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18 21:40:23

쿠바군

쿠바 혁명군에서 넘어옴
세계의 군대 (지역별 가나다순)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8%; min-height:2em"
{{{#!folding ⠀[ 아시아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colbgcolor=#eee,#000> 동아시아 대만 · 대한민국 · 몽골 · 북한 · 일본 (준군사조직) · 중국
동남​아시아 동티모르 · 라오스 · 말레이시아 ( 조호르군) · 미얀마 · 베트남 · 브루나이 · 싱가포르 · 인도네시아 · 캄보디아 · 태국 · 필리핀
남아시아 네팔 · 몰디브 · 방글라데시 · 부탄 · 스리랑카 · 인도 · 파키스탄
서아시아 레바논 · 바레인 · 사우디아라비아 · 시리아 · 아랍에미리트 · 아프가니스탄 · 오만 · 요르단 · 예멘 · 이라크 · 이란 · 이스라엘 · 카타르 · 쿠웨이트
중앙​아시아 우즈베키스탄 · 카자흐스탄 · 키르기스스탄 · 타지키스탄 · 투르크메니스탄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8%; min-height:2em"
{{{#!folding ⠀[ 유럽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colbgcolor=#eee,#000> 서유럽 네덜란드 · 룩셈부르크 · 모나코 · 벨기에 · 영국 · 아일랜드 · 프랑스
남유럽 구호기사단 · 그리스 · 몬테네그로 ·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 북마케도니아 · 스페인 · 알바니아 · 이탈리아 · 키프로스 · 크로아티아 · 튀르키예 · 포르투갈
중유럽 독일 · 오스트리아 · 스위스 · 슬로베니아 · 슬로바키아 · 체코 · 폴란드 · 헝가리
북유럽 노르웨이 · 덴마크 · 라트비아 · 리투아니아 · 스웨덴 · 아이슬란드 · 에스토니아 · 핀란드
동유럽 러시아 · 루마니아 · 몰도바 · 벨라루스 · 불가리아 · 세르비아 · 아르메니아 · 아제르바이잔 · 우크라이나 · 조지아 · 트란스니스트리아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8%; min-height:2em"
{{{#!folding ⠀[ 아메리카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colbgcolor=#eee,#000> 북아메리카 멕시코 · 미국 · 캐나다
카리브 도미니카 공화국 · 도미니카 연방 · 바베이도스 · 아이티 · 자메이카 · 쿠바 · 트리니다드 토바고
중앙아메리카 과테말라 · 니카라과 · 벨리즈 · 엘살바도르
남아메리카 가이아나 · 베네수엘라 · 볼리비아 · 브라질 · 수리남 · 아르헨티나 · 에콰도르 · 우루과이 · 칠레 · 콜롬비아 · 파라과이 · 페루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8%; min-height:2em"
{{{#!folding ⠀[ 아프리카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colbgcolor=#eee,#000> 북​아프리카 리비아 · 모로코 · 수단 · 알제리 · 이집트 · 튀니지
남​아프리카 나미비아 · 남아프리카 공화국 · 레소토 · 말라위 · 모리셔스 · 모잠비크 · 보츠와나 · 앙골라 · 에스와티니 · 잠비아 · 짐바브웨
서​아프리카 가나 · 감비아 · 기니 · 기니비사우 · 나이지리아 · 니제르 · 라이베리아 · 말리 · 모리타니 · 베냉 · 부르키나파소 · 세네갈 · 시에라리온 · 적도 기니 · 카보베르데 · 코트디부아르 · 토고
동​아프리카 남수단 · 르완다 · 마다가스카르 · 부룬디 · 세이셸 · 소말리아 · 소말릴란드 · 에리트레아 · 에티오피아 · 우간다 · 지부티 · 코모로 · 케냐 · 탄자니아
중앙​아프리카 가봉 · 상투메 프린시페 · 중앙아프리카공화국 · 차드 · 카메룬 · 콩고 공화국 · 콩고민주공화국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8%; min-height:2em"
{{{#!folding ⠀[ 오세아니아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colbgcolor=#eee,#000> 오스트랄라시아 뉴질랜드 · 호주
멜라네시아 바누아투 · 솔로몬 제도 · 파푸아뉴기니 · 피지
미크로네시아 나우루 · 마셜 제도 · 미크로네시아 연방 · 키리바시 · 팔라우
폴리네시아 사모아 · 통가 · 투발루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conic-gradient(from 240deg at 26% 50%, #cf142b 60deg, transparent 60deg), linear-gradient(to bottom, #002a8f 10%, #fff 10%, #fff 90%, #002a8f 90%)"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colbgcolor=#cf142b> 상징 국기 · 국장 · 바야모 행진곡
역사 역사 전반 · 쿠바 혁명
정치·치안·사법 쿠바 공산당 · 쿠바 공화국 주석
외교 외교 전반 · 이베로-아메리카 공동체
경제 경제 전반 · 쿠바 페소
국방 쿠바군
문화 문화 전반 · 쿠바 요리 · 관광 · 쿠바 축구 국가대표팀 · 쿠바 영화 · 시가 · 스페인어 · 타이노어
인물 아투에이 · 호세 마르티 · 피델 카스트로 · 라울 카스트로 · 체 게바라
지리 아바나 · 관타나모( 관타나모만) · 쿠바섬
민족 쿠바인 · 쿠바계 미국인 · 타이노인 · 미국계 쿠바인 · 한국계 쿠바인
}}}}}}}}} ||
쿠바 혁명군
Fuerzas Armadas Revolucionarias
Cuban Revolutionary Armed Forces
파일:800px-FAR_emblem.svg.png
국가
[[쿠바|]][[틀:국기|]][[틀:국기|]]
상비군 249,000명
예비군 39,000명
병역제도 징병제

1. 개요2. 역사3. 수뇌부4. 군종
4.1. 육군4.2. 해군4.3. 공군4.4. 준군사조직
5. 관련 문서6. 미디어

[clearfix]

1. 개요

정식명칭은 쿠바혁명군으로 1953년 쿠바 혁명으로 등장한 피델 카스트로의 혁명정부가 1960년에 세우고 현재는 쿠바 공화국 쿠바 공산당이 공동 보유하는 군대이다. GDP 대비 국방비는 3.8% 수준이다.

육군, 해군, 공군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준군사조직인 지방민병대(Milicias de Tropas Territoriales)와 청년노동군(Ejército Juvenil del Trabajo), 보위 및 생산여단(Brigadas de Producción y Defensa) 등이 있다.

2. 역사

1961년 미국 피그만 침공에 대한 반발로 쿠바 혁명정부가 강력한 반미친소정책으로 기울어지면서, 쿠바군도 소련의 지원을 받게 되었다.

쿠바는 엎어지면 코 닿을 정도로 가까운 곳에 위치한 미국의 압도적인 국력 앞에 자신들의 생존을 보장받기 위해서, 쿠바 영토 내에 소련군 핵미사일 기지 설치를 제안하였고, 이것이 1962년 쿠바 미사일 위기를 촉발시켰다. 하지만 정작 당사자인 쿠바군은 아무것도 못하고 들러리 신세가 되었다. 게다가 소련도 미국과의 전쟁을 원하지 않아 쿠바의 핵미사일 기지 설치를 거부했다.

피그만 침공과 걸핏하면 공습하는 미국으로 인해 위기감을 느낀 피델 카스트로의 혁명정부가 전 세계적인 반미, 반제국주의 혁명을 외치면서, 쿠바군은 당시 빈발하고 있던 제3세계 내전에 깊숙히 개입하기 시작하였다. 특히 직접 개입을 꺼리던 레오니트 브레즈네프 소련 공산당 정권은 제3세계에 자신들의 영향력을 늘리기 위해서 쿠바의 제3세계 혁명을 지원하였다.

이런 소련의 지원아래 1961년 가나를 시작으로 1963년에는 민족해방전선 프랑스와의 독립전쟁을 치르고 있던 알제리 전쟁[1] 1960년대 아프리카 아랍에 병력을 보냈다. 1973년 시리아, 1978년 에티오피아, 1975년부터 1989년까진 앙골라 내전에 개입했고 1980년대 니카라과 내전 엘살바도르 내전에 파병했다. 1983년에는 미군 그레나다 침공 때 지원군을 파견하여 그레나다 인민혁명군을 도왔지만 결국 미국에게 패하고 만다. 반대로 아프리카에선 앙골라 내전에서 남아프리카 공화국군의 전투력에 일방적으로 밀리던 MPLA SWAPO를 규합해서 키토 쿠아나발레 전투에서 남아공군 공세를 저지하며 결국 장기적으론 전세역전의 기회를 만드는등 상당한 전과를 올린바가 있다.

1989년에는 군대와 내무성을 대상으로 숙군이 있었다. 자세한 내용은 오초아 사건 참조. 육군 소장이자 쿠바 혁명의 영웅이었던 아르날도 오초아(Arnaldo Ochoa, 1930-1989)가 체포된 뒤 반역죄 처형되었다. 내무성 소속의 안토니오 데 라 가르디아(Antonio de la Guardia) 대령과 같은 기관 소속의 파트리시오 데 라 가르디아(Patricio de la Guardia) 준장은 부패와 마약유통 혐의로 기소되었다. 안토니오 역시 처형되었다. 이 일로 쿠바 육군은 축소되었고 내무성의 권한은 피델 카스트로의 동생이자 쿠바군 사령관인 라울 카스트로에게로 옮겨갔다.[2]

냉전 종식과 소련 붕괴로 외부의 지원이 사라지면서 경제적으로 어려워진 쿠바 정부는 대규모 감군을 단행했다. 2019년 기준으로 현역은 50,000명, 예비역은 1,160,000명 수준이며 2년의 징병제를 적용한다. 이 규모는 고만고만한 카리브해 국가들 중에서는 최대 규모이지만 미군 멕시코군이 있어서 큰 의미는 없다.

3. 수뇌부

당중앙위원회 제1비서 겸 국가주석 겸 총사령관 국방장관 겸 총참모장
파일:미겔 디아스카넬 쿠바 국가평의회 의장.png 파일:Álvaro López Miera.jpg
미겔 디아스카넬 국가주석 알바로 로페스 상장

4. 군종

4.1. 육군

파일:쿠바 국기.svg 현대 쿠바 혁명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쿠바 혁명군 (1959~현재)
Fuerzas Armadas Revolucionarias
<colbgcolor=#cf142b> 기타 전차 M4A3 (76) W HVSSC/R, A34 코멧C/R, T-34-85CZR, IS-2MR
MBT <colbgcolor=#cf142b> 1세대 T-54, T-55(A/AM)
2세대 T-62 1967년형, T-62 1972년형, T-62M
경전차 M3C/R, PT-76
장갑차 차륜장갑차 M3 스카웃 카C/R, BTS-4, BTR-60PB/PU-12, BTR-70M, CBAF-100, CBAF-115, CBE-14.5
궤도장갑차 BMP-1(P), BTR-50, BMD-1
차량 소형 둥펑 EQ-2050, UAZ-469
트럭 우랄-4320
자주포 자주곡사포 AAPMP-T-100M/R, AAP-T-122M/R, AAMP-T-130M/R, 2S1 그보즈디카, 2S3 아카치야
자주박격포
대공 체계 자주대공포 ZSU-57-2, ZSU-23-4 쉴카, Yatare-23M, BTR-23M, BTR-60-30-2M, Duplex-BTR-37M, Duplex-T-57M
대공미사일 2K12 쿠프, 9K33 오사, T-55A (S-75), T-55(S-125)
다연장로켓 BM-21, BM-21M, BM-24
※ 윗첨자R: 퇴역 차량
※ 윗첨자C: 노획 차량
※ 윗첨자M: 개조 차량
※ 윗첨자C: 노획 차량
취소선: 계획되었으나, 취소된 차량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
쿠바군 육군의 전차, 장갑차, 자주포, 다연장로켓
이름 종류 제조국 운용 수량 비축 기타
T-62 주력 전차 소련 380 대 - 2세대 전차
T-54 & T-55 주력 전차 소련 800 대 - 1세대 전차
PT-76 수륙양용전차 소련 50 대 - -
BMP-1 궤도 장갑차 소련 120 대 - -
BMD-1 궤도 장갑차 소련 50 ~ 100 대 - -
BTR-50 궤도 장갑차 소련 200 대 - -
BTR-70 차륜형 장갑차 소련 25 ~ 50 대 - -
BTR-60 차륜형 장갑차 소련 50 ~ 100 대 - -
2S3 아카시아 자주포 소련 40 대 - -
2S1 그보즈디카 자주포 소련 60 대 - -
BM-21 다연장로켓 소련 50 대 - -

Ejercito Revolucionario.

육군의 규모는 쿠바군의 7할을 차지한다. 그러나 제인연감(Jane's Yearbooks)[3]에 따르면 1990년대 이후로 소련이 붕괴되고 경제지원 등이 끊기면서 군의 수준이 예전같지 않다는 평가다. 장비의 노후화가 심해서 2010년대까지 T-34가 현역으로 있었던 몇 안되는 나라 중 하나다.

1998년 미국 국방정보국의 평가에 따르면 쿠바군은 전반적으로 훈련 부족으로 준비태세 수준이 낮았으며 대대급 이상의 작전 능력을 전혀 발휘할 수 없는 상태라고 평가했다. 그나마 쿠바군의 특수작전부대는 훈련을 지속했지만 쿠바 혁명무력은 전반적으로 연료난과 정비용 부품의 부족으로 사실상 군사 작전이 불가능한 상태라고 보았다.

북한 화성 5호 미사일을 수입해서 운용 중이다.

파일:쿠바 국기.svg 현대 쿠바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colcolor=#373a3c><colbgcolor=#0038A8> 현대의 쿠바군 보병장비
개인화기
<colcolor=#373a3c><colbgcolor=#CE1126> 돌격소총 AKM, APS, M16A1
저격소총 SVD, 알레한드로 저격소총, 맘비 저격소총
기관단총 PM-63
권총 PM, APS
지원화기
기관총 RPK, PKM, SG-43, KPV
유탄발사기 AGS-17
대전차화기 RPG-7, RPG-29, SPG-9, 9K11, 9K111
맨패즈 9K32, 9K34, 9K38
유탄발사기 LPO-50
박격포 M-38/43, M-41/43
유탄 F-1, RGD-5
지뢰 PMFH-1, PMFH-2
예비용 화기 SKS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쿠바 국기.svg 쿠바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현대 보병장비 }}}
}}}}}}


그에 비해 보병장비는 상대적으로 현대화 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자체 개발한 저격소총들과, 최근 RPG-29를 수입한 것이 확인되었다.

블랙 와스프(Avispas Negras)라는 특수부대를 운용 중이다. 공식 부대명칭은 특수 기동여단이며 앙골라 내전에 참전한 경력이 있다. 현재에도 러시아 스페츠나츠, 조선인민군 특수작전군, 중국 특수부대 교관들이 이들을 교육한다고 한다.

4.2. 해군

파일:쿠바 함수기.svg 현대 쿠바 해군 함정 둘러보기 파일:쿠바 국기.sv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CC0D0D><colcolor=#FFF> '''[[잠수함|
잠수함
]]'''
<colbgcolor=#CC0D0D><colcolor=#FFF> '''
SSM
'''
델핀급
'''
SSK
'''
폭스트로트급R
구잠정 (PC) 크론슈타트급R | SO-1급R | 바이르R
어뢰정 (PT) 투르야급R | P-6급R | P-4급R
미사일 고속정 (FACG) 오사-(I/II)급 | 코마급R
'''[[초계함|
초계함
]]'''
'''
PCE
'''
파우크-II급 | 카리브급R
'''[[호위함|
호위함
]]'''
PF 호세 마르티급R
FF 리오 다무지급 | 마리엘급
'''[[상륙함|
상륙함
]]'''
'''
LST
'''
폴노시니-B급R
'''
상륙정
'''
'''
LCVP
'''
T-4급
'''
LCI
'''
프로젝트 709급
'''[[소해함|
소해함
]]'''
'''
MSC
'''
소냐급
'''
MSI
'''
예브게니야급
※ 윗첨자R: 퇴역 함정
}}}}}}}}}


Marina de Guerra Revolucionaria.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0px-Rio_Damuji_n%C2%B0_390.jpg
사진은 2011년 아바나 항에 입항한 리오 다무지함(BP-390)이다.
쿠바의 주력 수상함정
이름 종류 배수량 제조 국가 보유 척수
리오 다무지급 호위함 3,000톤급 호위함 만재: 3,200 톤 스페인, 쿠바 2척
코니급 초계함 1,500톤급 초계함 만재: 1,900 톤 소련 3척
파우크 II급 초계함 500톤급 호위함 만재: 580 톤 소련 ?척
오사 I/II급 200톤급 고속정 만재: 209/235 톤 소련 ?척
폭스트로트급 잠수함 2,000톤급 잠수함 수중: 2,475 톤 소련 3척
폴노크니[4] 상륙함 500 ~ 1,000톤급 상륙함 만재: 834 톤 소련 ?척

냉전 시절에는 양적으로는 상당한 규모를 갖추고 있었다. 그러나 소련의 붕괴 이후 쿠바 경제가 어려움에 처하면서 상당수의 함정들이 인공 산호초를 위해 자침되었으며 나머지 함정들도 현대 해전에선 생존을 장담할 수 없는 구형의 함정들이다. 그래서 쿠바 해군은 타 국가의 정규 해군[5]과 맞붙는 것을 사실상 포기하고 남미 마약 카르텔의 밀수 선박과 난민들의 밀항 선박을 감시하는 것을 주 임무로 설정했다.

항공 전력으로는 Mi-14 대잠 헬리곱터 2대를 운용 중이다.

4.3. 공군

Defensa Anti-Aérea Y Fuerza Aérea Revolucionaria.

파일:쿠바 라운델.svg
파일:쿠바 라운델.svg 현대 쿠바 혁명군 공군 및 반항공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쿠바 혁명군 (1960~현재)
Fuerzas Armadas Revolucionarias
<colbgcolor=#002a8f> 회전익기 <colbgcolor=#002a8f> 다목적 헬기 Mi-17
공격헬기 Mi-24
전투기 2세대 MiG-21MF
3세대 MiG-23BN
4세대 MiG-29A/C
수송기 An-26
훈련기 MiG-21UM, MiG-29UB, L-39C
※ 윗첨자R: 퇴역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취소선: 개발/도입 취소 기종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쿠바 국기.svg 쿠바군의 운용장비 | 파일:jet_icon__.png 항공병기 }}}}}}}}}




미그기를 주로 사용한다. #

냉전 시절에는 40대 이상의 전투기들을 보유하고 있었고 다양한 대외파병을 통해 겪은 실전경험으로 중남미 최강의 공군이었다. 하지만 냉전의 종식 이후 들이닥친 경제난으로 쿠바 공군은 노후화된 전투기들을 대량으로 퇴역시켰고 21세기 이후 쿠바 공군은 사실상 붕괴된 상태이다.[9]

그럼에도 쿠바는 아예 공군을 포기한 것은 아니라 퇴역한 전투기들의 상당수는 치장물자로 보관중이며 비행 시간을 줄이는 대신 디지털 비행 시뮬레이터를 도입해 비행사들의 훈련에 활용하고 있으며 공군 기지 인프라와 전투기의 정비는 러시아, 중국, 북한에서 지원해주고 있다. 쿠바 공군에서 가장 고성능 기종인 MiG-29의 조종사들 한정으로 매년 200~250시간의 비행훈련도 거친다고 한다.

방공 전력은 1950년대에 나온 고물덩어리인 S-75 지대공 미사일이 전부고, 그나마도 상당수가 경제난 때문에 퇴역된 상태라 5세대 전투기와 무인기들이 돌아다니는 현대 전장에선 아무 의미가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

4.4. 준군사조직


인민전쟁을 표방하는 쿠바의 특성상 쿠바군의 실질적 주력은 이들이며 유사시 미군이 쿠바를 침공할 시 이들이 전국에서 게릴라 활동을 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5. 관련 문서

6. 미디어

대중매체에서는 카리브해의 단 둘뿐인[10] 사회주의 계열 국가 포지션이라는 점 때문에 악역으로 주로 등장한다.


[1] 다만 1963년이면 이미 프랑스 정치권에서도 알제리 독립이 대세가 되가는 시점으로 전쟁은 1964년에 끝났다. 즉 끝물에 투입되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미친 영향은 전혀 없다고 해도 무방하다. [2] 다만 카스트로 형제들 항목을 보면 알겠지만, 라울은 단순히 동생이라서 권력을 쥔 게 아니라, 엄연히 쿠바 혁명에 참여한 개국공신으로 상당히 유능한 인물이다. 피델의 은퇴이후 후계자가 된 라울은 미국과의 관계 개선 및 개혁개방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3] 영국의 민간 컨설팅 기업인 제인스 인포메이션(Jane's Information)이 매년 발행하는 군사연감. 제인스 인포메이션은 군사정보 분야에선 세계 최고로 인정받고 있다. 육해공군을 통틀어서 세계 각 나라가 보유한 모든 종류의 무기체계의 종류와 현황을 자세하게 제시하고 있다. 국내외 언론에서 인용하는 군사력 현황은 대부분 제인연감에 따른 것이다. [4] Północny. 원어인 폴란드어로 읽으면 '푸우노츠니', 에스파냐어로는 '폴노크니'. [5] 당장 미 해군은 고사하고 미국 해안경비대 멕시코 해군만 해도 쿠바 해군을 압도한다. [6] 치장용 전력 3대가 더 있다. [7] 2000년대에는 24대가 운용되었지만 그마저도 기령 노후화로 대부분 퇴역 및 치장물자로 전환되었다. [8] 치장용 전력 9대가 더 있다. [9] 라울 카스트로도 공군은 육군보다 세 배 이상 비용을 소모한다며 대규모로 전력을 유지할 여유가 없다고 시인한 바 있었다. [10] 나머지 하나는 니카라과. [11] 남미 게릴라 출신으로 마찬가지로 게릴라전을 펼치는 주인공들을 잘 이해해서 궁지로 몰아붙이며, 마지막엔 주인공들의 활약에 경의를 표하면서 살아남은 팀원들을 관대하게 풀어준다. [12] 스페인어로 병사들이란 의미다. [13] 싱글 한정. 멀티에서는 영국, 호주, 남아공, 미국(!) 출신들로 이루어진 다국적 부대다. [14] "미군! 양키가 왔다!". "어떻게 여길 찾아낸 거야?". " 이러려고 입대한 게 아니라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