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제국 중추원 의장·부의장
大韓帝國中樞院議長·副議長 |
|||||||
{{{#!wiki style="margin:-5px -10px; padding: 5px 10px"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
초대 김병시 |
제2대 정범조 |
제3대 김홍집 |
제4대 어윤중 |
제5대 박정양 |
|||
제6대 정범조 |
제7대 민영휘 |
제8대 이호준 |
제9대 박정양 |
제10대 한규설 |
|||
제11대 이종건 |
제12대 이하영 |
제13대 조병식 |
제14대 정낙용 |
제15대 임상준 |
|||
제16대 신기선 |
제17대 김가진 |
제18대 조병세 |
권한대행 김가진 |
제19대 민영소 |
|||
제20대 박정양 |
제21대 심상훈 |
제22대 민종묵 |
제23대 이근택 |
제24대 한규설 |
|||
제25대 서정순 |
제26대 김윤식 |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
좌의장
|
우의장
|
|||
조병세 | 정범조 |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
부의장
|
||||
초대 김영수 |
제2대 어윤중 |
제3대 신기선 |
제4대 윤치호 |
제5대 이하영 |
|||
제6대 윤치호 |
제7대 홍종억 |
제8대 서정순 |
제9대 김가진 |
제10대 이유인 |
|||
제11대 이용태 |
제12대 이도재 |
제13대 이종건 |
제14대 이근호 |
제15대 이건하 |
|||
제16대 김가진 |
제17대 이근호 |
제18대 이종건 |
제19대 이근상 |
제20대 이재곤 |
|||
제21대 성기운 |
제22대 신기선 |
제23대 이근상 |
}}}}}}}}}}}} |
이근상 관련 틀 | ||||||||||||||||||||||||||||||||||||||||||||||||||||||||||||||||||||||||||||||||||||||||||||||||||||||||||||||||||||||||||||||||||||||||||||||||||||||||||||||||||||||||||||||||||||||||||||||||||||||||||||||||||||||||||||||||||||||||||||||||||||||||||||||||||||||||||||||||||||||||||||||||||||||||||||||||||||||||||||||||||||||||||||||||||||||||||||||||||||||||||||||||||||||||||||||||||||||||||||||||||||||||||||||||||||||||||||||||||||||||||||||||||||||||||||||||||||||||||||||||||||||||||||||||||||||||||||||||||||||||||||||||||||||||||||||||||||||||||||||||||||||||||||||||||||||||||||||||||||||||||||||||||||||||||||||||||||||||||||||||||||||||||||||||||||||
|
조선귀족 남작 | |
조선총독부 중추원 고문 | |
<colbgcolor=#0b0b3b><colcolor=#ffde09>
대한제국 중추원 의장 이근상 李根湘 | Lee Geun-sang |
|
|
|
이름 | <colbgcolor=#fff,#1f2023> 이근상 (李根湘) |
초명 | 근형 (根瀅) |
본관 | 전주 이씨 (全州) |
자 | 형옥 (瑩玉) |
호 | 송오 (松悟) |
출생 | 1874년 ( 고종 11년) 9월 14일 |
한성부 (現 서울특별시) |
|
사망 | 1920년 1월 20일 (향년 45세) |
직업 | 정치가, 관료 |
종교 | 유교 (성리학) |
작위 | 조선귀족 남작 |
가족 관계 |
부: 이민승(李敏承) 큰형: 이근호 배우자(성명미상) 작은형: 이근택 동생: 이근홍(李根洪) 동생: 이근목(李根沐) 아들: 이장훈(李長薰) 조카: 이동훈[1](李東薰) 조카: 이창훈[2](李昌薰) |
비고 |
친일파 708인 명단 등재 친일반민족행위자 명단 등재 친일인명사전 등재 |
[clearfix]
1. 개요
조선 말기의 관료이자 일제강점기의 조선귀족, 친일반민족행위자. 자는 형옥(瑩玉), 호는 송오(松悟), 본관은 전주이다. 을사오적 이근택과 그의 형인 이근호의 동생이다.2. 생애
1874년에 충청북도 청주의 무인 집안[3]에서 태어났다. 초명은 근형(根瀅)이었으나 후에 이근상(李根湘)으로 개명했다. 무과에 급제해 두 형들의 후광을 입어 1895년 군부주사, 1898년 궁내부 참리관(參理官), 1899년 시종원 시종이 되었다. 1901년 포천군수·옥과군수, 1902년 임실군수, 1903년 중추원의관·외부교섭국장·법부법무국장·궁내부협판·예식원부장으로 임명되었다.1904년 특명전권공사에 임명되어 이탈리아 주재로 발령 받았으나 부임하지 않았다. 또한 이 해에 내장원감독·농상공부협판·농상공부대신서리로 임명되었고, 제실제도정리국의정관을 겸임하였으며, 한미전기회사 검찰장이 되었다. 1905년 법부협판으로 임명되었고, 법관양성소장·법부법률기초위원장을 겸임하였다. 이 해 러일전쟁 봉천전투 승리를 축하하기 위해 일본특파대사 이재각(李載覺)의 수행원으로 일본에 다녀왔고, 남산 왜장대(倭場臺)에서 러일전쟁 해전 승리를 축하하기 위해 열린 축첩회에 발기인으로 참여하였다. 또한 이 해 시종원부경서리·학부협판·중추원찬의·예식원예식경 등으로도 발령 받았다. 또한 대한제국 정부로부터 이 해 3월 훈3등 팔괘장과 9월 훈2등 팔괘장을, 이 해 4월 일본 정부로부터 훈2등 서보장을 받았다.
1906년 경상북도 관찰사·중추원 부의장·궁내부 특진관·궁내부 대신에 임명되었고, 경상북도재판소 판사와 제도국 총재를 겸임하였다. 궁내부 대신으로 있을 때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의 지시를 고종에게 전달하였으며, 대한제국 정부의 친일 관료와 일본인 관료들의 사교단체인 대동구락부 위원을 맡아 ‘한일 융화’를 위하여 활동하였다. 이 해 4월 대한제국 정부로부터 훈2등 태극장을 받았다.
1907년 대한제국 정부로부터 훈1등 팔괘장을 받았다. 1908년 기호흥학회의 주무원·재정부장을 맡았고, 일제가 전국의 산림측량 등을 목적으로 설치한 대한산림협회 명예회원을 지냈다. 1909년 장충단에서 개최된 이토 히로부미 추도회에 참석하였고, 1910년 이재극(李載克)·이하영(李夏榮) 등과 함께 대한작잠주식회사·종묘회사를 설립하였다.
1910년 10월 7일 ‘한일합병’에 기여한 공으로 남작 작위를 받았고, 1911년 1월 13일 2만 5천원의 은사공채를 받았다. 또한 1910년 10월 조선총독부 중추원 고문으로 임명되어 사망할 때까지 역임하면서 매년 1,600원을 받았다. 1912년 8월 한국병합기념장을 받았다. 1915년 1월 식민 지배를 정당화하고 시정사업을 선전하기 위해 열린 ‘시정 5년 기념 조선물산공진회’ 경성협찬회에 발기인으로 참여하고 특별회원이 되었다. 또한 일본적십자사 조선본부 제2회 사원총회에서 특별사원이 되었다.
1916년 조선반도사편찬사업의 심사위원 고문을 맡았다. 1917년 불교옹호회 평의원으로 활동하였다.
1918년 조선총독부의 산업정책에 따라 전국 6개 농공은행을 통합해 창립한 조선식산은행의 감사로 임명되어 사망할 때까지 역임하였다. 1919년 조선농사개량주식회사 발기인 총대를 맡았고, 경성삼종현물매매시장주식회사 발기인으로 참여하였다. 1920년 1월 이근상이 사망하자 아들 이장훈(李長薰)이 작위를 물려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