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24 06:43:20

피터 힉스

주요 상훈 이력 및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컴패니언 오브 아너 수훈자
Order of the Companions of Honour – (CH)
{{{#!wiki style="margin:0 -10px -5px"
{{{#black,#white {{{#!folding [ 펼치기 · 접기 ]
CH 파일:CHCompanionofHonour.jpg
윌리엄 서머싯 몸
(1954)
아놀드 토인비
(1956)
패트릭 블래킷
(1965)
막스 페루츠
(1975)
존 길구드
(1977)
프레더릭 생어
(1981)
칼 포퍼
(1982)
프리드리히 하이에크
(1984)
스티븐 호킹
(1989)
조지프 니덤
(1992)
알렉 기네스
(1994)
데이비드 애튼버러
(1995)
리처드 돌
(1996)
데이비드 호크니
(1997)
크리스 패튼
(1997)
에릭 홉스봄
(1998)
존 메이저
(1999)
도리스 레싱
(2000)
외국인
아마르티야 센
(2000)
해럴드 핀터
(2002)
주디 덴치
(2005)
이안 맥켈런
(2008)
마이클 하워드
(2011)
피터 힉스
(2012)
매기 스미스
(2014)
외국인
데즈먼드 투투
(2015)
조지 오스번
(2016)
폴 매카트니
(2017)
J. K. 롤링
(2017)
델리아 스미스
(2017)
마거릿 애트우드
(2018)
엘튼 존
(2019)
폴 스미스
(2020)
데이비드 치퍼필드
(2020)
폴 너스
(2022)
메리 퀀트
(2023)
이언 매큐언
(2023)
안나 윈투어
(2023)
웨일스 공비 캐서린
(2024)
셜리 배시
(2024)
고든 브라운
(2024)
※ 참고: 전체 영어 명칭은 Order of the Companions of Honour이지만
영연방의 정부(내각), 관보(런던 가제트), 왕실 등 공공기관 웹사이트에서 약칭 Companion of Honour로 표기, 안내하고 있다.
{{{#black,#white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013a; font-size: .8em"
}}}}}}}}}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Nobel_Prize.png
역대 노벨물리학상 수상자
{{{#cd9f51 {{{#!wiki style="padding: 5px 0 0; margin:-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582d2d, #663334, #663334, #582d2d)"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25%; min-height:2em"
{{{#!folding [ 20세기 ]
{{{#!wiki style="margin:-5px -1px -5px; word-break:normal"
{{{#555,#aaa
<rowcolor=#cd9f51> 1901 1902 1903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빌헬름 뢴트겐 헨드릭 로런츠 피터르 제이만 앙투안 베크렐
<rowcolor=#cd9f51> 1903 1904 1905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피에르 퀴리 마리 퀴리 존 라일리 필리프 레나르트
<rowcolor=#cd9f51> 1906 1907 1908 1909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1896-1908).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조지프 톰슨 앨버트 마이컬슨 가브리엘 리프만 굴리엘모 마르코니
<rowcolor=#cd9f51> 1909 1910 1911 1912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파일:스웨덴 국기.svg
카를 브라운 요하너스 판데르발스 빌헬름 빈 닐스 달렌
<rowcolor=#cd9f51> 1913 1914 1915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헤이커 오너스 막스 폰 라우에 헨리 브래그 윌리엄 브래그
<rowcolor=#cd9f51> 1917 1918 1919 1920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3:2 비율).svg 파일:스위스 국기.svg
찰스 바클라 막스 플랑크 요하네스 슈타르크 샤를 기욤
<rowcolor=#cd9f51> 1921 1922 1923 1924
파일:독일 국기(3:2 비율).svg 파일:스위스 국기.svg 파일:덴마크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스웨덴 국기.svg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닐스 보어 로버트 밀리컨 만네 시그반
<rowcolor=#cd9f51> 1925 1926 1927
파일:독일 국기(3:2 비율).svg 파일:독일 국기(3:2 비율).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제임스 프랑크 구스타프 헤르츠 장 페랭 아서 콤프턴
<rowcolor=#cd9f51> 1927 1928 1929 1930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인도 제국 국기.svg
찰스 윌슨 오언 리처드슨 루이 드 브로이 찬드라세카라 라만
<rowcolor=#cd9f51> 1932 1933 1935
파일:독일 국기(3:2 비율).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베르너 하이젠베르크 폴 디랙 에르빈 슈뢰딩거 제임스 채드윅
<rowcolor=#cd9f51> 1936 1937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영국 국기.svg
빅터 헤스 칼 앤더슨 클린턴 데이비슨 조지 톰슨
<rowcolor=#cd9f51> 1938 1939 1943 1944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엔리코 페르미 어니스트 로런스 오토 슈테른 이지도어 라비
<rowcolor=#cd9f51> 1945 1946 1947 1948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볼프강 파울리 퍼시 브리지먼 에드워드 애플턴 패트릭 블래킷
<rowcolor=#cd9f51> 1949 1950 1951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유카와 히데키 세실 파월 존 콕크로프트 어니스트 월턴
<rowcolor=#cd9f51> 1952 1953 1954
파일:스위스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펠릭스 블로흐 에드워드 퍼셀 프리츠 제르니케 막스 보른
<rowcolor=#cd9f51> 1954 1955 1956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발터 보테 윌리스 램 폴리카프 쿠시 윌리엄 쇼클리
<rowcolor=#cd9f51> 1956 1957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대만 국기.svg 파일:대만 국기.svg
존 바딘 월터 브래튼 리정다오 양전닝
<rowcolor=#cd9f51> 1958 1959
파일:소련 국기(1955-1980).svg 파일:소련 국기(1955-1980).svg 파일:소련 국기(1955-1980).svg 파일:미국 국기(1959-1960).svg
파벨 체렌코프 일리야 프란크 이고르 탐 오언 체임벌린
<rowcolor=#cd9f51> 1959 1960 1961
파일:이탈리아 국기(1946-2003).svg.pn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에밀리오 지노 세그레 도널드 글레이저 로버트 호프스태터 루돌프 뫼스바우어
<rowcolor=#cd9f51> 1962 1963
파일:소련 국기(1955-1980).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헝가리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레프 란다우 유진 위그너 마리아 메이어 한스 옌젠
<rowcolor=#cd9f51> 1964 1965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소련 국기(1955-1980).svg 파일:소련 국기(1955-1980).svg 파일:미국 국기.svg
찰스 타운스 니콜라이 바소프 알렉산드르 프로호로프 리처드 파인만
<rowcolor=#cd9f51> 1965 1966 1967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줄리언 슈윙거 도모나가 신이치로 알프레드 카스틀레르 한스 베테
<rowcolor=#cd9f51> 1968 1969 1970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스웨덴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루이스 앨버레즈 머리 겔만 한네스 알벤 루이 네엘
<rowcolor=#cd9f51> 1971 1972
파일:헝가리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데니스 가보르 존 바딘 리언 쿠퍼 존 슈리퍼
<rowcolor=#cd9f51> 1973 1974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에사키 레오나 이바르 예베르 브라이언 조지프슨 마틴 라일
<rowcolor=#cd9f51> 1974 1975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덴마크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덴마크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앤서니 휴이시 오게 보어 벤 모텔손 제임스 레인워터
<rowcolor=#cd9f51> 1976 1977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대만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버턴 릭터 새뮤얼 팅 필립 앤더슨 존 밴블랙
<rowcolor=#cd9f51> 1977 1978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소련 국기(1955-1980).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네빌 모트 표트르 카피차 아노 펜지어스 로버트 윌슨
<rowcolor=#cd9f51> 1979 1980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스티븐 와인버그 무함마드 살람 셸든 글래쇼 제임스 크로닌
<rowcolor=#cd9f51> 1980 1981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스웨덴 국기.svg
벨 피치 니콜라스 블룸베르헌 아서 숄로 카이 시그반
<rowcolor=#cd9f51> 1982 1983 1984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인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1946-2003).svg.png
케네스 윌슨 수브라마니안 찬드라세카르 윌리엄 A. 파울러 카를로 루비아
<rowcolor=#cd9f51> 1984 1985 1986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시몬 판 데르 메이르 클라우스 폰 클리칭 에른스트 루스카 게르트 비니히
<rowcolor=#cd9f51> 1986 1987 1988
파일:스위스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스위스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하인리히 로러 요하네스 베드노르츠 카를 뮐러 리언 레더먼
<rowcolor=#cd9f51> 1988 1989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멜빈 슈워츠 잭 스타인버거 한스 데멜트 볼프강 파울
<rowcolor=#cd9f51> 1990 1991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제롬 프리드먼 헨리 켄들 리처드 테일러 피에르질 드 젠
<rowcolor=#cd9f51> 1992 1993 1994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폴란드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캐나다 국기.svg
조르주 샤르파크 러셀 헐스 조지프 테일러 버트럼 브록하우스
<rowcolor=#cd9f51> 1994 1995 1996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클리퍼드 슐 프레더릭 라이네스 마틴 펄 데이비드 리
<rowcolor=#cd9f51> 1996 1997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더글러스 오셔로프 로버트 리처드슨 윌리엄 필립스 스티븐 추
<rowcolor=#cd9f51> 1997 1998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대만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클로드 코엔타누지 대니얼 추이 로버트 러플린 호르스트 슈퇴르머
<rowcolor=#cd9f51> 1999 2000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헤라르뒤스 엇호프트 마르티뉘스 펠트만 조레스 알표로프 허버트 크뢰머
<rowcolor=#cd9f51> 2000
파일:미국 국기.svg
잭 킬비
}}}
}}}}}}}}}
[ 21세기 ]
##
||<rowbgcolor=#663334><rowcolor=#cd9f51><-3> 2001 || 2002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1px; background: #663334"
{{{#!wiki style="margin: -7px"
<tablebordercolor=#663334><tablebgcolor=#663334>
영국의 역대 노벨물리학상
28명 수상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cd9f51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keep-all"
<rowcolor=#fff> 이름 연도 사유 비고
존 라일리 1904 아르곤의 발견 최초수상
조지프 톰슨 1906 기체 전기전도성 연구
헨리 브래그 1915 X선 회절을 이용한 결정 구조 분석 부자수상
윌리엄 브래그 부자수상
최연소
찰스 바클라 1917 뢴트겐 복사 발견
찰스 윌슨 1927 하전된 입자 경로의 가시화
오언 리처드슨 1928 리처드슨 법칙 고안
폴 디랙 1933 양자역학에 파동방정식 도입
제임스 채드윅 1935 중성자의 발견
조지 톰슨 1937 전자로 굴절된 결정 내 상호간섭현상의 실험적 증명
에드워드 애플턴 1947 전리층에서의 애플턴 층 발견
패트릭 블래킷 1948 핵물리학 및 우주선의 재발견
세실 파월 1950 중간자(메손)의 발견
존 콕크로프트 1951 가속입자에 의한 원자핵의 변환 연구
데니스 가보르 1971 홀로그래피 발명 헝가리 국적
브라이언 조지프슨 1973 반도체와 초전도체의 터널 효과
마틴 라일 1974 전파천문학 분야의 연구
앤서니 휴이시
네빌 모트 1977 비결정성 고체에서 나타나는 자기에 따른 전자의 반응에 대한 연구
앤서니 레깃 2003 초전도 및 초유체 이론의 공헌 미국 국적
찰스 가오 2009 광통신용 광섬유의 빛 전송에 관한 획기적인 업적 미국 국적
홍콩 국적
안드레 가임 2010 그래핀 합성 네덜란드
러시아 국적
콘스탄틴 노보셀로프
피터 힉스 2013 힉스 입자의 예측
데이비드 사울레스 2016 위상 상전이와 위상부도체의 이론적 고안
덩컨 홀데인 슬로베니아 국적
마이클 코스털리츠 미국 국적
로저 펜로즈 2020 블랙홀 형성이 일반 상대성 이론의 확실한 예측이라는 것을 발견 }}}}}}}}}}}}

<colbgcolor=#000> 피터 웨어 힉스
Peter Ware Higgs
CH[1] FRS[2] FRSE[3] HonFInstP[4] FKC[5]
파일:Peter Higgs portrait.jpg
[[노벨물리학상|{{{#white 2013년 노벨물리학상 수상자}}}]]
<colcolor=white> 국적
[[영국|]][[틀:국기|]][[틀:국기|]]
출생 1929년 5월 29일

[[잉글랜드|]][[틀:국기|]][[틀:국기|]] 타인 위어 뉴캐슬어폰타인
사망 2024년 4월 8일 (향년 94세)
직업 이론물리학자, 교수
업적 힉스 보손 존재 예측
서명 파일:피터 힉스 서명.png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정보 더 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0><colcolor=white> 학력[6] <colbgcolor=white,#1f2023> 킹스 칼리지 런던
(물리학 / B.Sc.) (1950년)
킹스 칼리지 런던 대학원
(물리학 / M.Sc.) (1952년)
킹스 칼리지 런던 대학원[7]
(물리학 / Ph.D.) (1954년)
{{{#!folding [ 명예 학위 – 펼치기 · 접기 ]
지도교수 찰스 콜슨
Charles Alfred Coulson
크리스토퍼 롱게히긴스
Hugh Christopher Longuet-Higgins
경력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 물리학과
(연구원) (1954년 – 1956년)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 물리천문학부
(강사) (1958년 – 1960년)
에든버러 대학교 물리천문학부
(교수 · 명예교수) (1960년 – 현재)
수상 에든버러 왕립학회 회원 (1974년)
휴즈 메달 (1981년)
왕립학회 회원 (1983년)
러더퍼드 메달 (1984년)
디랙 메달 (1997년)
울프상 (2004년)
사쿠라이상 (2010년)
노벨물리학상 (2013년)
코플리 메달 (2015년)
배우자 조디 윌리엄슨 (결혼: 1963년 – 사별: 2008년)[8]
자녀 2명
종교 무종교( 무신론)
}}}}}}}}} ||

1. 개요2. 학자 생활3. 기타4. 관련 영상5. 관련 항목

[clearfix]

1. 개요

영국의 이론물리학자. 킹스 칼리지 런던에서 물리학 학사(BSc), 석사(MSc/MPhil), 박사(PhD) 학위를 받았고 에든버러 대학교의 명예교수를 역임했다.

2. 학자 생활

1964년 힉스 보손의 존재를 예측했다. 그 과정은 간략하게 다음과 같다. 입자물리의 거의 모든 결과[9]를 잘 설명하는 표준모형에서는 상호작용을 설명하기 위해 게이지 대칭성이라는 개념을 도입하고, 이는 대대적인 성공을 거둔다. 그런데, 게이지 대칭성이 유지되려면 표준모형을 구성하는 가장 핵심적인 식들[10]의 항이 전부 게이지 대칭성을 만족해야 하는데, 입자들의 질량을 설명하는 항들이 하필 이 대칭성을 만족하지 못한다.[11] 따라서 게이지 대칭성이 유지되려면 모든 입자들이 질량을 가질 수 없다는 치명적인 문제가 발생한다. 이런 모순을 해결하기 위해 피터 힉스는 힉스 보손이라는, 게이지 대칭성을 붕괴시키는 입자의 존재를 예측한 것이다. 어떻게 힉스 보손이 게이지 대칭성을 붕괴시키는지는 게이지 장 문서 참고.

이런 이유로 물리학자들의 표준모형에서는 반드시 힉스 보손이 존재할 것이라 예상되었기에 물리학자들은 이를 찾기위해 여러가지 노력을 해왔다. 결국 LHC에서 2013년 힉스 입자가 발견되었음을 확정하면서 참고로 확률이 60퍼센트 이상이면 확인 75퍼센트 이상이면 존재 피터 힉스는 프랑수아 앙글레르와 함께 노벨물리학상 수상자로 선정되었다.

여담으로, 스티븐 호킹 박사와 심각하게 논쟁을 벌인 이력이 있다. 호킹 박사는 힉스 보손의 검출 가능성을 부정했고 이는 둘 사이의 갈등의 원인중 하나가 되었다. 호킹은 또한 LHC의 전신인 LEP(Large Electron Positron Collider)에서 힉스가 발견되지 않는다는 데에 100달러 내기를 걸어 이긴 전례가 있다. 힉스 VS 호킹 - 세계최고 두 석학 감정싸움
파일:Prof-Peter-Higgs-and-Prof-S1.jpg
피터 힉스 스티븐 호킹.[12]

호킹 박사는 LHC에서 힉스가 발견되지 않을 것이라는데 100달러의 내기를 걸었고 2012년 7월 힉스 입자에 대한 발표가 나오자 호킹은 자신이 내기에서 졌으며 힉스가 노벨상을 받아야 한다고 주장하는 등 힉스에게 축하를 보냈다. 마침내 2013년 10월 8일 벨기에의 프랑수아 앙글레르와 함께 노벨물리학상 수상자로 선정되었다. 공동 연구는 아니고, 거의 같은 시기에 서로 다른 논문을 냈는데, 둘 다 힉스 입자라는 결론에 도달할 수 있었기 때문. 단, 입자 자체에 대한 정확한 표현식은 힉스 교수 논문에 처음 등장하고, 앙글레르 교수 논문은 '그 논문 결론을 보면 입자 존재 자체는 알 수 있는'지라 입자 이름은 힉스 입자.

2024년 4월 8일 자택에서 향년 94세를 일기로 사망했다. #

3. 기타

4. 관련 영상

5. 관련 항목



[1] 컴패니언 오브 아너(Member of the Order of the Companions of Honour). [2] Fellow of the Royal Society, 왕립학회 회원. [3] Fellowship of the Royal Society of Edinburgh, 에든버러 왕립학회 회원. [4] 영국물리학회 명예 회원(Honorary Fellow of the Institute of Physics, HonFInstP)
참고
[5] Fellow of King's College London
킹스 칼리지 런던 평의원.
[6] King's People - Peter Higgs 참고. [7] 박사논문: Some problems in the theory of molecular vibrations [8] 관련 기사 참고 [9] 모든 결과는 아니며 한계가 있다. 표준모형 참고. 이상하게도 한계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서는 지나치게 잘 맞는다 [10] 라그랑지언 [11] 크게 두 가지 양상이 있다. 일차적으로 게이지 보손들의 질량항이 이런 식으로 아예 버려져야 하는 경우이다. 재밌게도 이로부터 우리는 거꾸로 (QED만 도입했을 때) 광자와 글루온의 질량이 왜 0이어야 하는가를 설명할 수 있다. 하지만 정작 같은 게이지 보손인 W 보손과 Z 보손이 무겁다는 것은 설명할 수 없었다는 것. 또 한 가지 양상으로는 페르미온들의 질량인데, 이건 사실 게이지 대칭성과 별로 관련이 없었을 수도 있다. 만약 모든 입자가 손지기(chirality)에 상관 없이 똑같은 상호작용을 한다면 말이다. 문제는 약력이 오로지 왼손잡이 입자들하고만 상호작용한다는 것인데, 페르미온들의 질량을 부여하는 항은 사실 오른손잡이 입자들과 왼손잡이 입자들이 서로 동등할 때에만 (즉 상호작용 양상이 똑같을 때에만) 존재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런 이유로 결국 게이지 대칭성은 모든 입자들의 질량이 0이어야 함을 강제한다! 하지만 놀랍게도 힉스 메커니즘은 그런 거 다 깨부수고 거의 모든 입자들이 질량을 가질 수 있도록 도와준다. [12] 출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