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8-09 22:43:58

이용직

{{{#!wiki style="margin:-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7054c, #29176e 20%, #29176e 80%, #07054c)"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de0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초대

박정양
제2대

이완용
제3대

서광범
제4대

이도재
제5대

조병직
제6대

신기선
제7대

민종묵
제8대

이완용
제9대

조병직
제10대

조병호
제11대

이도재
제12대

김명규
제13대

윤용구
제14대

신기선
제15대

민병석
제16대

이건하
제17대

김규홍
제18대

민영소
제19대

박정양
제20대

이용직
제21대

민영환
제22대

이재극
제23대

박제순
제24대

민영철
제25대

이지용
제26대

이완용
제27대

이재곤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제30대

이재곤
제31대

이용직
}}}}}}}}}}}}
이용직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조선귀족
朝鮮貴族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8px -3px -11px"
수작 공작
-
후작
박영효 · 윤택영 · 이재각 · 이재완 · 이해승 · 이해창
백작
민영린 · 이완용 · 이지용[1]
자작
고영희 · 권중현 · 김성근 · 김윤식 · 민병석 · 민영규 · 민영소 · 민영휘 · 박제순 · 송병준 · 윤덕영 · 이근명 · 이근택 · 이기용 · 이병무 · 이완용[2] · 이용직 · 이재곤 · 이하영 · 임선준 · 조민희[3] · 조중응
남작
김가진[4] · 김병익 · 김사철 · 김사준 · 김영철 · 김종한 · 김춘희 · 김학진 · 남정철 · 민상호 · 민영기 · 민종묵 · 민형식 · 박기양 · 박용대 · 박제빈 · 성기운 · 윤웅렬 · 이건하 · 이근상 · 이근호 · 이봉의 · 이용원 · 이용태 · 이윤용 · 이재극 · 이정로 · 이종건 · 이주영 · 이항구[5] · 장석주 · 정낙용 · 정한조 · 조동윤 · 조동희[6] · 조희연 · 최석민 · 한창수
습작 공작
-
후작
박찬범 · 윤의섭 · 이달용 · 이덕용 · 이덕주 · 이병길
백작
고중덕 · 고흥겸 · 송종헌 · 이영주
자작
고희경 · 권태환 · 김호규 · 민병삼 · 민충식 · 민형식 · 민홍기 · 박부양 · 윤강로 · 이규원 · 이종승 · 이창훈 · 이충세 · 이택주 · 이해국 · 이홍묵 · 임낙호 · 임선재ㆍ조대호 · 조용호 · 조원흥 · 조중수
남작
김교신 · 김덕한 · 김세현 · 김석기 · 김영수 · 김용국 · 김정록 · 남장희 · 민건식 · 민규현 · 민병억 · 민영욱 · 민철훈 · 민태곤 · 민태윤 · 박경원 · 박서양 · 박승원 · 박정서 · 성일용 · 성주경 · 윤치호 · 이강식 · 이경우 · 이규환 · 이기원 · 이능세 · 이동훈 · 이범팔 · 이병옥 · 이병주 · 이완종 · 이원호 · 이인용 · 이장훈 · 이중환 · 이창수 · 이풍한 · 이홍재 · 장인원 · 정두화 · 정주영 · 정천모 · 조원세 · 조중구 · 조중헌 · 최정원 · 한상기 · 한상억
승작 백작 → 후작
이완용
자작 → 백작
고희경 · 송병준
[1] 1912년 도박죄로 구속되어 일시적으로 예우 정지.
}}}}}}}}} ||

일제강점기 조선귀족
자작
이용직
1919년 독립 청원서 제출로 인해 작위 박탈
}}} ||
조선귀족 자작
<colbgcolor=#29176e><colcolor=#ffde09>
파일:220px-李容稙_Lee.jpg
출생 <colbgcolor=#FFF,#1f2023> 1852년
사망 1932년 4월 3일 (향년 79 ~ 80세)
본관 한산 이씨
치만(稚萬)
강암(剛庵)

1. 개요2. 생애3.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구한 말의 문신. 경술국치 당시 학부대신의 직위에 있으면서 병합 조약에 소극적으로나마 저항하였다.

본관은 한산(韓山). 자는 치만(稚萬), 호는 강암(剛庵). 사과 승조(承祖)의 아들이며, 을사조약 때 분사(憤死)한 조병세(趙秉世)의 사위이다.

2. 생애

경술국치 당시 내각 회의에서 유일하게 반대 의견을 견지하다가 일본의 수해를 위문하는 특파 사절 명목으로 파견되어 사실상 쫓겨났던 전력이 있으며, 한일 합병이 결정된 어전 회의 당일에는 자택에 칩거하였다.[1] 내각 회의 당시 자리를 박차며 이완용에게 " 칼침 맞으려거든 당신만 맞으시오. 난 그러고 싶지 않소."라고 했다.[2]

하지만 그가 조약을 반대한 것만을 가지고 그가 반일주의자였다거나 독립운동가라고 판단하기는 어렵다. 그는 일본이 조직한 친일 어용 유림 조직인 공자교회(孔子敎會)[3]에서 활동하기도 했으며, 경술국치 이후에도 적극적으로 일본에 통치에 저항하지 않고 오히려 일제가 내려준 자작 작위를 받아들였고 성균관 부제학의 자리를 수락한 경력이 있기 때문이다.

그래도 소극적으로 한국의 독립을 지지했던 것은 확실하다. 1919년 3.1 운동이 일어났을 때에는 김윤식과 함께 일본에 한국의 독립을 요구하는 청원서를 제출했다가 작위를 박탈당했다. 덕분에 “선항일 후친일은 처벌하나 선친일 후항일은 처벌하지 않는다”라는 이유로 친일인명사전에서 김윤식과 함께 제외된다. 친일'파'이긴 하지만 친일'반민족행위자'는 아닌 경우.

3. 관련 문서


[1] 이완용이 그에게 어전 회의가 있다는 걸 일부러 알리지 않았다는 말도 있다. [2] 그리고 이완용은 인력거를 타고 가다 이재명 의사에게 정말로 칼침을 맞았다. 죽지는 않았지만 그 후유증으로 생긴 폐렴 때문에 죽을 때까지 고생했고, 결국 그 폐렴이 직접적인 사인이 되었다. 당시 이완용이 중상을 입고 받은 그 수술이 한국 외과 수술 1호였다. 집도의가 일본인이었는데, 후일 회고하기를 "외과술이 10년만 늦었어도 완용은 죽었다."라고... [3] “反儒 매국의 공자교 - 이토가 뒷돈 대주며 親日 전위 부대로 이용”, 《종교신문》, 2004년 3월 18일 작성. 2008년 5월 29일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