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11 20:50:16

청풍군(1890)


<colbgcolor=#29176e>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2px -11px"
{{{#!wiki style="font-size:0.90em; letter-spacing: -0.8px"
영조 현효대왕 도정궁 사손
 
 
진종 소황제 장조 의황제
 
 
 
 
정조 선황제 은언군 은신군 은전군
 
 
 
 
 
 
순조 숙황제 상계군 전계대원군 남연군 풍계군 진안군
 
 
 
 
 
 
 
 
 
 
 
문조
익황제
철종
장황제
익평군 회평군 영평군 흥녕군 흥완군 흥인군 흥선헌의대원왕† 완평군 완성군
 
 
 
 
 
 
 
 
 
 
 
 
 
 
헌종
성황제
고종
태황제
덕안군† 경은군 청안군 완림군† 완순군 완영군† 흥친왕 완은군† 인양군† 의양군 예양정 완창군
 
 
 
 
 
 
 
완효헌친왕† 순종
효황제
의친왕 영친왕 풍선군† 영선군 경원군
 
 
청풍군 창산군
※ 실제 혈통이 아닌 족보를 기준으로 작성되었으며, 실선은 친자, 점선은 양자 관계임
※ 왕족 / 황족으로서 정식 봉호가 있는 사람만 기재함
※ 은신군은 영조의 동생 연령군의 후사를 이었으나 당시에는 장조 의황제의 아들로 간주하여 그 후손들에게 황족 작호를 수여함
※ † 기호는 사후 추증된 인물이며, 흥선헌의대원왕을 제외하면 대한제국 수립 이전 사망한 왕족임
}}}}}}}}}}}} ||

청풍군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713F03, #8a4d04 20%, #8a4d04 80%, #713F03); color: #FFD4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d400> 초대 제2대 제3대 -
전계대원군 영평군 청안군 (풍선군)
제4대 - 제5대
청풍군 (이완주) (이우영)
}}}}}}}}}

조선귀족
朝鮮貴族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8px -3px -11px"
수작 공작
-
후작
박영효 · 윤택영 · 이재각 · 이재완 · 이해승 · 이해창
백작
민영린 · 이완용 · 이지용[1]
자작
고영희 · 권중현 · 김성근 · 김윤식 · 민병석 · 민영규 · 민영소 · 민영휘 · 박제순 · 송병준 · 윤덕영 · 이근명 · 이근택 · 이기용 · 이병무 · 이완용[2] · 이용직 · 이재곤 · 이하영 · 임선준 · 조민희[3] · 조중응
남작
김가진[4] · 김병익 · 김사철 · 김사준 · 김영철 · 김종한 · 김춘희 · 김학진 · 남정철 · 민상호 · 민영기 · 민종묵 · 민형식 · 박기양 · 박용대 · 박제빈 · 성기운 · 윤웅렬 · 이건하 · 이근상 · 이근호 · 이봉의 · 이용원 · 이용태 · 이윤용 · 이재극 · 이정로 · 이종건 · 이주영 · 이항구[5] · 장석주 · 정낙용 · 정한조 · 조동윤 · 조동희[6] · 조희연 · 최석민 · 한창수
거부
김석진 · 민영달 · 유길준 · 윤용구 · 조경호 · 조정구 · 한규설 · 홍순형
습작 공작
-
후작
박찬범 · 윤의섭 · 이달용 · 이덕용 · 이덕주 · 이병길
백작
고중덕 · 고흥겸 · 송종헌 · 이영주
자작
고희경 · 권태환 · 김호규 · 민병삼 · 민충식 · 민형식 · 민홍기 · 박부양 · 윤강로 · 이규원 · 이종승 · 이창훈 · 이충세 · 이택주 · 이해국 · 이홍묵 · 임낙호 · 임선재ㆍ조대호 · 조용호 · 조원흥 · 조중수
남작
김교신 · 김덕한 · 김세현 · 김석기 · 김영수 · 김용국 · 김정록 · 남장희 · 민건식 · 민규현 · 민병억 · 민영욱 · 민철훈 · 민태곤 · 민태윤 · 박경원 · 박서양 · 박승원 · 박정서 · 성일용 · 성주경 · 윤치호 · 이강식 · 이경우 · 이규환 · 이기원 · 이능세 · 이동훈 · 이범팔 · 이병옥 · 이병주 · 이완종 · 이원호 · 이인용 · 이장훈 · 이중환 · 이창수 · 이풍한 · 이홍재 · 장인원 · 정두화 · 정주영 · 정천모 · 조원세 · 조중구 · 조중헌 · 최정원 · 한상기 · 한상억
승작 백작 → 후작
이완용
자작 → 백작
고희경 · 송병준
[1] 1912년 도박죄로 구속되어 일시적으로 예우 정지.
}}}}}}}}} ||

조선귀족 후작
누동궁 4대 궁주
<colbgcolor=#29176e><colcolor=#ffd400>
조선 장종의 6대손
대한제국 장조의 6대손
청풍군 | 淸豊君
파일:Lee_Hae-seung_Portrait.jpg
이름 이인봉(李麟鳳) → 이해봉(李海鳳) → 이해승(李海昇)
송석(松石)
출생 1890년 6월 22일
사망 미상[1]
비고 친일반민족행위자 명단 등재
친일인명사전 등재

1. 개요2. 가계3. 생애
3.1. 조선 · 대한제국 시기3.2. 일제강점기의 행적3.3. 말년과 최후
4. 여담5. 가족과 후손6. 재산 환수 논란

[clearfix]

1. 개요

조선 왕족이자 대한제국의 황족. 대한제국 장조[2]의 6대손이며, 조선귀족 후작 작위를 받은 친일반민족행위자이다.

조선 25대 임금 철종의 형 영평군 이경응의 양 증손자, 청안군 이재순의 양 손자, 풍선군 이한용 양자이다. 또한 전계대원군 종가(宗家) 누동궁의 4대 종주로 누동궁의 마지막 주인이다.[3]

2. 가계

이해승의 본 뿌리는 월산대군의 후손으로 그의 직계에서는 이미 300년 전에 종친 대우가 끝났다.

그런데 그의 할아버지 이재숙이 덕흥대원군 후손의 양자로 갔고 그의 친아버지 이건용 또한 다른 덕흥대원군 후손의 양자로 갔다.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다.
세조 이유 - 덕종 이장 - 월산대군 이정 - 덕풍군 이이 - 파림군 이주 - 양천도정 이혜 - 이호인 - 이희맹 - 이석번 - 이강 - 이하석 - 이사흥 - 이상근 - 이희순 - 이영규 - 이석현 - 이재숙( 덕흥대원군 이초 후손 이현에게 출계.) - 이건용(덕흥대원군 이초의 다른 후손 이재범에게 출계) - 청풍군 이해승
조선 후기에는 왕실의 후손이 몇 없어 덕흥대원군의 후손들이라면[4] 서로서로 입양을 주고 받는 풍조가 있었다. 그래서 이해승 역시 덕흥대원군의 후손 자격으로 풍선군 양자가 된 것이다. 누동궁의 봉사손이 된 이해승은 철종의 큰집 장손으로서 중요한 왕실의 일원으로 대접받았다.

3. 생애

3.1. 조선 · 대한제국 시기

파일:46580b66279d5.jpg
<colbgcolor=#29176e> 양할아버지 [[청안군(1851)|{{{#ffd800 청안군 이재순}}}]]과 함께.
1890년( 고종 27년) 6월 22일, 군수 이건용(李建鎔)의 아들로 태어났다. 1897년( 광무 원년)에 영평군의 건의로 풍선군 양자가 되었고 #, 1902년(광무 6년) 2월에 철종의 능인 예릉 참봉 직을 맡아 관직 생활을 시작했다. 1904년(광무 8년) 1월에 헌종 효정왕후가 훙서[5]했을 때에는 국상 종친이 맡는 직책인 종척집사로 임명받았고 #, 1906년(광무 10년)에는 탁지부 재랑을 역임했다. 1907년(광무 11년) 3월에는 시강원 시종관 주임관 4등이 되었고 6월에는 수학원에 입학했다.

순종 즉위 후인 1908년( 융희 2년)에는 정 3품 통정대부로 올라 돈녕부도정이 되었으며, 같은 해 12월에는 ' 대원군 적장손 세습제'에 따라 청풍도정(淸豐都正)으로 봉해졌다.

1909년( 융희 3년) 수학원을 졸업한 다음 가선대부를 거쳐 정 2품 자헌대부에 올랐다. 1910년(융희 4년) 6월에는 청풍군(淸豊君)으로 승격했으며 이후 영종정원경에 올랐다. 같은 해 8월에는 훈 1등 태극장 이화대수장(李花大綬章)을 받았다. 이때까지만 해도 무난하게 살던 젊은 황족이었다.

3.2. 일제강점기의 행적

1910년 8월 29일 한일병합조약의 체결로 대한제국은 멸망하고 일본 식민지로 전락했다. 일제 한일 병합의 정당성을 선전하기 위해서는 조선인들의 협조, 그 중에서도 황실이나 양반들같은 기존 기득권에 있던 사람들의 협조가 필요했다. 그 일환으로 황족인 이해승도 일제에게 후작 작위와 16만 2,000원[6]을 받았다. 이후 본격적인 친일의 길에 들어선다.

같은 해 조선귀족 관광단의 일원으로 일본에 가서 조선귀족을 대표해 메이지 덴노에게 감사 인사를 했으며 안중근 의사가 저격했던 이토 히로부미 묘소를 참배했다. 1912년에는 ‘한일 병합 이전 한·일 관계의 공적이 있는 자’로 한국병합기념장도 받았다.

이후 이해승은 채무보증을 잘못 서서 큰 을 졌다. 하지만 일제의 도움으로 재산을 동양척식주식회사에 신탁하는 조건으로 채무를 변제하였다. 그리고 일본에게서 받은 돈을 주식에 투자해 배당금을 받은 뒤 조선총독부로부터 토지를 대부받거나 금은광의 광업권을 받아 경제력을 키워나가 상당한 재산을 모았다.[7][8]

1923년부터 1926년까지 3년 간 해동은행 # 대주주로서 감사를, 1937년부터 1942년까지 5년 간 일선산금 주식회사의 이사를 지냈다. #

1925년부터는 조선귀족회에서 활동하여 1945년까지 이사를 지냈고 1942년부터는 회장직을 맡았다. 또한 1940년에서 1941년 사이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조선 최대의 조선총독부 외곽단체인 국민총력조선연맹 평의원과 전시 체제기 최대 민간 단체인 조선임전보국단 발기인으로 참여했고 1942년 조선귀족회 회장이 된 이후엔 일제 육 · 해군에 각각 1만 원씩의 국방 헌금 미나미 지로 조선 총독에게 전달했다. #

3.3. 말년과 최후

이러한 친일 행각으로 인해 해방 이후인 1949년 반민족행위특별조사회가 만들어진 후 당연히 체포되었고 기소까지 되었으나 반민특위가 해체당하면서 풀려났다.

그리고 1년 뒤인 1950년 6.25 전쟁이 일어나고 환갑의 나이에 북한군에게 납북당해 행방불명이 되었다. 도저히 생사를 확인할 수 없어서 1958년에 실종 선고가 내려졌다.[9][10]

그래서 현재 (적어도 남한 지역에) 그의 실제 는 없다. 다만 경기도 포천시 선단동에 그의 가묘가 있다. 정확하게는 부인 청송 심씨의 묘인데 명목상 합장 형식으로 둔 것. 묘비의 은 권태희가 짓고 이석은이 썼으며 4면 다 글이 새겨져 있다. 전면에는 ‘자헌대부 영종정원경 청풍군 완산 이공 휘 해승 지묘 배 정경부인 청송 심씨 부좌(資憲大夫領宗正院卿淸豊君 完山李公諱海昇之墓 配貞敬夫人靑松沈氏祔左)’라 새겨져 있다. #

4. 여담

충청북도 괴산에서 작가 홍명희[11]와 함께 3·1 만세 운동을 주도했던 독립운동가 이재성(1887 ~ 1925)이란 사람이 있었다. 항렬로는 이해승의 할아버지 뻘 먼 친척으로 〈 동아일보〉 기자를 역임했었는데, 징역 1년 반을 살다 나온 후 집세낼 돈이 없어 손자 뻘인 이해승이 소유한 누동궁의 10여 호 별채 중 한 채를 빌려 들어가 살았다. 당시 이재성의 부인 임신 중이었는데 이해승의 집에서는 직계가 아니면 궁에서 아이를 낳거나 죽을 수 없다며 나가라고 재촉했다.
이재성의 부인은 다행히 지인들의 도움으로 동대문 부인 병원에서 출산했으나 불행히도 아기는 죽었다. 쇠약해진 이재성의 부인은 누동궁으로 돌아갔으나 이해승에게 쫓겨났고 이틀만에 죽었다. 이재성 역시 폐결핵이 심해져 드러누웠으나 이해승은 집에서 죽을까봐 두려워 무당을 불러 을 치고는 그 날 바로 내쫓았다. 이재성은 쫓겨날 때 한겨울 찬바람을 쏘인 탓에 병세가 나빠져 부인과 마찬가지로 쫓겨난 지 이틀 만에 사망했다.
이재성이 죽은 후에도 이해승은 물론이고, 집안 사람 어느 누구도 조문을 가지 않았다. 이에 분노한 이재성의 친구와 지인들이 이해승에게 따지러 갔다. 그러나 이해승은 병을 핑계로 만나주지 않았고, 끝내 무대응으로 일관했다고 한다.
이는 1925년 2월 8일 자 〈 동아일보〉와 〈 조선일보〉에 실린 내용으로 # # 이해승의 인물 됨됨이를 엿볼 수 있는 기록이다. 비록 먼 친척이지만 자신에게 해가 될까 두려워 죽어가는 사람을 내쫓을 정도의 비열함을 보인 것이다. #

5. 가족과 후손

앞서서 영평군 이경응부터 청풍군 이해승까지는 전부 입양으로 대를 이었지만 이해승부터는 친자녀들로 이어진다.

이해승은 아들을 넷 낳았다. 그 중 장남 이완주(李完柱, 1908~1943)가 원래 가계(家系)를 이을 예정이었으나 1941년에 아버지보다 먼저 죽었다.[12] 둘째아들 이헌주(李憲柱, ?~1943) 역시 1943년에 사망했고 #, 다른 아들 이택주(李宅柱)는 은언군 종손 이완용[13]의 양손자로 입양갔으나 6.25 전쟁 중이던 1950년 9월에 북한군에게 살해당했다. 그리고 막내 아들 이영주(李寧柱)만이 오래 살아 1987년경 낙선재의 비서실장을 지냈다는 기록이 있다. #[14] 참고자료

큰아들 이완주의 장남인 이우영(李愚英, 1939년생)과 이우영의 장남 이윤기(李允基, 1967년생)는 스위스그랜드호텔[15]의 전, 현직 오너이다. 자세한 이야기는 다음 링크들을 참조할 것. #1[16] #2[17]

이우영의 동생 이우진(李愚振)은 서강대학교 동문회 회장과 중앙대학교 정치외교학 교수를 역임했다.

이해승의 생가 누이 이해영(李海映)은 《 상록수》로 유명한 작가 심훈과 결혼했다.

6. 재산 환수 논란

이우영은 1957년부터 구 황실재산총국에 소송을 제기해 동양척식주식회사 신탁되어 있던 재산을 찾아가기 시작해 1990년대 말까지 신탁 재산의 75%인 890만㎡를 되찾았고 이 중 절반 가량인 435만㎡를 매각하였다. 1988년 이우영은 반환 받은 토지 전계대원군의 처 용성부대부인가 있었던 서울 홍은동 땅에 스위스 그랜드 호텔을 지었고, 이후 그랜드 힐튼 서울 호텔로 바뀌었다.

친일반민족행위자 재산조사위원회가 2007년 친일 재산 국가에 귀속시키는 결정을 내리자 이우영은 2008년부터 소송을 시작하였다. 대형 법무 법인 변호사들을 고용해 그가 진행한 소송은 모두 5건이었다. 이우영은 1심에서 패소하였으나 2심 재판부는 1심을 뒤집고 국가 패소 판결을 내렸다. ‘ 작위 수여만으로는 한일 병합의 공이 있었다고 추단할 수 없다’라는 이유에서였다.

친일반민족행위자 재산의 국가 귀속에 관한 특별법은 ‘ 한일 병합의 공으로 작위를 받거나 이를 계승한 자’를 재산 귀속 대상 친일반민족행위자로 규정하고 있었는데, 이우영 측은 이를 이용해 ‘한일 병합의 공으로’ 작위를 받은 것은 아니므로 재산 귀속 대상자가 아니라는 주장을 폈고, 재판부가 이를 받아들인 것이다. 당시 2심 재판관은 훗날 대법관이 되고 양승태 대법원 사법농단 의혹 사건 관련인물로 알려진 박병대 법관이다.

결국 이우영은 대한민국 정부를 상대로 낸 첫 소송에서 2010년 대법원에서 최종 승소해 320억원 상당의 을 지켜냈다. 이씨가 물려받은 땅의 절반이 넘는 규모였다. 이해승의 친일 행각을 인정하면서도 그의 친일 재산 국가 환수는 불가능하다는 대법원 판단에 공분이 일었다. #

그러자 국회는 2011년 대법원 판단의 근거가 됐던 ‘ 일제 강점 하 반민족 행위 진상 규명에 관한 특별법’의 내용 중 ‘ 한일 병합의 공으로’라는 문구를 뺀 개정안을 통과시켰다. 이우영은 개정된 특별법이 너무 과도하고 특정인을 노린 것이므로 헌법에 위반된다며 소송 담당 재판부에 위헌법률심판 제청을 신청하였으나, 헌법재판소는 2013년에 이를 기각하였다. #

2011년 대한민국 정부는 이우영이 개정된 특별법 발효 이후 친일 재산을 제3자에게 매각해 얻은 부당 이득 220억여 원을 반환하라는 1심에서 승소하였다.( 2011가단207337) 그러나 2014년 1월 2심에서 정부가 패소했다가( 2011나14939) 2016년 12월 대법원에서 뒤집어져 최종적으로 정부가 승소하였다.( 2014다22789, 2014두3228, 법률신문, 한겨레) 반면 이우영이 국가를 상대로 낸 친일 재산 확인 결정을 취소해 달라는 소송은 2016년 11월 대법원에서 최종적으로 패소하였다.( 연합뉴스)

2019년 6월 26일 서울고등법원 민사 13부는 국가가 이해승의 손자 이우영을 상대로 낸 소유권 이전 등기 소송의 항소심에서 원고 패소한 1심을 뒤집고, 일부 원고 승소 판결하였다. 1심은 '확정판결에 따라 개인에게 귀속된 적용을 배제한다'는 조항을 들어 원고 패소 판결하였지만, 2심에서 뒤집어진 것이다.( 2018나2025746, 법률신문)

하지만 2심에서 국가에 환수하게 된 토지 1필지는 소송 대상이 됐던 땅 가운데 극히 일부로서 충청북도 괴산군에 있는 수로 4㎡ 만 포함된 것으로 전해졌고, 나머지 토지에 대해서는 사실상 원심과 같은 판단을 내렸기에 그야말로 국가의 일부 승소 또는 사실상 패소라고도 볼 수 있는 상황이다. 사실 국가에 귀속을 명한 4㎡ 토지는 2007년 당시 국가귀속 결정 대상이 아니어서 기존 대법원 확정 판결과 무관하기 때문에 국가에 귀속하라는 취지였다고 한다. #

이전 2010년의 대법원 판결에 대해서는 법무부가 2015년에 재심을 청구하였으나 2013년의 헌법재판소 결정 이후 1년이라는 소송 기간을 넘겨 심리할 수 없다는 취지로 대법원에서 2016년에 각하되고 말았다. # 결과적으로 이 부분은 1992년 이완용의 후손들이 소유권 다툼에서 국가를 상대로 승소한 후 일어난 친일 후손의 국가 상대로의 승소 사례로 남게 되었다.

이외에도 이해승이 소유하고 있었던 토지가 상당히 많았던 모양인지 2020년에도 환수를 추진하겠다는 기사가 올라온다. # 하지만 2021년 1심, 2022년 2심 모두 국가가 패소하였다.(2021가합31965 및 2021나2050841, 둘 다 유료) 해당 토지는 1966년에 경매로 은행에 넘어갔다가 1967년에 이우영 회장이 다시 매입했는데, 이를 정당한 대가를 지불한 선의취득으로 본 것이다. 결국 2023년 10월 6일 환수를 추진한 정부가 최종 패소했다.(2022다258774, 법률신문)
[1] 하단 참조. [2] 조선 장종. [3] 누동궁의 가계 자체는 현재까지 내려온다. 자세한 것은 후술. [4] 덕흥대원군과 그의 친아들 선조와 그 손자 인조의 후손들 모두를 아우르는 개념이다. [5] 군주, 왕족, 귀족의 죽음을 높여 부르는 말. [6] 현재 물가로는 백억여 원이 넘는 엄청난 돈이다. [7] 후술할 친일반민족행위자 재산조사위원회는 이해승의 친일 재산을 조사해 2007년 ~ 2009년 3차례 국가 귀속 결정을 내렸는데 그 규모가 토지 · 임야 합계 197만 ㎡, 시가 322억여 원으로 환수 대상자 중 최고 액수를 기록하였다. [8] 의친왕의 5번째 딸인 이해경 여사는 당시 이해승의 집을 이렇게 묘사하였다. “어머니와 가끔 큰 집이라 불리는 누동궁에 갔었어요. 당시 이우영 회장의 조부인 이해승 씨가 집 주인으로 계셨죠. 들어가는 입구부터 조경이 잘 되어 있었고 경치가 수려했죠. 출입문 입구에는 양쪽으로 커다란 도자기가 나열되어 있어서 마치 중국에 들어가는 기분이었습니다.” [9] 우리 민법에서 실종의 정의는 부재자의 생사가 5년간 분명하지 않은 경우, 법원이 이해 관계인이나 검사의 청구로 하는 선고로써 이 5년의 기간이 만료된 실종자는 사망한 것으로 간주한다. 이해승의 경우 1950년에 실종되었으나 당시는 전쟁 중이었기에 전쟁이 끝난 1953년을 기준으로 5년을 계산하면 1958년이 된다. [10] 아마 얼마 못 가 바로 죽었을 가능성이 높다. 당시로써는 고령인데다 공산당 입장에서 타도해야 할 군주정 시대 왕족에 거물급 친일반민족행위자였기 때문이다. [11] 소설 《 임꺽정》을 썼다. [12] 1943년이라고도 한다. [13] 매국노 이완용과는 동명이인. 하지만 이 사람도 친일반민족행위자이다. [14] 낙선재 비서실장으로 유명한 인물은 이공재(李公宰)이다. 왜 이영주가 언급되었는지는 불명. [15] 중간에 '그랜드힐튼 서울'로 이름을 바꾼 적이 있다. 스위스그랜드호텔 공식 사이트 2023년 중앙일보 보도에 따르면 조만간 부지에 아파트 단지가 들어설 예정이라고 한다. # 여담으로 김성재 의문사 사건이 발생한 곳이기도 하다. [16] 이우영의 인터뷰 기사다. 참고로 이우영은 이 인터뷰 외에는 절대 언론에 모습을 비추지 않으며 자신을 드러내 보이고 싶지 않아 호텔 행사에도 잘 나타나지 않는 것을 넘어 호텔 직원 상당수도 그의 얼굴을 모를 정도이며, 당연히 얼굴 사진도 전혀 공개되지 않고 있다. [17]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동에 있는 이우영의 집의 사진이 나오는데, 이 집이 윤서인 독립운동가 비하 논란에서 언급된 바로 그 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