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1 22:47:33

에밀 시오랑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5px 0"
※ 2006년 루마니아 공영방송 TVR이 루마니아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를 바탕으로 '가장 위대한 루마니아인 100명'을 선정
TOP 10
1위 2위 3위 4위 5위
슈테판 3세 카롤 1세 미하이 에미네스쿠 미하이 2세 리하르트 부름브란트
6위 7위 8위 9위 10위
이온 안토네스쿠 미르체아 엘리아데 알렉산드루 이오안 쿠자 콘스탄틴 브랑쿠시 나디아 코마네치
11위~100위
11위 12위 13위 14위 15위
니콜라에 차우셰스쿠 블라드 3세 조지 비칼리 헨리 코안더 게오르게 하지
16위 17위 18위 19위 20위
이온 루카 카라지알레 니콜라에 이오르가 콘스탄틴 브랑코비아누 제오르제 에네스쿠 그레고리안 비볼라루
21위 22위 23위 24위 25위
미렐 러도이 코르넬리우 젤레아 코드레아누 니콜라에 티툴레스쿠 페르디난드 1세 미하이 1세
26위 27위 28위 29위 30위
데케발루스 트라이안 버세스쿠 게오르그 뮤레산 이온 I. C. 브라티아누 러즈반 루체스쿠
31위 32위 33위 34위 35위
니콜라에 파울레스쿠 이울리우 마니우 이울리우 호수 에밀 시오랑 아브람 이안쿠
36위 37위 38위 39위 40위
부레비스타 에든버러의 마리 공녀 페트레 투테아 코르넬리우 코포수 아우렐 블라이쿠
41위 42위 43위 44위 45위
이오시프 트리파 니키타 스터네스쿠 이온 크레안거 마델리나 마놀 코르넬리우 바딤 투도르
46위 47위 48위 49위 50위
트라이안 부이아 루치안 블라가 조지 에밀 퍼레이드 아나 아슬란 아드리안 무투
51위 52위 53위 54위 55위
플로린 피에르시크 미하일 코갈리차누 야노스 코뢰시 디미트리에 칸테미르 일리에 너스타세
56위 57위 58위 59위 60위
게오르그 잠피르 기카 페트레스쿠 엘리사베타 리제아 불라 암자 펠라
61위 62위 63위 64위 65위
마차시 1세 미르체아 1세 티투 마이오레스쿠 토마 카라지우 미하이 트라이스타리우
66위 67위 68위 69위 70위
안드레아 마린 에밀 라코비차 빅터 바베슈 니콜라에 발체스쿠 호리아로만 파타피에비치
71위 72위 73위 74위 75위
이온 일리에스쿠 마린 프레다 외젠 이오네스코 두미트루 스타닐로아 알렉산드루 토데아
76위 77위 78위 79위 80위
투도르 게오르게 이온 티리아크 일리에 클레오파 아르세니 보카 바넬 니콜리타
81위 82위 83위 84위 85위
두미트루 코르닐레스쿠 그리고레 모이실 클라우디우 니쿨레스 플로렌틴 페트레 마리우스 모가
86위 87위 88위 89위 90위
니콜라에 스타인하트 로라 스토이카 커털린 흘단 안겔 살리그니 이반 피차이진
91위 92위 93위 94위 95위
마리아 터나세 세르지우 니콜라에스쿠 옥타비안 팔러 무명용사 치프리안 포룸베스쿠
96위 97위 98위 99위 100위
니쿠 코바시 두미트루 프루나리우 후녀디 야노시 콘스탄틴 노이카 바데아 카르탕
출처
같이 보기: 위대한 인물 시리즈
}}}}}}}}}||

서양 철학사
현대 철학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iki style="margin:-16px -11px;" <tablewidth=100%> 고대 철학 중세 철학 근대 철학 현대 철학 }}}
<colbgcolor=#545454><colcolor=#fff> 현대철학
현상학 후설 · 슈타인 · 코제브 · 레비나스 · 앙리
철학적 인간학 셸러 · 부버 · 겔렌 · 슬로터다이크
하이데거
실존주의 무신론적 실존주의: 우나무노 · 사르트르 · 보부아르 · 메를로퐁티 · 시오랑 · 카뮈 / 유신론적 실존주의: 베르댜예프 · 야스퍼스 · 라벨 · 틸리히 · 마르셀 · 코피치 / 기타: 오르테가 · 볼노브
해석학 가다머 · 리쾨르 · 블루멘베르크
소비에트 마르크스주의: 레닌 · 루카치 · 그람시 · 마오 · 일리옌코프 · 캘리니코스 / 서구 마르크스주의: 블로흐 · 코르쉬 · 르페브르 · 가로디 · 골드만 · 드보르 / 구조 마르크스주의: 알튀세르 · 비데 · 발리바르 · 랑시에르 / 포스트 마르크스주의: 제임슨 · 라클라우 · 무페 / 기타: · 네그리 · 울프 · 바디우 · 가라타니 · 이글턴 · 지젝 · 피셔
비판 이론 호르크하이머 · 아도르노 · 벤야민 · 마르쿠제 · 프롬 · 하버마스 · 벨머 · 네크트 · 프레이저 · 호네트
구조주의 소쉬르 · 야콥슨 · 레비스트로스 · 바르트 · 라캉 · 푸코 · 부르디외
리오타르 · 들뢰즈 · 가타리 · 보드리야르 · 데리다 · 에코 · 바티모 · 아감벤 · 버틀러 · 마수미 · 아즈마
21세기 실재론
신유물론: 해러웨이 · 라투르 · 데란다 · 브라이도티 · 바라드 · 베넷 / 사변적 실재론: 브라시에 · 메이야수 · 하먼 / 신실재론: 페라리스 · 가브리엘 / 기타: 바스카 · 랜드
실용주의 퍼스 · 제임스 · 듀이 · 미드 · 산타야나 · 굿맨 · 로티 · 웨스트
수학철학 프레게 · 페아노 · 힐베르트 · 브라우어 · 타르스키 · 처치 · 괴델 · 튜링 · 힌티카
무어 · 화이트헤드 · 러셀 · 램지
비트겐슈타인
슐리크 · 노이라트 · 카르납 · 에이어
옥스퍼드 학파
라일 · 오스틴 · 스트로슨 · 그라이스
언어철학 오그던 · 콰인 · 데이비드슨 · 더밋 · 촘스키 · 스톨네이커 · 크립키 · 레이코프 · 루이스 · 파인 / 피츠버그 학파: 셀라스 · 맥도웰 · 브랜덤
심리철학 퍼트넘 · · 김재권 · 포더 · 데닛 · 처칠랜드 · 윌버 · 클라크 · 차머스
과학철학 푸앵카레 · 라이헨바흐 · 포퍼 · 헴펠 · · 라카토슈 · 파이어아벤트 · 핸슨 · 해킹 · 반프라센 · 라우든 · 카트라이트 {{{#!folding ▼ 비분석적 과학철학(대륙전통)
기술철학
위너 · 엘륄 · 카진스키 · 스티글레르 · 플로리디 · 보스트롬
미디어 철학
이니스 · 매클루언 · · 플루서 · 비릴리오
자유주의 자유지상주의: 하이에크 · 랜드 · 호스퍼스 · 소웰 · 노직 · 호페 · 샤르티에 / 사회자유주의: 로젤리 · 롤스 · 슈클라 · · 누스바움 · 킴리카 / 자유사회주의: 카스토리아디스 · 레비 · 옹프레 / 기타: 벌린 · 프랑켈 · 라즈
공화주의 아렌트 · 스키너 · 페팃 / 공동체주의: 매킨타이어 · 헬러 · 테일러 · 왈저 · 샌델
보수주의 보수혁명: 슈미트 · 슈펭글러 / 반동주의: 루도비치 · 게농 · 에볼라 · 두긴 · 야빈 / 전통주의: 오크숏 · 푀겔린 · 커크 / 신보수주의: 스트라우스 · 크리스톨 · 버클리 · 맨스필드 · 후쿠야마 / 기타: 아롱 · 블룸
윤리학 규범윤리학: 앤스콤 · · 톰슨 · 네이글 · 레건 · 스캔런 · 파핏 · 스크러턴 · 싱어 · 우치다 · 나이먼 · 케이건 / 메타윤리학: 맥키 · 헤어 · 프랭크퍼트 · 윌리엄스 · 블랙번 · 코스가드
인식론 카시러 · 피아제 · 치좀 · 게티어 · 암스트롱 · 플란팅가 · 골드만 · 아우디
법철학 라드브루흐 · 켈젠 · 풀러 · 하트 · 드워킨 · 월드론
종교철학 드샤르댕 · 마리탱 · 니부어 · 하츠혼 · 엘리아데 · 베유 · · 지라르 · 닐슨 · · 월터스토프 · 워드 · 크레이그
탈식민주의 프레이리 · 파농 · 사이드 · 스피박
페미니즘 이리가레 · 데일리 · 나딩스 · 길리건 · 크리스테바 · 데이비스 · 바댕테르 · 파이어스톤 · 오킨 · 드워킨 · 맥키넌 · · 소머스 · 크렌쇼
환경철학
슈바이처 · 레오폴드 · 요나스 · 네스 · 패스모어 · 북친 · · 롤스톤 · 캘리콧 · 포스터 · 사이토
역사철학
크로체 · 듀런트 · 토인비 · 앤더슨
관련문서 대륙철학 · 분석철학 }}}}}}}}}
<colbgcolor=#000><colcolor=#fff> 에밀 시오랑
Emil Cioran
파일:emil cioran.jpg
본명 에밀 미하이 시오랑[1]
Emil Mihai Cioran
출생 1911년 4월 8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라시나리
사망 1995년 6월 20일 (향년 84세)
프랑스 파리
국적
[[루마니아|]][[틀:국기|]][[틀:국기|]]
직업 철학자, 작가
분야 대륙철학
성향 염세주의, 실존주의
동거인 시몬 부에 ( 1919~1997)
종교 무종교[2]
서명
파일:Emil_Cioran_signature.svg

1. 개요2. 생애3. 저서
3.1. 국내 번역3.2. 미번역
3.2.1. 루마니아어3.2.2. 프랑스어
4. 평가

[clearfix]

1. 개요

루마니아 출신의 철학자, 작가.

2. 생애

1911년, 트란실바니아의 작은 시골인 라시나리에서 태어났다. 당시 트란실바니아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치하에 있었는데, 동방정교회 수도자였던 아버지 에밀리안 시오랑은 저항의 표시로 자식들에게 라틴어 이름을 지어주었다고 한다. 이후 부쿠레슈티 대학에 입학해 철학과 미학을 공부하며, 훗날 저명한 종교학자가 되는 미르체아 엘리아데와 만나 친구가 된다. 이후 앙리 베르그송에 대한 졸업 논문을 제출, 최우수 성적으로 학사 학위를 받는다.

1933년, 훔볼트 재단으로부터 장학금을 받아 독일 베를린 대학교에서 수학하는데 이 시기 나치에 매료되어 히틀러에 대해 "그처럼 심금을 울리고 존경할 만한 정치인은 없다"는 극찬을 남기고, 동료에게 보내는 편지에서는 자신을 ' 히틀러주의자'라 칭하는 등 공공연히 지지하는 태도를 보인다.[3] 동시기 이탈리아 파시즘에도 비슷한 견해를 보였는데, 제2차 이탈리아-에티오피아 전쟁에서 이탈리아가 승리하자 이를 환영하기도 했다.

1933년, 첫 저서 '절망의 끝에서' 'Pe culmile disperării를 발간, 루마니아 왕립 아카데미 상을 수상하며 작가로서 발걸음을 내딛는다. 1936년, 고국으로 돌아와 브라소프 고등학교의 철학교사로 일하는데 이때 주변 사람들로부터 몰이해와 괄시를 받았으며 '미친 사람'이라는 별명으로 불렸다고 한다. 이후 장학금을 지원받아 1937년 프랑스로 떠나 앙리 베르그송에 대한 논문을 준비하고 '루마니아 얼굴의 변모' Schimbarea la față a României와 '눈물과 성자' Lacrimi și Sfinți을 출간하는데 이 책들은 루마니아 사회에 큰 충격을 주며 신성모독이라는 비판까지 받게된다. 1940년, 루마니아로 돌아와 3개월 정도 체류하는데 이 시기 파시즘 조직 철위대와 밀접히 교류하며 해당 조직의 창시자인 코르넬리우 젤레아 코드레아누를 찬양하는 라디오 연설을 하기도 했다. 훗날 시오랑은 인터뷰와 글을 통해 젊은 시절 파시즘을 지지한 것에 대해 여러 차례 후회하고 반성하는 모습을 보인다.

이후로 프랑스로 돌아와 평생을 파리에서 살게 된다. 파리에 정착한 시오랑은 '열정적인 핸드북'Îndreptar pătimaș을 출간, 이 책을 마지막으로 모국어인 루마니아어와 결별하는데 후일 시오랑은 "언어를 바꾸면서 나는 내 인생의 한 시절과 결별했다"고 담담하게 회고한다. 이후 자전거로 프랑스 전역을 비롯, 스페인과 스위스, 그리고 영국을 여행하며 견문을 쌓는다. 1949년 '해체의 개설' Précis de décomposition의 출간을 시작으로 평단으로부터 주목을 받으며 생트 뵈브 상, 콩바 상, 니미에 상 등 각종 상들로부터 수상자로 지목받으나 전부 수상을 거부한다. 이후로도 수많은 저술들을 집필하며 평단과 식자층으로부터 찬사를 받았고 1995년 84세를 일기로 파리에서 사망한다.

시오랑은 태어나지 않는 것이 인간에게 최선이라고 믿었고, 그렇기에 평생 독신으로 살았다.

3. 저서

3.1. 국내 번역

3.2. 미번역

3.2.1. 루마니아어

3.2.2. 프랑스어

4. 평가

생존 페르스는 에밀 시오랑을 "폴 발레리 사후 프랑스 어를 빛낸 가장 위대한 프랑스 작가"로 평했다.


[1] 루마니아어에 따른 표기는 '에밀 미하이 치오란'. 프랑스에서 주로 활동하여 프랑스어식 표기로 알려졌다. [2] 《내 생일날의 고독》(태어났음의 불편함 1994년 번역본)에 실린 인터뷰에서 본인을 윤회를 믿지 않는 불교 신자로 묘사했다. [3] 사실 나치 집권 초기에는 나치가 독일 사회를 구제할 것이라는 희망에 매료되어 이러한 실수를 범한 지식인이 적지 않았는데, 대표적으로 20세기 최고 철학자로 평가되는 마르틴 하이데거도 그 중 한 명이었다. [4] '해뜨기 전이 가장 어둡다'로 재출간. 이렇듯 매출이나 편집부의 취향 때문에 제목을 왜곡에 가깝게 변경하는 경우가 꽤 있다. [5] '지금 이 순간, 나는 아프다'로 출간되기도 하였다. [6] 1950년대 후반 당시의 정치와 역사, 유토피아에 대한 시오랑의 견해로, 국내에 "역사와 유토피아"로 소개되어 있다. [7] 미공개 작업들 모음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