버그학파: 셀라스 · 맥도웰 · 브랜덤 | ||||||||
심리철학 | 설 · 퍼트넘 · 포더 · 차머스 · 김재권 · 데닛 · 처칠랜드 | ||||||||
20세기 과학철학 | 푸앵카레 · 라이헨바흐 · 포퍼 · 핸슨 · 쿤 · 파이어아벤트 · 라카토슈 · 해킹 {{{#!folding ▼ 비분석적 과학철학(대륙전통) | ||||||||
기술철학
|
엘륄 · 라투르 · 플로리디 · 보스트롬 | ||||||||
미디어 철학
|
매클루언 | ||||||||
정치철학 | 자유주의: 벌린 · 롤스 · 슈클라 · 노직 · 라즈 · 누스바움 · 레비 / 공동체주의: 매킨타이어 · 테일러 · 왈저 · 샌델 / 공화주의: 아렌트 · 스키너 · 페팃 / 보수주의: 랜드 · 아롱 · 크리스톨 · 스트라우스 · 푀겔린 · 커크 | ||||||||
윤리학 | 슈바이처 · 맥키 · 헤어 · 프랭크퍼트 · 레건 · 싱어 · 블랙번 | ||||||||
인식론 | 게티어 | ||||||||
법철학 | 드워킨 | ||||||||
종교철학 | 부버 · 슈타인 · 니부어 · 지라르 · 큉 · 월터스토프 · 플란팅가 | ||||||||
탈식민주의 | 파농 · 사이드 · 스피박 | ||||||||
페미니즘 | 이리가레 · 나딩스 · 길리건 · 해러웨이 · 오킨 · 프레이저 | ||||||||
생태주의 | 레오폴드 · 요나스 · 네스 · 북친 | ||||||||
관련문서 | 대륙철학 · 분석철학 | }}}}}}}}} |
[clearfix]
1. 개요
...
대학교 3, 4학년 때 즈음에 <과학철학>이라는 수업을 듣게 됐어요... 그때 제가 '
과학자,
공학자도 있지만, 과학과 기술에 대해서 성찰하는 사람도 있구나.'라는 걸 처음 알게 되었죠.
장대익 #
장대익 #
여러 전문 과학자들을 포함해서, 요즘 많은 사람들은 천 그루의 나무를 보면서도 숲은 보지 못하는 것 같습니다. 역사적, 그리고 철학적 배경에 대한 지식은 당대 과학자들이 갖는 편견에서 벗어날 수 있는 독립성을 가져다 줍니다. 철학적 통찰이 가져다주는 이런 독립성이야말로 제 생각에는 장인 혹은 전문가와 진정한 진리에 대한 추구자를 구별해주는 지점이라고 봅니다.[1]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과학철학자 Robert Thornton에게 보낸 편지
科
學
哲
學 / philosophy of science알베르트 아인슈타인, 과학철학자 Robert Thornton에게 보낸 편지
과학의 근거, 과학적 방법, 그리고 영향력에 대한 철학의 한 분야. 주요 화두는 다음과 같다.
- 과학의 자격
- 과학적 이론들의 신뢰성
- 과학의 최종 목적
다음 예시들이 대중적으로 잘 알려진 고전적인 문제들에 해당한다.
- 과학과 유사과학을 어떻게 나눌 것인가: 과학인 체 하는 것들을 구분할 수 있는 확고한 기준은 무엇인가? 그 기준이 애초에 존재하기는 하는가? 포퍼가 말했듯 과학은 정말로 반증가능한 것이 전부인가? 흔히 "구획 문제"라고 불린다.
- 귀납법은 어떻게 정당화되는가: 흄은 귀납 추론의 합리성을 보이고자 하는 일련의 시도가 순환논법임을 보이는데 성공한 것 같다. 그런데 과학은 귀납법에 의존하지 않는가? 뒤엠과 콰인이 말했던 것처럼 관찰·실험을 통하여 경험과학 이론을 결정적으로 검증하는 것은 불가능한가?
- 과학의 목적은 " 실재"를 규명하는 것인가?: 과학의 목표는 "우리 바깥에 실재하는 세계"가 어떠한지를 밝혀내는 것인가? 아니면 과학은 그런 것에 구애받을 필요 없이 관찰·실험을 통해 얻은 데이터를 가지고서 그저 앞으로 벌어질 일을 예측하는데 성공하기만 하면 충분한 것인가? 흔히 " 과학적 실재론 문제"라고 불린다.
- 환원주의?: 생물학은 화학으로, 화학은 물리학으로 환원된다는 것은 흔한 상식이다. 그런데 이 상식은 정말로 합당한가? 애초에 이론 간의 "환원"이란 정확히 무엇인가?
뉴욕시립대 철학 교수 마시모 피글리우치에 따르면 과학철학의 목적은 과학을 발전시키거나 과학문제에 답을 주려는 것이 아니며 과학이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이해하려는 것이다.[2]
2. 과학철학의 역사
2.1. 20세기 이전
서양 철학사에서 과학철학의 역사는 아리스토텔레스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아리스토텔레스의 화두 중 하나는 " 앎(ἐπιστήμη; epistêmê)"의 본성 및 방법론을 규명하는 것이었으며, 경험주의자였던 아리스토텔레스에게 있어 "앎"은 자연철학, 즉 현대의 과학을 포괄하는 것이었기 때문이다. 4원인론이 그 대표적인 사례.대륙 합리론 대 영국 경험론 논쟁으로 잘 알려진 근대 인식론 논쟁 또한 과학혁명 당대의 경험과학과 밀접한 관계를 맺으며 이루어졌다. 이를테면 합리론에 입각하여 개진한 데카르트주의 물리학은 당대 물리학계에 강력한 영향을 미쳤으며, 영국 경험론의 영향을 받은 아이작 뉴턴 또한 이에 맞서 《 프린키피아》에서 강경한 귀납추론에 입각한 직접 스스로의 과학적 방법론을 명시하기도 했다. 임마누엘 칸트는 《 순수이성비판》에서 뉴턴 역학으로 대표되는 경험과학이 어떻게 가능한지에 대한 나름의 논변을 제시하였다.
19세기에는 오귀스트 콩트의 실증주의가 등장하여 사회학과 철학, 과학의 연구 방법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2.2. 20세기 전반
제2차 세계 대전 이전까지 유럽에서 과학의 본성, 과학의 방법론 등을 둔 철학적 논쟁은 철학자와 과학자를 막론하고 널리 이루어졌다. 입자의 실재성을 둔 에른스트 마흐와 루트비히 볼츠만 간의 논쟁은 과학적 실재론 논쟁의 효시가 되었으며, 칸트를 직접적으로 계승한 앙리 푸앵카레의 철학적 작업은 이후 과학철학에 막대한 영향을 주었다.현대적 의미에서 "과학철학"이 철학의 한 분과로 성립하게 된 계기는 오스트리아를 중심으로 논리 실증주의가 발흥한 것이다. 논리 실증주의에 따르면 자연과학의 명제들이야말로 ( 형이상학적 명제들처럼 무의미한 게 아닌) 경험적으로 유의미한 명제들의 대표다. 또한 이들은 개별 사실들에 대한 관찰 명제들로부터 같은 종류의 대상에 모두 적용되는 보편 명제로 나아가는 귀납추론이 과학의 본질이라고 보았기 때문에 귀납을 과학철학의 가장 핵심적인 문제로 간주했다. 하지만 논리 실증주의는 "유의미한 명제는 논리적이거나 실증적이어야 한다"는 자신들의 신조 자체가 실증적이지 못하다는 점, 그리고 귀납논증에 대한 논리적 정당화가 힘들다는 점에서 난점에 처하게 됐다.
이후 제2차 세계 대전을 기점으로 과학 연구의 주도권이 미국으로 넘어가고, 마침 여러 논리 실증주의자들 또한 나치를 피해 유럽을 떠남에 따라 과학철학 연구의 중점 또한 영미권으로 흘러간다.
2.3. 20세기 중반
20세기 중반에도 다양한 과학철학적 주제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었으나, 이중에서도 특히 과학적 방법론, 혹은 유사과학에 관한 당대 여러 과학철학자들의 연구는 철학계뿐 아니라 대중적으로도 상당한 관심을 받았다.칼 포퍼가 제시한 반증주의는 논리 실증주의가 노출한 귀납논증의 문제를 극복하고자 한 대안이다. 즉 귀납은 논리적으로 정당화될 수 없는 것과 달리, 단 하나의 사례만 있어도 가설에 대한 반증은 가능하므로, 곧 반증을 과학적 방법론의 본질로 보아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모든 과학적 가설은 오류를 내포할 수 있다는 "가설의 오류 가능성"이란 개념과 경험에서 이론이 도출된다는 귀납주의자의 주장에 대해 "지구에서 측정된 금성의 크기는 일년 내내 조금도 변하지 않는다"는 당대에 관찰로 증명된 사실을 받아들였음에도 불구하고[3] 코페르니쿠스의 지동설이 채택된 예를 제시하며 도입된 "관찰의 이론 의존성"이라는 개념을 수용하고, 이에 그치지 않고 과학과 유사과학 간의 "구획 문제"를 본격적으로 거론한 포퍼는 사이비 이론들[4]은 바로 반증가능하지 않다는 점에서 과학과 구별된다는 유명한 입장을 제시한다.
그러나 초기 반증주의 또한 관찰의 이론적재성등 반론들이 쌓이면서 이후부터는 논의가 좀더 복잡하게 전개되기 시작한다. 또한 반증주의의 경우 베이즈주의 인식론과 같이 확률을 다루는 명제에 취약하다고 여겨진다.
칼 포퍼의 제자였던 임레 라카토슈는 포퍼로부터 계승한 규범적인 과학철학과 쿤의 역사적인 과학철학을 조화시키고자 한 대표적인 인물이다. 이를테면 라카토슈는 긍정적 발견법과 부정적 발견법으로 구성된 "연구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과학 활동을 파악하고자 했으며, 특히 후자의 부정적 발견법을 설명할 때 반증될 수 없는 연구 프로그램의 기본적 전제로서의 "견고한 핵"이라는 개념을 도입해, "반증이 무시"당하는 사례가 과학사에서 종종 나타남에도 불구하고 어째서 여전히 과학이 진보하는지, 더 나아가 왜 이런 견고한 핵이 과학이 발전하는 데 있어서 필수적인지에 대해 해명하고자 하였다.
노우드 러셀 핸슨은 칼 포퍼 등이 '정당화의 논리'에 초점을 기울인 것과 달리, 과학적 발견이 이루어지는 심리적 기제인 '발견의 논리'에 초점을 기울였다. 찰스 샌더스 퍼스가 일찌기 논했던 귀추법(abduction)을 재조명한 것으로도 기억된다.
토머스 쿤은 논리 실증주의나 포퍼의 반증주의가 모두 "과학은 이런 것이며, 이래야만 한다"는 규범적인 내용을 제시하였다가 실패하였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그에 반해 토머스 쿤은 "패러다임"이라는 개념을 통해 실제 과학사의 사회적인 측면을 토대로 한 접근법을 보여줌으로써 역사적 과학철학의 새로운 조류를 탄생시킨다.
다른 한편 파울 파이어아벤트는 " 과학은 주술이나 미신보다 우위에 있는 유일무이하고 올바른 사고방식이다"는 발상 자체를 의심하며 "과학적 방법"에 대한 합리적 해명에 회의를 표하는 급진적인 견해를 제기하기도 했다.
2.3.1. 프랑스 과학철학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사실상 분석철학 전통 하에서 전개된 영미권의 과학철학과는 달리, 전후 프랑스에서는 독자적인 과학철학적 전통이 전개되었다. 가스통 바슐라르, 조르주 캉길렘 등은 특히 토머스 쿤 등의 역사적 과학철학에 영향을 주기도 했다. 하지만 쿤에 대한 영향도 컸다고 보기는 어려우며, 다른 분석철학 계통의 과학철학에는 거의 영향력이 없다.이들과 달리 앙리 푸앵카레, 피에르 뒤엠, 장 니코 등 20세기 전반의 프랑스 과학철학자들은 분석철학적 과학철학에서도 거인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이른바 '프랑스 전통'은 많은 부분 2차 대전 이후에 국한된 이야기이기도 하다. 그리고 이런 고립성은 과학철학이 세계적으로 다변화된 21세기 현재에는 많은 부분 해소된 상태이다. 이를테면 많은 현대 프랑스 과학철학자들이 Philosophy of Science, Synthese, Erkenntnis 등 영어 과학철학 계열 저널에 출판하기도 한다든지. 단, 이런 저널에 논문을 내는 프랑스 과학철학자들은 국적만 프랑스일 뿐 분석철학 계통의 과학철학을 연구하는 것이며, 프랑스 전통의 과학철학을 연구하는 것이 아니다.
2.4. 20세기 후반 - 현대
1970년대 이전까지의 "고전적" 과학철학은 위와 같이 칼 포퍼, 토머스 쿤 같은 학계의 거두를 중심으로 "유사과학", "과학적 방법론", "환원" 같은 거대 담론 위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이후 과학 활동의 보다 다양한 면모가 주목을 받으면서부터 과학철학 분야는 하나의 학파나 도그마가 절대적인 주류가 되기보다는 다양한 문제의식과 접근법이 존재하는 복잡한 분야가 되었다. 그 몇몇 예시들은 다음과 같다.- 흔히 토머스 쿤의 철학적 작업의 의의는 과학철학이 이상적인 과학자의 모습만이 아니라 현실적인 과학자의 모습에도 관심을 더욱 기울여야 한다는 점을 가르쳐준 데 있다고 평가되고는 한다. 이런 쿤의 작업은 다음과 같은 여러 고전적인 연구 프로그램에 영향을 주었다.
- 래리 라우든은 '과학 이론의 다층성'에 기초하여, 설령 쿤의 패러다임론이 맞다한들, 극단적인 공약불가능성은 극복될 수 있다는 입장의 기초를 놓았다.
- 로널드 기어리 등은 인지과학적 접근법을 통해 과학자 사회가 쿤이 주장하듯 오류나 편향성을 띠면서도 어떻게 합리적인 합의에 이르게 되는지를 연구하고자 했다.
- 과학철학을 과학기술사회학에 사실상 통합하고자 했던 에든버러 학파 역시 쿤의 영향을 깊게 받았다. 하지만 토머스 쿤 문서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쿤이 과연 이러한 접근법에 호의적이었는지는 불분명하다.
- 전통적인 과학적 실재론 논쟁에도 새로운 전기가 마련되었다.
- 이언 해킹은 실험을 과학철학의 중요한 주제로 놓음으로써 과학적 실재론에 대한 새로운 접근법과 전통적인 방법론의 문제를 결합했다.
- 솔 크립키의 언어철학 또한 과학적 실재론과 긴밀하게 얽혀 논의되기도 하였다.
- 바스 반 프라센은 ' 구성적 경험론'이라는 이름 하에 영향력 있는 반실재론 논변을 제안했고, 이에 맞선 구조적 실재론 역시 1990년대 이후 다양한 측면에서 발전하고 있다.
- 논리 실증주의 시대 이래 계속 발전해온 여러 과학철학적 주제에 대한 수리적 접근 역시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물론 이들 주제들 역시 방대한 과학철학의 연구 주제들 전체에 비교해보면 일부에 불과하다. 이렇듯 과학철학의 주제와 접근법이 다양해짐으로써 생겨난 문제는 이 분야가 방대해지면서 난해해지고 있다는 것이다. 20세기 중후반까지의 과학철학사는 비교적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지만[5] 1980년대 이후의 과학철학은 개론서로 정리할 수 있는 수준이 아니다. 1970년대만 하더라도 과학철학의 대가들이 대부분 모여 쿤의 저술에 대해 논의하는 등 뭐가 어떻게 흘러가는지 옆에서 보아도 알기 쉬웠지만, 그게 불가능해지고 있다. 앞에서 말한 대부분의 문제들과 학파들이 여전히 계속 발전적으로 이어지고 있다고 보면 된다.
3. 개별 과학의 철학
위와 같은 주제들은 '과학' 전체의 정체성을 다루는 소위 일반 과학철학(general philosophy of science)에 해당한다. 하지만 이런 과학 일반에 관한 문제들만이 아니라 현대 과학철학에서는 개별 과학 분야 각각에서 다루는 이론 및 논리에 대한 철학적 논의도 심도있게 논의된다. 즉 물리학, 생물학, 경제학 같은 것을 따로 따로 다루는 것이다. 이런 연구들을 통틀어 흔히 "개별 과학의 철학"이라고 부르고는 한다.개별과학의 철학이 발달하게 된 배경 중 하나는 다음과 같다: 논리 실증주의부터 쿤에 이르는 시기에는 자연스럽게 물리학이 과학의 가장 모범적인 사례인 양 암묵적으로 가정되었다. 하지만 여러 생물학자들은 대놓고 ' 생물학에는 패러다임 전환 같은 건 없었다.'고 비판했으며, 그 근거는 생물학이나 화학은 물리학에 비해서 훨씬 더 누적적인 특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라는 것이었다. 이는 자연스럽게 개별 과학의 문제들에 더욱 관심을 기울이게 되는 계기를 제공하였고, 개별 과학 분야에서 연구를 하던 과학자들이 철학적/근본적인 문제들에 흥미를 갖고 철학에 투신하게 되는 계기를 제공하기도 하였다.[6] 대표적인 개별 과학의 철학 영역은 다음과 같다:
- 물리학의 철학: 물리학의 여러 근본적인 문제들을 따지는 분야. 양자역학의 해석이 대표적이다. 2010년대에 들어 초끈 이론의 과학으로서의 정체성에 대한 논쟁이 이루어졌고 물리학자들이 칼 포퍼의 반증주의를 적극 인용하면서 과학철학이 다시금 관심을 받게 되었다.
- 생물학의 철학: 생물학의 여러 근본적인 문제들을 따지는 분야. 유전자 같은 개념적인 문제, 진화, 적응 같은 진화론에서의 개념들에 관한 연구가 주된 주제다. 관련 학술지인 Biology and Philosophy는 저명한 학술지 가운데 하나다.
- 사회과학의 철학: 사회학, 경제학, 정치학 등 사회현상을 과학적으로 연구하려는 시도에서 발생하는 문제에 대해 논의하는 철학.
- 심리학 및 인지과학의 철학: 심리학 및 인지과학의 성과 및 방법론 등에 관련된 철학적 문제를 연구하는 분야. 현대로 올 수록 점점 심리철학과 매우 밀접한 관계를 맺으며, 함께 연구되고는 한다.
- 수리철학: 전통적으로는 과학철학에 포함되지 않았다. 문서 참조.
- 그 외: 화학의 철학, 언어학의 철학 등 역시 점점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21세기에 접어들고 과학철학이 발전할수록 일반 과학철학 연구자와 개별 과학철학의 연구자 간의 간극도 점점 좁혀지고 있다. 일반 과학철학 연구에 주로 매진하는 연구자 역시 어느 한 개별 과학철학 쯤에는 발을 걸쳐두는 식.
4. 한국 현황
철학과와 독립적으로 전공이 개설된 사례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자연과학대학의 '과학학과(구 과학사 및 과학철학 협동과정)'의 과학철학 세부전공이 있는데, 한국에서 가장 많은 과학사학자 및 과학철학자를 배출하였다고 할 수 있다. 다만, 고려대학교 과학기술학협동과정에도 과학철학및과학사 전공이 있어서 소규모나마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전북대학교에도 과학학과가 존재하여 과학철학을 주요 세부전공으로 다루지만, 이 곳에서는 ‘과학철학’보다는 ‘기술철학’을 중점적으로 배우기 때문에 과학철학을 세부적으로 배우기 위해서는 철학과의 4학년 전공인 ‘과학철학’ 강의를 들어야 한다. 특히, 전북대 과학학과에는 서울대에도 없는 학부 단위에서 과학학과과 개설되어 있는 데다가 대학원 과정도 있기에, 과학학에 관해서는 학부-대학원 체제를 갖춘 유일한 곳이다.
나머지 모든 대학에서는 철학과의 세부전공으로 다룬다.
KAIST 과학기술정책대학원에서는 과학철학, 과학사, STS를 중심으로 과학기술정책의 이슈를 다루며, 학부과정으로 개설된 과학기술정책부전공프로그램에서는 과학철학, 과학사 관련 과목들을 개설하고 있다. 소속 교수 중 과학철학 전공자는 그랜트 피셔 교수(영국)가 유일하다. KAIST 부설 한국과학영재학교에서도 관련 내용을 다루는 '과학의 역사와 철학(HPS)'과 '과학기술과 사회(STS)' 과목이 개설된다.
연세대학교에서도 '과학과 철학'이란 이름의 강의가 개설되어 있는데, 졸업요건과는 무관한 선택교양 과목으로 많은 학생들이 수강을 하진 않는다. 다만 과학 철학의 역사를 한 번에 훑고 과학 철학에 대해 개괄적으로 접근한다는 점에선 고무적이다. 기존에 철학전공으로 '과학철학' 강의가 개설된 적이 있었으나 해당 분야 전공 교수의 강의는 아니었다.[7] 그리고 2018년 1학기에 과학철학 전공 교수의 '과학철학'강의가 철학과 4천단위 전공으로 개설되어 학부 수준에서는 꽤 깊은 내용[8]을 다루게 되었다.
서강대학교에서는 과학사라는 제목으로 1학년 대상의 필수교양과목 중 하나로 개설되어 있다. 또한 한양대학교에서는 '과학기술의 철학적 이해'라는 교양필수과목을 전교생에게 의무적으로 이수토록 하고 있다. 물론 1학년 대상 과목이니만큼 별로 심도있는 수준은 아니긴 하지만 꽤나 이례적이다.[9]
그 외에도 전공으로 이 수업이 열린 경우를 나열하자면 경희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중앙대학교 철학과와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경상국립대학교 철학과, 경북대학교 철학과, 충남대학교 철학과, 충북대학교 철학과, 제주대학교 철학과, 부산대학교 철학과, 조선대학교 철학과, 인하대학교 철학과 등에 개설돼있다.
과학사나 과학교육과도 심심찮게 연결되며, 과학 및 기술이 유용되는 구조와 그 구조를 형성하는 사회적 요인들을 연구하는 사회학 분과인 STS(과학기술사회학)은 과학철학 및 과학사와 함께, '과학'을 연구하는 분과학문 중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STS는 부산대 등에서 주전공 또는 제2전공으로 과정을 개설하기도 한다. 각 대학의 단과대에 '과학기술대학'이라는 학부가 있긴 하지만 이쪽은 STS를 다루는 학부가 아닐 확률이 높으므로 주의. 그냥 순수과학과 응용과학을 같이 가르치는 학부다.
개별적으로 탐구해보고 싶다면 20세기 후반까지의 동향을 다룬 입문서, 해설서나 몇 가지 주요 원전들은 번역되어 있으니 상황이 아주 암울한 것은 아니다.
5. 과학철학자 일람
5.1. 외국인 학자
- 마이클 폴라니: 헝가리 태생의 영국 화학자이자 철학자
- 칼 포퍼: 대학에서 철학 외에도 수학, 물리학을 공부하였다. 과학철학에서 <반증주의> 이론을 주창하였다. 과학철학분야 유명 저서로는 《탐구의 논리(Logik der Forschung)》, 《추측과 논박 (Conjectures and Refutations)》, 《객관적 지식 (Objective Knowledge)》 등이 있다. 과학철학 분야 외의 저서 중에서는 《열린 사회와 그 적들》이 매우 유명하다. 《열린 사회와 그 적들》은 사회철학 서적이지만, <반증주의>로 대표되는 그의 과학관과 일맥 상통하는 면이 있다.
- 토머스 쿤: 패러다임 이론의 창시자로 가장 영향력있는 과학사학자 겸 과학철학자. 과학철학을 넘어 지성계 전체에 엄청난 영향을 끼쳤는데, 이는 주저인 과학혁명의 구조가 20세기에 가장 많이 인용된 학술서라는 점에서 단적으로 드러난다. 물리학으로 학사, 석사, 박사를 하였다. 과학철학에서는 칼 포퍼와 대척점에 있는 학자다.
- 루돌프 카르납: 독일 출신의 과학철학자로, 모리츠 슐리크와 함께 논리실증주의의 리더격인 인물이었다. 철학은 과학을 엄밀한 논리적 기초 위에 놓는 작업을 하는 학문이라고 여기고 그러한 연구를 해나갔다. 카르납의 형이상학 비판은 분석형이상학이 완전히 자리잡은 현재에도 중요하게 고려하고 검토해봐야 할 입장으로 여겨진다. 확률 해석, 양상논리에도 업적을 남겼다.
- 칼 구스타프 헴펠: 독일 출신의 과학철학자로 논리실증주의의 일원이었다. 나치의 박해를 피해 미국으로 건너와 연구하였다. 주된 업적은 과학적 설명에 대한 표준 모형을 제시한 것과 과학에서 입증이 이루어지는 과정에 대한 분석이다. 오늘날의 과학철학에서 설명, 입증에 대한 연구는 헴펠의 연구결과들을 계승, 보완, 비판하는 작업에서 비롯되었다해도 과언이 아니다. 입증과 관련해서는 헴펠의 까마귀라는 역설로 유명하다. 로버트 노직과 한국계 미국 철학자 김재권의 박사 과정 지도교수였으며, 김재권은 자신의 철학 스타일이 헴펠에게 큰 영향을 받은 것이라고 이야기하기도 했다.
- 오토 노이라트: 오스트리아 출신의 과학철학자로 논리실증주의의 지도자.
- 스티븐 툴민: 영국의 철학자이자 작가
- 이언 해킹: 실재론 vs 반실재론 논쟁에서 실험이 실재론의 근거가 될 수 있음을 주장했다. 쿤의 <과학혁명의 구조> 50주년 기념판에 서문을 쓰기도 했다. 연구 주제가 굉장히 넓은 것으로 유명한데, 영미철학 계통의 과학철학, 프랑스철학 계통의 과학철학, 통계학사, 정신의학사, 언어철학, 수리철학 등 정말 다양하게 연구했다. 콜라주 드 프랑스의 교수로 재직했는데, 콜라주 드 프랑스의 교수직은 프랑스 지성계의 최고 영예로 받아들여지는 만큼, 이 자리가 영미권 출신인 해킹에게 돌아간 것은 굉장히 이례적인 일이었다. 낸시 카트라이트의 전남편이기도 하다.
- 라카토스 임레: 헝가리 출신의 과학철학자. 헝가리 이름은 우리나라처럼 성을 앞에 쓰기 때문에 '라카토스'가 성이다. 그의 이름을 따서 뛰어난 업적을 남긴 과학철학자에게 수여되는 '라카토스상'이 만들어졌다. 포퍼의 반증주의와 쿤의 패러다임 이론을 절충시킨 이론을 내놓았다. 즉, 쿤처럼 과학 이론의 급격한 변동을 인정하면서 포퍼처럼 과학의 합리적인 성격을 옹호하는 입장이다. 칸트의 말을 살짝 바꾼 '과학사 없는 과학철학은 공허하고 과학철학 없는 과학사는 맹목적이다'라는 말로 유명하다.
- 파울 파이어아벤트: 무정부주의적 과학철학 이론을 주장한 학자. 과학적 방법이란 것은 특별히 존재하지 않다, 즉 '어떤 방법이든 가능하다(Anything goes)'라는 주장으로 유명하다. 이러한 주장의 배경에는 정해진 과학적 방법이 과학자의 창의성을 억압한다는 관점이 깔려 있지만, 특유의 선동적 문체로 인해 반과학주의, 반지성주의, 상대주의를 대변하는 학자로 많이 오해된다.
- 낸시 카트라이트: 물리법칙에 대한 연구로 유명하다. 물리법칙이 참인 조건에서는 설명력이 떨어지고, 반대로 물리법칙의 설명력을 높이면 참에서 멀어진다는 주장을 했다. 예를 들어 두 물체 사이에 작용하는 중력법칙을 생각해보자. 이 경우 중력법칙이 참인가? 대개의 경우 아니다. 현실에서 두 물체 사이에 중력 말고도 전자기력이 영향을 끼치고, 주변의 다른 물체들의 중력도 영향을 끼치기 때문이다. 따라서 중력법칙이 참이려면 주변에 다른 물체가 전혀 없고 두 물체 사이에 전자기력도 작용하지 않는 아주 이상적인 조건을 상정해야 한다. 그런데 이 경우 중력법칙은 참이 되지만, 설명력은 떨어진다. 이런 이상적인 상황은 현실에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최근에는 물리학의 철학보다는 사회과학의 철학, 정책학의 철학 등을 주로 연구하고 있다. 장하석의 지도교수였으며, 이언 해킹의 전부인이기도 하다.
- 바스 반 프라센: 과학적 반실재론 진영의 가장 영향력있는 학자로 뽑힌다. 실재론, 반실재론 논쟁은 1970년대에 들어서서 실재론의 완승으로 결론이 나고 사실상 식은 떡밥이 되었었다, 그러나 반 프라센은 새로운 형태의 반실재론인 '구성적 경험론'을 내놓으며 반실재론 진영을 순식간에 부활시켰다. 구성적 경험론은 우리는 실재의 참모습을 결코 알 수 없으므로 과학 이론은 실재를 정확하게 묘사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것이 아니라 경험적으로 적합한 것을 목표로 한다는 입장이다.
- 필립 키처: 굉장히 여러 분야에서 뛰어난 업적을 남긴 과학철학자이다. 연구 분야는 생물철학, 논리학, 수리철학, 과학과 사이비과학의 구획 문제, 근대철학, 과학과 민주주의의 관계 등을 아우른다. 실재론, 반실재론 논쟁에서 실재론 진영의 대표적인 학자로 뽑히기도 하며, 특히 '공약불가능성' 개념을 두고 벌인 쿤과의 논쟁으로 유명하다. 덕질도 전문적으로 하는지 제임스 조이스 문학 연구로 단행본을 내기도 했다! 아내인 패트리샤 키처도 칸트 연구의 권위자로 뽑히는 세계적인 철학자이다.
- 래리 라우든: 미국의 인식론/과학철학자. 과학적 실재론을 비판하는 "비관적 귀납" 논증으로 유명하다. (엄밀히 말하면 라우든의 논증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비관적 귀납과 차이가 있다.)
5.2. 한국인 학자
- 강형구: 국립목포대학교 교양학부 과학기술철학 전공 교수.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철학과에서 과학철학을 공부했고, 같은 대학 과학사 및 과학철학 협동과정에서 이학석사 및 이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한스 라이헨바흐(Hans Reichenbach, 1891-1953)를 중심으로 논리경험주의(Logical Empiricism)의 역사와 철학을 연구한다. 또한 상대성 이론 속 시간과 공간의 철학적 의의 및 시간의 방향을 주제로 연구하고 있다.
- 고인석: 인하대학교 철학과 교수. 학부에서 물리학, 석사에서 철학을 공부했고 독일 콘스탄츠대 철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한국과학철학회 11대 회장을 지냈다. 주 연구분야는 인공지능과 로보틱스(로봇공학) 분야에서의 철학 및 윤리학적 쟁점이다.
- 김국태: 전 호서대 디지털문화예술학부 교수. 콘스탄츠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주요 연구 분야는 자연과학 방법론, 자연철학, 근대철학이었다.
- 김성수: 서울시립대 철학과 교수. 학부에서 전자공학을 공부했고 위스콘신 대학교 매디슨 캠퍼스 철학과에서 정신 인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 연구분야는 심리철학, 형이상학, 과학철학이다.
- 김용정: 동국대 철학과 명예교수. 학부에서 철학, 물리학을 전공하고 동국대학교 철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과학과 불교』 『과학과 철학』 등을 썼고, 『현대물리학과 동양사상』 『생명의 그물』을 옮겼다. 과학, 철학, 불교 등과 관련된 연구를 했다.
- 김유신: 부산대 전자공학과, 과학기술인문학 협동과정 명예교수. 학부에서 전자공학을 전공하고 코넬대학교에서 과학철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본래 스탠포드대 전자재료 박사과정 이후 전자공학과 교수로 재직하면서 코넬대학교 과학사·과학철학 프로그램 객원 연구원으로 잠깐 갔다가 결국 박사 학위를 받고 돌아왔다. 결국 전자공학과 교수로 재직하면서 과학기술의 역사와 철학 협동과정을 설립하고 해당 과정의 주임교수 겸 과학철학 전담 교수로 재직하여 활동하였다. 해당과정은 몇 번 명칭이 바뀌어 현재 과학기술인문학 협동과정이 되었다. 김유신 교수는 과학철학 뿐만 아니라 본업인 영상신호처리, 인공지능, 정보기능처리에서도 꾸준히 연구를 했다. 한국과학철학회 4대 회장을 맡았다.
- 김재영: KAIST 부설 한국과학영재학교에서 '과학의 역사와 철학', '과학기술과 사회' 과목을 강의한다.
- 김준성: 명지대 철학과 교수. 위스콘신 대학교 매디슨 캠퍼스 철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인과이론에 대해 연구한다.
- 박영태: 동아대 철학생명의료윤리학과 명예교수. 서울대학교 철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피츠버그대 과학철학연구소 방문교수를 지냈으며, 한국과학철학회 8대 회장을 지냈다. 뮤니츠의 『현대분석철학』, 러셀의 『철학의 문제들』, 래디먼의 『과학철학의 이해』 등을 옮겼다. 주로 과학적 실재론에 대해 연구했다.
- 박일호: 전북대 철학과 교수. 학부에서 공학과 철학을 공부했고 고려대학교 철학과에서 과학철학 전공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 소흥렬: 포항공과대학교 명예교수. 2019년 별세. 미시간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연세대, 이화여대 교수를 지냈고, 포항공대 인문사회학부 교수를 지냈다. 한국과학철학회 3대 회장을 맡았다.
- 송상용: 전 한림대 사학과 교수. 학부에서 화학, 철학을 전공해 학사 학위를 받고 인디애나대 과학사·과학철학과에서 A.M. 학위를 받았다. 성균관대 화학과·낙농학과·사학과 조교수를 거쳐 한림대학교 사학과 교수, 한국예술종합학교·토호대학교(일본) 객원교수, 한양대학교 철학과 석좌교수를 역임했다. 영국 리즈대·케임브리지대, 독일 베를린공대·함부르크대·뮌헨대, 일본 추오대, 이탈리아 산탄나고급연구대 객원연구원으로 있었다.철학연구회·한국과학사학회·한국과학철학회·한국생명윤리학회·아시아생명윤리학회(ABA) 회장, 동아시아STS네트워크 공동대표, 한국과학저술인협회 회장을 맡았으며, 유네스코 세계과학기술윤리위원회(COMEST) 부위원장, 한국위원회 자연과학분과위원장, 인문사회과학분과위원장을 역임했다.
- 신중섭: 강원대 윤리교육과 교수. 고려대 철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스승인 신일철 교수와 차머스의 <현대의 과학철학>을 번역하였으며, 포퍼의 과학철학및 사회철학을 연구, 강의 중이다. 한국과학철학회 7대 회장을 지냈다.
- 양경은: 한국교원대 공통과학교육과 교수. 런던정치경제대학 철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주요 연구 분야는 물리학의 철학.
- 여영서: 동덕여대 교양교직학부 교수. 미주리 대학교 컬럼비아 캠퍼스 철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 이상욱: 한양대 철학과 교수. 서울대 졸업. 학부와 석사 과정 전공은 물리학. 런던정경대에서 철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동일 대학과 하버드 엔칭연구소에서 객원조교수를 했다. 주요 연구분야는 물리철학과 생물철학. 한양대학교의 필수교양인 '과학기술의 철학적 이해' 교과목 개발에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현재 한국과학철학회 회장을 맡고 있다
- 이상원: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인문학연구소 미래철학연구센터 연구교수. 연세대학교 인문한국 교수, 명지대학교 교수로 근무했다. 저서로 『현상과 도구』 등이 있으며, 역서로 『실험실 생활: 과학적 사실의 구성』 등이 있다.
- 이영의: 강원대학교 교수를 역임하고, 정년 후 현재 고려대학교 철학과 객원교수. 학부에서 철학을 전공하고 뉴욕주립대에서 인지과학철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주요 연구분야는 베이즈주의, 인지과학철학, 체화인지, 철학상담치료이다. 한국과학철학회 10대 회장을 지냈다. 『신경과학철학』, 『베이즈주의』 등의 책을 썼다.
- 이재호: 중앙대학교 교수. 학부에서 미학을 전공하고 인디애나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주요 연구분야는 귀납문제와 형이상학.
- 이정민: 한경대 교양학부 교수. 학부에서 물리학을 전공하고 인디애나대학교에서 과학사 및 과학철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주요 연구분야는 물리학의 철학.
- 이중원: 서울시립대학교 철학과 교수, 서울대 과학사 및 과학철학 협동과정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학부 전공은 물리학. 한국과학철학회 9대 회장을 지냈다.
- 이초식: 고려대학교 철학과 명예교수로 한국 과학철학계의 원로 중 한명이다. 주요 연구분야는 귀납논리, 논리교육.
- 이충형: 현 포스텍 교수. 前 경희대 철학과 교수, 학부 전공은 물리학. 미네소타 대학에서 과학철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주요 연구 분야는 논리학, 물리철학, 분석형이상학. 세계에서 가장 권위있는 학술지 The Philosophical Review에 게재한 논문이 The Philosopher’s Annual에 의해 2022년 최고의 철학 논문 10편에 선정되기도 했다.
- 장대익: 서울대 자유전공학부, 과학사 및 과학철학 협동과정 교수. 진화생물학자겸 과학철학자. 과학철학 중에서도 생물철학이 전공이다. 학부에서는 기계공학을 전공.
- 장하석: 케임브리지 대학교 석좌교수 겸 런던 대학교 과학철학과 교수, 형은 장하준 케임브리지 대학교 경제학과 교수이며, 장하성 청와대 정책실장과는 사촌관계다. 칼텍 물리학과를 졸업하고 스탠퍼드에서 과학철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토마스쿤의 <과학혁명의 구조>를 읽고 과학철학에 빠져들었다고 한다. 과학철학계의 권위있는 상인 '라카토스 상'을 수상하였다. EBS에서 <장하석의 과학, 철학을 만나다> 시리즈 강의를 맡아서 한 적이 있다.
- 장회익: 서울대 물리학과 명예교수. 루이지애나주립대 물리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서울대 물리학과 교수로 재직하면서 과학사 및 과학철학 협동과정 겸임교수로 참여하였다. 한국과학철학회 1대 회장을 맡았다. 『과학과 메타과학』, 『물질, 생명, 인간』, 『생명을 어떻게 이해할까?』 등의 저서를 썼다.
- 전진권: 명지대 방목기초교육대학 교수. 서울대학교 과학사 및 과학철학 협동과정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주요 연구 분야는 생물철학.
- 정동욱: 경상국립대 철학과 교수. 학부에서 컴퓨터공학을 전공했고 서울대학교 과학사 및 과학철학 협동과정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주요 연구분야는 증거 이론.
- 정병훈: 경상국립대 철학과 명예교수. 웨스턴온타리오대학교에서 과학철학 프로그램을 수학하고 연세대학교 철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파이어아벤트와 존 로크의 저서 등을 번역했고 『서양근대철학』, 『과학철학』 등을 공저했으며, 『뉴턴과 흄』을 썼다. 경상대학교에 '과학기술과 철학' '비판적 사고' 교과목 개발과 플립 러닝 도입에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경상대 교학부총장, 총장 직무대리, 한국과학철학회 6대 회장을 지냈다. 뉴턴, 흄 등의 근대과학철학을 주로 연구했다.
- 정재민: 한양대 정책학과 교수. 애리조나주립대 철학 박사.
- 조인래: 서울대학교 철학과, 과학사 및 과학철학 협동과정 명예교수. 학부 전공은 물리학. 이 목록에 있는 학자들 중 장대익, 정동욱, 천현득, 최성호의 박사 과정 지도교수이다. 한국과학철학회 5대 회장을 역임했다.
- 천현득: 서울대학교 철학과, 과학사 및 과학철학 협동과정 교수. 은사인 조인래 교수의 퇴임 이후 임용되었다. 학부 전공은 물리학이었으며, 서울대 과학사 및 과학철학 협동과정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연구 분야는 인지과학철학, 일반과학철학. 『실험철학』, 『증거기반의학의 철학』 등을 번역했고, 『인공지능의 존재론』을 공저했으며, Oxford Handbook for the Philosophy of Science의 한 장을 쓰기도 했다.
- 최성호: 경희대학교 철학과 교수. 학부와 석사과정 전공은 물리학. 과학철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과학철학보다는 분석형이상학을 주로 연구했으며, 스탠퍼드 철학 백과사전의 "Dispositions" 항목을 저술하기도 했다. 현재는 윤리학과 정치철학을 주로 연구한다.
- 최종덕: 상지대 교양대학 교수. 서강대 물리학과를 졸업하고, ‘양자역학의 존재론’이라는 주제로 독일 기센(Giessen)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물리철학 전공자이지만, 현재는 과학철학 중 생물철학이 주요 연구 분야이다. 『의학의 철학』, 『생물철학 』 등의 책을 썼다.
- 최현철: 중앙대 교양대학 교수. 중앙대학교 철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주요 연구분야는 인과 이론.
6. 더 읽어볼 만한 글
6.1. 인터넷
- 과학철학은 무엇인가?: 천현득 (서울대 과학사 및 과학철학 협동과정 교수) 著
- PhilSci-Archive: arXiv처럼 과학철학 분야의 출판전 논문을 수합하는 데이터베이스. 피츠버그 대학교에서 운영 중.
6.2. 교과서
- 사미르 오카샤, <과학철학> : 적은 분량이라 부담이 적고 입문서라 초심자에게 추천할 만하다.
- 앨런 F. 차머스, <과학이란 무엇인가?> : 전통적으로 철학과 수업에서 많이 봤던 교과서이다.
- 피터 고드프리스미스, <이론과 실재: 과학철학 입문> : 최근에 철학과 수업에서 많이 선택되는 교과서이다.
- Carl G. 헴펠, <자연과학철학> : 차머스 책이 나오기 전에 많이 봤던 교과서로 지금 보기에는 다소 오래되었다.
- 제임스 래디먼, <과학철학의 이해> : 차머스와 고드프리스미스보다는 덜 보지만 그래도 많이 보는 교과서이다. 다만 오역이 좀 있다.
- 리처드 드위트, <당신 지식의 한계 세계관> : 철학과 수업에서 위의 책들 보다는 덜 선택되지만 괜찮은 책이다. 이 책은 과학사도 종합적으로 볼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
7. 과학철학 교양 강연
[navertv(579423)]▲홍성욱 교수 강의, <토머스 쿤 '과학혁명의 구조'>
[navertv(1836093)]
▲정병훈 교수 강의, <뉴턴, 근대 과학의 정초>
[navertv(3235173)]
▲이상욱 교수 강의, <근대 과학 사상과 현대 과학 제도를 넘어서>
[navertv(16791827)]
▲이중원 교수 강의, <근대 과학의 역사적 기원: "객관성의 칼날">
▲장하석 교수 강의, <장하석의 과학, 철학을 만나다 1강>
8. 과학철학 관련 정보
해당 문서 참조
[1]
So many people today—and even professional scientists—seem to me like somebody who has seen thousands of trees but has never seen a forest. A knowledge of the historic and philosophical background gives that kind of independence from prejudices of his generation from which most scientists are suffering. This independence created by philosophical insight is—in my opinion—the mark of distinction between a mere artisan or specialist and a real seeker after truth.
[2]
M. Pigliucci,
Lawrence Krauss: another physicist with an anti-philosophy complex
[3]
코페르니쿠스가 살던 시대에는 관찰 기술 및 보조 이론의 발전이 더뎌 육안으로 금성 크기의 미세한 변화를 관측할 방법이 존재하지 않았다.
[4]
포퍼는 자신의 저서에서
카를 마르크스의 역사 이론에 대한 해석,
지그문트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 및 아들러 심리학의 예를 제시한다.
[5]
몇몇 입문서들은 사실 여기까지만 다룬다.
[6]
이런 이유 덕분에 개별과학의 철학을 연구하는 철학자들의 경우 해당 과학 분야의
학사,
석사,
박사 학위를 갖고 있는 경우가 흔하다.
[7]
정교수 중에 과학철학 전공자가 없다. 사실 현 교수들이 학부생이던 시절엔 칸트를 비롯한 유럽 근대철학 또는 고대 그리스철학이 압도적 주류였고, (동양의 경우 이이, 이황, 정약용이며, 이는 지금도 마찬가지.) 과학철학은 비교적 생소한 분야였다. 이런 이유로 어느 대학이나 과학철학 전공 교수는 드물다.
[8]
흔히 반증주의로 알려진 포퍼부터 토마스 쿤의 '과학적 방법'에 대한 입장과 이들에 대한 비판, 과학의 의미 등을 포함한다.
[9]
그리고 철학과의 경우 과학철학 전공필수 과목이 개설되어 있다. 한국의 유명한 과학철학자이신
이상욱 교수님(학/석사 과정은 물리학을 하시고, 박사 과정은 과학철학을 하셨다.)께서 해당 학교에 재직 중이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