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7-26 11:46:15

이덕주(1887)


조선귀족
朝鮮貴族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8px -3px -11px"
수작 공작
-
후작
박영효 · 윤택영 · 이재각 · 이재완 · 이해승 · 이해창
백작
민영린 · 이완용 · 이지용[1]
자작
고영희 · 권중현 · 김성근 · 김윤식 · 민병석 · 민영규 · 민영소 · 민영휘 · 박제순 · 송병준 · 윤덕영 · 이근명 · 이근택 · 이기용 · 이병무 · 이완용[2] · 이용직 · 이재곤 · 이하영 · 임선준 · 조민희[3] · 조중응
남작
김가진[4] · 김병익 · 김사철 · 김사준 · 김영철 · 김종한 · 김춘희 · 김학진 · 남정철 · 민상호 · 민영기 · 민종묵 · 민형식 · 박기양 · 박용대 · 박제빈 · 성기운 · 윤웅렬 · 이건하 · 이근상 · 이근호 · 이봉의 · 이용원 · 이용태 · 이윤용 · 이재극 · 이정로 · 이종건 · 이주영 · 이항구[5] · 장석주 · 정낙용 · 정한조 · 조동윤 · 조동희[6] · 조희연 · 최석민 · 한창수
거부
김석진 · 민영달 · 유길준 · 윤용구 · 조경호 · 조정구 · 한규설 · 홍순형
습작 공작
-
후작
박찬범 · 윤의섭 · 이달용 · 이덕용 · 이덕주 · 이병길
백작
고중덕 · 고흥겸 · 송종헌 · 이영주
자작
고희경 · 권태환 · 김호규 · 민병삼 · 민충식 · 민형식 · 민홍기 · 박부양 · 윤강로 · 이규원 · 이종승 · 이창훈 · 이충세 · 이택주 · 이해국 · 이홍묵 · 임낙호 · 임선재ㆍ조대호 · 조용호 · 조원흥 · 조중수
남작
김교신 · 김덕한 · 김세현 · 김석기 · 김영수 · 김용국 · 김정록 · 남장희 · 민건식 · 민규현 · 민병억 · 민영욱 · 민철훈 · 민태곤 · 민태윤 · 박경원 · 박서양 · 박승원 · 박정서 · 성일용 · 성주경 · 윤치호 · 이강식 · 이경우 · 이규환 · 이기원 · 이능세 · 이동훈 · 이범팔 · 이병옥 · 이병주 · 이완종 · 이원호 · 이인용 · 이장훈 · 이중환 · 이창수 · 이풍한 · 이홍재 · 장인원 · 정두화 · 정주영 · 정천모 · 조원세 · 조중구 · 조중헌 · 최정원 · 한상기 · 한상억
승작 백작 → 후작
이완용
자작 → 백작
고희경 · 송병준
[1] 1912년 도박죄로 구속되어 일시적으로 예우 정지.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2642B, #397431 20%, #397431 80%, #32642B); color: #FFD4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d400>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덕흥대원군 하원군 당은군 응천군
제5대 제6대 제7대 -
이정한 이홍일 이세정 이명좌
제8대 제9대 제10대 제11대
이명회 이형종 이풍 진안군
제12대 제13대 제14대 제15대
완성군 완창군 경원군 창산군
제16대 - (제17대)
이덕주 (이우갑) (이영기)
}}}}}}}}}
조선귀족 후작
도정궁 제16대 궁주
이덕주
李德柱
본관 <colbgcolor=#ffffff,#191919> 전주(全州)
이름 덕주(德柱)
흥여(興汝) #
생부 창산군
생모 남양 홍씨(南陽 洪氏)[1]
부인 숙부인 한산 이씨(韓山 李氏)[2]
숙부인 전의 이씨(全義 李氏) #
생몰기간 1887년 6월 28일 ~ 1962년 11월 7일
비고 친일반민족행위자 명단 등재
친일인명사전 등재

1. 개요2. 생애
2.1. 조선 및 대한제국2.2. 일제강점기2.3. 광복 이후
3. 가족

[clearfix]

1. 개요

대한제국 황족 출신 관료이자 일제강점기 조선귀족. 선조의 아버지 덕흥대원군의 종가 도정궁의 15대 사손(嗣孫)[3]이자 16대 주인이며 창산군 이해창 장남이다.

2. 생애

2.1. 조선 및 대한제국

1887년( 고종 24년)[4] 6월 28일에 한성부 사직동 도정궁에서 태어났다.

주로 역임한 관직은 국가 제향시설의 관리였다. 사직 영희전을 비롯하여 목릉[5], 정릉[6], 경릉[7], 의릉[8], 익릉[9], 원릉[10]의 참봉을 지냈다. 이외에 경효전[11] 사승과 태복시[12] 주사, 태자시강원[13] 시종관을 역임했고 조경단[14]을 수리한 공으로 상을 받기도 했다. # 고종 퇴위 직전인 1907년( 광무 11년) 5월에는 정3품 비서감승 직을 맡았다. #

2.2. 일제강점기

1910년( 융희 4년)에 일어난 경술국치 이후 이덕주의 아버지 이해창 일본 정부에게서 조선귀족 후작 작위를 받았다. 그리고 4년 뒤 이덕주는 이해창의 법적 상속자라 해서 종5위를 받았다.

1915년 10월에는 일본 적십자사 특별회원으로 추천받았다. 그해 11월에는 일본 정부에게서 다이쇼대례기념장, 1928년 11월에는 쇼와대례기념장을 받았다.

1945년 3월에 아버지 이해창이 사망하자 조선귀족 후작 작위를 물려받았다. 그리고 5달 뒤에 조선 해방되었다.

2.3. 광복 이후

8.15 광복 이후인 1949년에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에 체포된 뒤 무혐의 처분을 받았다. 이후 1950년대에 도정궁을 매각했다.

1962년 11월 7일 오전 0시 30분에 서울 종로구 당주동 자택에서 사망했다. #[15] 향년 75세. 묘소는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면 덕송리에 있다.

2009년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가 발표한 친일반민족행위 705인 명단에 들어갔다. #

3. 가족

어머니 남양 홍씨 갑신정변의 주역 김옥균을 암살한 홍종우의 딸이다.

결혼을 총 두 번 했다. 첫째 아내 한산 이씨는 명성황후의 외사촌오빠인 이경직의 딸로, 이덕주보다 1살 연상이었으며 1913년에 사망했다. 이후 11살 연하인 전의 이씨 부인과 재혼했다. #

장남 이우갑(李愚甲)은 1918년 3월에 태어났고 1950년 5월에 아버지보다 먼저 죽었다. # 그래서 이덕주 사후 도정궁 사손 자리는 이우갑의 장남 이영기(李英基)가 물려받았다. 이영기는 1946년생으로 2022년 현재까지 생존해 있다.
[1] 홍종우의 딸. [2] 명성황후의 외종질녀(외사촌오빠의 딸). [3] 제사를 받드는 후손이란 뜻이다. [4] 고종은 이덕주의 증조할아버지 뻘이나 나이는 35살 밖에 차이나지 않는다. 즉, 이덕주는 이원 황사손과 같은 항렬이다. [5] 선조 의인왕후, 인목왕후의 능. [6] 태조의 비 신덕왕후의 능. [7] 헌종 효현왕후, 효정왕후의 능. [8] 경종 선의왕후의 능. [9] 숙종의 첫 왕비 인경왕후의 능. [10] 영조 정순왕후의 능. [11] 명성황후의 혼전이다. [12] 국가에서 사용하는 목장, 수레를 관리하던 곳. [13] 황태자 교육을 담당하던 곳. [14] 전주 이씨 시조 이한 위패를 모신 장소. [15] 기사 원문에는 이름이 이흥여로 적혀있다. 흥여는 그의 이다.