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bgcolor=#29176e>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2px -11px" {{{#!wiki style="font-size:0.90em; letter-spacing: -0.8px" |
영조 현효대왕 | 도정궁 사손 | ||||||||||||||||||||||||||||||
|
|
|||||||||||||||||||||||||||||||
진종 소황제 | 장조 의황제 | |||||||||||||||||||||||||||||||
|
|
|
|
|||||||||||||||||||||||||||||
정조 선황제 | 은언군 | 은신군 | 은전군 | |||||||||||||||||||||||||||||
|
|
|
|
|
|
|||||||||||||||||||||||||||
순조 숙황제 | 상계군 | 전계대원군 | 남연군 | 풍계군 | 진안군 | |||||||||||||||||||||||||||
|
|
|
|
|
|
|
|
|
|
|
||||||||||||||||||||||
문조 익황제 |
철종 장황제 |
익평군 | 회평군 | 영평군 | 흥녕군 | 흥완군 | 흥인군 | 흥선헌의대원왕† | 완평군 | 완성군 | ||||||||||||||||||||||
|
|
|
|
|
|
|
|
|
|
|
|
|||||||||||||||||||||
|
|
|||||||||||||||||||||||||||||||
헌종 성황제 |
고종 태황제 |
덕안군† | 경은군 | 청안군 | 완림군† | 완순군 | 완영군† | 흥친왕 | 완은군† | 인양군† | 의양군 | 예양정 | 완창군 | |||||||||||||||||||
|
|
|
|
|||||||||||||||||||||||||||||
|
|
|
||||||||||||||||||||||||||||||
완효헌친왕† |
순종 효황제 |
의친왕 | 의민황태자 | 풍선군† | 영선군 | 경원군 | ||||||||||||||||||||||||||
|
|
|||||||||||||||||||||||||||||||
청풍군 | 창산군 | |||||||||||||||||||||||||||||||
※ 실제 혈통이 아닌 족보를 기준으로 작성되었으며, 실선은 친자, 점선은 양자 관계임 ※ 왕족 / 황족으로서 정식 봉호가 있는 사람만 기재함 ※ 은신군은 영조의 동생 연령군의 후사를 이었으나 당시에는 장조 의황제의 아들로 간주하여 그 후손들에게 황족 작호를 수여함 ※ † 기호는 사후 추증된 인물이며, 흥선헌의대원왕을 제외하면 대한제국 수립 이전 사망한 왕족임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05662, #3e7080 20%, #3e7080 80%, #305662); color: #FFD4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d400> 초대 | - | 제2대 | - | |
은전군 | 풍계군 | 완평군 | 인양군 | ||
제3대 | - | ||||
이헌용 | 이해직 | ||||
}}}}}}}}} |
은전궁 2대 궁주
|
||
<colbgcolor=#29176e><colcolor=#ffd400> 대한제국 장조의 증손
완평군 | 完平君 |
||
봉호 | <colbgcolor=#fff,#2d2f34>완평군(完平君) | |
이름 | 이신덕(李愼德)[A] → 이병(李昺) → 이승응(李昇應) | |
시호 | 효헌(孝憲) | |
출생 | 1836년 7월 21일 | |
사망 | 1909년 10월 3일 (향년 73세) | |
양부 | 풍계군(豊溪君, 1783 ~ 1826) | |
양모 |
광산군부인
광산 김씨 (光山郡夫人 光山 金氏, 1803 ~ 1864) |
|
생부 | 이도식(李道植)[2] | |
부인 | 진주 류씨(1832 ~ ?) | |
자녀 |
슬하 4남 장남 인양군 이재근(仁陽君 李載覲, 1857 ~ 1896) 차남 이재현(李載現, 1870 ~ ?) 3남 의양군 이재각(義陽君 李載覺, 1874 ~ 1935) 4남(서자) 예양정 이재규(禮陽正 李載規, 1877 ~ ?) |
[clearfix]
1. 개요
조선의 왕족 및 대한제국의 황족 겸 관료. 은전군의 양손자이자 풍계군의 양자로[3] 은전군가의 2대 종주이다.2. 생애
1836년( 헌종 2년) 경기도 안산에서 조선 선조의 9남 경창군의 8대손인 참판 이도식(李道植)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원래 이름은 이신덕(李愼德).[A]원래 조선 왕실 직계와는 선조의 아들 대에서 갈라졌기 때문에 200여 년 ~ 300여 년이 지난 당시에 그의 일가는 왕족이 아니었다. 본래 가계는 다음과 같다.그러나 25살인 1860년( 철종 11년) 11월에 은전군의 양손자이자 풍계군의 양자였던 경평군 이호[5]가 안동 김씨 세도가들을 비판했다가 그들의 눈 밖에 나 파양당하자 그 대신 입적하여 종친이 되었다. 처음에는 완평도정(完平都正) 작호를 받았다가 2달 뒤 완평군(完平君)으로 봉해졌고 이름도 항렬에 맞추어 이병(李昺)으로 고쳤다.
왕실 족보를 감수하는 일과 오위도총부 부총관(副摠管), 그리고 사옹원 제조 등을 역임했다. 그러다 철종 사망 후에는 종척집사(宗戚執事) 및 능을 지키는 수릉관이 되었으며 이후 치른 여러 국상 때도 같은 직을 맡아 활동했다.
고종 즉위 초 연간에 음직으로 참판을 지냈으며 1868년(고종 5년) 흥선대원군이 종친 항렬자 통일령을 내리자 이승응(李昇應)으로 다시 개명했다.
그 후에도 진하사 및 사은사로 청나라에 다녀오고, 종묘제례 때 인의인헌관(引儀引獻官)과 영릉 제조 및 판돈녕원사, 책비시정사(冊妃時正使)를 지냈으며 잔치가 있을 때마다 대표로써 술잔을 올리는 등 왕실 행사마다 종친의 큰 어른으로 왕성히 활동했다.[6] 대한제국 선포 이후에도 명성황후와 완화군의 황후 · 친왕 추봉 등에도 큰 역할을 했다.
1899년( 광무 3년)에는 장산회사 사장으로 추대받았다. 장산회사는 황해도 장연군 장산곶 뒤의 산맥을 판 뒤 바닷물을 통하게 해서 선박이 편하게 드나들 수 있게 개발하려는 목적으로 만든 회사였다.[7]
교육 활동도 활발히 했다. 1908년( 융희 2년) 1월에는 교육, 산업발달을 주 목적으로 세워진 애국계몽단체 ‘기호흥학회’에 특별찬성회원(特別贊成會員)으로 참가했다. 그해 5월에는 집에 사숙(私塾)을 세웠고[8], 9월에는 영선군 이준용이 세운 돈명학교에 만원을 기부했다.[9]
3. 사망과 이후
1909년( 융희 3년) 초부터 지병을 앓다가 그해 10월 3일 밤에 한성부 자택에서 별세했다. 당시 태상황이었던 고종이 직접 제문을 지어 애도했다. 시호 효헌(孝憲)과 대광보국숭록대부 의정부 의정대신 영종정경부사 직위를 추증받았다. 《 황성신문》에 따르면, 발인은 같은달 11일 오후 6시에 했다고 한다.그가 죽었을 당시 《 승정원일기》에서 그를 ' 저하(邸下)'라 칭하고, 그의 죽음을 ' 훙서(薨逝)'라 표현했다. # 고종의 직계 가족을 제외한 나머지 방계 황족들의 경칭을 알아볼 수 있는 중요한 대목이다.
그의 묘소는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장상동 산 67번지에 있다. 한동안 잊힌 채 위치를 몰랐는데 2013년 경 안산향토사연구소에서 발견했다. 후손들이 오랫동안 돌보지 않았는지 봉분 위에는 나무가 자라고 있을 정도라고.(...) #
4. 후손
19세에 진주 류씨 류원기의 딸(1832 ~ ?)과 혼인했다. 류씨 부인 사이에서 아들 3명을, 측실에게서 아들 1명을 두었다.장남은 인양군 이재근(1857년 ~ 1896년)이고 차남은 이재현(1870년 ~ ?)인데 완평군의 생가 동생 이낙응의 양자로 출계해 종친 자격을 잃어[10] 봉군되지 못했다.[11] 3남은 의양군 이재각(1874년 ~ 1935년), 막내 아들이자 첩실 소생은 예양정 이재규(1877년 ~ ?)이다. 인양군, 의양군, 예양정에 대한 내용은 각 문서 참조.
5. 매체에서
[A]
위키백과에서는 '
자(字)'로 소개한다.
#
[2]
선조의 9남
경창군의 8대손.
[3]
단,
풍계군 역시
은전군의 양자이다.
생부는 은전군의 형
은언군.
[A]
[5]
인조의 동생
능원대군의 8대손.
[6]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완평군 이승응은
흥선대원군 이하응과 같은
항렬이다. 즉
임금(고종)에겐 아저씨뻘인 서열 높은
종친이었다.
[7]
출처: 1899년(광무 3년) 09월 14일 자 《
독립신문》, 1899년 12월 16일 자 《
황성신문》.
[8]
출처: 1908년(융희 2년) 5월 8일 자 《
대한매일신보》.
[9]
출처: 1908년(융희 2년) 9월 4일 자 《
황성신문》.
[10]
완평군의 생가는 언급했듯 선조의 9남 경창군의 후손이다.
[11]
다만, 1899년(
광무 3년) 9월 22일 자 《
독립신문》 기사에 따르면, 정부에서는 이재현도 봉군하려 했으나 완평군이 사양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